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166B1 -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166B1
KR100367166B1 KR10-1999-0044477A KR19990044477A KR100367166B1 KR 100367166 B1 KR100367166 B1 KR 100367166B1 KR 19990044477 A KR19990044477 A KR 19990044477A KR 100367166 B1 KR100367166 B1 KR 10036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ehicle
encoder
relay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137A (ko
Inventor
체싱첸
Original Assignee
슈첸 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첸 루 filed Critical 슈첸 루
Priority to KR10-1999-004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166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은 주로 엔코더/송신기 및 디코더 차단 릴레이(decoder cut-off relay)를 포함한다. 상기 엔코더/송신기는 암호를 발생하고 그 암호를 차내의 배선으로 로딩하기 위해 디지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디코더 차단 릴레이는 차를 출발시키는 데 필요한 전원공급회로의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될 것이다. 디코더 차단 릴레이가 정확한 암호를 받을 때, 암호를 디코드하고 차의 출발을 허용하는 전원공급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엔코더/송신기와 디코더 차단 릴레이는 추가의(또는 직접의) 배선없이, 차내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엔코더/송신기는 시거용 라이터와 같은 어떤 차내의 장비와 결합한 독립적이며 휴대가능한 장치이고 예를 들면, 암호를 송신하고 받는 인터페이스로서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를 사용한다.

Description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A CIPHER TYPE ANTI-THEFT SYSTEM FOR CARS USING IN-CAR WIRING TO TRANSMIT THE CIPHER}
본 발명은 차량용 도난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차를 무장하고 해제하기 위해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통의 소비자는 숙달된 기술자의 도움 또는 추가의 배선 설치 필요없이 차내에 도난방지시스템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둑이 추적할 수 있는 추가의 배선없이 차내에 존재한다.
차 도난을 예방하기 위해서, 보통 차내에 도난방지시스템을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허가없이 차를 만지거나, 움직이거나 억지로 밀 때, 차내에 설치된 도난방지시스템은 소리를 내거나 알람을 발생하고 차를 멀리 구동하는 도난을 중단하기 위해서 차를 출발시키는 데 필요한 1개 이상의 주요 회로를 중단한다. 도난방지시스템이 설치된 고급차들 또한 도난방지시스템으로부터 차를 해제하는 정확한 암호의 입력을 필요로 한다. 도1은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의 기본 디자인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은 전선에 의해 차단 릴레이에 연결된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차단 릴레이는 차의 시동기, 연료펌프 또는 점화기에 연결된다. 암호는 키패드, 입력 소켓과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수신기를 통해 입력되어 전선을 통해 제어모듈에 보내진다. 상기 제어모듈은 전선을 통하여 차단 릴레이를 제어하는데, 차단 릴레이는 차의 시동기, 점화기 또는 연료펌프를 디스에이블(disable)하도록 차단하므로, 도난에 의해 멀리 구동되는 차를 보호한다.
상술한 종래의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암호방식 시스템은 차에 설치하는 추가의 배선이 필요한 제어모듈을 가진다. 설치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고 숙달된 기술자가 해야 한다. 그래서 종래의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은 고가의 설치비용이 필요하다.
2. 제어모듈에 전원공급의 고려와 제어모듈에서 다른 부품의 제어에 있어서, 계기판 또는 암호를 입력하는 외부 키패드 또는 입력 소켓에 근접한 앞좌석 아래에 제어모듈을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차에 침입한 도둑은 외부 키패드 또는 입력 소켓을 쉽게 발견해서 전선 또는 상태 LED를 배치한 제어모듈까지 추적하여 그것을 파괴한다. 이 일이 일어날 때, 차단 릴레이는 짧은 시간내에 회로를 자동적으로 연결하므로 도난방지기능을 상실한다.
3.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의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서, 특별한 외부 차단 릴레이가 개발된다. 그러나 제어모듈과 외부 릴레이 사이에서 배선을 단순하고 짧게 하기 위해, 외부 릴레이는 일반적으로 제어모듈 또는 차의 점화기 스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에 장착된 릴레이는 매우 쉽게 위치가 추적되고, 이것을 단락함으로써, 제거 또는 디스에이블 된다. 경험이 있는 도둑에게는 종래의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은 거의 쓸모 없다.
요컨대, 추가의 배선을 필요하는 모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은 모든 도난에 대하여 차를 보호할 수 없다. 그러한 종래의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이 설치된 차는 매우 짧은 시간내에 멀리 운전하여 도주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도둑은 차에 쉽게 침입할 수 있고 빨리 위치한 차의 회전전에 알람 사이렌을 중단하기 위해 덮개를 빨리 열어 차내의 추가의 배선을 추적하여 도난방지시스템의 제어모듈과 모든 차단 릴레이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래의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에서 나타내는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향상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발명자에 의해 시도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추가의 배선 필요없이 보통의 소비자가 차내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정한 암호는 차내의 배선을 통하여 송신되고, 도둑은 차내에 추가의 도난방지배선을 추적함에 의해 도난방지시스템을 발견할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암호를 입력 및 송신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차내에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를 사용하는 구체화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타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엔코더/송신기 및 디코더 차단 릴레이를 주로 포함한다. 상기 엔코더/송신기는 암호를 발생하여 차내의 배선으로 로딩하기 위해 디지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디코더 차단 릴레이는 보통 방식으로 차를 출발시키는 데 필요한 전원공급회로에 어느 지점에 설치된다. 디코더 차단 릴레이가 정확한 암호를 받을 때, 암호를 디코드하여 차가 출발 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추가의 배선없이 엔코더/송신기 및 디코더 차단 릴레이 설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은 단순하고 더 편리한 방식으로 설치되고 차내에 추가의 배선의 추적에 의해 도둑이 쉽게 알아낼 수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의 도난방지시스템의 엔코더/송신기는 독립적이고, 시거용 라이터와 결합된 휴대용으로 디자인되어, 차내에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는 도난에 의해 쉽게 찾아내지 못하며 암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된다. 이러한 암호방식 도난방식시스템은 짧은 시간내에 차를 멀리 운전하는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암호타입의 도난방지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타입의 도난방지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난방지시스템에 포함된 엔코더/송신기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난방지시스템에 포함된 엔코더/송신기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난방지시스템에 포함된 디코더 차단 릴레이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난방지시스템에 포함된 디코더 차단 릴레이의 회로도,
도 7은 암호가 자동차의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를 통해 전달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코더 및 송신기 2 : 디코더 차단 릴레이
3 : 차내의 배선 4 :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
11,21 : 5V 레귤레이터 12,25 : CPU 회로
13 : 전압강하 센싱회로 14 : MOS-FET 구동회로
15,23 : RLC 발진회로 16 : 호환 외부 제어회로
22 : 기준전압회로 24 : 비교회로
26 : 차단 릴레이 및 구동회로 27 : EEPROM 메모리 칩
31 : 전원공급회로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암호타입의 도난방지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암호타입의 도난방지시스템은 엔코더/송신기(1) 및 디코더 차단 릴레이(2)를 주로 포함한다. 엔코더/송신기(1)는 암호를 발생하고 그 암호를 차내의 배선(3)으로 로딩하기 위해 디지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디코더 차단 릴레이(2)는 통상적으로 자동차를 출발시키는 데 필요한 전원공급회로(31)에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된다. 정확한 암호를 받을 때, 디코더 차단 릴레이(2)는 암호를 디코드하고 자동차의 출발을 위해 전원공급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도난방지시스템 설치하는 경우, 엔코더/송신기(1)와 디코더 차단 릴레이(2) 사이에 다른 추가의 배선이 필요없게 된다. 즉, 차량용 암호세트에 나타나는 신호는 최초의 차내의 배선(3)을 거쳐 송신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도난방지시스템의 설치가 간소화될 수 있다. 보통의 소비자가 숙달된 기술자의 도움없이 본 발명의 도난방지시스템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난방지시스템을 설치한 후, 추가 배선이 차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 도둑이 어느 추가의 배선을 추적함으로써 도난방지시스템을 찾아내어 도난할 방법이 없는 도난방지시스템이 된다.
도 3 및 도4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엔코더/송신기(1)는 엔코더/송신기(1)를 사용하여 차내의 배선(3)용 12V 전원을 안정된 5V 전압으로 변환하는 5V 레귤레이터와, 특정 암호를 나타내도록 특정한 암호를 나타내는 특정한 구형파(square-wave)신호를 발생하는 CPU 회로(12)와, 상기 CPU 회로(12)에서 CPU를 재작동시켜 CPU 회로(12)에 리셋 신호를 인가하도록 안정화하기 위해 5V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강하 센싱회로(voltage drop sensing circuit)(13)와, 상기 암호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류 및 전압을 증폭하는 MOS-FET 구동회로(14) 및, 변압기를 거쳐 차내의 배선에 포함된 12V 전력코드에 결합되는 고주파 신호로 상기 수신된 신호를 변조하는 RLC 발진회로(15)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차단 릴레이(2)는 상기 차내 배선의 12V 전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 차단릴레이에 사용하기 위한 안정된 5V 전압으로 변환하는 5V 레귤레이터(21)와, 비교시 기준으로서 비교회로(24)에서 사용되는 2.5V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회로(22)와, 특정주파수의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여파, 정형(整形) 및 증폭되는 고주파 신호를 상기 12V 전원으로부터 추출하는 RLC발진회로(23)와, 구형파 신호로 여파된 신호를 정형(整形) 및 증폭하는 비교회로(24)와, 상기 구형파 신호로 판독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단릴레이(26)에 명령을 하여, 구동회로가 전원공급회로를 형성시키거나 차단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신호가 정확한 암호를 나타내는 가를 결정하는 CPU 회로(25) 및, 차량용 특정 암호 세트를 기억하고 어느 결정을 행하는데 CPU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EEPROM(27)를 각각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코더/송신기(1)와 차단 릴레이(2) 설치할 때, 추가의(또는 직접의) 배선이 필요없게 된다. 예를 들면, 도1의 배선을 사용한다면, 사용자가 차량의 점화기, 시동기 또는 연료펌프를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어떤 하나의 전원공급회로(31)에 숨길 지점을 자신의 판단을 기초로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지점에 디코더 차단 릴레이(2)를 설치한다. 도둑이 차에 침입하자마자 디코더 차단 릴레이(2)를 쉽게 발견하여 파괴할 수 없다.
도4를 다시 참조한다. 엔코더 및 송신기(1)가 통상 진행으로 가동시킨 때, CPU 회로(12)에 중앙처리부(CPU)(U3)는 예를 들면, 1에 상당하는 55KHz의 구형파와 0에 상당하는 58KHz의 구형파(기타 다른 주파수 신호는 물론 상기 예에 주파수를 대신할 수 있다)를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를 가진 구형파 암호를 발생할 것이다. CPU 회로(12)는 CPU 발진회로(X1,R7,C8 및 C9)와 여파 커패시터(C11)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LED1)는 특정 암호를 나타내는 신호가 전송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0 및 1에 상당하는 다른 주파수을 사용하는 이유는 신호를 변조하여 차내의 배선(3)에 변조된 신호를 로드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 방법으로 엔진으로부터의 소음 간섭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생된 구형파 신호는 5V의 구형파가 12V로 증폭되는 구동회로U2(14)에 보내져서, 2차 발진회로(15)를 구동하는 충분한 전류가 된다. 발진회로(15)는 L2,C7,C5 및 C6을 포함하고, R3 및 R2는 임피던스 정합한다.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 변환은 발진회로(15)에 보내는 신호를 12V의 정현파(sine wave)로 변환하여 L2에 전달된다. 상기 신호는 대략 45V 정현파로 R2에서 더 증폭되어, 신호는 변압기(T1)의 1차 코일을 지나는데 충분한 전기적 에너지를 가지고, 그것에 의해 2차 코일에 연결되어, 정현파의 형태의 특정한 암호를 나타내는 신호가 차내의 배선(3)의 +12V 전선으로 로드되도록 한다. 이 점에서, CPU는 차내의 모든 12V 전선에 존재하는 특정한 암호를 나타내는 신호로 두는데 단지 매우 짧은 이송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디코더 차단 릴레이(2)가 차내의 배선(3)에 먼 위치에 장착할 지라도 차내의 배선(3)의 12V 전선에 의하여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다시 도6을 참조한다. 디코더 차단 릴레이(2)가 신호를 받을 때, 신호는 L82, C86/C87, C88/C89, C10, R93 및 L83으로 이루어져 있는 발진회로(23)에 변압기(T2)를 거쳐 결합되어, 정현파의 형태의 신호가 추출되어진다. 송신하는 동안에, 신호의 감소는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존재한다. 때때로 신호는 디코더 차단 릴레이(2)에 도달할 때 단지 0.1V이다. 그러나, 신호가 발진회로(23)를 지날 때, 12V는 여파되고, 요구되는 주파수를 가진 정현파 신호는 대략 2V로 증폭된다. 증폭된 2V 신호는 U4 및 R86으로 이루어진 제 2 회로인 비교회로(24)에 보내져서, 2V 정현파 신호는 R91,R92,R93 및 C94로 이루어져 있는 기준전압회로(22)에 의해 발생된 기준전압과 비교되어, 5V 구형파 신호로 변환된다. 5V 구형파 신호는 결정을 위해 제 2 CPU 회로(25)에 보내진다. CPU 회로(25)에서, X21, C21 및 C22는 발진하는 회로를 함께 형성한다. U2는 차량용 암호 세트를 기억시키고, 어느 결정을 만들기 위해 CPU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EEPROM(27)이다. CUP가 정확한 암호를 나타내는 추출된 신호를 결정할 때, 차단 릴레이(26) 및 그것의 구동회로는 차의 통상 출발을 허용하는 전원공급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명령한다. 반면에, 추출된 신호가 부정확한 암호를 나타내어 결정될 때, 차단 릴레이(26) 및 그것의 구동회로는 전원공급회로를 디스에이블하는 명령을 하여 차가 출발되지 않는다.
실제 사용에서, 엔코더/송신기(1)는 독립적이고 휴대용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엔코더/송신기(1)가 차내의 배선(3)과 접촉할 때만 차량의 도난방지상태를 알 수 있다. 별도로, 호환 외부 제어회로(16)는 도난방지시스템을 가동시키는데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면, 원격조작의 제어장치가 엔코더/송신기(1)를 원격으로 가동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엔코더 및 송신기(1)의 회로는 상용중인 원격조작 제어장치 또는 종래의 도난방지시스템의 제어모듈의 칩내에 채용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도난방지시스템은 종래의 도난방지시스템의 기능을 갖을 수 있고 차내의 배선(3)에 위치가 숨겨 있어 도난으로부터 차를 보호하는데 더 유용하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도난방지시스템의 제어모듈은 차내의 배선(3)으로부터 단절되어 있을지라도,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 차단 릴레이(2)는 계속 개방상태로 되어, 차의 시동기, 연료펌프 또는 점화기를 디스에이블됨으로써, 도둑이 차를 출발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도난방지시스템에 연결을 위해 차내의 배선(3)을 단락하고 싶지 않은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디코더 차단 릴레이(2)는 차를 처음에 설계된 연료펌프 릴레이, 시동기 릴레이 또는 점화 릴레이와 유사한 플러그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지 차에 구비된 릴레이를 분해하여, 상기 릴레이를 본 발명의 특별히 설계된 디코더 차단릴레이(2)로 대체하여, 차내의 배선(3)에 잘 숨겨지고 우수한 도난방지효과를 가지는 도난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도7은 차에 처음에 제공된 장비에 채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은 시거용 라이터(41)에 결합되고 암호를 발생하는 독립적이고 휴대용인 엔코더/송신기(1)를 구비한다.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 변환 후에, 암호는 차에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4)를 거쳐 차내의 배선(3)으로 발신된다. 이 실시예의 도난방지시스템은 통상 방법으로 차를 출발시키는 데 필요한 전원공급회로(31)에 어느 지점에 설치될 수 있는 디코더 차단 릴레이(2)를 포함한다. 디코더 차단 릴레이(2)가 정확한 암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을 때, 암호를 디코드 할 것이고 차의 통상 출발을 위해 전원공급회로(31)를 형성한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을 설치한 차를 출발시키는 데, 사용자는 차안에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4)에 휴대용 엔코더/송신기(1)와 결합된 시거용 라이터 플러그를 연결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이 점에서, 암호는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4)의 12V 전원공급을 통해 차내에 +12V 전선으로 로드된다. 차내의 배선(3)에서 먼 지점에 장착된 디코더 차단 릴레이(2)는 전원공급회로(31)가 차를 출발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12V 전선으로부터 암호를 받는다.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4)는 차마다 제공된 품목이다.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4)가 배선의 변경 또는 증가없이 도난방지암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때, 보통의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과 다른 것처럼 보인다. 차를 도난할 때, 차가 도둑에 의해 침입된 경우에, 시거용 라이터 받침대가 도난방지시스템의 부분이라는 것을 적어도 짧은 시간내에 발견하여 도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도난방지시스템에 비해, 새롭고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 게다가, 본 발명은 차내의 배선에 직접 연결되고, 거기에 설치는 많은 시간과 노동을 절약한다. 본 발명의 더 중요한 것은 도둑이 차단 릴레이 도난방지시스템의 배치를 추적할 수 있는 부가적인(또는 직접의)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암호를 발생하고, 상기 암호를 차내 배선에 로딩하기 위해 디지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엔코더/송신기와;
    통상적으로 차를 시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공급회로상의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엔코더 및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정확한 암호를 나타낼 때, 상기 암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더 차단 릴레이가 장착된 전원공급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 차단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은, 도둑이 쉽게 도난방지시스템을 추적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배선을 구비하지 않고 차내 배선의 숨겨진 위치에 편리하게 차량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엔코더/송신기는 상기 차내 배선의 12V 전원을 상기 엔코더/송신기에 사용되는 안정된 5V 전압으로 변환하는 5V 전압레귤레이터와, 특정한 구형파 암호신호를 발생하는 CPU회로와, 상기 CPU회로에 포함된 CPU를 재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CPU회로에 리셋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안정화용 5V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강하센싱회로와, 상기 엔코더/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신호의 전압과 전류를 증폭하는 MOS-FET구동회로 및, 변압기를 거쳐 차내의 배선에 포함된 12V 전력코드에 결합되는 고주파 신호로 상기 수신된 신호를 변조하는 RLC발진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 차단릴레이는, 상기 차내 배선의 12V 전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 차단릴레이에 사용하기 위한 안정된 5V 전압으로 변환하는 5V 레귤레이터와, 비교시의 기준으로서 비교회로에 의해 사용되는 2.5V의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회로와, 특정주파수의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여파, 정형 및 증폭되는 고주파 신호를 상기 12V 전원으로부터 추출하는 RLC발진회로와, 상기 여파된 신호를 구형파신호로 정형 및 증폭하는 비교회로와,
    상기 구형파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디코더 차단릴레이가 연결된 상기 전원공급회로를 형성시키거나 차단시키는 것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릴레이에 명령하기 위해 상기 신호가 정확한 암호를 나타내는 가를 결정하는 CPU회로 및, 차에 설정된 상기 암호 세트를 기억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가 정확한 암호를 나타내는 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CPU에 의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EEPROM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는 0과 1을 나타내는 두 개의 다른 주파수로 분리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송신기는 원격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엔코더/송신기용 외부제어회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 차단 릴레이는 차량용 연료펌프 릴레이, 시동기 릴레이 또는 점화 릴레이와 유사한 플러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1999-0044477A 1999-10-14 1999-10-14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KR10036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477A KR100367166B1 (ko) 1999-10-14 1999-10-14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477A KR100367166B1 (ko) 1999-10-14 1999-10-14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137A KR20010037137A (ko) 2001-05-07
KR100367166B1 true KR100367166B1 (ko) 2003-01-06

Family

ID=3752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477A KR100367166B1 (ko) 1999-10-14 1999-10-14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71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137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53285Y (zh) 基于手机的汽车防盗装置
US5533589A (en) Signal responsive vehicle disabling system
US7061137B2 (en) Vehicle data communications bus disrupter and associated methods
US20030137409A1 (en)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program
JPS62503179A (ja) 電子施錠装置
US20020180274A1 (en) In-vehicle security system
JP2002511811A (ja) 遠隔送信機用の学習モード
EP1084917B1 (en) A cipher type anti-theft system for cars using in-car wiring to transmit the cipher
KR100367166B1 (ko) 암호를 송신하는 차내의 배선을 사용한 차량용 암호방식 도난방지시스템
JP3565923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US5641998A (en) Simplified vehicle engine control device for mounting on a vehicle without anti-theft function exhibiting an immobilizing function if used to replace a more complicated engine control device mounted on a vehicle with anti-theft function
KR20090008885A (ko) 차량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531955B1 (en) Arrangement for prevention of motor vehicle thefts
KR100243884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KR100535060B1 (ko)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도난 방지 장치
JP2966297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01018753A (ja) Id照合によるエンジンの無断運転防止装置
JP2003320922A (ja) 電気自動車の盗難防止装置
KR200162193Y1 (ko) 도난차량 알림장치
WO2023232686A1 (en) Vehicle immobiliser
TW590925B (en) Cipher type anti-theft system for cars using in-car wiring to transmit the cipher
KR100211040B1 (ko) 차량의 도난방지 시동경보장치
KR100369143B1 (ko) 차량의 이모빌라이져 주행 안전장치
KR19990025575A (ko) 전자식 자동차 도어개폐 및 시동장치
KR20010107245A (ko) 오토바이 도난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