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977B1 - 중량물 이탈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이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9977B1 KR100369977B1 KR10-1999-0014937A KR19990014937A KR100369977B1 KR 100369977 B1 KR100369977 B1 KR 100369977B1 KR 19990014937 A KR19990014937 A KR 19990014937A KR 100369977 B1 KR100369977 B1 KR 1003699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operating
- release
- lever
- control cab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8—Crane hooks adapted for automatic disengagement from loads on release of cable t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 또는 무부하 상태에서 피중량물을 걸고리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중량물 이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걸고리에 매달리는 훅(120),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중앙으로 훅(120)의 하단이 끼워지는 반달홈(131)이 형성된 훅릴리스핀(130), 훅릴리스핀(13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오퍼레이팅레버(140) 및 리셋레버(150)로 이루어지는 훅어셈블리(100)와; 양측 플레이트(2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오퍼레이팅레버(140)와 컨트롤케이블(10)로 연결되는 오퍼레이팅캠(220), 오퍼레이팅캠(220)을 작동시키는 릴리스핸들(250), 플레이트(2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오퍼레이팅캠(220)의 작동을 단속하는 로킹레버(260)로 이루어지는 릴리스핸들유닛(200)과; 하부가 개방된 케이싱(3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수압에 의해 상승하는 다이어프램(320), 다이어프램(3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킹레버(260)와 컨트롤케이블(20)로 연결되는 피스톤플레이트(330)로 이루어지는 하이드로스태틱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하 또는 무부하 상태에서 피중량물을 걸고리(매달림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중량물 이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또는 윈치 등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릴 때 낙하시험 등과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부하상태에서 중량물을 걸고리로부터 이탈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이때 통상적인 방법은 불에 타는 로프 등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필요시 로프 등에 불을 붙여 태우거나 끊어버림으로써 중량물을 낙하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물리적인 방법으로는 피중량물을 걸고리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형 선박의 경우 데비트로 구명정을 들어올리고 내릴 때 걸고리(매달림 장치)에 매달린 상태에서는 구명정을 이탈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명정을 완전히 내린 상태에서도 수작업으로 걸고리를 일일이 해체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물리적인 방법이 아닌 기계적인 방법으로 부하 또는 무부하 상태에서 피중량물을 걸고리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중량물 이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훅,훅릴리스핀,오퍼레이팅레버,리셋레버로 이루어지는 훅어셈블리(hook assembly); 오퍼레이팅캠,릴리스핸들,로킹레버로 이루어지는 릴리스핸들유닛(release handle unit); 케이싱,다이어프램,피스톤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하이드로스태틱유닛(hydrostatic unit)으로 중량물 이탈장치를 구성하여, 피스톤플레이트가 수압에 의해 상승하면서 컨트롤케이블을 통해 로킹레버를 해제시키고, 이 상태에서 릴리스핸들을 당기면 컨트롤케이블을 통해 오퍼레이팅레버가 회전하면서 반달홈에 로킹된 훅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훅이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걸고리로부터 자동적으로 이탈되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본 발명의 중량물 이탈장치를 구명정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의 (가)는 훅어셈블리의 정면도.
(나)는 훅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의 (가),(나)는 훅어셈블리의 작동상태도.
도 4의 (가),(나)는 릴리스핸들유닛의 작동상태도.
도 5는 하이드로스태틱유닛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훅어셈블리 110 : 플레이트
120 : 훅 130 : 훅릴리스핀
131 : 반달홈 140 : 오퍼레이팅레버
150 : 리셋레버 200 : 릴리스핸들유닛
210 : 플레이트 220 : 오퍼레이팅캠
230 : 디텐트핀 240 : 안전핀
250 : 릴리스핸들 260 : 로킹레버
300 : 하이드로스태틱유닛 310 : 케이싱
320 : 다이어프램 330 : 피스톤플레이트
10,20 : 컨트롤케이블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중량물 이탈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걸고리에 매달리는 훅(120),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중앙으로 훅(120)의 하단이 끼워지는 반달홈(131)이 형성된 훅릴리스핀(130), 훅릴리스핀(13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오퍼레이팅레버(140) 및 리셋레버(150)로 이루어지는 훅어셈블리(100)와;
양측 플레이트(2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오퍼레이팅레버(140)와 컨트롤케이블(10)로 연결되는 오퍼레이팅캠(220), 디텐트핀(230)과 안전핀(240)의 단속을 받도록 설치되어 오퍼레이팅캠(220)을 작동시키는 릴리스핸들(250), 플레이트(2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오퍼레이팅캠(220)의 작동을 단속하는 로킹레버(260)로 이루어지는 릴리스핸들유닛(200)과;
하부가 개방된 케이싱(3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수압에 의해 상승하는 다이어프램(320), 다이어프램(3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킹레버(260)와 컨트롤케이블(20)로 연결되는 피스톤플레이트(330)로 이루어지는 하이드로스태틱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훅(120)은 양측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축(12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훅릴리스핀(130)의 중앙에는 반달홈(131)이 형성되므로 도 3의 (가)에서와 같이 반달홈(131)으로 훅(120)의 하단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훅(120)이 로킹되므로 훅(120)은 회전하지 못하고, 한편 도 3의 (나)에서와 같이 훅릴리스핀(130)을 회전시키면 반달홈(131)으로부터 훅(120)의 하단이 이탈되므로 즉 로킹이 해제되므로 훅(120)이 회전하고 이에 의해 걸고리로부터 훅(120)이 이탈된다.
상기 오퍼레이팅레버(140)는 훅릴리스핀(13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그 일측에 연결된 컨트롤케이블(10)을 당기면 오퍼레이팅레버(140)가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훅릴리스핀(130)이 연동하므로 반달홈(131)에 걸린 훅(120)의 로킹이 해제된다.
상기 리셋레버(150)는 이탈된 훅(120)을 다시 로킹상태로 복귀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 즉 이탈시 회전된 훅(120)을 원상태로 돌린 상태에서 이 리셋레버(150)로 훅릴리스핀(130)을 회전시켜 다시 훅(120)의 하단을 반달홈(131)에 로킹시킨다.
훅어셈블리(100)에서 도면중 미설명부호(160)은 펜던트러그를 나타낸 것으로, 정비시에는 이 펜던트러그(160)에 걸고리를 매달은 상태에서 훅(120) 등을 정비한다.
상기 오퍼레이팅캠(220)은 컨트롤케이블(10)을 당겨 오퍼레이팅레버(14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이 오퍼레이팅캠(220)이 회전하면 컨트롤케이블(100)이 당겨지므로 연동하여 오퍼레이팅레버(14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디텐트핀(230)은 릴리스핸들(250)의 하단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양측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핀홈(211)으로 끼워져 릴리스핸들(250)이 부주의로 인해 당겨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안전장치로, 작동시 릴리스핸들(250)을 당기면 핀홈(211)으로부터 디텐트핀(230)이 빠져나오므로 릴리스핸들(250)의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안전핀(240)도 부주의로 인해 릴리스핸들(250)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로, 작동시 이 안전핀(240)을 빼내면 릴리스핸들(250)이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릴리스핸들(250)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이중 안전장치인 디텐트핀(230)과 안전핀(240)을 각각 해제시켜야 한다.
상기 릴리스핸들(250)은 오퍼레이팅캠(22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이 릴리스핸들(250)을 당기면 오퍼레이팅캠(220)이 회전하므로 이에 의해 연동하여 컨트롤케이블(10)이 당겨지는 것이다.
상기 로킹레버(260)는 양측 플레이트(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270)의 탄력을 받으면서 그 하단으로 돌출된 걸림턱(261)을 통해 오퍼레이팅캠(220)의 작동을 단속하는 것으로, 즉 평상시에는 스프링(270)에 의해 로킹레버(260)의 걸림턱(261)이 오퍼레이팅캠(220)의 끝단에 걸리는 로킹위치에 있어 오퍼레이팅캠(220)의 회전을 단속하지만, 이 로킹레버(260)를 해제 방향으로 당기면 걸림턱(261)이 로킹위치에서 벗어나므로 오퍼레이팅캠(2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로킹레버(260)에는 컨트롤케이블(20)의 상단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싱(310)은 하부가 개방되므로 그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해 다이어프램(32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케이싱(310)의 일측 상부에는 벤트파이프(340)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어프램(320)의 상부에는 연동하는 피스톤플레이트(330)가 설치되고, 이 피스톤플레이트(330)의 중앙 상부에는 컨트롤케이블(20)의 하단을 고정시켜주는 어댑터(350)가 설치된다. 따라서, 수압에 의해 다이어프램(320)이 상승하면 연동하여 피스톤플레이트(330)가 상승하므로 이에 의해 컨트롤케이블(20)은 상기 로킹레버(260)를 밀어 오퍼레이팅캠(220)의 로킹을 해제시킨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중량물 이탈장치를 구명정(30)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구명정(30)의 선수 및 선미에 훅어셈블리(100)를 각각 설치하고, 양측 훅어셈블리(100)에 각각 설치된 오퍼레이팅레버(140)와 릴리스핸들유닛(200)의 오퍼레이팅캠(220)에 컨트롤케이블(10)을 각각 연결한다. 이때, 오퍼레이팅캠(220)은 2개의 컨트롤케이블(10)을 통해 양측 오퍼레이팅레버(140)에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클레비스타입으로 2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수 및 선미에 설치된 양측 훅어셈블리(100)의 훅(120)을 데비트의 걸고리(매달림 장치)에 매달은 상태에서 구명정(30)을 내리면 해수가 하이드로스태틱유닛(300)의 케이싱(310)내부로 유입되고, 이 수압에 의해 다이어프램(320)이 상승하므로 다이어프램(320)의 상부에 설치된 피스톤플레이트(330)가 연동하여 컨트롤케이블(20)을 상부로 밀어주게 된다.
상부로 밀려 올라가는 컨트롤케이블(20)은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로킹레버(260)를 밀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이에 의해 오퍼레이팅캠(220)의 로킹이 해제된다.
오퍼레이팅캠(220)의 로킹이 해제된 안전핀(240)을 빼내고 또한 릴리스핸들(250)을 당겨 디텐트핀(230)을 핀홈(211)으로부터 해제시킨후,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릴리스핸들(250)을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이 릴리스핸들(250)에 연결된 오퍼레이팅캠(220)이 회전하여 컨트롤케이블(10)이 당겨지므로 결국 컨트롤케이블(10)에 연결된 훅어셈블리(100)의 오퍼레이팅레버(140)가 도 도 3의 (나)에서와 회전하고, 이에 의해 훅릴리스핀(130)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훅릴리스핀(130)의 반달홈(131)으로부터 훅(120)의 끝단이 이탈되고이에 의해 걸고리에 매달린 훅(120)이 도 3의 (나)에서와 같이 회전하므로 결과적으로 걸고리로부터 훅(120)이 빠지면서 자동적으로 구명정(30)이 이탈된다.
그리고 비상시 부하상태에서 걸고리에 매달린 구명정(30)을 바로 이탈시킬 경우에는 릴리스핸들유닛(200)의 로킹레버(260)를 수동으로 당겨 로킹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바로 릴리스핸들(250)을 당기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작동으로 이탈장치가 연동적으로 작동하므로 이 또한 결과적으로 걸고리로부터 훅(120)이 빠지면서 자동적으로 구명정(30)이 이탈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압이 작용하지 않아도 바로 로킹레버(260)를 수동으로 당겨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구명정(30)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명정(30)에 국한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훅어셈블리(100)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크레인,윈치 등으로 올려지는 중량물를 필요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으며, 또한 훅어셈블리(100)와 릴리스핸들유닛(200)만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이탈시킬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훅어셈블리(100)를 중량물에 설치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팅레버(140)에 로프 등을 연결하면 지상에서 로프를 당겨 중량물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으며, 또한 훅어셈블리(100)를 중량물에 설치한 상태에서 컨트롤케이블(10)의 양단을 오퍼레이팅레버(140)와 오퍼레이팅캠(220)에 연결하면 하이브로스태틱유닛(300)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훅어셈블리(100)와 릴리스핸들유닛(200)만으로 용이하게 중량물을 이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크레인 또는 윈치 등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릴 때 낙하시험등과 같이 경우에 따라서 부하상태에서 중량물을 걸고리로부터 이탈시킬 경우에 기계적인 방법으로 피중량물을 용이하게 걸고리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고리를 파괴시키지 않고 이탈이 가능하므로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대형 선박의 구명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연안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의 구명뗏목용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량물 이탈장치는 물리적인 방법이 아닌 기계적인 방법으로 부하 또는 무부하 상태에서 피중량물을 걸고리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 삭제
- 공지의 훅 어셈블리(100)와, 릴리스핸들유닛(200)이 컨트롤케이블(10, 20)에 연결되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중량물 이탈장치에서,양측 플레이트(2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오퍼레이팅레버(140)와 컨트롤케이블(10)로 연결되는 오퍼레이팅캠(220)과;디텐트핀(230)과 안전핀(240) 단속을 받도록 오퍼레이팅캠(220)을 작동시키는 릴리스핸들(250)과;플레이트(2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오퍼레이팅캠(220)의 작동을 단속하는 로킹레버(260)로 이루어지는 릴리스핸들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탈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4937A KR100369977B1 (ko) | 1999-04-26 | 1999-04-26 | 중량물 이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4937A KR100369977B1 (ko) | 1999-04-26 | 1999-04-26 | 중량물 이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7281A KR20000067281A (ko) | 2000-11-15 |
KR100369977B1 true KR100369977B1 (ko) | 2003-01-30 |
Family
ID=1958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14937A KR100369977B1 (ko) | 1999-04-26 | 1999-04-26 | 중량물 이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6997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05594U (ja) * | 1982-12-29 | 1984-07-16 | 株式会社信貴造船所 | 救命艇における離脱制御装置 |
JPS6182895U (ko) * | 1984-11-06 | 1986-05-31 | ||
JPS61107697U (ko) * | 1984-12-20 | 1986-07-08 | ||
JPS642695U (ko) * | 1987-06-25 | 1989-01-09 |
-
1999
- 1999-04-26 KR KR10-1999-0014937A patent/KR1003699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05594U (ja) * | 1982-12-29 | 1984-07-16 | 株式会社信貴造船所 | 救命艇における離脱制御装置 |
JPS6182895U (ko) * | 1984-11-06 | 1986-05-31 | ||
JPS61107697U (ko) * | 1984-12-20 | 1986-07-08 | ||
JPS642695U (ko) * | 1987-06-25 | 1989-01-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7281A (ko) | 2000-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081844B1 (en) | Automatic locking and ejecting hook assembly | |
US645790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chor and mooring deployment and connection | |
EP3188960B1 (en) | Vessel recovery system and method | |
FR2556309A1 (fr) | Procede et ensemble pour la mise a la mer ou la recuperation d'un canot de sauvetage, d'une embarcation de recuperation ou analogue | |
NO743639L (ko) | ||
EP2149723A2 (en) | Shack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lifting of subsea objects | |
EP0194717A1 (en) | A device for breaking-out an embedded anchor | |
KR20140047904A (ko) | 해양용 강제 회수장치 | |
EP0027313A1 (en) | Hook disengaging apparatus | |
KR100369977B1 (ko) | 중량물 이탈장치 | |
US7223142B1 (en) | Marine rescue assembly and a method for rescuing an individual | |
FI67518B (fi) | Anordning foer loesgoerande av lyftkrokar foer livbaotar | |
ITTO20091014A1 (it) | Sistema per il sollevamento e l'ammaino di una lancia di salvataggio munito di dispositivo anticaduta | |
AU74342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chor and mooring deployment and connection | |
CA1149839A (en) | Disengaging apparatus | |
US9079640B1 (en) | System and process for directing actions of a helmsman of a lifeboat | |
KR20190121594A (ko) |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JP4705453B2 (ja) | 救命艇の回収方法 | |
JP2022127911A (ja) | リリース機能付き吊り具 | |
FI97963C (fi) | Köyden laskemislaite ja sen käyttömenetelmä | |
US1900227A (en) | Lifeboat hook | |
JPH0425434Y2 (ko) | ||
JP2007039189A (ja) | フック | |
GB214820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a submerged life raft | |
CN217577993U (zh) | 水下快速脱钩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