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025B1 - 분무기 - Google Patents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025B1
KR100371025B1 KR10-2002-0035248A KR20020035248A KR100371025B1 KR 100371025 B1 KR100371025 B1 KR 100371025B1 KR 20020035248 A KR20020035248 A KR 20020035248A KR 100371025 B1 KR100371025 B1 KR 100371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valve
housing
button
valv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323A (ko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우코
Priority to KR10-2002-0035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0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Sealing arrangements around pump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의 힘을 사용하여 액상 내용물을 분무하는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통상의 분무기와 같이 1차밸브(31)의 하단(34)과 2차밸브(32)의 상단모서리(36) 및 2차밸브의 하단외주면(37)과 하우징(40)의 상호 접촉에 의해 기밀상태를 형성하되, 상기 2차밸브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하고 2차밸브의 하단외주면(37)과 접촉하는 부위에 날름막(41)을 형성한 하우징(40)을 구비함으로써, 버튼(20)의 하강운동에 의해 비로소 접촉이 발생되던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분무작용의 전과정을 통해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무기는 버튼(20)의 하강운동에 의해 비로소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발생하는 변형과 파손 및 그로인한 분무성능의 저하를 획기적으로 줄인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분무기{a spra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손가락의 힘을 사용하여 각종 액상의 내용물을분무하는 수동식 분무기에 대한 것이며, 이 분야의 종래의 기술에 의한 분무기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수나 헤어로션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의 상단에 펌프 및 노즐등을 구비한 분무장치를 장착하여 상단의 버튼(20)을 누르면 그 힘으로 액상내용물을 압축하여 일정 압력이상이 될 때 노즐을 통하여 분무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스프레이 장치가 가지는 문제는 압축을 위한 기밀상태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평소에는 2차밸브(32)와 하우징(40)이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가 사용자가 분무를 위하여 버튼(20)을 누르면 버튼의 하강과 함께 내려가던 2차밸브(32)의 하단이 하우징의 상단과 접촉을 시작하면서 밸브하단이 바깥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중에 2차밸브가 휘어지는등 변형이나 파손이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러한 밸브의 변형은 분무성능의 저하의 주요원인이 되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2차밸브(32)와 하우징(40)의 구조 및 형상을 개선하여 오래동안 사용하여도 변형이나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분무기의 전체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무기에서 분사과정의 설명을 위한 전체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2차밸브의 단면도 및 저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의 단면도
도5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분무기의 전체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노즐 20: 버튼
30: 피스톤 31: 1차밸브
32: 2차밸브 33: 스프링
40: 하우징 50: 볼(BALL)
60: 튜브케이스 62: 튜브
70: 채플릿(CHAPLET) 80: 스크류캡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차밸브의 하단외주면(37)의 내면과 하우징(40) 외주면의 상호 접촉에 의해 기밀상태를 형성하는 통상의 분무기에 있어서, 버튼(20)의 스트로크를 감안하여 액상의 내용물을 분무하는 전과정을 통해 2차밸브하단과 하우징(40)이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정한 길이를 갖는 2차밸브(32);와 상기 2차밸브와 접촉하는 부위에 날름막(41)이 형성된 하우징(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분무기의 전체종단면도이고, 도2는 분사과정의 설명을 위한 전체종단면도이며, 도3은 2차밸브의 단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4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5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분무기의 전체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내 액상내용물의 압축 및 분사 관련한 본 발명품의 작동원리는, 스프레이를 하기 위하여 분무기의 맨 위에 위치한 버튼(20)을 누르면 버튼과 결합된 피스톤(30)이 함께 내려가면서 피스톤 안에 장착된 1차밸브와 2차밸브를 누르면서 총 4가지의 부품 즉, 노즐(10)이 구비된 버튼(20), 피스톤(30), 1차밸브(31) 및 2차밸브(32)가 일체가 되어 함께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데,
이 과정중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밸브의 안쪽면(34)과 2차밸브의 상단코너(36)가 밀착되면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액상내용물을 압축하는데 이용되는 공간(100)과 하우징 중앙부에 차있던 액상내용물을 튜브(62) 및 흡입구(63)을 통해 다시 용기쪽으로 토출하는 역활을 하는 공간(200)으로 분리한다.
하우징(40)안에서 압축을 위한 밀봉을 형성하는 또 다른 장소는 환형띠형상을 한 하우징의 날름막(41)과 2차밸브 하단의 바깥 원주부위(37)가 상호 접촉하는 곳으로, 버튼의 하강운동이 시작되면 2차밸브 하단부의 테이퍼진 원주부위(37)가 하우징의 날름막을 원주방향으로 팽창시키면서 하우징 안으로 삽입되는데, 날름막이 원주방향으로 팽창되면서 발생된 장력에 의해 2차밸브의 바깥 원주부위(37)를적절하게 조임으로써 압축을 위하여 필요한 기밀상태를 형성하여 압축된 액상내용물이 하우징의 중앙부 공간(200)쪽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2차밸브와 하우징 사이의 기밀형성에 있어 본 발명이 종래의 방식과 다른 것은 상기 버튼(20)의 스토로크를 감안하여 2차밸브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함으로써 2차밸브의 바깥원주부위(37)와 하우징의 날름막(41)이 버튼(20)의 하강운동과 관계없이 항상 접촉하고 있도록 한 점이다.
이는 종래의 분무기에서는 버튼(20)의 하강이 시작되기 전에는 떨어져 있던 2차밸브와 하우징이 버튼의 하강운동에 의해 충격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2차밸브 하단부 및 하우에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고, 변형과 파손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접촉시 2차밸브와 하우징의 중심이 어긋나서 2차밸브가 삐딱하게 기울어지는 자세 흩트러짐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점들은 분무기의 수명과 분무성능을 떨어뜨리는 치명적인 단점의 주요 원인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분무기의 경우에는 버튼의 하강운동과는 무관하게 분무하는 전과정을 통해 양부품(37)(41)이 항상 접촉을 유지하고 있어, 종래의 분무기가 갖는 구조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이로 인한 고장발생, 수명단축 및 분무성능의 저하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압축과정 초기의 (손가락에 의한)외력과 분무기 내부에서의 유압 사이의 힘의 균형을 보면, 손으로 버튼을 누르는 힘은 1차밸브와 2차밸브를 거쳐 스프링(33)을 누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 때는 버튼을 누르는 힘과 스프링의 반발력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실린더의 하강이 계속되면서 압축을 위한 공간(100)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상대적으로 동 공간내의 압력(유압)은 점점 증가하게 되는데, 파스칼의 원리에 의거 압력은 공간(100)내의 어느 곳이나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며 그 힘의 크기는 균일하다. 이러한 압력분포에 의한 힘의 균형은 1차밸브(31)나 2차밸브(32)의 원주면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힘은 서로 상쇄되고, 수직방향의 힘만 남아 피스톤(30)과 1차밸브(31)의 플랜지(35)부위에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유압은 1차밸브(31)의 플랜지(35)와 2차밸브(32)를 통하여 스프링(33)에 부가적으로 작용하게 되며, 그 힘의 크기는 압축정도에 따라 점점 증가되는 관계로 힘의 크기가 어느정도 이상이 되면 버튼이 스프링을 누르는 것과는 별개로 압축된 공간(100)내에 형성된 유압의 힘만으로 1차밸브와 2차밸브를 수직하방으로 밀어내면서 스프링을 순간적으로 더 압축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버튼의 하강작용에 의해 유지되었던 피스톤(30)과 1차밸브(31)의 밀봉상태(39)는 해제되고 압축공간(100)내에 압축되어 있던 액상내용물이 피스톤과 1차밸브의 틈을 따라 올라가 노즐(10)을 통해 외부로 분무되는 것이다.
분사작용이 완료되면 압축공간(100)에 형성되었던 압력은 해제되며 버튼을 눌렀던 손가락을 버튼으로부터 떼게 되면 버튼과 피스톤ㆍ1차밸브 및 2차밸브는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원래의 위치까지 밀려 올라 가게 되고, 일정위치까지 도달하기 전에는 스프링의 반발력과 하우징과 피스톤 또는 하우징과 1,2차밸브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1차밸브와 2차밸브 및 2차밸브와 하우징 사이의 밀착상태가 유지되므로 공간(200)의 체적이 늘어나면서 생성되는 음압으로 용기내 액상내용물이 튜브를 통해 빨려 들어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프레이 장치는 2차밸브와 하우징의 형상을 개량하여 양 부품이 항상 접촉을 유지하는 방식을 택하므로서 기존의 스프레이 장치에 있어 분무작동중 발생하는 부품의 변형과 파손 및 그로 인한 수명단축과 분무성능의 저하를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고장발생빈도를 줄여 제품 전체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2차밸브의 하단외주면(37)의 내면과 하우징(40) 외주면의 상호 접촉에 의해 기밀상태를 형성하는 통상의 분무기에 있어서, 버튼(20)의 스트로크를 감안하여 액상의 내용물을 분무하는 전과정을 통해 2차밸브하단과 하우징(40)이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정한 길이를 갖는 2차밸브(32);와 상기 2차밸브와 접촉하는 부위에 날름막(41)이 형성된 하우징(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KR10-2002-0035248A 2002-06-24 2002-06-24 분무기 KR10037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248A KR100371025B1 (ko) 2002-06-24 2002-06-24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248A KR100371025B1 (ko) 2002-06-24 2002-06-24 분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847A Division KR20000049441A (ko) 2000-03-18 2000-03-18 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323A KR20020059323A (ko) 2002-07-12
KR100371025B1 true KR100371025B1 (ko) 2003-02-07

Family

ID=2772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248A KR100371025B1 (ko) 2002-06-24 2002-06-24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0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323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65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
KR930005802Y1 (ko) 향수 분무기용 가동 밸브 구조물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JP2019505321A (ja) 押圧作動式化粧品容器
AU2020297401B2 (en) Pump assembly and container having content discharge function
CN201539388U (zh) 真空泵及采用真空泵的真空化妆品容器
KR19980018458A (ko) 사전 압축 스프레이어
KR20190042264A (ko) 디스펜서 펌프
KR100371025B1 (ko) 분무기
US20190323614A1 (en) Content exhaust pump
US6913169B2 (en) Low profile, fine mist, finger-operated, precompression-type spray pump
EP4324567A1 (en) Pre-compression pump with reduced height and preventing liquid seepag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JPS6133963A (ja) 粘性生成物用デイスペンサ
KR102332102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20000049441A (ko) 분무기
CN220595693U (zh) 一种新型的自闭回吸真空包装
KR20028152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KR200329704Y1 (ko) 분무기
KR20100007681U (ko) 내용물 정량 배출이 가능한 펌프 용기
KR102111273B1 (ko) 화장품 용기용 디스펜서
CN219790849U (zh) 化妆品用真空瓶
CN214487451U (zh) 一种双弹簧喷雾泵
KR102517636B1 (ko)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도 내용물만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 가압식 스프레이 용기
KR100495527B1 (ko) 최소 크기의 예압식 디스펜서
KR200167881Y1 (ko) 액체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