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207B1 -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 - Google Patents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207B1
KR100371207B1 KR10-1999-0067611A KR19990067611A KR100371207B1 KR 100371207 B1 KR100371207 B1 KR 100371207B1 KR 19990067611 A KR19990067611 A KR 19990067611A KR 100371207 B1 KR100371207 B1 KR 10037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manifold
discharge hole
present
air discharge
plastic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029A (ko
Inventor
이필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207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접합 부위의 잔류 공기를 없애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분할 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하 2개로 분할된 부분품으로 형성되고, 각 부분품의 플랜지에 형성된 요홈과 돌기를 계합시키고 진동 용접에 의해 접합시킨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 포트 내측으로부터 바깥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에어배출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Intake manifold made plastic}
본 발명은 분할 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차체의 중량을 줄이고자 부품들의 플라스틱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종래 알루미늄으로 만들던 흡기매니폴드도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고 있다.
그런데 흡기매니폴드는 일직선 형태가 아니라 구부러진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통상의 방법으로는 사출이 불가능하며, 이때문에 흡기매니폴드의 중공부의 형상에 해당되는 코어를 미리 제작하여 금형에 셋팅하여 놓은 상태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을 주입하여 사출한 후 코어부를 녹여내어 완성품을 얻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코어 사용 방식은 값비싼 코어의 특수한 재료 사용 및 재사용을 위한 코어 회수시 손실되는 양이 많아 제작 비용이 증가하므로 최근에는 흡기매니폴드를 단일체로 사출하기 보다는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흡기매니폴드(20)를 상하부분품(21)(22)으로 나누어 각기 사출 성형한 후 하나로 합하여 붙인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하부분품(21)(22)을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양측 부분품(21)(22)의 플랜지 (23)(24)에 요홈(25)과 돌기(26)를 형성하고, 요홈(25)과 돌기(26)가 계합하도록 상하부분품(21)(22)를 합친 후 진동 용접(Vibration welding)을 가하면 접촉면의 모재가 녹게 되면서 하나로 붙게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접합 방식은 요홈(25)과 돌기(26) 사이에 어느 정도 틈새(27)가 존재하고 모재가 녹아 그 틈새를 채울 때 그 공간내의 공기가 압축된 기포 형태로 존재하게 되어 용접성을 크게 저하시켜 외부 충격이 가해지게 될 때 잔류 응력 존재에 의한 파손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진동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접합 부위의 잔류 공기를 없애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분할 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 2개로 분할된 부분품으로 형성되고, 각 부분품의 플랜지에 형성된 요홈과 돌기를 계합시키고 진동 용접에 의해 접합시킨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 포트 내측으로부터 바깥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에어배출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 기재에 의하면 상기 에어배출공은 돌기가 연장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 기재에 의하면 상기 에어배출공은 돌기의 단부에 개방된 형태의 요홈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흡기매니폴드의 상하부분품의 일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돌기부를 측면에서 본 형상을 나타내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흡기매니폴드의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흡기매니폴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기매니폴드 2,3 : 상하부분품
4,5 : 플랜지 6 : 돌기
7 : 요홈 8 : 내측
9 : 외측 10 : 에어 배출공
11 : 틈새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흡기매니폴드의 상하부분품의 일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돌기부의 측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 1 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상하부분품이 접합되어 형성된 흡기매니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흡기매니폴드(1)는 상부부분품(2)과 하부부분품(3)이 각기 별도로사출성형되며, 상하부분품(2)(3)의 플랜지(4)(5)에는 각기 요홈(6)과 돌기(7)가 플랜지(4)(5)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7)에는 포트 내측(8)으로 부터 포트 외측(9)을 향하여 에어배출공(10)이 형성되며, 에어배출공(10)은 돌기(6)가 연속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에어배출공(10)은 돌기(6)의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도시한 것과 같이 돌기(6) 단부에 한끝이 개방된 형태의 요홈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돌기(6)와 요홈(7)을 계합한 상태에서 진동 용접을 하게 되면 모재가 녹아 양쪽이 접합될 때 돌기(6)와 요홈(7) 틈사이(11)에 존재하는 공기가 녹아드는 모재에 의해 밀려나 에어배출공(10)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어지게 되며, 에어배출공(10)은 도 3 에서 확대 도시된 바와같이 녹아드는 모재에 의해 막혀지게 된다.즉, 돌기(6)와 요홈(7)을 계합시키기 위해 상하부분품(2)(3)의 플랜지(4)(5)를 서로 맞대게 되면, 상기 플랜지(4,5)의 외측 끝부분에는 공기의 이동이 가능할 정도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게 되고, 진동 용접에 의해 모재가 녹아 돌기(6)와 요홈(7)의 틈사이(11)로 유입될때 상기 틈사이(11)에 존재하는 공기가 모재에 의해 밀려나면서 에어배출공(10)을 통과하여 상기 플랜지(4,5)의 외측 끝단에 형성되어있는 틈새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돌기와 요홈이 각기 형성된 상하부분품의 플랜지를 계합시켜 진동 용접하여 접합시킬 때 돌기의 내외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에어배출공을 통하여 돌기와 요홈의 틈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용접 접촉부위를 약하게 만들지 않게 되어 충격에 강한 흡기매니폴드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하 2개로 분할된 부분품으로 형성되고, 각 부분품의 플랜지에 형성된 요홈과 돌기를 계합시키고 진동 용접에 의해 접합시킨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 포트 내측으로부터 바깥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에어배출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공은 돌기가 연장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공은 돌기의 단부에 개방된 형태의 요홈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
KR10-1999-0067611A 1999-12-31 1999-12-31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 KR10037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611A KR100371207B1 (ko) 1999-12-31 1999-12-31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611A KR100371207B1 (ko) 1999-12-31 1999-12-31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029A KR20010066029A (ko) 2001-07-11
KR100371207B1 true KR100371207B1 (ko) 2003-02-05

Family

ID=1963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611A KR100371207B1 (ko) 1999-12-31 1999-12-31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79B1 (ko) * 2016-11-17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프셀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매니폴드, 하프셀 조인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4182B2 (en) 2013-12-27 2018-01-23 Chris P. Theodore Partial forced induc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79B1 (ko) * 2016-11-17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프셀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매니폴드, 하프셀 조인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029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809B2 (en) Hollow body of synthetic resin, method and mold for injection molding of the hollow body
CN100549278C (zh) 用于家用洗衣机的塑料容器
US7707648B2 (en) Helmet with visor
JP2007313730A (ja) 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中空成形品
KR100371207B1 (ko) 분할성형 접합형 플라스틱재 흡기매니폴드
US7971565B2 (en) Intake manifold and associated production method
CN106239903A (zh) 树脂制品
JP2948134B2 (ja) 自動車の走行装置構成部分をヒンジ結合するための揺動支持エレメント
JP2002079542A (ja) 中空製品の射出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CA2477532C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and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JP5147526B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H11179758A (ja) 合成樹脂中空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25080A (ja) 樹脂製品の成形方法
JP4066071B2 (ja) 合成樹脂製中空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金型
JP2008119878A (ja) 合成樹脂製中空体の製造方法
JP2000280353A (ja) 合成樹脂製中空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70614A (ja) 合成樹脂中空体の接合構造
JP4456085B2 (ja) 蛇腹ダクトの成形方法
CN206698428U (zh) 一种用于连接的固定装置及扬声器模组
KR102453125B1 (ko) 차량용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28346Y1 (ko) 일체형 팔레트 및 그 제조용 사출금형
JP2004195791A (ja) チェーンガイド成形体、チェーンガイド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2361681A (ja) 合成樹脂中空成形品の成形方法、成形品及びその金型
JPH09201840A (ja) 射出成形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30101A (ja) 中空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