KR100371407B1 -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407B1
KR100371407B1 KR10-2000-0020066A KR20000020066A KR100371407B1 KR 100371407 B1 KR100371407 B1 KR 100371407B1 KR 20000020066 A KR20000020066 A KR 20000020066A KR 100371407 B1 KR100371407 B1 KR 100371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ment
clinic
investor
custom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6128A (ko
Inventor
김종완
Original Assignee
동원증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증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증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40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407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공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시스템은 각 투자자들의 계좌 데이터 및 투자 시장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투자자로부터 투자 클리닉이 요청되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투자자가 요청한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시장 데이터 및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를 분석하여 투자 클리닉을 신청한 고객의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고객의 투자 성향에 따른 투자 처방전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투자 클리닉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투자 클리닉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은 투자 클리닉 방법은 투자자로부터 소정의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 클리닉 요청이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a)단계 및 (a)단계에서 투자 클리닉 요청이 있다고 판단되면, 투자 클리닉 기간에 해당하는 과거의 투자시장 데이터 및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따라 투자 처방전을 제공하는 (b)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고객의 과거 투자 실적을 이용하여 고객의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른 투자 처방을 제시함으로써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올바른 투자 방향을 제시받을 수 있으며, 증권사는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보다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Investment clinic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등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문제점 분석등의 투자 클리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증권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많은 투자자들은 보다 성공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증권 전문가들의 조언을 필요로 한다. 특히, 자신의 투자 성향에 대한 검증과 어떤 방향으로 투자를 해야 투자 수익을 높일 수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이에 대한 정보 또한 많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문제점등을 분석하여 보다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보 데이터 베이스(28)의 데이터 흐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투자 클리닉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42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투자자의 기본적인 투자 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질의 내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투자 클리닉 서버(26)가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시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투자 클리닉 서버(26)가 고객의 투자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투자 클리닉 서버(26)가 고객 계좌를 자산군별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고객의 주식 매매 및 투자시장의 주요 매매 현황을 나타내는 차트들이다.
도 11은 투자 클리닉 서버(26)에 의해 고객 계좌의 손익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2는 투자 기간별 투자 비중, 손익 금액 및 수익률을 분석한 차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투자자의 주요 투자 종목에 해당하는 기업의 각종 재무 지표를 나타내는 기본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투자자의 주요 투자 종목의 기술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해 투자자의 컴퓨터로 제공되는 페이지를 나타낸다.
도 16은 고객이 원하는 투자 성향과 실제 투자 성향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시스템은 각 투자자들의 계좌 데이터 및 투자 시장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투자자로부터 투자 클리닉이 요청되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투자자가 요청한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시장 데이터 및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를 분석하여 투자 클리닉을 신청한 고객의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고객의 투자 성향에 따른 투자 처방전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투자 클리닉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투자 클리닉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은 투자 클리닉 방법은 투자자로부터 소정의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 클리닉 요청이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a)단계 및 (a)단계에서 투자 클리닉 요청이 있다고 판단되면, 투자 클리닉 기간에 해당하는 과거의 투자시장 데이터 및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따라 투자 처방전을 제공하는 (b)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투자 클리닉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투자자로부터 소정의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 클리닉 요청이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a)단계 및 (a)단계에서 투자 클리닉 요청이 있다고 판단되면, 투자 클리닉 기간에 해당하는 과거의 투자시장 데이터 및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따라 투자 처방전을 제공하는 (b)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투자자(10)는 투자 상담자(14)에게 투자 클리닉을 신청하거나 또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12)에 직접 접속하여 투자 클리닉을 신청할 수 있다.
투자 상담자(14)는 투자자(10)로부터 투자 클리닉 신청받으면, 투자 상담자(14)는 사내의 통신망인 인트라넷을 이용하여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12)에 접속하여, 투자자(10)가 요청한 기간동안 투자 클리닉을 신청한다.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12)은 통신망을 통해 투자자(10) 또는 투자 상담자(14)로부터 투자 클리닉이 신청되면, 투자자(10)가 요청한 투자 클리닉 기간에 해당하는 과거의 거래 내역 데이터, 현재의 잔고 데이터등 투자자(10)의 계좌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자(10)의 투자 성향 및 투자 문제점등을 분석한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12)은 분석된 투자 성향 및 투자 문제점에 따른 투자 처방전을 상담자(14) 또는 투자자(10)에게 제공한다.
즉, 투자자(10)가 직접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12)에 접속한 경우, 투자자(10)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12)으로부터 직접 분석 결과 및 투자 처방전을 제공받고, 제공된 분석 결과를 통해 자신의 투자 성향 및 문제점등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투자자(10)가 투자 상담자(14)를 통해 투자 클리닉을 신청한 경우, 투자자(10)는 투자 상담자(14)와의 상담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투자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들은 사용자 컴퓨터들(20,22)을 사용하여 통신망(24)을 통해 투자 클리닉 서버(26)와 접속할 수 있으며, 투자 클리닉 서버(26)와 접속하여 투자 클리닉을 신청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투자 클리닉 서버(26)로부터 제공되는 투자 분석 결과 및 투자 처방전을 사용자 컴퓨터들(20,22)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컴퓨터들(20,22)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투자자이거나 또는 투자 상담자일 수 있다. 즉, 투자자는 자신이 직접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투자 클리닉 서버(26)에 접속할 경우, 사용자는 투자자가 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투자자는 투자 상담자에게 투자 클리닉을 의뢰할 수 있다. 이처럼, 투자자가 투자 상담자에게 투자 클리닉을 의뢰하면, 투자 상담자는 사용자 컴퓨터들(20,22)을 이용하여 투자 클리닉 서버(26)에 접속하여 투자자의 투자 클리닉을 신청한다. 이처럼, 투자 상담자가 투자 클리닉 서버(26)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는 투자 상담자가 된다. 또한, 도 2에서는 사용자들은 사용자 컴퓨터들(20,22)을 이용하여 통신망(24)에 접속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개인 휴대용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통신망(24)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들(20,22)로부터 투자 클리닉이 신청되면,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정보 데이터 베이스(DB:Data Base, 28)에 저장되어있는 투자자의 과거 투자 거래 내역중,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 거래내역 분석을 통해 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투자 문제점등을 분석한다. 이 때,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보다 효과적인 투자 분석을 위해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 시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시장의 추세 및 현황을 분석한다. 이처럼,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시장의 추세 및 현황을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투자 문제점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문제점 분석 결과와 이에 따른 투자 처방전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들(20,22)로 제공한다.
정보 데이터 베이스(28)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고객의 투자 거래 내역 및 투자 시장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정보 데이터 베이스(28)에 투자자의 투자 거래 내역을 분석한 결과를 정보 데이터 베이스(28)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데이터 베이스(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의 투자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고객 계좌 데이터 베이스(30), 투자 시장 데이터를 저장하는 투자 시장 데이터 베이스(32) 및 고객의 거래내역을 분석한 결과를 저장하는 계좌 분석 데이터 베이스(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투자자(10)는 투자 상담자와의 상담을 통해 또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10)에서 제공되는 투자 분석 결과와 투자 처방전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투자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보 데이터 베이스(28)의 데이터 흐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정보 데이터 베이스(28)에 저장된 계좌 데이터는 증권 계좌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고객 계좌 데이터 베이스(30)는 투자자의 계좌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베이스들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계좌 거래 데이터 베이스(100), 계좌 정보 데이터 베이스(105), 미수 원장 데이터 베이스(110), 계좌 원장 데이터 베이스(115), 신용 원장 데이터 베이스(120) 및 유가 증권 원장 데이터 베이스(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좌 분석 데이터 베이스(34)는 고객 계좌 데이터 베이스(30)에 저장된 각종계좌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투자자의 주식 매매 기초 정보 및 계좌의 일별 정보를 얻고, 이를 매매 기초 정보 DB(130) 및 계좌 일별 정보 DB(135)에 각각 저장한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매매 기초 정보와 계좌 일별 정보를 분석하여 계좌 전체의 수익률에 대한 기초 정보와 신용 수익률에 대한 기초 정보 및 계좌 현재 정보를 얻고, 이를 전체 수익률 기초 정보 DB(140), 신용 수익률 기초 정보 DB(145) 및 계놔 현재 정보 DB(150)에 각각 저장한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전체 수익률 기초 정보, 신용 수익률 기초 정보 및 계좌 현재 정보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투자 처방에 대한 정보를 처방 정보 DB(155)에 저장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투자 클리닉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사용자 컴퓨터들(20,22)로부터 투자 클리닉 요청이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제40단계).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컴퓨터들(20,22)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투자자이거나 또는 투자 상담자일 수 있다.
제40단계에서, 사용자 컴퓨터들(20,22)로부터 투자 클리닉이 요청되었다면,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정보 데이터 베이스(28)에 저장된 투자 클리닉을 요청한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와, 투자 시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문제점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와 그에 따른 투자 처방전을 사용자 컴퓨터들(20,22)로 제공한다(제42단계). 제42단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제42단계 후에,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자에게 투자 처방전을 제공한 후, 소정 기간이 지난 후에 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문제점을 재진단 및 평가하여 투자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제44단계). 즉, 투자자는 제44단계에서 제공되는 재진단 및 평가를 통해, 제42단계에서 지적된 자신의 투자 문제점이 보완되고 있는가 또는 제42단계에서 제공된 투자 처방전이 자신의 투자에 적용되고 있는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42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투자자가 투자 클리닉 서버(26)를 직접 접속하여 투자 클리닉 신청을 하는 것을 예로서 기술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투자자로부터 투자 클리닉이 신청되면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 분석을 위해 계좌번호, 비밀번호 및 투자 클리닉 기간등을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사용자 컴퓨터(20)로 디스플레이한다. 투자자는 사용자 컴퓨터(20)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에 계좌 번호, 비밀 번호 및 투자 클리닉 기간을 입력하여 투자 클리닉 서버(26)로 전송한다. 또한, 투자자는 자신의 계좌 번호, 비밀번호 및 투자 클리닉 기간을 입력함으로써 투자 클리닉 서버(26)에 로그온할 수 있다(제50단계).
제50단계 후에, 투자자의 계좌 번호, 비밀 번호 및 투자 클리닉 기간이 입력되면,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사용자 컴퓨터(20)로 투자자의 기본적인 투자 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설문조사내용을 전송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다(제52단계). 예컨대,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자자의 기본적인 투자 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질의 내용을 사용자 컴퓨터(20)로 디스플레이한다. 투자자는 자신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된 설문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를 투자 클리닉 서버(26)로 전송하고,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자 응답 결과를 분석하여 투자자의 기본적인 투자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자의 응답 결과에 따라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위험 회피형, 안정 선호형, 안정 수익형, 수익 추구형, 적극 투자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52단계 후에,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정보 데이터 베이스(28)의 고객 계좌 데이터 베이스(30)와 투자 시장 데이터 베이스(3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계좌를 분석을 한다(제54단계). 제54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제54단계 후에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제54단계에서 이루어진 투자자의 계좌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문제점과 그에 따른 투자 처방전을 투자자에게 제공한다(제56단계). 제56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제,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제54단계를 기술한다.
제52단계 후에,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 시장 데이터 베이스(32)에 저장된 데이터중, 고객이 신청한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 시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 시장을 분석한다(제62단계). 도 7에는 투자 클리닉 서버(26)가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시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을참조하여,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시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가 지수 추이 및 각 업종별 수익률을 나타낸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기관, 외국인 또는 개인 등, 투자 주체별 매매 동향과, 환율, 유가, 다우 지수 또는 나스닥 지수 등, 증시 주변 지표를 분석한다.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 시장의 추세 및 움직임을 나타내는 화면을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 시장의 흐름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제62단계 후에,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고객 계좌 데이터 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중,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계좌 데이터와 제62단계에서 분석된 투자 시장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고객 계좌를 분석한다(제64단계). 이처럼,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 시장 분석과 고객 계좌 분석을 하고, 분석 결과를 투자자의 컴퓨터로 제공함으로써, 투자자가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자신의 투자 현황과 투자시장 현황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도 12에는 투자 클리닉 서버(26)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계좌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투자 클리닉 서버(26)가 고객의 투자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여, 시장/고객 수익률 차트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시장 수익률대비 투자자의 수익률을 비교한 차트이고, 고객 업종별 수익률은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자가 얻은 업종별 수익률을 나타낸다. 또한, 시장/고객 거래비중 비교 차트는 투자시장과 투자자의 업종별 거래비중을 비교한 차트이며, 시장/고객 업종별 수익률 비교 차트는 투자시장과 투자자가 업종별로 창출한 수익률을 비교한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시장/고객 업종별 수익률 비교 차트를 참조하면, 투자시장은 코스닥(KOSDAQ)에서 높은 수익률을 창출한 반면, 투자자는 업종별로 고른 수익률을 창출하였음을 보인다.
여기서, 고객 업종별 거래비중은 업종별 거래 대금 합계/전체 거래대금이며, 투자시장 업종별 거래비중은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거래량 합계/종합지수 거래량 합계이다. 또한, 고객 업종별 수익률은 업종별 손익 합계/업종별 매수대금 합계이며,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시장에서의 업종별 수익률은 (1+투자 클리닉 시작일 수익률)×(1+투자 클리닉 시작 다음일)...×(1+투자 클리닉 종료일 수익률)-1이다. 이 때, 투자 클리닉 시작일 수익률은 (투자 클리닉 시작일 업종지수-투자 클리닉 시작전일 업종지수)/투자 클리닉 시작전일 업종지수이다.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자시장 및 투자자의 수익률 분석 결과화면을 사용자 컴퓨터(20)로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 시장의 흐름에 따른 자신의 투자 형태를 쉽게 분석할 수 있으며, 자신의 주식 매매 타이밍이 적절한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자산군별 분석을 통해 고객의 투자 스타일을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주식 시장은 크게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및 코스닥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은 소정의 자산군 기준에 의해 대형 성장주, 대형 가치주, 소형 성장주 및 소형 가치주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자산군은 종목별 시가 총액, PER 및 g를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g는 자기자본이익률(ROE)×(1-배당성향)이다. 예컨대, 시가총액 20%이내인 종목군을 대형주로 분류하고, 시가총액 20%미만인 종목군을 소형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 섹터별 PER의 표준값과 g의 표준값의 합이 상위 50%이내인 종목군을 성장주로 분류하고, 50%미만인 종목군을 가치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값은 각각의 값에 전체 평균을 빼서 전체 표준편자로 나눈값이다. 도 9에는 투자 클리닉 서버(26)가 고객 계좌를 자산군별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즉,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고객 계좌의 자산군별 거래비중 및 자산군별 수익률 챠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자산군별 거래비중 및 자산군별 수익률을 통해 고객의 위험 회피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투자자가 대형주 또는 성장주 위주로 투자할 경우 위험 회피 성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고객의 주요 매매 종목과 투자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매매종목을 비교 분석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한다. 도 10은 고객의 주식 매매 및 투자시장의 주요 매매 현황을 나타내는 차트들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1차트(10a)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고객의 주식 매매 종목들을 수익률이 높은 순으로 리스트한 결과이고, 제2차트(10b)는 수익률이 낮은 순으로 리스트한 결과이다. 또한, 제3차트(10c)는 투자 클리닉 기간중 투자시장에서의 수익률 상위 업종과 거래량 상위 업종에서 고객의 수익률과 거래비중을 비교한 차트이다. 또한, 제4차트(10d)는 투자 클리닉 기간중 투자 시장에서의 수익률 하위업종과 거래량 하위 업종에서 고객의 수익률과 거래비중을 비교한 차트이다. 이러한 매매 종목별 비교를 통해 고객의 주식 종목선정이 적절한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계좌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목 및 매매회수를 기준으로 하는 투자 승패율, 자금 회전율, 미수 및 신용 비율, 현금 및 주식 보유기간 및 손익 금액 등을 구하며, 그 결과를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고객의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손익 분석을 할 수 있다. 도 11은 투자 클리닉 서버(26)에 의해 고객 계좌의 손익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종목수를 기준으로 하는 승리율은 승리 매매 종목수/총 매매 종목수이고, 패배율은 패배 매매 종목수/총 매매 종목수이며, 승리 매매는 이익을 낸 매매이며, 패배 매매는 손실을 낸 매매이다. 또한, 매매회수를 기준으로 한 승리율은 승리 매매 회수/총 매매 회수이며, 패배율은 패배 매매 회수/총 매매 회수이다. 그리고, 회전율은 총거래대금/투자 자산이며, 당일 매매비중은 당일에 이루어진 당일 매매 회수/총매매회수이며, 당일 매매수익률은 당일 매매손익/당일매매 매수금액이다. 또한, 미수/신용사용 비율은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거래대금기준 및 거래회수기준으로 미수사용 비율과 신용사용 비율을 나타내고, 현금 및 주식 보유 기간은 고객의 계좌에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평균 일수와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평균 일수를 차트로 나타낸다. 이 때, 주식 보유 기간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주식 보유 평균일과 이익종목에 대한 보유기간 및 손실 종목에 대한 보유기간에 대해 각각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고객의 계좌를 투자 기간별로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당일매매~2일 매매는 초단기매매, 3일 매매~5일 매매를 단기 매매, 6일 매매~20일 매매를 중기 매매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21일 매매~60일 매매를 중장기 매매, 61일 매매이상을 장기 매매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2는 투자 기간별 투자 비중, 손익 금액 및 수익률을 분석한 차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투자 기간별 분석을 통해 고객이 장기 투자를 선호하는가 또는 단기 투자를 선호하는가를 분석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64단계 후에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고객이 투자한 종목에 대한 분석을 한다(제66단계). 제66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종목 분석에는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이 있다. 기본적 분석은 투자시장 데이터 베이스(32)중에서 해당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무 비율에 대한 분석이다. 또한, 기술적 분석은 투자자의 주요 투자 종목에 대한 일봉 또는 주봉 그래프에 투자자의 매도 및 매수 시점을 보임으로써 매매 시점이 적절한가 등에 대한 분석이다.
도 13은 투자자의 주요 투자 종목에 해당하는 기업의 각종 재무 지표를 나타내는 기본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자의 투자 종목중 거래대금 상위 종목, 수익률 상위 종목, 수익률 하위 종목 및 매매회수 상위 종목에 해당하는 주요 투자 기업의 각종 재무 지표를 차트로 나타낸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해당 기업의 재무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주당 순이익,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EV(Enterprise Value)/EBIDT(Earning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mortization)등의 비율을 나타내는 재무 다이아몬드 그래프를 제공한다. 이러한, 재무 다이아몬드 그래프를 통해 고객의 주요 투자 종목에 해당하는 기업의 현황를 일목 요연하게 보인다. 여기서, 주당 순이익은 당기순이익/발행 주식수이며, 성장성은 매출액 증가율로서 (당기매출액-전기 매출액)/전기 매출액이다. 또한, 수익성은 자기자본 이익률로서 당기 순이익/자기자본을 나타내고, 안정성은 부채 비율로서 타인자본/자기자본을 나타매며, EV/EBITDA는 해당업체의 내재가치(수익가치)와 기업가치를 비교하는 투자 지표이다. 여기서, EV는 시가총액+순차입금이며, 순차입금은 총차입금-현금 및 투자유가증권이다. 또한, EBITDA는 이자비용, 법인세, 유무형 자산 감가상각 차감 전 이익을 나타낸다.
도 14는 투자자의 주요 투자 종목의 기술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고객의 투자 종목중 거래대금 상위 종목, 수익률 상위 종목, 수익률 하위 종목 및 매매회수 상위 종목에 해당하는 주요 투자 종목의 일봉 또는 주봉을 보인다. 또한, 도 1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주요 투자 종목의 일봉 또는 주봉에 투자자의 매도 및 매수시점을 화살표로 표시하여 적절한 시기에 매도 및 매수가 이루어졌는가를 보인다.
이제,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제56단계를 상세히 기술한다.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시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제70단계). 도 15에는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해 투자자의 컴퓨터로 제공되는 페이지를 나타낸다. 투자자는 자신의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투자 시뮬레이션 페이지에 손실율 및 이익률을 입력한다.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자에 의해 입력된 손실율 및 이익률로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주식 매매를 하였을 경우, 손익비율을 계산하여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한다. 투자 클리닉서버(26)는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자가 실제로 매매한 모든 주식 종목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주요 투자 종목에 한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시뮬레이션 대상 주식에 대해 고객이 입력한 손실률(가격하한폭)과 이익률(가격 상승폭)이 되면 해당 주식을 무조건 매도하여 시뮬레이션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한 손익 비율(적용후)과 고객의 실제 거래 결과에 의한 손익 비율(적용전)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투자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투자자는 손실율 및 이익률을 가변시키면서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처럼, 손실율 및 이익률을 가변시키면서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시뮬레이션 손익비율이 실제 투자 결과에 의한 손익 비율보다 높아지는 손실률 및 이익률 또는 손익비율이 최대가 되는 손실율 및 이익률을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실제 투자 결과에 의한 손익 비율보다 높아지는 또는 손익 비율이 최대가 되는 손실율 및 이익률을 향후 주식 투자시 적용함으로써, 고객은 보다 높은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페이지에서는 손실률 및 이익률을 고객이 직접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투자 클리닉 서버(26)가 자체적으로 손실률 및 이익률을 가변시키면서 최적의 손실률 및 이익률을 찾을 수 있다.
계속해서, 제70단계 후에,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제50단계에서 이루어진 고객의 투자 설문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고객의 기본 적인 투자 성향과, 고객의 실제 주식 매매 결과에 따른 투자 성향을 비교한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이전 단계들에서 분석된 분석 결과들을 이용하여 투자 처방전을 투자자의 컴퓨터로제공한다(제72단계). 도 16에는 고객이 원하는 투자 성향과 실제 투자 성향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고객의 투자 설문 조사 결과 고객이 지향하는 투자 성향은 안정수익형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고객의 실제 투자 매매 결과를 분석한 결과 고객의 투자 성향은 수익 추구형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고객이 지향하는 투자 성향과 실제 투자 성향이 다른 경우 고객이 원하는 방향대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이므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고객이 지향하는 방향으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투자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제54단계에서 이루어진 투자시장 및 고객 계좌에 대한 각종 분석 결과들을 이용하여 투자자의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따라 투자자가 투자 시장 상황에 적절히 대비하여 올바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투자 방향을 제시하는 투자 처방전을 제공한다.
한편, 투자 클리닉 서버(26)는 투자자의 투자 성향 분석 결과들에 따른 소정의 투자 처방전들을 미리 정보 데이터 베이스(28)에 저장하고 있다가, 투자 성향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소정의 투자 처방전을 투자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국, 투자자는 자신의 컴퓨터로 제공되는 투자 클리닉 서버(26)의 투자 처방전을 주식투자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투자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자 클리닉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대고객 서비스의 일종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고객의 과거 투자 실적을 이용하여 고객의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른 투자 처방을 제시함으로써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올바른 투자 방향을 제시받을 수 있으며, 증권사는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보다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

Claims (16)

  1. 각 투자자들의 계좌 데이터 및 투자 시장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투자자로부터 투자 클리닉이 요청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투자자가 요청한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시장 데이터 및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투자 클리닉을 신청한 고객의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고객의 투자 성향에 따른 투자 처방전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투자 클리닉 서버를 포함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투자시장 데이터, 상기 고객 계좌 데이터 및 상기 고객의 투자 성향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투자자의 매매 성향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소정의 투자 처방전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클리닉 서버는
    상기 투자자로부터 투자 클리닉이 요청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저장된 투자시장 데이터중 상기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시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 시장의 추세 및 현황을 분석하는 투자시장 분석부;
    상기 투자자로부터 투자 클리닉이 요청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저장된 고객계좌 데이터중 상기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와 상기 투자시장 분석부에서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상기 투자자의 투자 성향 및 투자시장에서의 투자흐름과 상기 고객의 투자흐름을 비교 분석하는 고객 계좌 분석부; 및
    상기 투자시장 분석부 및 상기 고객 계좌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투자자의 투자 문제점을 처방하고, 상기 고객의 투자 성향에 따른 소정의 투자 처방전을 제시하는 처방전 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주요 투자 종목에 해당하는 기업의 재무 지표를 분석하는 투자 종목 분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6. 투자 클리닉을 요청하는 투자자에게 구비되는 사용자 컴퓨터, 상기 사용자 컴퓨터와 컴퓨터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요청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투자 클리닉 서버 및 상기 투자자들의 증권 계좌 데이터 및 투자 시장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투자 클리닉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상기 투자 클리닉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소정의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자의 투자 성향 분석 및 진단을 요청하는 투자 클리닉 요청이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b)상기 투자 클리닉 서버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소정 기간동안 투자 클리닉이 요청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 및 투자 클리닉 기간에 대한 투자 시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상기 투자 클리닉 서버는 상기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자의 수익률, 투자 종목, 매매 종목, 손익 결과 및 투자 기간을 포함하는 분석 데이터를 계좌 데이터 분석 결과로서 생성하는 단계;,
    (d)상기 투자 클리닉 서버는 상기 계좌 데이터 분석 결과 및 상기 투자 시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자 시장의 흐름에 따른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e)상기 투자 클리닉 서버는 상기 (d)단계에서 생성된 투자자의 투자 성향 데이터에 따라 투자자에 대한 투자 처방전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f)상기 투자 클리닉 서버는 상기 투자 처방전을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고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소정 기간동안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투자자의 계좌 데이터 및 투자시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g)상기 투자 클리닉 서버는 상기 소정 기간동안 투자자의 투자 성향 데이터를 다시 생성하는 단계; 및
    (h)상기 투자 클리닉 서버는 상기 (g)단계에서 생성된 투자자의 투자 성향 데이터에 따른 투자 처방전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여 투자자를 지속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후에, 상기 투자자의 잠재적인 투자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소정의 투자 설문 조사 내역을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여 상기 설문 조사 내역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설문조사 내역에 대한 응답 결과를 상기 투자자의 투자 성향 데이터 생성시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자의 투자 성향 데이터는 상기 투자시장에서의 투자 흐름과 상기 투자자의 투자 흐름을 비교한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시장 데이터는 투자자의 주요 투자 종목에 해당하는 기업의 재무 지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처방전을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기 전에, 상기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 상기 투자자가 투자한 종목들에 대해 소정의 손실률 및 소정의 이익률을 적용하여 투자 클리닉 기간동안의 시장 현황에서 매매하는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손실률 및 상기 소정의 이익률은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값에 의해 가변되며, 가변된 소정의 손실률 및 가변된 소정의 이익률에 따라 반복적으로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손실률 및 상기 소정의 이익률은 상기 투자 클리닉 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가변되며, 가변된 소정의 손실률 및 가변된 소정의 이익률에 따라 반복적으로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
  15. 제6항의 투자 클리닉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 매체.
  16. 삭제
KR10-2000-0020066A 2000-04-17 2000-04-17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1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066A KR100371407B1 (ko) 2000-04-17 2000-04-17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066A KR100371407B1 (ko) 2000-04-17 2000-04-17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128A KR20010096128A (ko) 2001-11-07
KR100371407B1 true KR100371407B1 (ko) 2003-02-05

Family

ID=1966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066A KR100371407B1 (ko) 2000-04-17 2000-04-17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756A (ko) * 2000-06-22 2000-09-05 김종완 투자 성향 분석 프로그램
KR20010110228A (ko) * 2001-10-16 2001-12-12 강철준 금융시장 거래자 내지 거래시스템의 기술 및 특성 진단시스템
KR100868049B1 (ko) * 2006-07-26 2008-11-10 굿모닝신한증권 주식회사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계좌 클리닉 서비스 제공방법
KR100798694B1 (ko) * 2006-08-25 2008-01-30 주식회사 디알에프앤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스타일분석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897513B1 (ko) * 2007-04-16 2009-05-15 주식회사 씽크풀 투자 어드바이스 제공 방법 및 투자 어드바이스 제공서버
KR101909706B1 (ko) * 2017-07-06 2018-10-18 주식회사 닥터퀀트 금융상품 및 투자자의 분석 데이터 기반의 로보어드바이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투자 포트폴리오 제공 방법
KR102525085B1 (ko) * 2020-05-14 2023-04-24 주식회사 미라파트너스 투자종합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878A (ja) * 1997-06-25 1999-01-22 D Burein:Kk 投資マー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878A (ja) * 1997-06-25 1999-01-22 D Burein:Kk 投資マー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128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065B2 (en) Risk transfer supply chain system
US8504465B2 (en) Fuel offering and purchase management system
KR101179346B1 (ko) 비자본화 가중된 인덱싱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제품
US20060184449A1 (en) A risk management system for securities
US20060155632A1 (en) Automated, user specific tax analysis of investment transactions using a personal tax profile
US20090271332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maintaining a financial benchmark
US20070239581A1 (en) A data processing framework for financial services
JP2001525577A (ja) 財務助言システム
KR20010039776A (ko) 자산운용 조언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수록한 기록매체
KR100371407B1 (ko) 투자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6073551A2 (en) Method of processing investment data and making compensation determinations and associated system
Lo et al. Do DEXs work? Using Uniswap V2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decentralized exchanges
US202302675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ng financial products
JP2003085359A (ja) 株式取引コストを推定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10093903A (ko) 웹싸이트에서 구현된 맞춤형 재테크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제공방법
KR20010084751A (ko) 사이버 주식 투자방법
Mwaura Mitigation of risks by institutional equity investors at the Nairobi stock exchange
McLeod The Broker Desktop: The Future of Trading Has Arrived
Lai Efficiency of Taiwanese laptop manufacturers
Boulu-Reshef et al. Good old lockdown: Household investment behavior during the covid-19 crisis
Chiao et al. How is the High-Tech Bubble Affecting Company Performance?
Salimov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AZERBAIJAN AZERBAIJAN STATE ECONOMIC UNIVERSITY “SABAH” CENTRE
ZA200708442B (en) Non-capitalization weighted index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