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727B1 -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 세선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 세선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727B1
KR100365727B1 KR1019990056218A KR19990056218A KR100365727B1 KR 100365727 B1 KR100365727 B1 KR 100365727B1 KR 1019990056218 A KR1019990056218 A KR 1019990056218A KR 19990056218 A KR19990056218 A KR 19990056218A KR 100365727 B1 KR100365727 B1 KR 100365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s
film
metal
several
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134A (ko
Inventor
하정숙
박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1999005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727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80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리쏘그래피 공정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나노 세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탄소 나노튜브를 이온 빔에 대한 마스크로 이용하여 수 ㎚ 내지 수십 ㎚의 선폭을 갖는 금속 세선을 제조한다. 예로서, 실리콘산화막 위에 Ti막 및 Au막을 균일하게 증착하고, Au 금속층 위에 탄소 나노튜브를 분산시킨 후 Ar+이온을 표면에 수직하게 충돌시켜 탄소 나노튜브로 덮이지 않은 금속층은 식각하고, 표면에는 탄소 나노튜브로 덮인 금속 세선만을 잔류시킨 다음, 원자력 현미경을 이용하여 금속 나노 세선을 덮고 있는 탄소 나노 튜브를 제거함으로써 금속 나노세선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탄소 나노 튜브는 직경이 수 ㎚ 내지 수십 ㎚ 정도이므로, 이때 형성된 금속 세선의 폭은 탄소 나노튜브의 폭에 따라 수 ㎚ 내지 수십 ㎚ 정도가 된다.

Description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 세선 형성 방법{Fabrication method for metal nano-wires by using carbon nanotube mask}
본 발명은 고집적 소자 제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소 나노 튜브와 Ar+이온 밀링 반응을 이용하여 금속 나노 세선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집적, 초고속의 소자 구현을 위해 소자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저비용, 고효율, 고순도의 나노 구조 제작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테라비트(Tera bit)급의 정보 저장을 위해서는 소자의 크기가 나노미터(nanometer) 수준으로 소형화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나노 패턴, 나노 세선, 나노점 등을 형성하는 나노 공정 기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UV나 X-ray 혹은 전자선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리소그래피(lithography) 방법들은 초점 한계나 마스크 물질의 제약, 또는 과다한 노광 공정 시간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 리소그래피 공정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나노 세선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 세선 형성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10: 실리콘 기판 11: SiO2산화막
12: Ti 박막 13: Au 박막
14: 탄소 나노튜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각대상막 상에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식각마스크로 상기 탄소나노튜브로 덮이지 않은 상기 식각대상막을 식각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제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탄소 나노튜브를 이온 빔에 대한 마스크로 이용하여 수 ㎚ 내지수십 ㎚의 선폭을 갖는 금속 세선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산화막 위에 Ti막 및 Au막을 균일하게 증착하고, Au 금속층 위에 탄소 나노튜브를 분산시킨 후 Ar+이온을 표면에 수직하게 충돌시켜 탄소 나노튜브로 덮이지 않은 금속층은 식각하고, 표면에는 탄소 나노튜브로 덮인 금속 세선만을 잔류시킨 다음, 원자력 현미경을 이용하여 금속 나노 세선을 덮고 있는 탄소 나노 튜브를 제거함으로써 금속 나노세선을 형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탄소 나노 튜브는 직경이 수 ㎚ 내지 수십 ㎚ 정도이므로, 이때 형성된 금속 세선의 폭은 탄소 나노튜브의 폭에 따라 수 ㎚ 내지 수십 ㎚ 정도가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 세선 형성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100) 기판, 즉 실리콘기판(10) 위에 열적 산화(thermal oxidation)에 의해 200 ㎚ 두께의 SiO2산화막(11)을 형성하고, 얇은 Ti 박막(12)을 1㎚ 내지 2㎚ 두께로 형성한다. Ti 박막(12)은 전자선 증발기 (electron bea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증착하며, 이때의 진공도는 1x10-6Torr, 증착 속도는 0.01 ㎚/sec 내지 0.02 ㎚ /sec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열증발기를 이용하여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Ti 박막(12) 상에 Au 박막(13)을 증착한다. Au 박막(13)과 Ti 박막(12) 전체의 두께는 10 ㎚ 정도가 되도록 한다. Au 박막(13) 은 약 1x10-6Torr 진공도에서 0.05 ㎚/sec 정도의 속도로 증착한다.
이어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u 박막(13) 상에 CHCl3을 용매로 하는 탄소 나노 튜브의 분산액(suspension)을 약 2000 rpm의 속도로 회전 코팅(spin coating) 하여 탄소 나노 튜브(14)를 균일하게 입힌다. 이후 원자력 현미경 (Atomic Force Microscope : AFM)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14)가 균일하게 분산되었는지 관찰한다. 이때, 이미징(imaging)을 위해 AFM 탐침에 가해지는 힘은 1 pN 내지 10 pN 정도이다.
다음으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균일하게 증착된 탄소 나노 튜브(14)를 이온빔에 대한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 공정을 실시한다. 즉, 300 eV 에너지의 Ar+이온 빔을 실리콘 기판(10) 표면에 수직하게 입사시킨다. 이때, 진공도는 2.5 x 10-4Torr, 반응 시간은 1분, Ar+이온의 전류량은 10 mA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식각과정에서, 탄소 나노 튜브(14)는 식각되지 않고 탄소 나노 튜브(14)로 덮이지 않은 Au 박막(13) 부분과 그 하부의 Ti 박막(12)만 식각되어 탄소 나노튜브(14)로 덮인 수 ㎚ 내지 수십 ㎚ 폭의 금속 나노 세선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탄소 나노 튜브(14)와 금속막의 상대적인 식각 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탄소 나노튜브로 덮인 금속 나노 세선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식각이 완료된 실리콘 기판(10) 상부 표면을 AFM의탐침(cantilevers)으로 주사(scan)하면 금속 세선을 덮고 있는 탄소 나노 튜브는 쉽게 제거되고, 결과적으로 폭이 수 ㎚ 내지 수십 ㎚인 금속 나노 세선만이 남게 된다. 탄소나노튜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AFM 탐침에 1 nN 내지 10 nN 정도의 힘을 가하고 주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수 ㎚ 내지 수십 ㎚의 폭을 갖는 탄소 나노 튜브를 이온빔에 대한 마스크로 이용하여 수 ㎚ 내지 수십 ㎚의 선폭을 갖는 금속 나노 세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초고집적도를 요구하는 나노미터 수준의 반도체 소자 제작에 응용 가능하며, 금속 뿐 아니라, 반도체나 초전도체 등의 다양한 물질에 응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UV나 x-선 또는 전자빔 리소그패피 방법들에 비하여 초점 한계, 마스크 물질의 제약, 또는 과다한 노광 공정 시간 등의 문제점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공정이 간단하여 비용 및 시간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금속 세선의 선폭도 훨씬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나 초전도체 등의 다양한 재료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나노 세선 제조 분야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7)

  1. 패턴 형성 방법에 있어서,
    식각대상막 상에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식각마스크로 상기 탄소나노튜브로 덮이지 않은 상기 식각대상막을 식각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제거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식각대상막 상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이온빔으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AFM으로 스캔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CHCl3을 용매를 스핀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대상막은,
    실리콘 산화막 형성이 완료된 실리콘 기판 상부에 차례로 증착된 Ti막 및 Au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AFM의 탐침에 1 nN 내지 10 nN의 힘을 인가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위
    를 주사함으로써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KR1019990056218A 1999-12-09 1999-12-09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 세선 형성 방법 KR100365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18A KR100365727B1 (ko) 1999-12-09 1999-12-09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 세선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18A KR100365727B1 (ko) 1999-12-09 1999-12-09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 세선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134A KR20010055134A (ko) 2001-07-04
KR100365727B1 true KR100365727B1 (ko) 2002-12-26

Family

ID=1962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218A KR100365727B1 (ko) 1999-12-09 1999-12-09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 세선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7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3722B2 (en) * 2004-03-05 2009-07-21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Method of making a textured surface
CN103288042A (zh) * 2012-02-29 2013-09-11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纳米级超材料微结构及其制备方法
CN106276778A (zh) * 2015-05-21 2017-01-04 清华大学 一种金属纳米线膜的制备方法以及导电元件
US9892915B2 (en) 2015-12-24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rd mask composition, carbon nanotube layer structure, pattern form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922B1 (ko) * 2005-01-2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속이온빔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KR100839223B1 (ko) * 2007-01-29 2008-06-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의 절단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탄소나노튜브
KR100845004B1 (ko) * 2007-04-30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 갭을 갖는 금속막 패턴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분자크기의 소자 제조 방법
WO2009093770A1 (en) * 2008-01-25 2009-07-30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Method for etching of insulating layers using carbon nanotubes and formation of nanostructures thereafter
WO2010140725A1 (ko) * 2009-06-05 2010-12-09 (주)탑엔지니어링 박막 금속 전도선의 형성 방법
KR101303590B1 (ko) * 2012-07-24 2013-09-11 전자부품연구원 복합 전도성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8132582B (zh) * 2016-12-01 2020-06-09 清华大学 光刻掩模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1158A (ko) * 1993-12-23 1995-07-26 양승택 광학적 스텝퍼를 이용한 금속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미세선폭 형성방법
WO1998011588A1 (en) * 1996-09-13 1998-03-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ield emission electron source that comprises the combination of a binder material and bcn-based nanotubes
KR100216605B1 (ko) * 1996-12-06 1999-08-16 정선종 원자력 현미경을 이용한 반도체 나노세선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1158A (ko) * 1993-12-23 1995-07-26 양승택 광학적 스텝퍼를 이용한 금속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미세선폭 형성방법
WO1998011588A1 (en) * 1996-09-13 1998-03-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ield emission electron source that comprises the combination of a binder material and bcn-based nanotubes
KR100216605B1 (ko) * 1996-12-06 1999-08-16 정선종 원자력 현미경을 이용한 반도체 나노세선 형성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3722B2 (en) * 2004-03-05 2009-07-21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Method of making a textured surface
CN103288042A (zh) * 2012-02-29 2013-09-11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纳米级超材料微结构及其制备方法
CN106276778A (zh) * 2015-05-21 2017-01-04 清华大学 一种金属纳米线膜的制备方法以及导电元件
US9987827B2 (en) 2015-05-21 2018-06-05 Tsinghua University Touch panel
US10124561B2 (en) 2015-05-21 2018-11-13 Tsinghua University Metal nanowires structure
US9892915B2 (en) 2015-12-24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rd mask composition, carbon nanotube layer structure, pattern form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134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9368B2 (en) Nanogaps: methods and devices containing same
Snow et al. Nanofabrication with proximal probes
Fujita et al. Ultrahigh resolution of calixarene negative resist in electron beam lithography
KR100376768B1 (ko) 전자, 스핀 및 광소자 응용을 위한 탄소나노튜브의 선택적 수평성장 방법
Yun et al. Fabrication of metal nanowire using carbon nanotube as a mask
KR100365727B1 (ko)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 세선 형성 방법
CN101079331B (zh) 一种用于扫描隧道显微镜的隧道探针及其制备方法
Kunze et al. Plowing on the Sub‐50nm Scale: Nanolithography Using Scanning Force Microscopy
JP2009155111A (ja) 触媒ナノ粒子の制御および選択的な形成
JP2006189441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チャンネル構造を持つ探針走査型顕微鏡の探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66654A (ja) 微細構造の作製法、微細構造、磁気センサ、磁気記録媒体および光磁気記録媒体
US20070051942A1 (en) Etch masks based on template-assembled nanoclusters
Choi et al. Selective growth of InAs self-assembled quantum dots on nanopatterned SiO 2/Si substrate
KR20020095800A (ko) 카본나노튜브의 수평 성장 방법
KR101399347B1 (ko) 탄소나노튜브 이용한 나노 채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나노 구조물
Birkelund et al. New approaches to atomic force microscope lithography on silicon
US20050163931A1 (en) Orientation coating method of the top of micro tip
Jung et al. Gold nanoparticle assemblies on a functionalized surface patterned by AFM lithography
KR100626408B1 (ko) 저에너지 원자력 힘 현미경 시스템을 이용한 유기물 및금속 박막의 나노 미세 패턴 제조 방법
KR100792385B1 (ko) 나노팁전자방출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구비한 나노팁리소그래피 장치
Saidov et al. Controlled Stepwise Wet Etching of Polycrystalline Mo Nanowires
Stanishevsky Focused ion beam nanofabrication
WO2024039807A1 (en) Insulating self-developing resist for electronic devices and quantum point contacts
US7084075B2 (en) Method for producing a layer on a substrate
KR100645374B1 (ko) 원자력 힘 현미경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높은 종횡비를갖는 나노 구조물을 고속으로 형성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