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065B1 -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 - Google Patents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065B1
KR100366065B1 KR1020000008342A KR20000008342A KR100366065B1 KR 100366065 B1 KR100366065 B1 KR 100366065B1 KR 1020000008342 A KR1020000008342 A KR 1020000008342A KR 20000008342 A KR20000008342 A KR 20000008342A KR 100366065 B1 KR100366065 B1 KR 100366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eadset
noise
ear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4573A (ko
Inventor
이성태
Original Assignee
이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태 filed Critical 이성태
Priority to KR102000000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06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레벨의 소음이 존재하는 공간에서도 또렷한 송수신이 가능한 소음이 감소되는 양 방향 통화용 헤드셋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주변에 존재하는 소음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송신자의 음성신호와 함께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음성신호 대 주변소음의 비율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양 방향 통화용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한 쪽 헤드셋의 귀마개 내부에는 통상의 헤드셋과 같은 스피커 또는 진동자를 설치하고, 헤드셋의 다른 쪽 귀마개 내부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서, 스피커가 설치된 쪽의 귀로는 소리를 듣고, 마이크가 설치된 쪽의 귀에서는 고막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마이크가 포착하여 음성신호를 통화상대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주변의 소음이 강하게 존재하는 공간에서 음성통신을 할 때 음성신호를 포착하는 마이크가 귀와 헤드셋의 귀마개에 의하여 둘려싸여 있으므로 소음은 차단한 상태에서 음성신호만을 포착하여 전달할 수 있어 높은 레벨의 소음지역에서도 또렷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Dual directional communication headset with noise reduction}
본 발명은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headse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셋의 귀마개 한 쪽 내부에는 스피커를 설치하고 다른 쪽 귀마개 내부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 헤드셋을 착용하고 양방향 통화를 할 때, 주변에 존재하는 소음이 마이크에 입력되는 것을 귀마개와 머리가 막아줌으로써 높은 소음환경하에서 양방향 통화를 하더라도 소음은 최대한 차단된 상태에서 음성신호만을 또렷하게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된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통상, 헤드셋을 끼고서 양방향 통화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헤드셋의 양쪽 귀마개 내부에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어서 양쪽 귀로는 수신된 신호를 듣고, 마이크는 사용자의 입 앞에 설치되어 있어서 입으로부터 방출되는 음성신호를 포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주변에 높은 소음이 존재하는 장소 또는 환경하에서는 헤드셋을 사용하고 통화시, 입 바로 앞에 설치된 마이크에 음성신호와 함께 주변 소음이 입력되기 때문에 음성신호와 함께 주변 소음이 같이 증폭되어 상대방에게 전달되어지므로 상대방의 스피커에는 음성신호와 소음이 동시에 방출된다.이와 같은, 소음환경 하에서 양방향 통화를 하는 헤드셋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귀마개를 이용하여 주변 소음을 차단한다 하더라도 상대방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는 없었다.따라서, 소음이 심각한 환경에서 양방향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서로 어떠한 이야기를 하는지 명확하게 알기 어려우며, 계속적으로 재 확인을 해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또한, 헤드셋의 마이크를 입 바로 앞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입에서 방출되는 수증기가 마이크의 표면에 닿게 되고, 예컨대 차가운 외기에 마이크가 노출된 경우에 있어서는 마이크의 표면에 곧바로 결로(結露) 현상이 발생하여 마이크의 성능을 저하시키케 된다.특히, 마이크의 표면이 아주 차가워 0℃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입에서 방출된 수증기가 마이크의 표면에 얼어 붙게 되므로 마이크의 기능이 크게 저하되거나 정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러시아와 같은 추운 나라에서는 마이크를 목의 성대부분에 밀착하여 사용하는 헤드셋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의 헤드셋은 마이크의 성능이 결로현상과 결빙현상에 의하여 저하되거나 정지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성대의 진동신호를 목의 피부를 통하여 투과된 것을 포착하기 때문에 고주파 성분이 급격히 감소된 신호만을 포착하게 됨으로 인해 음색이 변하고, 심한 경우에는 음향정보의 정밀도가 떨어져 전달된 음성신호가 어떤 의미인지 쉽게 알기가 어려웠다.
또한, 이동하는 차량의 외부에서 통화를 하는 경우와 바람이 심하게 불고 있는 환경하에서 통화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바람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소음이 심하여 명확한 음성통신을 할 수가 없었다.이때, 종래에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바람을 차단하기 위해 스펀지나 솜 등을 사용하는 윈드시일드(wind shield) 또는 윈드스크린(wind screen)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 또한 한계가 있어서 바람의 속도가 높거나 차량의 이동속도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는 음성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능동 소음 통제 방식의 헤드셋이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역시 저주파 영역에서는 효과적이나 고주파 영역에서는 그 성능이 저하되어 음성주파수 대역인 1㎑ 대역에서는 소음의 감소효과가 적을 뿐만 아니라, 헤드셋을 제작 및 생산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높은 소음 환경하에서도 음향신호를 명확하게 전달하여 주며, 추운 곳에서 사용하여도 결로와 결빙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바람이 심하게 부는 곳 또는 움직이는 차량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양방향 음성통신을 하는 헤드셋은 각각의 헤드셋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설치되어서 성대의 진동신호를 마이크로 감지하여 증폭하고 전달함으로써 상대방의 스피커를 진동하게 되며 스피커의 진동은 상대방의 고막을 진동시켜 상대방이 음성을 인식하게 된다.이때, 헤드셋의 마이크가 입 바로 앞에 위치함으로써 소음·결빙 및 바람의 영향 등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는 바, 헤드셋의 마이크를 주변 소음이 도달하지 않거나 적게 도달하는 장소에 설치하고, 동시에 입에서 방출되는 수증기가 도달하지 않는 장소에 설치하며, 또 사용자가 빠르게 이동하거나 바람이 불어도 마이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곳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에 높은 소음이 존재하는 장소나 환경하에서 음성신호만을 명확하게 포착하여 전달함으로써 양방향 음성통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있다.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운 곳에서 사용시 마이크의 감도 저하를 막고,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나 또는 이동하는 차량에서 음성통신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음성통신의 효율성을 높히도록 하는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사람의 청각기관을 나타낸 단면도,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의 마이크의 음성신호 포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도6a 내지 도9b는 도5의 시험방법에 의해 측정한 마이크의 음성신호 포착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귓바퀴 2 : 외이도 3 : 고막
4a : 망치뼈 4b : 모루뼈 4c : 등자뼈4 : 청소골 5 : 유스타키오관 6 : 달팽이관7 : 세반고리관 8 : 전정기관 9 : 청신경섬유다발
10 : 헤드셋 11,12 : 귀마개 13 : 스피커
14 : 마이크 15 : 흡음재 16 : 수신용 리드선17 : 송신용 리드선 18 : 플러그 19 : 조임밴드20 : 진동자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은, 내부에 송신 및 수신장치를 구비하며, 좌우 1쌍의 귀마개를 조임밴드로 연결하여 음향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헤드셋에 있어서, 한 쪽의 귀마개 내부에는 스피커를 설치하여 상대방이 전달한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쪽의 귀마개 내부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 말을 하는 사람의 고막이 진동하는 것을 포착하여 상대방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것은 양쪽의 귀마개 내부에 모두 스피커를 설치하여 두 귀로는 소리를 듣기만 하고 마이크는 입 앞에 설치하여 성대의 진동을 포착하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한 쪽의 귀는 듣기만 하고, 다른 쪽의 귀는 신호를 포착하는데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사람이 말을 하면 성대가 진동을 하며, 성대의 진동은 입과 귀를 연결하는 유스타키오관을 통하여 자신의 고막을 진동시킨다. 이렇게 자신의 고막이 진동하게 되면 자신이 현재 어떠한 말을 하고 있는지를 스스로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진동되는 고막은 자신이 말하는 음성신호를 외이도를 통하여 밖으로 방출하게 된다.물론, 이때 외이도를 통해 방출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는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평소에 인식하기는 힘들지만, 포착된 신호의 적절한 증폭이 이루어질 경우 충분히 가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람이 말을 할 때 동반하는 고막의 진동신호를 포착하여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것인 바, 먼저 사람의 청각기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도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람의 청각기(귀)는 크게 외이(外耳), 중이(中耳) 및 내이(內耳)로 나누어진다. 외이는 귓바퀴(1)와 터널형의 외이도(2) 및 고막(3)으로 이루어져 있고, 중이는 고막(3)의 뒤쪽면을 포함하며 망치뼈(4a), 모루뼈(4b) 및 등자뼈(4c)로 구성된 청소골(ossicle:4)과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5)으로 구성되고, 내이는 달팽이관(6), 세반고리관(7), 전정기관(8) 및 청신경섬유다발(9)로 구성되어 있다.이에 따라 음원에서 방출된 음이 매질중의 파동의 전파를 통해 귓바퀴(1)에 도달된 후 외이도(2)를 통해 전달되어 고막(3)을 진동시키면, 고막(3)과 청소골(4)이 지렛대 작용을 함으로써 음압을 약 20배 정도로 높여서 달팽이관(6)의 타원창(도시하지 않음)을 가진(加振)시키게 된다.이와 같이 전달된 진동이 달팽이관(6)의 상부회랑(upper gallery)내에 차 있는 림프액내에 파동을 유발시키고, 이 파동은 상부회랑과 하부회랑을 나누고 있는 경계면중의 하나인 기저막(basilar)의 변형 및 기저막에 붙어 있는 섬모세포의 움직임을 촉발시킨다.기저막에 변형이 발생되면, 상·하부회랑을 구획하고 있는 기저막과 라이스너막(reissner membrane) 사이에서 보호되고 있는 코르티기관(organ of corti)에 있는 섬모의 운동을 유발시키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섬모세포에 전기적 자극을 주어 청신경에 임펄스(impulse)를 주게 됨으로써 뇌에 전달하여 지각하게 된다.유스타키오관(5)은 귀 바깥쪽과 중이의 압력을 평형화시켜서 정확한 소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세반고리관(7)과 전정기관(8)은 초저주파 소음의 전달과 인체의 자세 및 진동에 따른 인체의 평형을 담당한다.한편, 사람이 말을 할 때 성대의 진동은 입속의 공기를 진동시키며, 이 입속 공기의 진동이 음성신호로서 외부에 방출된다. 이때, 입을 통해 방출되는 음성신호와 함께 유스타키오관(5)을 통해서도 음성신호를 방출하게 되어 고막(3)이 동시에 진동을 하게 된다.즉, 중이는 유스타키오관(5)을 통해서 입의 내부로 연통되어 있는 바, 성대의 진동에 기인한 입속 공기의 진동이 중이를 진동시키고, 중이내의 공기진동이 고막(3)의 진동을 유발함으로써 자신이 현재 어떠한 말을 하고 있는지를 스스로 확인하게 되며, 따라서 말을 할 때 발생되는 고막(3)의 진동이 외이도(2)를 통해서도 밖으로 동시에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특히, 고막(3)은 유스타키오관(5)의 한쪽 끝에 붙어 있는 매우 얇은 피부로된 막으로서, 질량이 작으면서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이내의 공기 진동에너지로 진동을 유발하기에 충분하며, 유발된 고막(3)의 진동은 관(pipe)형의 외이도(2)를 통해 손실없이 방출된다.본 발명은 이와 같이 외이도(2)를 통해 밖으로 방출되는 고막(3)의 진동을 포착하여 음성신호를 송출하게 된다.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소음이 저감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10)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귀마개(11)(12)의 내부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즉, 도면에서 오른쪽의 귀마개(11) 내부에는 스피커(13)가 설치되어 있고, 왼쪽의 귀마개(12) 내부에는 마이크(14)가 설치되어 있다.마이크(14)는 바람직하기로 귓구멍, 즉 외이도(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절히 돌출된 니플(nipple) 형태의 흡음재(15) 선단부 내에 설치되어 헤드셋(10)을 착용하는 사람의 외이도(2)내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삽입된다.흡음재(15)는 여러 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삽입시 외이도(2)를 압박하지 않고 삽입될 수 있으면서도 소정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예컨대 발포성수지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마이크(14)에서 포착된 음성신호는 송신용리드선(17)을 통하여 증폭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져 적절히 증폭된 뒤 상대방에게 전송되며, 스피커(13)는 수신용리드선(16)을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받아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송신용리드선(17)과 수신용리드선(16)은 1개의 플러그(18)를 통해 송수신기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이와 같이 구성된 2개의 귀마개(11)(12)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조임밴드(19)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보통 조임밴드(19)를 머리에 걸쳐서 사용하게 되는데, 조임밴드(19)는 주변의 소음이 귀마개(11)(12)의 내부로 입력되지 못하도록 양쪽의 귀마개(11)(12)가 사용자의 귀를 감싸면서 밀착되게 머리에 착용되어진다.
한편, 도3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스피커(13) 대신에 진동자(20)를 설치한 구성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스피커(13) 대신에 진동자(20)를 사용한 것은 음성신호가 골도(骨道)를 거쳐서 청신경에 도달하도록 한 것으로, 진동자(20)는 외이도(2)에 적절히 삽입될 수 있도록 니플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피커(13) 대신에 진동자(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2가지의 장점을 갖는다.첫째, 스피커(13)와 마이크(14)를 가까이 설치하면 스피커(13)에서 방출되는 음성신호가 다시 마이크(14)로 입력되어 마이크(14), 증폭기 그리고 스피커(13)가 폐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는 하울링(houl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스피커(13)와 마이크(14)를 사용하는 경우에 증폭기의 증폭도를 너무 많이 높이게 되면, 스피커(13)에서 방출된 소리가 사람의 머리를 투과하여 반대쪽에 설치된 마이크(14)에 도달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하울링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귀가 큰 소음에 노출되게 된다.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피커(13) 대신에 진동자(20)를 사용하면, 청신경에서 음성신호를 감지하되 진동자(20)의 진동이 음향신호가 아니기 때문에 마이크(14)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둘째, 진동자를 사용하는 경우 청각에 장애가 존재하는 사람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셋(10)을 사람의 머리(head)에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조임밴드(19)의 탄성에 의해서 흡음재(15)내에 지지된 마이크(14)가 한쪽 귀의 고막(3) 앞에 위치한 외이도(2)에 삽입되고, 스피커(13)가 다른쪽 귀의 귓바퀴(1)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물론, 이때 양쪽 귀의 귓바퀴(1)들은 헤드셋(10)의 각 귀마개(11)(12)로 둘러싸이게 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되고, 따라서 주변 소음의 침입이 최대한 억제되게 된다.이 상태에서, 고막(3)이 유스타키오관(5)을 통해 전달되는 성대의 진동에 의하여 진동하면 그 진동신호가 외이도(2)를 따라 밖으로 전달되며, 이때 외이도(2)에 삽입된 마이크(14)에서 그 신호를 포착하여 송신용리드선(17)을 통하여 증폭기로 보내주게 된다.이때, 흡음재(15)는 마이크(14)를 지지하여 외이도(2)에 삽입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외이도(2)내에서 음이 산란되는 것을 막으며, 동시에 마이크(14)가 외이도(2)에 닿게 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도 줄일 수 있다.
또한, 귀바퀴(1)와 흡음재(15) 그리고 마이크(14)는 귀마개(12)로 둘러싸여 있어서 주변의 소음이 입력되려면 귀마개(12)의 투과손실과 흡음재(15)의 투과손실을 합한 것 만큼의 감소가 된 상태에서 마이크(14)에 입력되기 때문에 고막(3)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크게 입력되는 반면, 주변에서 입력되는 소음은 대략 32㏈ 정도의 투과손실에 의한 감소를 하게 됨으로 소음은 작게 입력된다.특히, 고막(3)의 진동신호는 성대의 진동신호와 거의 유사하며 고주파 성분이 약간 감소하기는 하나, 다른 어떤 방법보다도 명확하게 음성을 전달하면서 주변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헤드셋(10)은 마이크(14)가 외이도(2) 내에 설치되어 있고 귀마개(12)에 의하여 보호되기 때문에 입김이 도달하지도 않고, 바람이나 빠른 이동에 의한 영향도 받지 않게 되어 여러 환경에서 사용한다 하더라도 그 장점을 발휘하게 된다.한편,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헤드셋(10)에 있어서, 고막(3)의 진동을 포착하여 송신하는 마이크(14)의 음성신호 포착성능을 검사하기 위해 입에서 방출되는 소리를 포착하는 마이크의 음성신호 포착성능과 비교 실험하였다.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이도(2)에 삽입되는 제2마이크(M2)를 리테이너박스(R)의 삽입구멍(H)내에 설치하여 돌출시키고 차단벽(W)과 복수층의 흡음재(S1,S2)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고, 리테이너박스(R)의 한쪽에 형성된 삽입구멍(H)에 실험자의 한쪽 귓바퀴(1)를 집어넣어 제2마이크(M2)가 외이도(2)에 삽입되도록 하였으며, 실험자와 리테이너박스(R) 사이에는 패드(P)를 개재하여 밀착시켰다.그리고, 제1마이크(M1)를 실험자의 입 근처에 위치시켜 각 마이크(M1)(M2)를 채널1 및 채널2로 설정하여 A/D변환기(T)에 연결하고, 이 A/D변환기(T)를 컴퓨터 (C)에 연결하여 실험자가 말을 할 때 입에서 방출되는 음성신호와 유스타키오관(5)을 거쳐 고막(3)을 진동시킴으로써 외이도(2)를 통해 방출되는 음성신호를 동시에 측정 분석하였다. 물론, 각 마이크(M1)(M2)는 동일한 감도를 갖는 것이 사용되었다.측정은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해 A, B 2명의 실험자에 대해 동일한 조건으로 각각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6a 내지 도9b에 나타내었다.도6a 내지 도9b의 도면에서, 각 도의 a는 제1마이크(M1) 및 제2마이크(M2)가 각각 포착한 실험자의 음성신호를 나타내고, b는 포착된 음성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FFT)에 의해 시간정보를 주파수정보로 변환시킨 해당 음성신호의 주파수 분석결과를 나타내고 있다.또한, 도6a 내지 도9b의 도면에서, 각 도의 위쪽 그래프는 실험자의 입 앞에서 음성신호를 포착한 제1마이크(M1)의 신호와 주파수이며, 아래쪽 그래프는 실험자의 외이도(2)내에서 음성신호를 포착한 제2마이크(M2)의 신호와 주파수이다.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서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한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제2마이크(M2)의 음성신호 크기가 전체적으로 작아진 것을 알 수 있다(세로축 스케일 확인).그러나, 이러한 신호크기의 감소는 전기회로(증폭기)를 이용하여 증폭하면 다시 커지기 때문에 음성신호의 전달에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으며, 중요한 것은 신호의 왜곡이다.이와 같은 음성신호의 왜곡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마이크(M1)(M2)에서 포착한 음성신호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저주파 영역인 그래프의 왼쪽은 2개의 마이크(M1)(M2)에 포착된 음성신호 크기가 거의 동일하나, 약 3㎑ 영역이상의 신호에서는 외이도(2)에 삽입된 제2마이크(M2)에서 포착된 음성신호 크기가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그러나, 이와 같은 고주파 대역은 실제로 대화를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역이 아니므로 음성통신용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만약, 3㎑이상의 대역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는 그 영역만을 증폭해 주는 전기회로(밴드패스필터 이용)를 사용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신호를 보강하여 간단히 해결해 줄 수 있다.예컨대, 3㎑는 여성의 고음신호 중에서도 높은 음에 해당되므로 일반적인 음성영역인 300~3,400㎐의 일부에 지나지 않아, 사실상 별도의 보상을 실시하지 않아도 음성의 포착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유선에 의해 신호를 주고 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의 목적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예를 들어,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증폭기에 송수신기를 설치하여 무선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조임밴드 없이 각각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폰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마이크가 부착된 쪽의 귀마개만을 사용하여 송신용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이러한 헤드셋이 사용될 수 있는 곳은 전투용 차량내 음성통신, 발전소와 시끄러운 공장내의 통신, 바람이 부는 야외, 달리는 차량내에서의 음성통신, 지하철 내의 핸드폰 통신, 그리고 추운 지방에서의 양방향 음성통신에 있어서는 그 효용이 크다고 판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에 의하면, 주변에 높은 소음이 존재하는 곳에서 음성신호만을 명확하게 포착하여 전달함으로써 양방향 음성통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또한, 추운 곳에서 사용시 마이크의 감도의 저하를 막고,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 또 이동하는 차량에서 음성통신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음성통신의 효율성을 높혀주게 된다.그러므로 본 발명은,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의 통신효율 및 신뢰성 향상과 코스트 절감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내부에 송신 및 수신장치를 구비하며, 좌우 1쌍의 귀마개를 조임밴드로 연결하여 음향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헤드셋에 있어서, 한 쪽의 귀마개 내부에는 스피커를 설치하여 상대방이 전달한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쪽의 귀마개 내부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 말을 하는 사람의 고막이 진동하는 것을 포착하여 상대방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
  2. 내부에 송신 및 수신장치를 구비하며, 좌우 1쌍의 귀마개를 조임밴드로 연결하여 음향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헤드셋에 있어서, 한 쪽의 귀마개 내부에는 진동자를 설치하여 상대방이 전달한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쪽의 귀마개 내부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 말을 하는 사람의 고막이 진동하는 것을 포착하여 상대방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가 외이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이크를 니플형태의 부드러운 흡음재로 감싸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
KR1020000008342A 2000-02-21 2000-02-21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 KR100366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342A KR100366065B1 (ko) 2000-02-21 2000-02-21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342A KR100366065B1 (ko) 2000-02-21 2000-02-21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573A KR20000024573A (ko) 2000-05-06
KR100366065B1 true KR100366065B1 (ko) 2002-12-26

Family

ID=1964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342A KR100366065B1 (ko) 2000-02-21 2000-02-21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946B1 (ko) * 2011-02-14 2011-10-04 김복겸 청력보호용 무선 헤드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210A (ko) * 2000-02-01 2001-08-17 서승정 귀마개 기능을 구비한 알에프송수신기 장치
CN106028224A (zh) * 2016-07-21 2016-10-12 苏州登堡电子科技有限公司 内置耳塞式降噪耳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946B1 (ko) * 2011-02-14 2011-10-04 김복겸 청력보호용 무선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573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048B2 (en) Controlling own-voice experience of talker with occluded ear
US7983433B2 (en) Earset assembly
US6671379B2 (en) Ear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CN101208992B (zh) 具有增强的高频响应的助听系统
JP4850524B2 (ja) 発振・エコーキャンセラーシステム
US20150023542A1 (en) Earphone Microphone
CN107005757B (zh) 用于减轻耳机中的自身话音阻塞的设备和方法
JP2008283326A (ja) イヤホーンマイク
JP2017125937A (ja) 音声信号処理装置
US10582291B2 (en) Wireless hearing device
JP2013038455A (ja) 騒音抑制イヤホンマイク
GB2429600A (en) Low-noise transmitting receiving earset or earpiece
JP3091406U (ja) 伝導性聴力障害および衝撃ノイズの無いイヤホン
JPH0626328U (ja) トランシーバ
CN110100456B (zh) 声音收集装置
JPH0879873A (ja) 通信端末
JPH11215581A (ja) 骨導ヘッドセット
KR100366065B1 (ko) 소음이 감소되는 양방향 통화용 헤드셋
KR200426390Y1 (ko)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
KR20120000147A (ko) 방음 마이크 헤드셋
JPH0630490A (ja) イヤーセット型送受話器
KR20080088015A (ko) 소음이 감소되고 하울링이 방지되는 음성통화용 송수화기
JPH04172794A (ja) 外耳道で骨伝導音声をピックアップする装置及び通話装置
RU222990U1 (ru) Стереогарнитура с бинауральным звуком
JP2014143582A (ja) 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