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959B1 - 커넥터 핀과 이것이 배열된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핀과 이것이 배열된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959B1
KR100365959B1 KR1020010017439A KR20010017439A KR100365959B1 KR 100365959 B1 KR100365959 B1 KR 100365959B1 KR 1020010017439 A KR1020010017439 A KR 1020010017439A KR 20010017439 A KR20010017439 A KR 20010017439A KR 100365959 B1 KR100365959 B1 KR 10036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ocket
extension part
devices
upp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700A (ko
Inventor
정도수
정용현
Original Assignee
정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수 filed Critical 정도수
Priority to KR1020010017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9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와 같은 기기간에 사용되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 및 전원공급시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의 단자와 접속가능한 접속부(41)와, 접속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커넥터의 일부분인 소켓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가능한 고정부(42)와, 접속부 및 고정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부의 끝단에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43) 및, 연장부의 끝단 상부라인에 대해 한 쪽의 측방향으로 꺾여 연장부의 상부라인방향으로 형성되며 연장부의 상부라인에 대해 상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다가 끝부분에서는 하부 경사각을 갖게 형성되는 접속탄성부(44)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넥터 핀(40)이 PCB(63)가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내면에 2열로 배열된 소켓(50)에 PCB의 한 쪽이 끼워져 커넥터 핀의 접속탄성부와 접속하고, PCB의 다른 쪽에는 다수개의 케이블(64)을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어 능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핀과 이것이 배열된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Connector Pin and Socket arrayed the Connector Pin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ocket}
본 발명은 커넥터 핀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와 같은 기기간에 사용되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 및 전원공급시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중요부분인 커넥터 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 핀이 배열되어 있는 소켓과 이 소켓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커넥터는 휴대용, 가정용 및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충전기 및 핸즈프리 등과 같은 외부장치와, 핸드폰, PDA(Persoanl Digital Assistance), 전자수첩,HPC(Handheld Personal Computer) 및 TRS(Trunked Radio System)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기기 및, 계측기, 통신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등과 같은 산업용 기기 등에 사용된다.
이렇게 다양면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핀의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 핀(10)은, 상기와 같은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의 단자와 접속하는 접속부(11)와, 소켓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고정부(12) 및, 소켓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11)는 입출력부의 단자에 끼워져 접속되도록 2갈래로 형성되어 그 표면의 일부분이 도체물질로 도금처리되어 있고, 연결부(13)는 케이블과 솔더링(soldering)되어 연결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그 중간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핀이 배열된 종래기술에 따른 소켓의 평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켓(20)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핀(10)의 고정부(12)가 끼워지는 고정홈과, 커넥터 핀(10)의 접속부(11)가 위치하는 위치홈이 각각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부(11)가 위치하는 부분이 입출력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20)의 한 쪽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의 공급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소켓(20)의 각각의 홈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 핀(10)이 끼워져 고정되고, 전원공급단자는 필요에 따라 공급홈을 따라 공급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켓을 구비한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분을 분리한 평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30)는, 도 2에 도시된 소켓(20)이 끼워져 안착되는 하부 커버(31)와,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와 소켓(20)이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 스프링(32)과, 소켓(20)에 각각 배열되는 커넥터 핀(10)의 연결부(13)에 각각 솔더링되어 연결되는 다수의 케이블(33) 및, 하부커버(31)와 결합되어 소켓(20)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상부 커버(도시안됨)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커넥터는 소켓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각각의 커넥터 핀에 인두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각각 솔더링하고, 솔더링시에 커넥터 핀간에 서로 접속되지 않도록 별도의 피복재를 입혀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인두의 열로 인해 소켓 또는 커넥터 핀이 변형되고 냄새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는 솔더링에 의해 커넥터 핀과 케이블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파손 또는 접점부의 접촉불량시에 이상부분만을 손쉽게 교체하기가 어려워 기기 전체를 교환 및 재구입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이렇게 기기 전체를 교환 및 재구입함으로 인해 사용상 전혀 문제가 없는 제품을 산업폐기물로 처리하여 환경오염 및 자원낭비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PCB의 직접 접속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넥터 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 핀이 배열되어 있는 소켓에 PCB를 직접 삽입 접속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핀이 배열된 종래기술에 따른 소켓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켓을 구비한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분을 분리한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커넥터 핀의 정면도이고,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커넥터 핀이 배열될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소켓을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5c는 도 4a에 도시된 커넥터 핀이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소켓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분을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커넥터 핀 41 : 접속부
42 : 고정부 43 : 연장부
44 : 접속탄성부 50 : 소켓
51 : 안내홈 52 : 고정홈
53 : 위치홈 54 : 분리막
55 : 공급홈 56 : 가이드홈
60 : 커넥터 61 : 하부커버
62 : 레버 스프링 63 : PCB
64 : 케이블 65 : 상부커버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 핀은,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의 단자와 접속가능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인 소켓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접속부 및 고정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 상부라인에 대해 한 쪽의 측방향으로 꺾여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에 대해 상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다가 끝부분에서는 하부 경사각을 갖게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켓은,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의 단자와 접속가능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인 소켓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접속부 및 고정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 상부라인에 대해 한 쪽의 측방향으로 꺾여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에 대해 상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다가 끝부분에서는 하부 경사각을 갖게 형성되는 접속탄성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넥터 핀이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열로 내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의 단자와 접속가능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인 소켓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접속부 및 고정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 상부라인에 대해 한 쪽의 측방향으로 꺾여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에 대해 상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다가 끝부분에서는 하부 경사각을 갖게 형성되는 접속탄성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넥터 핀이 PCB가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내면에 2열로 배열된 소켓에 상기 PCB의 한 쪽이 끼워져 상기 커넥터 핀의 접속탄성부와 접속하고, 상기 PCB의 다른 쪽에는 다수개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핀과 이것이 배열된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커넥터 핀의 정면도로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핀(40)은,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의 단자와 접속하는 접속부(41)와, 소켓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고정부(42)와, 고정부(42)의 끝단에 연장하여 형성된 연장부(43) 및, 연장부(43)의 끝단 상부에 형성된 접속탄성부(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41)는 입출력부의 단자에 끼워져 접속되도록 2갈래로 형성되어 그 표면의 일부분이 도체물질로 도금처리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42)는 접속부(41)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소켓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부는 높이와 간격이 불규칙적인 계단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는 일부의 불규칙적인 계단형태 및 기타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부(43)는 접속부(41) 및 고정부(42)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고정부(42)의 끝단에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탄성부(44)는 연장부(43)의 끝단 상부라인에 대해 한 쪽의 측방향으로 꺾이고 연장부(43)의 상부라인방향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연장부(43)의 상부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연장부(43)의 표면과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런 접속탄성부(44)는 연장부(43)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연장부(43)의 상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다가, 연장부(43)와 연결되지 않는 부분부터는 상부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끝부분에서는 하부방향으로 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접속탄성부(44)는 연장부(43)의 상부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이 용이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가해지는 그 힘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선회하였다가 그 힘이 제거되면 원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커넥터 핀이 배열될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소켓을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 사시도로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켓(50)은, 도 4a에 도시된 커넥터 핀(40)의 연장부(43)가 고정되는 안내홈(51)과, 고정부(42)가 끼워지는 고정홈(52)과, 접속부(41)가 위치하는 위치홈(53)이 각각 다수개씩 형성되어 있다. 즉, 안내홈(51)과 고정홈(52) 및 위치홈(53)은 소켓(50)의 상하 내면에 각각 다수개씩 형성되는 것으로서, 1개의 안내홈(51)에 대해 2개의 고정홈(52)과 위치홈(53)이 형성되는 1 : 2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안내홈(51)과 고정홈(52) 및 위치홈(53)이 형성되는 소켓(50)의 내면 상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데, 이런 소켓(50)의 내면 상하에 형성되는 안내홈(51)과 고정홈(52) 및 위치홈(53)은 상하로 서로 대응하게 2열로 형성된다. 이렇게 2열로 형성된 양 쪽에는 그 내부로 삽입되는 PC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홈(53)을 형성하는 돌출부의 중간부분에는 소켓(50)의 내면 상하를 서로 연결하여 위치홈들을 서로 분리하는 분리막(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분리막(54)은 커넥터 핀(40)의 접속부(41)가 위치홈(53)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커넥터 핀간에 서로 접속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접속부(41)가 위치하는 소켓(50)의 일부분은 입출력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소켓(50)의 한 쪽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가 공급되는 공급홈(55)이 형성되어 있다.
도 5c는 도 4a에 도시된 커넥터 핀이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로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핀(40)을 소켓(50)의 안내홈(51)에 삽입하면, 커넥터 핀(40)의 접속부(41)는 소켓(50)의 위치홈(53)에 위치하고, 고정부(42)는 고정홈(52)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연장부(43) 및 접속탄성부(44)는 소켓(50)의 외부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안내홈(51) 내에 위치하여, 커넥터 핀(40)이 소켓(50)의 내면에 2열로 배열된다. 그리고, 소켓(50)의 공급홈(55)에는 필요에 따라 전원공급단자가 공급된다.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소켓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분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60)는, 도 5c에 도시된 소켓(50)이 끼워져 안착되는 하부 커버(61)와,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와 소켓(50)이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 스프링(62)과, 소켓(50)의 가이드홈(56)을 따라 삽입되어 2열로 배열되어 있는 커넥터 핀(40)에 한 쪽이 접속되는 PCB(63)와, PCB(63)의 다른 쪽과 연결되는 다수의 케이블(64) 및, 하부커버(61)와 결합되어 소켓(50) 등을 보호하는 상부 커버(6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PCB의 직접 접속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넥터 핀이 배열된 소켓에 PCB를 직접 삽입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작업사양이 준수하지 못하거나 모델이 변경되더라도 간단하게 PCB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재고비용을 절감하고 제조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커넥터 핀과 이것이 배열된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7)

  1.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와 같은 기기간에 사용되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 및 전원공급시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일부분인 커넥터 핀에 있어서,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의 단자와 접속가능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인 소켓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접속부 및 고정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 상부라인에 대해 한 쪽의 측방향으로 꺾여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에 대해 상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다가 끝부분에서는 하부 경사각을 갖게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탄성부는 상기 연장부의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탄성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핀.
  4.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와 같은 기기간에 사용되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 및 전원공급시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일부분인 커넥터 핀이 배열된 소켓에 있어서,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의 단자와 접속가능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인 소켓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접속부 및 고정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 상부라인에 대해 한 쪽의 측방향으로 꺾여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에 대해 상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다가 끝부분에서는 하부 경사각을 갖게 형성되는 접속탄성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넥터 핀이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열로 내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의 연장부 및 접속탄성부가 상기 내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6.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와 같은 기기간에 사용되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 및 전원공급시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외부장치, 유무선 통신기기 및 산업용 기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입출력부의 단자와 접속가능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커넥터의 일부분인 소켓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접속부 및 고정부와 동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 상부라인에 대해 한 쪽의 측방향으로 꺾여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상부라인에 대해 상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다가 끝부분에서는 하부 경사각을 갖게 형성되는 접속탄성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넥터 핀이 PCB가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내면에 2열로 배열된 소켓에 상기 PCB의 한 쪽이 끼워져 상기 커넥터 핀의 접속탄성부와 접속하고, 상기 PCB의 다른 쪽에는 다수개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는 상기 PCB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10017439A 2001-04-02 2001-04-02 커넥터 핀과 이것이 배열된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KR10036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439A KR100365959B1 (ko) 2001-04-02 2001-04-02 커넥터 핀과 이것이 배열된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439A KR100365959B1 (ko) 2001-04-02 2001-04-02 커넥터 핀과 이것이 배열된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700A KR20020077700A (ko) 2002-10-14
KR100365959B1 true KR100365959B1 (ko) 2002-12-28

Family

ID=2769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439A KR100365959B1 (ko) 2001-04-02 2001-04-02 커넥터 핀과 이것이 배열된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897B1 (ko) * 2001-12-11 2003-08-2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전기접속용 커넥터 핀 결합구조
KR100806358B1 (ko) * 2007-03-15 2008-02-27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단말기용 커넥터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700A (ko) 200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9330B1 (en) Non-grounded electric connector
KR101652383B1 (ko) 커넥터
KR101766198B1 (ko) 멀티 전원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SG191437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2324656A (zh) 电连接器及其组合
KR20100061105A (ko) 전자 기기용 접촉 단자
US674944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otective cover
KR101113591B1 (ko) 마이크로 usb 소켓
KR102064260B1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JPWO2008001453A1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0365959B1 (ko) 커넥터 핀과 이것이 배열된 소켓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US9711877B2 (en) Plug and connector module
KR200301365Y1 (ko) Pcb 접속 커넥터 핀
KR200296688Y1 (ko) Pcb 접속 커넥터 핀
KR102557923B1 (ko) 플러그 일체형 어댑터
US886122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nnecting assemblies
JP2007241633A (ja) 端子変換ユニット
CN203481588U (zh) 安装座与照明装置
KR20150095371A (ko)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CN105449409A (zh) 连接器基座、连接器组件及应用连接器组件的网络设备
CN218070254U (zh) 一种连接器及终端
CN210957093U (zh) 端子和连接器
KR20180044788A (ko) 리셉터클 커넥터
CN219874152U (zh) 一种插头及接插件
CN217158880U (zh) 端子转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