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822B1 -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822B1
KR100366822B1 KR10-2000-0043052A KR20000043052A KR100366822B1 KR 100366822 B1 KR100366822 B1 KR 100366822B1 KR 20000043052 A KR20000043052 A KR 20000043052A KR 100366822 B1 KR100366822 B1 KR 100366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ignal
frequency band
por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5439A (ko
Inventor
고후네가즈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5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구성부품을 적게 하여 사이즈가 큰 구성부품을 매우 줄여,소형이고 경량의 휴대전화기를 얻게 되는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주파신호를 제 1 주파수밴드와 제 2 주파수밴드사이에서 밴드시프트하고, 고주파신호를 제 3 주파수밴드와 제 4 주파수밴드사이에서 밴드시프트하는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와, 안테나공용기(1)의 한쪽 포트(P1)에 접속되는 제 1 서큘레이터와, 안테나공용기(1)의 다른쪽 포트(P2)에 접속되는 제 2 서큘레이터(3)와, 제 1 서큘레이터(2)에 접속된 제 1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 신호계(4, 8, 12) 및 제 2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신호계(5, 9, 13)와, 제 2 서큘레이터(3)에 접속된 제 3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신호계(6, 10, 14) 및 제 4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신호계(7, 11, 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HIGH-FREQUENCY TRANSCEIVER CIRCUIT FOR A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밴드가 다른 주파수위치에 있고, 또한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밴드의 주파수배치가 서로 반대로 되어 있는 2종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양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국에 있어서는 기지국과 이동국(휴대전화기)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하여지는 부호분할 다중액세스(CDMA)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이 보급되게 되었다. 그런데 이 부호분할 다중액세스(CDMA)방식의 휴대전화시스템은 각각의 나라에서 개별로 개발되었고, 또한 그 휴대전화시스템의 규격도 개별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밴드도 각국에 있어서 다른 것이 많다. 예를 들어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전송되는 수신신호(RX)의 주파수밴드가 832 내지 870 MHz로 설정되고,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에 전송되는 송신신호(TX)의 주파수밴드가 887 내지 925 MHz 로 설정되어 있는 데 대하여, 미국 및 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에 전송되는 송신신호(TX)의 주파수밴드가 824 내지 850 MHz로 설정되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전송되는 수신신호(RX)의 주파수밴드가 869 내지 893 MHz 로 설정되어 있다. 즉, 일본과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을 비교하였을 때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밴드가 서로 다른 주파수위치에 있고, 더구나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밴드의 주파수배치가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사용되는 휴대전화기(이동국)는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의 휴대전화기(이동국)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사용되는 휴대전화기(이동국)는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의 휴대전화기(이동국)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밴드가 다른 주파수위치에 있고 또한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밴드의 주파수배치가 서로 반대로 되어 있는 2종의 휴대전화시스템에 대하여, 하나의 휴대전화기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이들 2종의 휴대전화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게 한 휴대전화기를 얻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3은 이와 같은 시도에 의해 제안된 휴대전화기로서, 그 고주파 송수신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시도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는, 1회로 2접점의 고주파용 전환스위치(31)와, 제 1 안테나공용기(32)와, 제 2 안테나공용기(33)와, 제 1 아이솔레이터(34)와, 제 2 아이솔레이터(35)와, 제 1 전력증폭기(PA1)(36)와, 제 1 저잡음증폭기(LNA1)(37)와, 제 2 저잡음증폭기 (LNA2)(38)와, 제 2 전력증폭기(PA2)(39)와, 송수신공용안테나(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고주파용 전환스위치(31)는 가동접점이 송수신공용안테나(40)에 접속되고, 한쪽의 고정접점이 제 1 안테나공용기(32)의 공통포트(PC1)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고정접점이 제 2 안테나공용기(33)의 공통포트(PC2)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공용기(32)는 입력포트(PI1)가 제 1 아이솔레이터(34)를 통하여 제 1 전력증폭기 (36)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출력포트(PO1)가 제 1 저잡음증폭기(37)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 2 안테나공용기(33)는 출력포트(PO2)가 제 2 저잡음증폭기 (38)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입력포트(PI2)가 제 2 아이솔레이터(35)를 통하여 제 2 전력증폭기 (39)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또한 제 1 전력증폭기(36) 및 제 2 전력증폭기(39)의 각 입력단에는 각각 제 1 밴드패스필터 및 제 4 밴드패스필터(모두 도시 생략)의 출력단이 접속되고, 제 1 저잡음증폭기(37) 및 제 2 저잡음증폭기(38)의 각 출력단에는 각각 제 3 밴드패스필터 및 제 2 밴드패스필터(모두 도시 생략)의 입력단이 접속된다.
여기서 도 2는 일본 및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신호 (TX) 및 수신신호(RX)의 주파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신신호(TX)주파수밴드가 887 내지 925 MHz이고, 수신신호(RX)주파수밴드가 832 내지 870 MHz 인 데 대하여,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신신호(TX)주파수밴드가 824 내지 849 MHz이고, 수신신호(RX)주파수밴드가 869 내지 894 MHz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휴대전화기를 일본 및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제 1 전력증폭기(36) 및 제 1 저잡음증폭기(37)는 한쪽의 휴대전화시스템, 예를 들어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신호(TX) 및 수신신호 (RX) 를 증폭하는 것이고, 제 2 저잡음증폭기(38) 및 제 2 전력증폭기(39)는 다른쪽의 휴대전화시스템, 예를 들어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의 수신신호(RX)및 송신신호(TX)를 증폭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밴드패스필터는 824 내지 849 MHz의 통과대역을 가지며, 제 2 밴드패스필터는 832 내지 870 MHz의 통과대역을 가지고 있다. 또 제 3 밴드패스필터는 869 내지 894 MHz의 통과대역을 가지며, 제 4 밴드패스필터는 887 내지 925 MHz의 통과대역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이 휴대전화기를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경우, 고주파용 전환스위치(31)의 가동접점을 도 3의 실선위치로 전환한다. 이때 이 휴대전화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는 송신신호는 제 1 밴드패스필터를 통하여 제 1 전력증폭기(36)에 공급되고, 제 1 전력증폭기(36)에서 송신신호에 적합한 신호레벨까지 전력증폭된 후, 제 1 아이솔레이터(34)를 통하여 제 1 안테나공용기(32)의 입력포트(PI1)에 공급된다. 그 후 송신신호는 제 1 안테나공용기(32)의 입력포트(PI1)로부터 공통포트(PC1)에 전송되고, 공통포트(PC1)로부터 고주파용 전환스위치(31)가 전환되어 있는 가동접점을 통하여 송수신공용안테나(40)에 공급되고, 송수신공용안테나(40)로부터 신호전파로서 송신된다.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전파가 송수신공용안테나(40)에서 수신되면 수신신호는 송수신공용안테나(40)로부터 고주파용 전환스위치(31)가 전환되어 있는 가동접점을 통하여 제 1 안테나공용기 (32)의 공통포트(PC1)에 공급되고, 그 공통포트(PC1)로부터 출력포트(PO1)에 전송된다. 그 후 수신신호는 출력포트(PO1)로부터 제 1 저잡음증폭기(37)에 공급되어 소정레벨까지 증폭되고, 증폭된 수신신호는 제 3 밴드패스필터를 통하여 이용회로 (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다음에, 이 휴대전화기를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주파용 전환스위치(31)의 가동접점을 도 3의 실선의 위치로부터 점선의 위치로 전환한다. 이때도 이 휴대전화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는 송신신호는 제 4 밴드패스필터를 통하여 제 2 전력증폭기(39)에 공급되고, 제 2 전력증폭기(39)에서 송신신호에 적합한 신호레벨까지 전력증폭된 후, 제 2 아이솔레이터(35)를 통하여 제 2 안테나공용기(33)의 입력포트(PI2)에 공급된다. 그 후 송신신호는 제 2 안테나공용기 (33)의 입력포트(PI2)로부터 공통포트(PC2)에 전송되고, 공통포트(PC2)로부터 고주파용 전환스위치(31)가 전환되어 있는 가동접점을 통하여 송수신공용안테나(40)에 공급되고 송수신공용안테나(40)로부터 신호전파로서 송신된다.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전파가 송수신공용안테나(40)에서 수신되면 수신신호는 송수신공용 안테나(40)로부터 고주파용 전환스위치(31)가 전환되어 있는 가동접점을 통하여 제 2 안테나공용기(33)의 공통포트(PC2)에 공급되고, 그 공통포트(PC2)로부터 출력포트 (PO2)에 전송된다. 그 후 수신신호는 출력포트(PO2)로부터 제 2 저잡음증폭기(39)에공급되어 소정레벨까지 증폭되고, 증폭된 수신신호는 제 2 밴드패스필터를 통하여 이용회로(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상기 제안에 의한 휴대전화기는 2종의 휴대전화시스템에 각각 사용되는 2종의 고주파 송수신회로 부분을 실질적으로 병렬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되는 구성부품이 많아지고, 특히 사이즈가 큰 제 1 안테나공용기(32) 및 제 2 안테나공용기(33)나 제 1 아이솔레이터(34) 및 제 2 아이솔레이터(35)를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체의 구조가 매우 커지지 않을 수 없어 휴대용으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되는 구성부품을 적게 하고 또한 사이즈가 큰 구성부품을 매우 줄임으로써, 소형이고 경량의 휴대전화기를 얻는 것이 가능한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회로구성도,
도 2는 일본 및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신호(TX) 및 수신신호(RX)의 주파수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이미 제안되어 있는 2종의 휴대전화시스템에 양립하는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
2 : 제 1 서큘레이터 3 : 제 2 서큘레이터
4 : 제 1 전력증폭기(PA1) 5 : 제 1 저잡음 증폭기(1NA1)
6 : 제 2 저잡음 증폭기(1NA2) 7 : 제 2 전력증폭기(PA2)
8 : 제 1 밴드패스필터(BF1) 9 : 제 2 밴드패스필터(BF2)
10 : 제 3 밴드패스필터(BF3) 11 : 제 4 밴드패스필터(BF4)
12 : 제 1 신호입력단자 13 : 제 1 신호출력단자
14 : 제 2 신호출력단자 15 : 제 2 신호입력단자
16 : 송수신공용안테나 17 : 제어신호 공급단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는 고주파신호를 제 1 주파수밴드와 제 2 주파수밴드 사이에서 밴드시프트하고, 또한 고주파신호를 제 3 주파수밴드와 제 4 주파수밴드와의 사이에서 밴드시프트하는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와,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의 한쪽 포트에 접속되는 제 1 서큘레이터와,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의 다른쪽 포트에 접속되는 제 2 서큘레이터와, 제 1 서큘레이터에 각각 접속된 제 1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신호계 및 제 2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신호계와, 제 2 서큘레이터에 각각 접속된 제 3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신호계 및 제 4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신호계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는 제 1 주파수밴드는 미국의 송신주파수밴드, 제 2 주파수밴드는 일본의 수신주파수밴드, 제 3 주파수밴드는 미국의 수신주파수밴드, 제 4 주파수밴드는 일본의 송신주파수밴드에 각각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는, 제 1 송신신호계 및 제 2 송신신호계는 각각 전력증폭기를 포함하고, 제 1 수신신호계 및 제 2 수신신호계는 각각 저잡음증폭기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는 2포트중 한쪽 포트와 공통포트사이에 있어서 제 1 주파수밴드와 제 2 주파수밴드의 사이에서 밴드시프트가 행하여지고, 다른쪽 포트와 공통포트사이에 있어서 제 3 주파수밴드와 제 4 주파수밴드의 사이에서 밴드시프트가 행하여지는 것으로, 2종의 휴대전화시스템중의 한쪽, 예를 들어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송신을 제 1 주파수밴드를 사용하고,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수신을 제 2 주파수밴드를 사용하며,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수신을 제 3 주파수밴드를 사용하고,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송신을 제 4 주파수밴드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때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와 제 1 서큘레이터 및 제 2 서큘레이터를 사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구성부품이 적고, 또한 사이즈가 큰 구성부품을 줄일 수 있어 소형이고 경량의 휴대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회로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는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와, 제 1 서큘레이터(2)와, 제 2 서큘레이터(3)와, 제 1 전력증폭기(PA1)(4)와, 제 1 저잡음증폭기(LNA1)(5)와, 제 2 저잡음증폭기(LNA2)(6)와, 제 2 전력증폭기(PA2)(7)와, 제 1 밴드패스필터(BF1)(8)와, 제 2 밴드패스필터(BF2)(9)와, 제 3 밴드패스필터(BF3)(10)와, 제 4 밴드패스필터 (BF4)(11)와, 제 1 신호입력단자(12)와, 제 1 신호출력단자(13)와, 제 2 신호출력단자(14)와, 제 2 신호입력단자(15)와, 송수신공용안테나(16)와, 제어신호 공급단자 (17)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제 1 전력증폭기(4)와 제 1 밴드패스필터 (8)와 제 1 신호입력단자(12)는 제 1 송신신호계를 구성하고, 제 1 저잡음증폭기 (5)와 제 2 밴드패스필터(9)와 제 1 신호출력단자(13)는 제 1 수신신호계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제 2 저잡음증폭기(6)와 제 3 밴드패스필터(10)와 제 2 신호출력단자 (14)는 제 2 수신신호계를 구성하고, 제 2 전력증폭기(7)와 제 4 밴드버스필터 (11)와 제 2 신호입력단자(15)는 제 2 송신신호계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는 한쪽 포트(P1)가 제 1 서큘레이터(2)의 제 1 포트(도면부호 없음)에 접속되고, 다른쪽 포트(P2)가 제 2 서큘레이터(3)의 제 1 포트(도면부호 없음)에 접속되며, 공통포트(PC)가 송수신공용 안테나(16)에 접속되고, 제어포트(PC0)가 제어신호공급단자(17)에 접속된다. 제 1 전력증폭기(4)는 출력단이 제 1 서큘레이터(2)의 제 2 포트(도면부호 없음)에 접속되고, 입력단이 제 1 밴드패스필터(8)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제 1 저잡음증폭기 (5)는 입력단이 서큘레이터(2)의 제 3 포트(도면부호 없음)에 접속되고, 출력단이 제 2 밴드패스필터(9)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 2 저잡음증폭기(6)는 입력단이 제 2 서큘레이터(3)의 제 2 포트(도면부호 없음)에 접속되고, 출력단이 제 3 밴드패스필터(10)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 2 전력증폭기(7)는 출력단이 제 2 서큘레이터 (3)의 제 3 포트(도면부호 없음)에 접속되고, 입력단이 제 4 밴드패스필터(11)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제 1 밴드패스필터(8)는 입력단이 제 1 신호입력단자(12)에 접속되고, 제 2 밴드패스필터(9)는 출력단이 제 1 신호출력단자(13)에 접속된다. 제 3 밴드패스필터(10)는 출력단이 제 2 신호출력단자(14)에 접속되고, 제 4 밴드패스필터(11)는 입력단이 제 2 신호입력단자(15)에 접속된다.
이 경우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는 제어포트(PC0)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한쪽 포트(P1)와 공통포트(PC)의 사이를 전송하는 고주파신호에 대하여 제 1 주파수밴드(824 내지 849 MHz)와 제 2 주파수밴드(832 내지 870 MHz) 사이에서 밴드시프트를 행하고, 또 다른쪽 포트(P2)와 공통포트(PC)의 사이를 전송하는 고주파신호에 대하여 제 3 주파수밴드(869 내지 894 MHz)와 제 4주파수밴드(887 내지 925 MHz) 사이에서 밴드시프트를 행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처음에 이 휴대전화기를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이 휴대전화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할 때 제 1 신호입력단자(12)에 송신신호가 공급된다. 이 송신신호는 제1 밴드패스필터(8)를 통하여 제 1 전력증폭기(4)에 공급되고, 제 1 전력증폭기(4)에서 송신신호에 적합한 신호레벨까지 전력증폭된 후, 제 1 서큘레이터(2)에 공급된다. 제 1 서큘레이터(2)에 있어서 송신신호는 그 제 2 포트로부터 제 1 포트에 전송되고, 제 1 포트로부터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의 한쪽 포트(P1)에 공급된다.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에 있어서, 송신신호는 한쪽 포트(P1)로부터 공통포트(PC)에 전송되고, 공통포트(PC)로부터 송수신공용안테나(16)에 공급되고, 송수신공용 안테나(16)로부터 신호전파로서 송신된다.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전파가 송수신공용안테나(16)에서 수신되면 수신신호는 송수신공용안테나(16)로부터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의 공통포트(PC)에 공급되고, 그 공통포트(PC)로부터 다른쪽 포트(P2)에 전송되고, 다른쪽 포트(P2)로부터 제 2 서큘레이터 (3)에 공급된다. 제 2 서큘레이터(3)에 있어서 수신신호는 그 제 1 포트로부터 제 2 포트에 전송되고, 제 2 포트로부터 제 2 저잡음증폭기(6)에 공급되어 소정레벨까지 증폭되고, 증폭된 수신신호는 제 3 밴드패스필터(10)를 통하여 제 2 신호출력단자(14)에 공급되며, 제 2 신호출력단자(14)로부터 이용회로(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다음에 이 휴대전화기를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이 휴대전화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할 때 제 2 신호입력단자(15)에 송신신호가 공급된다. 이 송신신호는 제 4 밴드패스필터(11)를 통하여 제 2 전력증폭기(7)에 공급되고, 제 2 전력증폭기(7)에서 송신신호에 적합한 신호레벨까지 전력증폭된 후, 제 2 서큘레이터(3)에 공급된다. 제 2 서큘레이터(3)에 있어서 송신신호는 그 제 3 포트로부터 제 1 포트에 전송되고, 제 1 포트로부터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의 다른쪽 포트(P2)에 공급된다.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에 있어서, 송신신호는 다른쪽 포트(P2)로부터 공통포트(PC)에 전송되고, 공통포트 (PC)로부터 송수신공용안테나(16)에 공급되며, 송수신공용안테나(16)로부터 신호전파로서 송신된다.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전파가 송수신공용안테나(16)에서 수신되면 수신신호는 송수신공용안테나(16)로부터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 (1)의 공통포트(PC)에 공급되고, 그 공통포트(PC)로부터 한쪽 포트(P1)에 전송되며, 한쪽 포트(P1)로부터 제 1 서큘레이터(2)에 공급된다. 제 1 서큘레이터(2)에 있어서 수신신호는 그 제 1 포트로부터 제 3 포트에 전송되고, 제 3 포트로부터 제 1 저잡음증폭기(5)에 공급되어 소정레벨까지 증폭되고, 증폭된 수신신호는 제 2 밴드패스필터(9)를 통하여 제 1 신호출력단자(13)에 공급되고, 제 1 신호출력단자 (13)로부터 이용회로(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이 동작시에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는 제어포트(PC0)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공통포트(PC)를 선택적으로 한쪽 포트(P1) 또는 다른쪽 포트 (P2)으로 전환하여 접속하고, 공통포트(PC)와 한쪽 포트(P1) 사이에 고주파 신호전송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공통포트(PC)와 다른쪽 포트(P2)사이에 고주파 신호전송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고주파 신호전송로를 형성하였을 때 전송되는 고주파신호의 주파수밴드에 따라 그 주파수밴드로 밴드시프트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에 의하면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송신에 제 1 주파수밴드를 사용하고,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수신에 제 2 주파수밴드를 사용하며,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수신에 제 3 주파수밴드를 사용하고,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송신을 제 4 주파수밴드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1)와 제 1 서큘레이터(2) 및 제 2 서큘레이터(3)를 사용하고 있을 뿐이므로 사용구성부품이 적고, 또한 사이즈가 큰 구성부품을 줄여 소형이고 경량의 휴대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 공용기가 2포트중 한쪽 포트와 공통포트사이에 있어 제 1 주파수밴드와 제 2 주파수밴드 사이에서 밴드시프트를 행하고, 다른쪽 포트와 공통포트사이에 있어 제 3 주파수밴드와 제 4 주파수밴드 사이에서 밴드시프트를 행하기 때문에, 2종의 휴대전화시스템중 한쪽,예를 들어 미국(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송신을 제 1 주파수밴드를 사용하고,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수신을 제 2 주파수밴드를 사용하고, 미국 (한국)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수신을 제 3 주파수밴드를 사용하며, 일본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신호송신을 제 4 주파수밴드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때에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와 제 1 서큘레이터 및 제 2 서큘레이터를 사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구성부품이 적고 또한 사이즈가 큰 구성부품을 줄일 수 있어 소형이고 경량의 휴대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송수신 공용 안테나와,
    고주파신호를 제 1 주파수밴드와 제 2 주파수밴드 사이에서 밴드시프트하고, 또한 고주파신호를 제 3 주파수밴드와 제 4 주파수밴드 사이에서 밴드시프트하는 2포트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와,
    상기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의 한쪽 포트에, 그 제 1 포트가 접속되는 제 1 서큘레이터와,
    상기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의 다른쪽 포트에, 그 제 1 포트가 접속되는 제 2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 1 서큘레이터의 제 2 및 제 3 포트에 각각 접속된 상기 제 1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신호계 및 상기 제 2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신호계와,
    상기 제 2 서큘레이터의 제 2 및 제 3 포트에 각각 접속된 상기 제 3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신호계 및 상기 제 4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신호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송신신호계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1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는, 상기 제 1 서큘레이터를 거져 상기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로 전송되고, 상기 송수신 공용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제 2 송신신호계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4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는, 상기 제 2 서큘레이터를 거져 상기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로 전송되고, 상기 송수신 공용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상기 제 2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는 상기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와 상기 제 1 서큘레이터를 거쳐 상기 제 1 수신신호계로 전송되고,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상기 제 3 주파수밴드의 고주파신호는 상기 밴드시프트형 안테나공용기와 상기 제 2 서큘레이터를 거쳐 상기 제 2 수신신호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밴드는 미국의 송신주파수밴드이고, 상기 제 2 주파수밴드는 일본의 수신주파수밴드이며, 상기 제 3 주파수밴드는 미국의 수신주파수밴드이고, 상기 제 4 주파수밴드는 일본의 송신주파수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신호계 및 상기 제 2 송신신호계는 각각 전력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신신호계 및 상기 제 2 수신신호계는 각각 저잡음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고주파송수신회로.
KR10-2000-0043052A 1999-07-28 2000-07-26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 KR100366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395899A JP3621607B2 (ja) 1999-07-28 1999-07-28 携帯電話機の高周波送受信回路
JP11-213958 1999-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439A KR20010015439A (ko) 2001-02-26
KR100366822B1 true KR100366822B1 (ko) 2003-01-09

Family

ID=1664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052A KR100366822B1 (ko) 1999-07-28 2000-07-26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21607B2 (ko)
KR (1) KR100366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1357A1 (en) * 2006-01-12 2007-07-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ultiband antenna switch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387A (ko) * 1996-11-19 1998-08-17 쯔지하루오 전압 제어 통과 대역 가변 필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고주파 회로모듈
KR19990001333A (ko) * 1997-06-13 1999-01-15 이형도 무선전화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화회로
JPH11168303A (ja) * 1997-12-05 1999-06-22 Hitachi Metals Ltd 高周波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H11225088A (ja) * 1997-12-03 1999-08-17 Hitachi Metals Ltd マルチバンド用高周波スイッチモジュール
US5974305A (en) * 1997-05-15 1999-10-26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ual band architectures for mobile stations
KR20010005142A (ko) * 1999-06-30 2001-01-15 이형도 듀얼밴드용 고주파 스위치
KR20010008552A (ko) * 1999-07-02 2001-02-05 이형도 듀얼밴드 위상동기루프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387A (ko) * 1996-11-19 1998-08-17 쯔지하루오 전압 제어 통과 대역 가변 필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고주파 회로모듈
US5974305A (en) * 1997-05-15 1999-10-26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ual band architectures for mobile stations
KR19990001333A (ko) * 1997-06-13 1999-01-15 이형도 무선전화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화회로
JPH11225088A (ja) * 1997-12-03 1999-08-17 Hitachi Metals Ltd マルチバンド用高周波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H11168303A (ja) * 1997-12-05 1999-06-22 Hitachi Metals Ltd 高周波スイッチモジュール
KR20010005142A (ko) * 1999-06-30 2001-01-15 이형도 듀얼밴드용 고주파 스위치
KR20010008552A (ko) * 1999-07-02 2001-02-05 이형도 듀얼밴드 위상동기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44875A (ja) 2001-02-16
JP3621607B2 (ja) 2005-02-16
KR20010015439A (ko) 200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27344B (zh) 射频系统及电子设备
CN111193526B (zh) 射频系统和电子设备
CN111277278B (zh) 射频系统及电子设备
CA2155093C (en) Half duplex rf transceiver having low transmit path signal loss
CN109873664B (zh) 一种射频前端电路及移动终端
US6987950B2 (en) Radio with duplexer bypass capability
US6226275B1 (en) Wide band high power ultralinear RF transreceiver
EP0923811B1 (en) Circulator usage in time division duplex radios
CA3134404C (en)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mobile terminal
WO2009066199A2 (en) System for implementing multi-modular standby terminal using duplexer
CN101442839A (zh) 使用滤波器实现多模待机终端的系统
WO2013063923A1 (zh) 射频前端模块、多模终端和多模终端发送信号的方法
CN111669199A (zh) 功率检测电路及电子设备
CN111756399A (zh) 射频电路及电子设备
CN102404881A (zh) 双模射频收发装置、滤波装置和双模终端
CN203057147U (zh) 一种双向放大器收发切换电路
WO2021143757A1 (en) Rf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212324099U (zh) 射频电路和电子设备
KR100366822B1 (ko) 휴대전화기의 고주파 송수신회로
CN101277496B (zh) 一种双卡双模手机
CN100375413C (zh) 一种大功率线性收发开关电路
CN209949082U (zh) 一种信号收发装置与终端
EP3811520B1 (en) Radio unit for unsynchronized tdd multi-band operation
CN111600625A (zh) 射频前端电路和射频前端装置
US20090289872A1 (en) High Power Ultra-Linear TDD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