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994B1 - 바닥난방방법및바닥난방에사용하는방열관 - Google Patents

바닥난방방법및바닥난방에사용하는방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994B1
KR100365994B1 KR1019970046599A KR19970046599A KR100365994B1 KR 100365994 B1 KR100365994 B1 KR 100365994B1 KR 1019970046599 A KR1019970046599 A KR 1019970046599A KR 19970046599 A KR19970046599 A KR 19970046599A KR 100365994 B1 KR100365994 B1 KR 10036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inner tube
heater cable
floo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515A (ko
Inventor
야스오 쿠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쿠리타 코오교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쿠리타 코오교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쿠리타 코오교오
Publication of KR1998002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난방 방법 및 바닥 난방에 사용하는 방열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공기층을 마련하면서 히터 케이블을 유동성있게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방열관을, 바닥밑의 소정위치에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히터 케이블을 유동성있게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내관과, 이 내관을 둘러싸는 외관과, 내관과 외관과의 사이를 중공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층으로 이루어지는 방열관을, 바닥밑의 소정위치에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바닥 난방에 사용하는 방열관은 히터 케이블을 유동성있게 삽입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내관과, 이 내관과의 사이에 중공부를 가지면서 둘러싸는 외관을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효과는, 시공현장에서의 작업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단기간에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지수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바닥 난방 방법 및 바닥 난방에 사용하는 방열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 난방 방법 및 바닥 난방에 사응하는 방열관
본 발명은, 바닥 난방을 위한 방법과, 바닥 난방을 위해 사용하는 방열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닥 난방 방법 또는 바닥 난방장치에 있어서는, 바닥밑에 배설된 가늘고 긴 심레스 파이프(seamless pipe:이음매가 없는 파이프)내에 가열한 열매체액을 순환시키는 것, 또는 바닥밑에 배설된 히터 케이블에 통전시키는 것이 있다. 그리고, 열매체액을 순환시키는 것에 있어서는, 우선 열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심레스 파이프와, 이 심레스 파이프를 바닥밑에 배설하기 위한 매설 패널에 의해, 바닥밑에서의 열매체액의 순환로가 마련되고, 심레스 파이프 내의 열매체액을 가열하기 위해서, 상기의 순환로의 외측으로는 보일러를 마련함과 아울러, 순환로의 도중에는 열매체액을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히터 케이블에 의한 것에 있어서는, 이 배설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콘크리트에 의해 바닥면을 구성해야만 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바닥 난방 방법 및 바닥 난방장치 중, 열매체액을 순환시키는 것에 있어서는, 가열한 열매체액이 심레스 파이피 내를 순환하는 동안에 온도가 서서히 저하하기 때문에, 순환로의 전반(보일러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열매체액이 통과하는 부분의 바닥은 고온이 되지만, 순환로의 후반(보일러보다 먼 위치) 에서는 열매체액이 통과하는 부분의 바닥은 온도가 올라가지 않고, 바닥면 전체를 균일하게 따뜻하게 할 수가 없었다. 또한, 심레스 파이피 내의 열매체액을 강제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해서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순환로가 긴 경우나 열매체액이 점성을 갖는 물질인 경우에는, 대형의 펌프가 필요하게 됨과 아울러, 소형의 펌프로는 부담이 커져서, 유지에 많은 비용을 요하고 있다. 또한, 열매체액을 가열하기 위해서 보일러가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보일러에 의한 가열은, 가열될 열매체액이 저장되어 있는 탱크전체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순환하지 않는 열매체액도 포함한 가열이 되기 때문에 손실되는 열에너지가 많고, 또 순환로까지의 도중에서도 열이 방출되고, 이것도 또한 열에너지를 손실하게 됨으로써, 런닝 코스트가 높았다. 게다가, 바닥밑에 마련할 심레스 파이프로서는, 동제(銅製)의 관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것을 수작업에 의해 만곡 또는 절곡시키면서 순환로를 구성해야만 하고, 심레스 파이프의 배설작업에는 숙련된 기술을 요함과 아울러 장시간을 요하고, 바닥 난방공사 전체가 장기화하기 때문에 시공비용도 싸지 않았다.
한편, 히터 케이블에 의한 것에 있어서는, 명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히터 케이블에서 방출되는 열이 바닥면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원하는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예정하는 온도에서의 난방이 곤란하였다. 또한,온도의 상승에만 집착하여 히터 케이블의 전압이나 전류를 크게 하면, 많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런닝 코스트가 아주 비싸졌다. 또한, 히터 케이블은 배설되는 위치를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하기 때문에, 바닥면이 콘크리트에 의해 마무리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주택에서 채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출원인은, 일본특허출원 평7-121449호에서 이미 출원한 바와 같이, 이중관 구조체를 사용하는 바닥 난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이중관 구조체를 평행하게 배설하고, 이 이중관 구조체의 내부공간을 연속시킴과 아울러, 이 내부공간에 물 또는 열매체액을 봉입하고, 이중관 구조체를 구성하고 있는 내관의 내부에 발열체를 관통삽입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이전의 바닥 난방에 비교하여 시공이 용이해졌지만, 시공현장에서의 작업량이 아직 많은 것은 부정할 수 없고, 증개축 등의 단기간의 시공이 필요한 경우 등에는 대응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이중관 구조체의 내부공간에 물 등을 봉입하기 위해, 충분한 지수(止水)를 해야만 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모든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공현장에서의 작업량을 감소시킴으로씨 단기간에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지수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바닥 난방 방법 및 바닥 난방에 사용할 수 있는 방열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층을 마련하면서 히터 케이블을 유동성있게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방열관을, 바닥밑의 소정위치에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 방법을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 케이블을 유동성있게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내관과, 이 내관을 둘러싸는 외관과, 내관과 외관과의 사이를 중공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층으로 이루어지는 방열관을, 바닥밑의 소정위치에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 방법을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 케이블을 유동성있게 삽입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내관과, 이 내관과의 사이에 중공부를 가지면서 둘러싸는 외관을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에 사용하는 방열관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에, 모래를 봉입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중공부에, 입자형 돌을 봉입시켜서 이루어지는 것, 모래와 입자형 돌의 혼합물을 봉입시켜서 이루어지는 것,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내관 및 외관중, 적어도 한쪽이 동관(銅管)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 난방 방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방열관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방열관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는 방열관의 다른 실시형태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방열관
2:히터 케이블
3:전원
4,5:패널
6,7:홈
11:내관
12:외관
13:입자형 돌
14:공기층
15,16:방열관 양단
17,18:내관 양단
19,20:외관 양단
A:방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바닥 난방 방법의 실시형태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으로, 바닥 난방을 설치할 방(A)의 소정범위에, 방열관(1a,1b,1c,1d…1z)을 평행한 상태로 배설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방열관(1a,1b,1c,1d…1z)에는 히터 케이블(2)이 유동성있게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이 히터 케이블(2)은 연속된 것을 제1열째(도면의 좌측단)의 방열관(1a)부터 순서대로 관통삽입하고, 최종열(도면의 우측단)의 방열관(1z)에 이르기까지 대략 웨이브형상으로 구성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히터 케이블(2)에 통전시킴으로써, 그 열이 각 방열관(1a,1b,1c,1d…1z)을 통하여 바닥면에 전해지고, 방(A)의 소정범위에 서의 난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히터 케이블(2)에는 통전을 취한 전원(3)이 접속되어 있고, 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와 컨트롤러가 접속되더 있으며, 스위치에 의해 통전을 개시시킨 후 전원(3)의 입절(入切)이 조절되어 난방온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 조절에 있어서는, 온도센서에 연동하는 제어장치에 의해 관리시키는 것도가능하다. 또한, 방(A)의 바닥밑에 있어서 그 전범위에 방열관 (1a,1b,1c,1d…1z)을 배설하는 것이 아니라, 끝이나 구석 등의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제외된다. 그리고, 따뜻하게 할 것을 예정하는 범위에 정사각형의 패널(4)이나 직사각형의 패널(5)을 깔고, 이 패널(4,5)의 홈(6,7)에 방열관 (1a,1b,1c,1d…1z)을 끼워서 결합시킴으로써, 소정위치에 배설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방열관(1)의 내부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열관(1)은 내관 (11)과 외관(12)애 의한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고, 내관(11)에는 히터 케이블(2)을 유동성있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관(11)과 외관(12)의 사이는 중공으로 되어 있다. 이 중공내에는 입자형 돌(13)이 봉입되어 있고, 이 입자형 돌(13)이 내관(11)의 주변에 배치되어, 내관(11)을 외관(12)의 중심부근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히터 케이블(2)이 내관(11)에 의해 외기와 차단되고, 내관(11)의 내부에서 방출한 열을 놓치지 않고 내관(11)에 전할 수 있고, 이 내관(11)에 전해진 열은 입자형 돌(13)을 가열하면서 내관(11)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되는 입자형 돌(13)도 외관(12)에 의해 외기와 차단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열을 흡수한 후, 외관(12)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관(12)으로부터 열이 방출되고, 이 열에 의해 바닥밑으로부터 난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히터 케이블(2)은, 내관(11)의 내부에 유동성있게 삽입되어 있고, 이 둘은 밀착하지 않고 약간의 공기층(14)을 가지고 있다. 이 공기층(14)은, 히터 케이블(2)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내관(11)에 빨리 전하지 않고, 내관(11)내를 충분히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고, 히터 케이블(2)의 표면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바닥 난방에서 사용하는 방열관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방열관(1)은, 동제의 내관(11)과 외관(12)를 양단부근(15,16)에서 접속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내관(11)의 내경은, 히터 케이블(2)을 유동성있게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고, 양단(17,18)을 개구시켜서 히터 케이블(2)을 용이하게 삽입통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관(12)은 내관(11)을 둘라싸도록 마련됨과 아울러, 내관(11)과의 사이에서 중공부 (13)을 구성하고 있다. 방열관(1)의 양단 부근(15,16)에서의 내관(11)과 외관(12)의 접속은, 용접에 의해 간이하게 이루어져 있고, 중공부(13)를 밀폐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즉, 단순히 내관(11)과 외관(12)을 일체화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중공부(13)에 모래 등을 봉입시킬 때는 해당 모래가 넘쳐 흐르지 않을 정도의 기밀성 (氣密性)이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외관(12)의 양단(19,20)은, 미리 도시한 바와 같이 내관(11)에 접촉하는 크기로 개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개구단 (19,20)을 내관(11)의 외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용접함으로써, 일체적인 이중구조의 방열관(1)을 구성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 외에, 내관(11)을 외관(12)내에 삽입한 후, 외관(12)의 개구단(19,20)을 기계적으로 변형시키고, 내관(11)의 외표면에 접촉시켜도 좋으며, 이때 상기와 마찬가지로 용접하는 경우와 상기 개구단 (19,20)의 변형에 의해 압착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어느 쪽의 수단에 의해서도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중공부(13)는 중공의 상태여도 좋지만, 모래, 입자형 돌, 모래와 입자형 돌의 혼합물, 또는, 콘크리트 등을 봉입할 수 있고, 이들 봉입물에 의해 바닥면 온도의 가열 또는 냉각속도를 바닥 난방에 알맞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닥 난방에서 사용하는 방열관의 제2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는, 외관(112)의 내부에 내관(111)이 삽입된 상태에서, 두 관(111,112)의 사이를 콘크리트(113)에 의해 고정시킨 것으로, 내관 (111)과 외관(112)은 일체적으로 구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콘크리트 (113)는 고화함으로써 유동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112)의 양단(119,120)을 내관 (111)과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113)가 내관(111)과 외관 (112)의 접착제로서도 기능하고, 이 콘크리트(113)만에 의해서 두 관(111,112)을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내관(111)의 양단(117,118)은, 콘크리트(11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켜서 개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의 양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내관(11,111) 또는 외관(12,112)의 한쪽만을 통제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중공부(13)를 공동으로 한 상태(모래 등을 봉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전도율이 좋은 재질의 내관(11)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면, 내관(11)을 생략하고 외관(12)내에 히터 케이블(2)을 삽입통과시킨 경우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바닥 난방 방법에 의해 바닥의 표면이 어떤 상태에서 변화하는가를 실험하였다. 실험을 위해 세트한 바닥 난방의 구조는, 다음의 2종류이다.
① 외경 15.88mm의 동제의 관내에 직경 5.4mm의 히터 케이블을 삽입통과하고, 이를 발포 스티롤제의 패널에 마련한 홈을 따라 150mm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와 같이 늘어선 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두께 0.6mm의 아연 도금 철판을 빈틈없이 깔고, 그 위에 두께 15mm의 플로링(flooring)재를 늘어놓았다.
② 외경 9.52mm의 동제의 내관의 내부에 직경 5.4mm의 히터 케이블(①과 동일한 것)을 삽입통과시키고, 또한 내관과 히터 케이블을 외경 22.30mm의 동제의 외관에 삽입통과하고,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 생기는 중공부분에 입자형 돌(자갈)을 채워넣고, 이들 전체를 발포 스티롤제의 패널에 마련한 홈을 따라 150mm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와 같이 늘어선 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두께 0.6mm의 아연 도금 철판을 빈틈없이 깔고, 그 위에 두께 15mm의 플로링(flooring)재를 늘어놓았다.
또한, 실험에 있어서는, 산부 하네우에루 가부시끼 가이샤(山武
Figure pat00009
株式會社)제의 서미스터 센서 CN756A100을 사용하여, 관의 상측표면온도를 측정하면서 히터 케이블의 통전 또는 정지를 반복하고, 해당 온도를 소정범위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였다. 이때의 온도변화와 플로링재(바닥)의 표면온도를 오요덴시고교가부시끼 가이샤(應用電子工業株式會社)제의 타점기록계 UT187-16-12로 기록하였다. 또한, 플로링재(바닥)의 표면온도는, 관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바닥 온도 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관의 중간에 위치하는 부분(바닥 온도2)의 2개소에서 측정하여, 플로링재(바닥)의 표면온도의 불균일을 알 수 있도록 측정하였다.
상기 ①의 세트에서의 결과는 표1과 같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표1의 결과에서, 바닥온도 1와 바닥온도 2의 온도차는 약 1도이며, 또한 플로링재(바닥) 표면의 온도는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어, 바닥 난방에 적합한 것을 알수 있다. 또한, 서미스터 센서에 의한 히터 케이블의 통전과 정지가 약 6분간격으로 반복되고, 통전개시에 의한 관의 표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데, 그만큼 상승이 빠르다고 할 수 있다. 또한, ①의 세트에 있어서는, 관 또는 히터 케이블의 온도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히터 케이블의 통전을 정지하면, 우선 관표면의 온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플로링재(바닥) 표면의 온도가 크게 변화하기 전에 히터 케이블을 통전시킬 수 있으므로, 온도제어가 비교적 간단하다.
또한, 상기 ②의 세트에서의 결과는 표2와 같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표2의 결과에서, 바닥온도 1와 바닥온도 2의 온도차는 약 1도이며, 또한 상기 표1과 비교하면 온도상승중에도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상기 ①의 세트에 의한 실험보다도 바닥 난방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미스터 센서에 의한히터 케이블의 통전과 정지가 약 10분 가까운 간격으로 반복되고 있고, 온도변화가 완만해져셔, 보다 바닥 난방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잔표면의 온도와 플로링재(바닥)의 표면의 온도의 간격이, 상기 표 1보다도 접근되어 있고, 히터 케이블에서 나오는 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기층을 마련하면서 히터 케이블을 유동성있게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방열관을, 바닥밑의 소정위치에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 방법을 요지로 하므로, 우선 방열관내의 공기층에 의해 히터 케이블을 보온할 수 있고, 이 보온에 의해 히터 케이블 표면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효율적으로 히터 케이블로부터의 발열을 얻어내, 공기층이 충분히 고온이 되었을 때 방열관에서 바닥밑으로 열을 전달하여 바닥 난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바닥 난방장치의 설치작업은 간단해지고, 단기간에 공사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물이나 열매체액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지수를 위한 봉입(seal)구조가 필요없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 케이블을 유동성있게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내관과, 이 내관을 둘러싸는 외관과, 내관과 외관의 사이를 중공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층으로 이루어지는 방열관을, 바닥밑의 소정위치에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 방법을 요지로 하므로, 내관에서 히터 케이블을 보온하고, 내관의 온도가 상승하면 그 외측으로 존재하는 중공층의 공기를 가열하게 되고, 이 중공층의 공기가 외관에 열을 전달하여 바닥밑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 케이블을 유동성있게 삽입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내관과, 이 내관과의 사이에 중공부를 가지면서 둘러싸는 외관을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바닥 난방에 사용하는 방열관을 요지로 하고 있으므로, 미리 따뜻하게 할 범위의 바닥밑에, 내관과 외관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방열관을 배치하여 둠으로써, 마무리로서 히터 케이블을 내관의 내부에 삽입통과시키면 되고, 아주 간단한 작업에 의해 바닥 난방의 설치공사를 할 수 있다. 또한, 방열관은 내관과 외관이 일체로 된 막대기형이 되므로, 염화비닐관이나 철관(鐵管)과 같이 운반할 수 있고, 작업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미리 여러 종류의 길이를 준비해 둘 수도 있으므로, 예를 들면 8첩(帖)용이라든지 6첩용이라든지 하는 방열관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에 모래를 봉입시켜서 이루어짐으로써, 내관에서 방출되는 열이 중공부의 모래에 의해 일단 흡수되고, 히터 케이블의 통전이 정지되고 내관온도가 정지할 때, 모래로부터의 방열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닥밑의 온도 나아가서는 바닥면의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에 입자형 돌을 봉입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의 모래를 봉입한 경우와 비교하면, 중공부내의 공기의 양이 약간 많아지고, 입자형 돌로 흡수되는 열의 양*은 적어진다. 또한, 모래와 입자형 돌의 혼합물을 봉입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은, 상기의 중간적인 상태가 된다. 또, 중공부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는, 타설된 콘크리트 그 자체에는 축열효과가 있기 때문에, 모래나 입자형 돌을 봉입한 경우와는 다르고, 내관에서 방출되는 열을 저장하면서 외관으로 전달하고, 방열관전체의 온도의 변화가 원만한 것이 된다. 그리고, 상기 내관 및 외관중, 어느 한쪽을 동관으로 하면 방열관의 내부에만 열이 축적됨으로써 히터 케이블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 히터 케이블의 온도와 바닥면의 온도와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온도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Claims (6)

  1. 내관에 히터 케이블을 여유있게 삽입하는 단계,
    상기 내관을 상기 내관의 외측에 상기 내관과 이격되게 외관으로 둘러싸서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중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공 내에 모래를 봉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히터 케이블, 상기 내관, 상기 외관으로 이루어진 방열관을 바닥 밑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닥 난방 방법.
  2. 히터 케이블의 전원을 온도 센서와 결합되어 작동하는 제어 장치로 제어함으로써 난방 온도를 조절하는 바닥 난방 방법으로서,
    내관에 히터 케이블을 여유있게 삽입하는 단계,
    상기 내관을 상기 내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외관으로 둘러싸서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중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공 내에 모래를 봉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히터 케이블, 상기 내관, 상기 외관으로 이루어진 방열관을 바닥 밑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닥 난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히터 케이블의 전원이 온도 센서와 연관되어 작동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난방 온도를 조절하며, 상기 내관 및 외관 중 적어도 한쪽이 동관인 바닥 난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및 외관 중 적어도 한쪽이 동관인 바닥 난방 방법.
  5. 제1 직경을 갖는 내관,
    상기 내관의 외측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관과의 사이에 중공을 형성하는 외관,
    상기 내관에 여유있게 삽입되는 히터 케이블, 그리고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모래 층
    을 포함하는 바닥 난방용 방열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및 외관 중 적어도 한쪽이 동관인 바닥 난방용 방열관.
KR1019970046599A 1996-09-27 1997-09-10 바닥난방방법및바닥난방에사용하는방열관 KR100365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693996A JP3217711B2 (ja) 1996-09-27 1996-09-27 床暖房方法及び床暖房に使用する放熱管
JP96-256939 1996-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515A KR19980024515A (ko) 1998-07-06
KR100365994B1 true KR100365994B1 (ko) 2003-03-15

Family

ID=1729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599A KR100365994B1 (ko) 1996-09-27 1997-09-10 바닥난방방법및바닥난방에사용하는방열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18138A (ko)
EP (1) EP0833111B1 (ko)
JP (1) JP3217711B2 (ko)
KR (1) KR100365994B1 (ko)
CN (1) CN1100965C (ko)
AT (1) ATE241115T1 (ko)
AU (1) AU723576B2 (ko)
CA (1) CA2216405A1 (ko)
DE (1) DE6972212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983B2 (en) 1998-02-11 2003-09-16 Tyco Thermal Controls Nordic Aktiebolag Floor heating device with self-regulating cable
IL154234A (en) * 2003-01-30 2010-12-30 Mosai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c power on local telephone lines
ES2238901B1 (es) * 2003-04-28 2006-12-01 Luis Velez Diaz Radiador con arena.
US8161611B2 (en) * 2009-05-05 2012-04-24 Dimambro Dominic A Tool for installation of tubing in flooring
FR2949545B1 (fr) 2009-08-28 2014-09-26 Financ Yves Judel Soc Radiateur electrique a accumulation et/ou a inertie
FR2949544B1 (fr) * 2009-08-28 2012-06-08 Financ Yves Judel Soc Radiateur electrique a accumulation
JP5311162B1 (ja) * 2012-06-21 2013-10-09 株式会社フジクラ 部品実装基板の製造方法
KR101862668B1 (ko) * 2017-02-28 2018-07-04 (주)온돌라이프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신체밀착형 난로
CN109324078B (zh) * 2018-12-07 2020-12-15 黑龙江省能源环境研究院 一种用于建材挥发性检测的温度控制方法
CN109613216B (zh) * 2019-02-25 2022-09-06 黑龙江蔚风环境检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土壤内水分连续性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13738064A (zh) * 2021-09-30 2021-12-03 中建五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结构地坪保温结构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293A (en) * 1930-03-28 1935-10-22 Williams Stanley Austen Electrical heating system
US3069522A (en) * 1960-10-07 1962-12-18 Frederick W Jamison Heater element for embedment in a mastic slab
GB988476A (en) * 1962-06-05 1965-04-07 Cufflin Holdings Ltd Underfloor electric heating system
DE1927492A1 (de) * 1969-05-30 1970-12-03 Elektro Heinze Fa Verfahren zum Verlegen einer Elektro-Fussboden-Speicherheizung
CH553383A (de) * 1972-06-29 1974-08-30 Exro Ag Vorfabriziertes flach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CH606925A5 (ko) * 1975-08-21 1978-11-30 Elias Jiri
JPH07121449A (ja) 1993-10-27 1995-05-12 Ricoh Co Ltd 二重化システ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924397A (en) 1998-04-02
DE69722120T2 (de) 2004-04-08
EP0833111B1 (en) 2003-05-21
CN1185569A (zh) 1998-06-24
JPH10103695A (ja) 1998-04-21
US6018138A (en) 2000-01-25
ATE241115T1 (de) 2003-06-15
KR19980024515A (ko) 1998-07-06
CA2216405A1 (en) 1998-03-27
CN1100965C (zh) 2003-02-05
EP0833111A2 (en) 1998-04-01
EP0833111A3 (en) 1999-05-12
DE69722120D1 (de) 2003-06-26
AU723576B2 (en) 2000-08-31
JP3217711B2 (ja) 200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994B1 (ko) 바닥난방방법및바닥난방에사용하는방열관
JPH10306926A (ja) 電熱温水管による暖房方法及びその装置
US4962884A (en) Heat accumulating type electric underfloor heating system having upper and lower cavities and a method for heating the same
KR950013659B1 (ko)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JP3012352U (ja) 屋根融雪装置
DE19819230A1 (de) Heizvorrichtung für einen Raum
JPH0437177Y2 (ko)
JPS5986851A (ja) 熱交換器
KR102660053B1 (ko) 공동주택용 난방 바닥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공법
KR870001323B1 (ko) 축열 난방장치
JP2003042463A (ja) 家屋の床冷暖房構造
JP2810326B2 (ja) 極低温貯蔵庫の周辺地盤の凍結防止設備
KR200321237Y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축열식 난방패널
KR200249470Y1 (ko) 온돌의방열구조
JPH0820195B2 (ja) 蓄熱装置
KR20040052549A (ko) 히트파이프를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JPH09324924A (ja) 床暖房システムの二重管構造部材及び接続部材
JPS6011982Y2 (ja) 冷凍倉庫の床下凍上防止装置
JPH0454825Y2 (ko)
JP2000130798A (ja) 冷暖房装置
JPH0637179Y2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
KR19980034958U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축열식 온돌 난방장치
KR20200011126A (ko) 배관 삽입용 벽돌 조립체와,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 공급 시스템 및 방법
JPH04125363U (ja) 屋根の融雪装置
JPH11280189A (ja) コンクリート等の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