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672B1 -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672B1
KR100365672B1 KR1020000018277A KR20000018277A KR100365672B1 KR 100365672 B1 KR100365672 B1 KR 100365672B1 KR 1020000018277 A KR1020000018277 A KR 1020000018277A KR 20000018277 A KR20000018277 A KR 20000018277A KR 100365672 B1 KR100365672 B1 KR 10036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card
server
value
shopping 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889A (ko
Inventor
우진웅
Original Assignee
우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웅 filed Critical 우진웅
Priority to KR1020000018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672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672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을 통합하여 관리하고, 거래실적에 따른 거래실적가치(포인트) 할당, 거래실적가치의 환전 등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드매체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입하고 구입 대금의 결제와 함께 카드 단말기를 통하여 거래실적가치를 할당받는 오프라인 거래 및, 예를 들면 인터넷 웹사이트의 쇼핑몰 등에서 카드매체의 회원번호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입하고 거래실적가치를 할당받는 온라인 거래에서 발생하는 거래실적 가치를 통합하여 누적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거래실적가치를 현금으로 환전하거나 또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상의 물품 대금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TOGETHER POINTS GAINED ACCORDING TO USING ON-LINE CARD MEDIA AND OFF-LINE CARD MEDIA}
본 발명은 카드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을 통합하여 관리하고, 거래실적에 따른 거래실적가치(포인트) 할당, 거래실적가치의 환전 등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물품을 구입하거나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에 소정의 구입요금 또는 이용요금을 지불해야 하고, 사용자가 사용요금 또는 구입요금 이상의 금액을 지불하였을 경우에는 지불한 금액에서 거스름돈을 반환 받아야 하는 등에 의하여 이용요금 또는 구입요금의 수납에 시간이 낭비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충전식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충전된 금액 한도 내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물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된 충전식 선불카드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미리 지불한 소정 금액을 선불 카드에 저장하고, 소정의 사용요금 또는 구입요금을 지불할 때에는 선불 카드에 저장된 금액에서 사용요금을 공제하여 그 공제된 금액을 다시 선불카드에 저장하며, 사용요금 또는 구입요금이 상기 선불 카드에 저장된 금액을 초과할 때에는 다시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상기 선불카드에 해당 금액만큼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충전식 선불카드가 그 사용상의 편리함에 의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충전식 선불카드 시스템의 사업자 입장에서는 충전식 선불카드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대형 서점, 백화점, 대형 할인 매장 등은 카드를 이용하여 매출 확대를 위한 영업을 강화하고 있고, 각 판매 업체마다 전용 카드를 만들어 이용고객에게 할인서비스 또는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할당하고 그 누적 포인트를 이용하여 판매물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출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등의 영업전략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각 판매업체는 상기한 오프라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초기 시스템 구축비용이 들어가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상의 쇼핑몰 웹 사이트를 통하여 각종 물품의 구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각 쇼핑몰 웹 사이트에서는 각 회원에게 거래실적에 따라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할당하고 그 누적 포인트를 이용하여 판매 물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출을 증대시키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쇼핑몰 웹 사이트에서는 회원의 거래실적가치(누적 포인트)를 자체 쇼핑몰에서만 또는 다른 제휴 쇼핑몰 웹 사이트에서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용자 입장에서는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한정적으로 밖에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거래실적가치(포인트)의 사용 폭의 확대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온라인에서의 전자상거래는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 등을 이용하여 결제대금을 지불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지불 인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고, 이로 인하여 막대한 초기 시스템 구축비용이 들어가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충전식 선불카드 등과 같은 카드매체에 대한 오프라인 시스템 사업자와 상기한 오프라인 판매업체, 인터넷상의 웹 쇼핑몰 등과 같은 온라인 판매업체가 제휴하여 고객(회원)의 거래실적 관리, 거래실적에 따른 거래실적가치(포인트) 할당, 거래실적가치의 환전 및 거래실적가치에 의한 구매 등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요망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 오프라인 상의 거래와 온라인상의 거래를 통합하여, 고객(회원)의 거래실적 관리, 거래실적에 따른 거래실적가치(포인트) 할당, 거래실적가치의 환전 및 거래실적가치에 의한 구매 등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카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 시스템의 오프라인 처리에 있어서 충전모드 또는 거래실적가치(포인트)의 계좌이체 모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 시스템의 오프라인 처리에 있어서 거래실적가치의 물품구매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 시스템의 오프라인 처리에 있어서 카드거래의 신호흐름 및 거래내역 전송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 시스템의 온라인 처리에 있어서 자체 인터넷 웹 쇼핑몰에서의 물품구매와 거래실적가치 할당에 대한 신호 흐름도 또는 거래실적가치의 계좌이체 모드 또는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에 의한 물품 구매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 시스템의 온라인 처리에 있어서 다른 제휴 인터넷 웹의 쇼핑몰에서 물품구매 및 거래실적 가치에 대한 할당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 시스템의 온라인 처리에 있어서 제휴 인터넷 웹의 쇼핑몰에서 거래실적가치를 이용한 물품구매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 시스템의 온라인 처리에 있어서 자체 인터넷 웹의 쇼핑몰에서 거래실적가치를 이용한 물품구매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 시스템에서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상의 카드회원관리 솔루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유닛(MCU) 12 : 키패드
14 : 비접촉식 IC 카드 판독/기록부
16 : 접촉식 IC 카드 판독/기록부
18 : MS 카드 판독/기록부
20 : 디스플레이 22 : 전표출력부
24 : 망통신 접속부 26 : 데이터 저장부
28 : 프로그램 저장부 CT1~CTn : 카드 단말기
CS : 통신 서버 VS1~VSn : 부가가치망 서버
JS : 제휴사 서버 PTu_1~PTu_n : 사용자 단말
SM1~SMn : 웹 쇼핑몰 서버 PGIS : 지불인증 서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은, 카드매체의 거래내역에 따라 거래실적가치를 할당하여 해당 카드매체에 누적 기록하고 상기 카드매체 별로 거래내역과 함께 상기 할당된 거래실적가치를 저장하는 복수의 카드 단말기와; 카드매체를 이용하여 각종 물품을 판매하는 복수의 인터넷 쇼핑몰 서버와; 상기 카드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카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저장된 카드매체의 오프라인상의 거래내역과 거래실적가치를 전송받으며,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로부터 온라인상의 거래내역을 전송받아 그 거래내역에 따라 온라인상의 거래실적가치를 할당하고, 상기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의 거래내역 및 거래실적가치를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드매체는 충전식 선불카드이고, 상기 카드단말기는 상기 충전식 선불카드에 충전된 충전금액을 판독하고 거래금액을 정산하여 정산금액을 새로운 충전금액으로 상기 충전식 선불카드에 갱신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식 선불카드에 저장된 거래실적가치를 금액으로 환전하여 상기 선불카드에 누적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드 단말기는 상기 카드매체에 적립된 거래실적가치를 금액으로 환전하여 특정 계좌로 이체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그 요청을 관리서버에 통지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특정 계좌를 액세스할 수 있는 부가가치망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거래실적에 대응하는 금액이 상기 특정 계좌로 이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드매체의 이용자가 자신의 접속 단말을 통해서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거래실적가치에 의한 물품구매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인터넷 쇼핑몰의 서버는 해당 회원 ID와 비밀번호 및 구매대금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회원 인증 처리를 수행한 다음에, 상기 회원 ID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내고 이 거래실적가치가 상기 구매금액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거래가능여부 정보를 인터넷 쇼핑몰의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는 상기 거래가능여부 정보에 따라 상기 이용자의 접속 단말로 거래결과를 통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요청 및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부가가치망 서버에 접속하여 지불인증 처리, 계좌이체 처리 및 신용카드 이체 처리 등을 수행하는 지불인증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회원이 자신의 접속 단말을 통해서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의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및 회원 ID를 입력하고 물품구매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인터넷 쇼핑몰의 서버는 해당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구매대금, 회원 ID 및 자신의 이체계좌번호를 포함하는 구매대금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지불인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지불인증서버는 상기 구매대금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에 전송하여 대금의 이체 요청을 행하고,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로부터의 대금 이체 완료 정보를 받으면,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로 대금 이체 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 회원 ID와 구매대금을 포함하는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회원 ID와 구매대금을 이용하여 회원 ID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내고, 상기 구매대금에 대응하는 거래내역가치를 상기 읽어낸 거래내역가치에 가산한 새로운 거래내역가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원이 자신의 접속 단말을 통해서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거래내역가치를 금액으로 환전하여 자신의 특정 이체계좌로 이체하기 위하여 자신의 회원 ID와 비밀번호, 회원의 이체계좌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인터넷 쇼핑몰의 서버는 해당 회원 ID와 비밀번호 및 회원의 이체계좌번호를포함하는 거래실적가치의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상기 지불인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지불인증서버는 상기 거래실적가치의 계좌이체 요청정보중 해당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해당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회원 인증처리를 함과 동시에, 상기 회원 ID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내고 이 읽어낸 거래실적가치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거래실적가치의 환산 금액과 관리서버의 인출계좌번호를 상기 지불인증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지불인증서버는 상기 회원의 이체계좌번호와 상기 거래실적가치의 환산 금액 및 관리서버의 인출계좌번호를 포함하는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로 전송하고, 그후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로부터 계좌 이체 완료정보를 받으면, 해당 인터넷 쇼핑몰의 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 계좌이체 완료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계좌이체 완료 정보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낸 거래실적가치에서 상기 계좌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를 감산한 새로운 거래실적가치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도면부호 CT1~CTn은 오프라인상의 제휴 가맹점에 설치된 카드 단말기로서, 제휴 가맹점으로서는 서점, 보험사, 백화점, 대형 할인매장, 패스트푸드점, 주유소, 문구점, 자동차용품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드 단말기(CT1~CTn)는 RF-IC 카드와 같은 비접촉식 카드와 IC 카드와 MS 카드와 같은 접촉식 카드를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CS는 상기 카드 단말기(CT1~CTn)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서버이고, 이 통신 서버(CS)는 공중전화망(PSTN) 또는 전용회선망(예를 들면 한국통신의 KORNET, HINET-P, CO-LAN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카드 단말기(CT1~CTn)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과 통신서버(CS) 사이에는 통신용 모뎀(Modem)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서버(CS)에는 전용선을 매개로 인터넷 관리서버(IS)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상기 오프라인상의 카드의 등록, 거래승인, 거래 취소 및 카드 충전 승인 등의 카드 거래 관리 수속을 수행하며, 또한 각 카드회원별 거래내역 및 거래실적가치(포인트), 가맹점별 거래내역, 등록된 카드 회원의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상기한 오프라인 관리 이외에 자체 인터넷 웹 쇼핑몰을 운영하며, 카드회원이 자신의 컴퓨터 단말(PTu_1~PTu_n)을 통하여 인터넷 관리서버(IS)의 인터넷 웹 쇼핑몰에 접속하여 카드회원 ID 및 비밀번호 등의 인증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에서 취득한 거래실적가치에 의하여 각종 물품을 구입하거나, 또는 제휴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를 사용하여 각종 물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인터넷 관리 서버(IS)는 예를 들면 인터넷망을 통하여 제휴업체의서버(JS)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휴사 서버(JS)는 카드 단말기가 많이 설치된 예를 들면 백화점, 대형 할인점 등과 같은 대형 업체의 서버이거나 도는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회사의 관리서버이다. 또,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주기적인 시간 단위(예를 들면 제휴사의 영업종료 시점 등)로 또는 제휴사 서버(JS)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베이타베이스를 가공한 자료를 상기 제휴사 서버(JS)로 제공한다. 여기서, 제휴사 서버(JS)에 제공하는 자료로서는 신규 카드 등록 내역, 일일 거래내역 및, 해당 제휴사를 거래한 카드회원의 정보를 이용한 각종 가공 자료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관리서버(IS)에 의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상의 카드회원관리 솔루션의 일예는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SM1~SMn은 각각 제휴 인터넷 웹 쇼핑몰을 운영하는 서버이고,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카드회원이 자신의 컴퓨터 단말(PTu_1~PTu_n)을 통하여 제휴 인터넷 웹 쇼핑몰(SM1~SMn)에 접속하여 카드회원 ID 및 비밀번호 등의 인증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에서 취득한 거래실적가치에 의하여 각종 물품을 구입하거나 또는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휴 인터넷 웹 쇼핑몰(SM1~SMn)은 지불인증 서버(PGIS)에 예를 들면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이 지불인증 서버(PGIS)는 상기 제휴 인터넷 웹 쇼핑몰(SM1~SMn) 및 상기 인터넷 서버(IS)로부터 요청된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등을 통한 구매대금 결제에 대해 제휴 카드사 및 제휴 은행 등의 부가가치망 서버(VS1~VSn)에 접속하여 지불인증 처리와 계좌이체 처리 등을 수행한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카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단말기(CT)는 각종 키로 구성된 키패드(12)와, 비접촉식 카드인 RF-IC 카드를 판독 및 기록할 수 있는 RF-IC 카드 판독/기록부(14), IC 카드를 판독 및 기록 할 수 있는 IC 카드 판독/기록부(16), MS 카드를 판독 및 기록 할 수 있는 MS 카드 판독/기록부(18), 카드 단말기의 처리상태 및 처리결과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액정 패널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20), 카드 사용결과의 전표를 출력하기 위한 전표출력부(22), 카드거래내역과 카드등록자료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26), 카드 단말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유닛(MCU)(10), 상기 중앙처리유닛(10)의 동작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28)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서버(CS)와의 통신을 위한 망통신접속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오프라인 처리에 있어서 충전식 선불 카드의 충전 모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RF-IC 카드를 카드 단말기(CT)에 근접시키거나 또는 IC 카드를 카드단말기(CT)에 접촉시키면, 카드 단말기(CT)의 카드 판독/기록부(14,16)는 해당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어 중앙처리유닛(10)에 전달한다(S30). 상기 기록 정보로는 충전 ID(각 카드마다 고유한 식별자이다), 충전금액, 포인트 ID(각 카드마다 고유한 식별자이다), 포인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키 패드(12)를 조작하여 소정 금액을 충전하는 카드 충전모드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하자.
상기 카드단말기(CT)의 중앙처리유닛(10)은 키패드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충전 요청된 금액을 확인하고, 데이터저장부(26)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가맹점의 예를 들면 은행 직불카드 번호 또는 가맹점의 신용카드번호를 포함하는 가맹점 결제 정보를 읽어낸다. 그후, 중앙처리장치(10)는 망 통신 접속부(24)를 제어하여 통신서버(CS)와의 통신로를 확립하고, 상기 충전 ID, 충전 요청 금액 및 가맹점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요청 데이터를 통신서버(CS)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31).
그후, 상기 통신서버(CS)는 카드 단말기(CT)로부터의 충전 요청 데이터를 받고, 충전요청 데이터를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달하며(S32),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충전 요청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인터넷 관리서버의 은행 계좌번호와 함께 상기 충전 요청 데이터중에서 충전 금액과 가맹점 결제 정보(예를 들면 은행 직불카드 계좌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를 지불인증서버(PGIS)에 전달한다(S33).
이어서,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는 가맹점 결제 정보(예를 들면 은행 직불카드 계좌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에 대응하는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에 통신 접속하여, 예를 들면 가맹점 직불카드 계좌 또는 가맹점 신용카드에서 상기 충전요청금액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요청정보(예를 들면 가맹점 직불카드 계좌 또는 신용카드 번호, 충전요청금액, 인터넷 관리 서버 업체 계좌 등을 포함)를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로 전송한다(S34).
다음으로,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는 인출요청정보에 따라 인출계좌에 상기 충전요청금액 이상의 잔고가 있는지(또는 신용카드의 거래가능여부 및 인출요청 금액이 당월 사용한도 이내인지 등)에 따라 인출 승인을 판단한다. 이때, 인출 계좌에 상기 충전요청금액 이상의 잔고가 있으면(또는 해당 신용카드 거래가능상태이고 인출요청 금액이 당월 사용한도 이내이면) 인출이 승인되어 인출되었음을 통지하는 인출 승인 정보를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로 전송하는 반면에, 인출 계좌에 상기 충전요청금액 미만의 잔고가 있으면(또는 해당 신용카드 거래불가상태이거나 인출요청 금액이 당월 사용한도 이상이면) 인출이 거절되었음을 통지하는 인출 거절 정보를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에 통지한다(S35).
그후,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는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로부터 인출 승인 정보 또는 인출 거절 정보를 받으면 그 내용을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하고(S36),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상기 전달받은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거래 데이터로서 저장함과 동시에 통신서버(CS)로 전달하고(S37), 통신서버(CS)는 해당 카드 단말기(CT)에 충전 승인 정보 또는 충전 거절 정보를 전송한다(S38).
이어서, 카드 단말기(CT)가 충전 승인 정보를 받으면, 중앙처리유닛(10)은 상기 카드에서 독출한 저장금액에 상기 충전 승인 금액을 가산한 정산금액을 새로운 충전금액으로 카드에 기록한다(S39). 이와 동시에 상기 중앙처리유닛(10)은 본 거래 내역을 카드단말기(CT)의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된다. 한편, 카드 단말기(CT)가 충전 거절 정보를 받으면, 중앙처리유닛(10)은 충전이 거절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오프라인 처리에 있어서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현금으로 사용자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RF-IC 카드를 카드 단말기(CT)에 근접시키거나 또는 IC 카드 및 MS 카드를 카드단말기(CT)에 접촉시키면, 카드 단말기(CT)의 카드 판독/기록부(14~18)는 해당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어 중앙처리유닛(10)에 전달한다(S30). 상기 기록 정보로는 RF-IC 카드 및 IC 카드의 경우에는 충전 ID, 충전금액, 포인트 ID, 포인트 등을 들 수 있으며, MS 카드는 카드 ID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키 패드(12)를 조작하여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사용자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포인트 환전 이체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카드단말기(CT)의 중앙처리유닛(10)은 상기 RF-IC 및 IC 카드인 경우에는 카드에서 읽어낸 포인트가 소정 포인트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한편, MS 카드인 경우에는 망 통신 접속부(24)를 제어하여 통신서버(CS) 및 인터넷 관리서버(IS)와의 통신로를 확립하여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에 저장된 베이터베이스에서 상기 MS 카드의 카드 ID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다운로드받아 이 다운로드된 포인트가 소정의 포인트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도면의 간략화만을 위하여 도면에서는 본 MS 카드에 대한 동작은 생략한다).
상기 판단결과가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중앙처리유닛(10)은 망 통신 접속부(24)를 제어하여 통신서버(CS)와의 통신로를 확립하고, RF-IC 및 IC 카드의경우에는 상기 포인트 ID 및 환전 포인트를 포함하는 포인트 환전 이체 요청데이터를(MS 카드의 경우에는 카드 ID 및 환전 포인트를 포함하는 포인트 환전 이체 요청데이터를) 통신 서버(CS)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31).
그후, 상기 통신서버(CS)는 카드 단말기(CT)로부터의 포인트 환전 이체 요청 데이터를 받고, 이 요청 데이터를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하고(S32), 인터넷 관리서버(IS)는 포인트 환전 이체 요청 데이터를 근거로 환전 이체 가능한지를 검증한다. 즉, 인터넷 관리서버(IS)는 포인트 환전 이체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환전 포인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인트 이하인지를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는 환전 포인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인트 이하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후,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상기 포인트 ID(RF-IC 카드 및 IC 카드의 경우) 또는 카드 ID(MS 카드의 경우)(각 카드마다 고유한 식별자이다)를 근거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체 계좌(카드사용자가 회원등록시에 기록한 계좌)를 읽어내어, 이 이체 계좌정보와,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 및, 본 시스템 관리업체의 결제계좌정보를 포함하는 계좌 이체 요청정보를 지불인증 서버(PGIS)로 전송한다(S33).
이어서,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는 상기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본 시스템 관리업체의 결제계좌정보에 대응하는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로 전송한다(S34).
다음에,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는 계좌 이체 요청정보에 따라 결제계좌에서 상기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인출하여 상기 이체 계좌로 금액 이체를 수행하고, 계좌 이체가 되었음을 통지하는 계좌이체 완료 정보를 지불인증서버(PGIS)에 통지한다(S35).
그후,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는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로부터 계좌 이체 완료 정보를 받으면 그 내용을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달하고(S36),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상기 전달받은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거래 데이터로서 저장함과 동시에 통신서버(CS)로 전달하고(S37), 통신서버(CS)는 해당 카드 단말기(CT)에 계좌이체 완료 정보를 전송한다(S38).
이어서, 카드 단말기(CT)가 계좌 이체 완료 정보를 받으면, 중앙처리유닛(10)은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하여 계좌이체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RF-IC 카드 및 IC 카드인 경우에는 상기 카드에서 독출한 저장 포인트에서 상기 계좌 이체 요청한 포인트를 감산한 정산 포인트를 새로운 충전 포인트로 카드에 기록한다(S39). 이와 동시에 상기 중앙처리유닛(10)은 본 거래 내역을 카드단말기(CT)의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오프라인 처리에 있어서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사용하여 물품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RF-IC 카드를 카드 단말기(CT)에 근접시키거나 또는 IC 카드 및 MS 카드를 카드단말기(CT)에 접촉시키면, 카드 단말기(CT)의 카드 판독/기록부(14~18)는 해당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어 중앙처리유닛(10)에 전달한다(S41). 상기 기록 정보로는 RF-IC 카드 및 IC 카드의 경우에는 충전 ID, 충전금액, 포인트 ID, 포인트 등을 들 수 있으며, MS 카드는 카드 ID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키 패드(12)를 조작하여 거래실적가치(포인트)에 의하여 구매물품을 결제하는 포인트 결제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카드단말기(CT)의 중앙처리유닛(10)은 상기 RF-IC 및 IC 카드인 경우에는 카드에서 읽어낸 포인트가 물품구매 금액에 대응하는 소정 포인트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한편, MS 카드인 경우에는 망 통신 접속부(24)를 제어하여 통신서버(CS) 및 인터넷 관리서버(IS)와의 통신로를 확립하여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MS 카드의 카드 ID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다운로드받아 이 다운로드된 포인트가 물품구매 금액에 대응하는 소정의 포인트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도면의 간략화만을 위하여 도면에서는 본 MS 카드에 대한 동작은 생략한다).
상기 판단결과가 소정치 이상이면 망 통신 접속부(24)를 제어하여 통신서버(CS)와의 통신로를 확립하고, RF-IC 및 IC 카드의 경우에는 상기 포인트 ID, 저장 포인트 및 결제대금을 포함하는 포인트 결제 요청데이터를(MS 카드의 경우에는 카드 ID 및 결제대금을 포함하는 포인트 결제 요청데이터를) 통신 서버(CS)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42).
그후, 상기 통신서버(CS)는 카드 단말기(CT)로부터의 포인트 결제 요청 데이터를 받고, 이 요청 데이터를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하며(S43), 인터넷 관리서버(IS)는 포인트 결제 요청 데이터를 근거로 결제 가능한지를 검증한다. 즉, 예를 들면 인터넷 관리서버(IS)는 RF-IC 카드 및 IC 카드의 경우에는 포인트 결제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카드 저장 포인트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포인트와 동일한지와, 또한 결제 금액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인트(본 포인트는 IC 카드의 경우 포인트 ID를 사용하고 MS 카드인 경우 카드 ID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한다)를 금액으로 환산한 것보다 작은지를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한편, MS 카드인 경우에는 결제 금액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인트를 금액으로 환산한 것보다 작은지를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검증 절차에서 인터넷 관리서버(IS)는 결제 금액이 데이터 베이스에서 독출한 포인트를 금액으로 환산한 것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포인트 결제를 허가하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트 결제를 거절한다.
그후, 인터넷 관리서버(IS)는 포인트 결제 검증 데이터(포인트 결제 허가 정보 또는 포인트 결제 거절 정보)를 상기 통신서버(CS)를 매개로 해당 카드 단말기(CT)로 전송한다(S44, S45). 이와 동시에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본 검증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여 둔다.
이어서, 카드 단말기(CT)가 포인트 결제 검증 데이터를 받으면, 중앙처리유닛(10)은 상기 검증 데이터가 포인트 결제 거절 정보이면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하여 포인트 결제가 거절되었음을 표시한다. 한편, 중앙처리유닛(10)은 상기 검증 데이터가 포인트 결제 허가 정보이면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하여 포인트 결제가 허가 되었음을 표시하는데, 여기서 RF-IC 카드 및 IC 카드인 경우에는 상기 카드에서 독출한 저장 포인트에서 상기 포인트 결제 요청한 포인트를 감산한 정산 포인트를 새로운 충전 포인트로 카드에 기록한다(S46). 이와 동시에 상기 중앙처리유닛(10)은 본 거래 내역을 카드단말기(CT)의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오프라인 처리에 있어서 카드거래의 신호흐름 및 거래내역 전송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서는 다수의 카드 소지자(1~n)가 특정 가맹점의 카드 단말기(CT) 하나를 통하여 거래를 하고, 해당 카드 단말기(CT)가 그 거래 내역을 통신서버(CS)를 매개로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RF-IC 카드 및 IC 카드에 대해서만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카드 소지자1이 카드 단말기(CT)를 통해서 물품 구매요금을 지불할 경우, 카드 단말기(CT)는 해당 카드의 정보(충전 ID, 충전금액, 포인트 ID, 포인트)를 독출하고(S51_1), 상기 충전금액에서 구매요금을 감산하여 정산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구매요금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상기 독출한 저장 포인트에 가산하여 정산 포인트를 산출한다. 그후 상기 카드단말기(CT)는 상기 정산금액과 정산 포인트를 새로운 충전금액과 새로운 포인트로서 해당 카드에 갱신 기록한다(S51_2). 이와 함께, 카드단말기(CT)에서는 본 거래내역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한다.
그후, 다른 카드 소지자2가 카드 단말기(CT)를 통해서 카드로 구입한 물품 구매를 취소하는 경우, 카드 단말기(CT)는 해당 카드의 정보(충전 ID, 충전금액, 포인트 ID, 포인트)를 독출하고(S51_2), 상기 충전금액에서 물품구매를 취소한 물품의 취소 요금을 가산하여 정산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취소 요금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상기 독출한 저장 포인트에서 감산하여 정산 포인트를 산출한다. 그후 상기 카드단말기(CT)는 상기 정산금액과 정산 포인트를 새로운 충전금액과 새로운 포인트로서 해당 카드에 갱신 기록한다(S52_2). 이와 함께, 카드단말기(CT)에서는 본거래내역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한다.
그후, 다른 카드 소지자n이 카드 단말기(CT)를 통해서 카드에 적립된 포인트를 금액으로 환전하고자 하는 경우, 카드 단말기(CT)는 해당 카드의 정보(충전 ID, 충전금액, 포인트 ID, 포인트)를 독출하고(S51_n), 상기 충전금액에 상기 환전하고자하는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가산하여 정산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환전한 금액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상기 독출한 저장 포인트에서 감산하여 정산 포인트를 산출한다. 그후 상기 카드단말기(CT)는 상기 정산금액과 정산 포인트를 새로운 충전금액과 새로운 포인트로서 해당 카드에 갱신 기록한다(S52_n). 이와 함께, 카드단말기(CT)에서는 본 거래내역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도5와 관련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만을 위하여 충전동작, 포인트를 이용한 대금결제동작, 포인트의 계좌이체동작 등에 의한 처리는 생략하기로 하지만, 이들 거래 내역은 카드단말기(CT)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카드단말기(CT)에서는 매 거래 내역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통신서버(CS)를 매개로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되어(C53,C54), 인터넷 관리서버(IS)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여기서, 매 거래마다 그 거래내역을 통신서버(CS)를 매개로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하거나 소정 개수의 거래 단위로(또는 소정 시간 단위로) 해당 거래내역들을 통신서버(CS)를 매개로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통신료의 부담이 있으므로 가맹점의 업무종료 시점에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당일 거래내역을 통신서버(CS)를 매개로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하면 통신료를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온라인 처리에 있어서 인터넷 관리서버(IS)에 설치된 자체 웹 쇼핑몰에서의 물품구매와 거래실적 가치 할당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회원 ID를 부여받은 회원이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를 이용하여 인터넷 관리서버(IS)의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회원 ID(또는 카드번호)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회원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 물품을 선택하고 자신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물품구매 요청 데이터가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달된다(S61). 인터넷 관리서버(IS)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회원 인증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구매금액과 회원 ID 및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신용카드번호 또는 직불카드번호(입력 회원신청시에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낸 회원 ID 및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신용카드번호 또는 직불카드번호 또는 인출 은행계좌번호) 및 본 시스템 사업자의 은행 계좌번호를 포함하는 구매대금 인출 요청 정보를 지불인증서버(PSIS)에 전달하고(S62), 상기 지불인증서버(PSIS)는 상기 구매대금 인출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결제 카드 또는 인출 계좌에 대응하는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로 구매대금 인출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S63).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는 상기 구매대금 인출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결제 금액이 인출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인출 가능하면 본 시스템 사업자의 은행 계좌번호로 구매대금을 이체함과 동시에 인출완료정보를 지불인증서버(PGIS)로 전송하는 한편, 인출 불가능하면 인출 거절 정보를 지불인증서버(PGIS)로 전송한다(S64).
그후,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는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로부터의 인출완료 정보 또는 인출 거절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정보를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한다(S65).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인출완료 정보를 받으면 해당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로 구매완료 정보를 전달(S66)함과 동시에, 본 거래에 따른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 ID 및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기존의 거래실적가치(포인트)에 누적하여 새로운 거래실적가치(포인트)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기록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인출 거절 정보를 받으면 해당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로 구매 거절 정보를 전달한다(S66).
다음으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온라인 처리에 있어서 인터넷 관리서버(IS)에 설치된 자체 웹 쇼핑몰에서 거래실적 가치를 계좌 이체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회원 ID를 부여받은 회원이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를 이용하여 인터넷 관리서버(IS)의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회원 ID(또는 카드번호)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실적 가치(포인트)를 계좌 이체하고자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회원이 거래실적가치(포인트)의 계좌이체 모드를 선택하고 자신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계좌이체 요청 데이터가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달된다(S61). 인터넷 관리서버(IS)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회원 인증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체 요청된 거래실적가치(포인트)에 대한 환산금액과, 회원 ID 및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직불카드번호 또는 은행 계좌번호(입력 회원신청시에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낸 회원 ID에 대응하는 은행계좌번호) 및, 본 시스템 사업자의 은행 계좌번호를 포함하는 계좌이체 요청 정보를 지불인증서버(PSIS)에 전달하고(S62), 상기 지불인증서버(PSIS)는 상기 계좌 이체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인출 계좌에 대응하는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로 계좌 이체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S63).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는 상기 계좌 이체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체 요청된 거래실적가치(포인트)에 대한 환산금액을 본 시스템 사업자의 은행 계좌에서 회원 ID에 대응하는 은행 계좌번호로 이체하고, 이체완료 정보를 지불인증 서버(PGIS)로 전송한다(S64).
그후, 지불인증 서버(PGIS)는 이체완료정보를 인터넷 관리서버(IS)에 전송하고(IS),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포인트에서 이체 완료된 포인트를 감산한 포인트를 해당 회원 ID의 새로운 포인트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로 이체 완료 정보를 전달한다(S66).
다음으로,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온라인 처리에 있어서 다른 가맹 인터넷 웹의 쇼핑몰에서 물품구매에 따른 거래실적 가치의 할당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회원 ID를 부여받은 회원이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를 이용하여 제휴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회원 ID(또는 카드번호)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도1의 전체 시스템도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만을 위하여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와 제휴 인터넷 쇼핑몰 서버(SM)의 통신 접속 관계는 도시하지 않았다].
여기서, 회원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 물품을 선택하고 자신의 결제카드번호와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물품구매 요청 데이터가 제휴 인터넷 쇼핑몰 서버(SM)로 전달된다(S71). 상기 쇼핑몰 서버(SM)는 구매금액과 결제카드번호, 회원 ID, 비밀번호 및 인터넷 쇼핑몰 업체의 이체 은행계좌번호를 포함하는 구매 대금 인출 요청정보를 지불인증서버(PGIS)에 전송하고(S71), 이 지불인증 서버(PGIS)는 상기 구매 대금 인출 요청정보중에서 구매대금과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회원 인증요청 정보를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한다(S72).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상기 회원 인증요청 정보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 등의 회원 인증 데이터에 의하여 회원 인증처리를 수행하며, 회원으로 인증되면 회원 ID와 구매대금을 포함하는 거래 요청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회원 승인 정보를 지불인증서버(PGIS)에 전송한다(S73).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는 구매금액과 결제카드번호 및 인터넷 쇼핑몰 업체의 이체 은행계좌번호를 포함하는 구매 대금 인출 요청정보를, 상기 결제카드에 대응하는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로 전송하고(S74),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는 상기 구매대금 인출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구매대금이 인출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인출 가능하면 상기 인터넷 쇼핑몰 업체의 은행 계좌번호로 구매대금을 이체함과 동시에 인출완료정보를 지불인증서버(PGIS)로 전송하는 한편, 인출 불가능하면 인출 거절 정보를 지불인증서버(PGIS)로 전송한다(S75).
그후,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는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VS1 또는 VSn)로부터의 인출완료 정보 또는 인출 거절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정보를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한다(S76).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인출완료 정보를 받으면 본 거래에 따른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 ID 및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기존의 거래실적가치(포인트)에 누적하여 새로운 거래실적가치(포인트)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기록하는 한편, 인출 거절 정보를 받으면 본 거래가 거절되었음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는 인출완료 정보 또는 인출 거절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정보를 해당 인터넷 쇼핑몰 서버(SM)로 전송한다(S77).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SM)는 인출완료 정보를 받으면 해당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로 구매완료 정보를 전달하는 한편, 인출 거절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로 구매 거절 정보를 전달한다(S78).
다음으로,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온라인 처리에 있어서 다른 가맹 인터넷 웹의 쇼핑몰에서 거래실적 가치를 이용한 물품구매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회원 ID를 부여받은 회원이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를 이용하여 제휴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회원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거래실적가치를 사용한 물품 구매 모드를 선택하고 소망의 물품을 선택한 다음에 자신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거래실적가치에 의한 물품구매 요청 데이터가 제휴 인터넷 쇼핑몰 서버(SM)로 전달된다(S81). 상기 쇼핑몰 서버(SM)는 구매금액과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거래실적가치에 의한 물품구매 인증 요청정보를 지불인증서버(PGIS)에 전송하고(S82), 이 지불인증 서버(PGIS)는 상기 물품구매 인증 요청정보를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송한다(S72).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상기 물품구매 인증 요청정보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에 의하여 회원 인증처리를 수행하고, 회원으로 인증되면 회원 ID 및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읽어내서, 이 읽어낸 거래실적가치(포인트)가 상기 물품구매 인증 요청정보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포인트)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결과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상기 읽어낸 거래실적가치(포인트)에서 상기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감산한 정산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상기 회원 ID에 대응하여 새로운 거래실적가치(포인트)로서 갱신 기록하고, 거래승인 정보를 지불인증 서버(PGIS)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판단결과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거래 거절정보를 지불인증 서버(PGIS)로 전송한다(S84).
이어서, 상기 지불인증서버(PGIS)는 상기 수신한 거래승인 정보 또는 거래 거절 정보를 인터넷 쇼핑몰 서버(SM)으로 전송한다(S85).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SM)는 거래승인 정보를 받으면 해당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로 구매완료 정보를 전달하는 한편, 거래 거절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로 구매 거절 정보를 전달한다(S86).
다음으로,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온라인 처리에 있어서 자체 인터넷 웹의 쇼핑몰에서 거래실적 가치를 이용한 물품구매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회원 ID를 부여받은 회원이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를 이용하여 자체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회원이 인터넷 관리서버(IS)에 설치된 자체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거래실적가치를 사용한 물품 구매 모드를 선택하고 소망의 물품을 선택한 다음에 자신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거래실적가치에 의한 물품구매 요청 데이터가 자체 인터넷 쇼핑몰이 설치된 인터넷 관리서버(IS)로 전달된다(S91). 상기 인터넷 서버(IS)는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회원 인증처리를 수행하여 회원임을 확인한 다음에, 회원으로 확인되면 회원 ID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읽어내서, 이 읽어낸 거래실적가치(포인트)가 상기 구매물품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포인트)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판단결과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상기 읽어낸 거래실적가치(포인트)에서 상기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감산한 정산 거래실적가치(포인트)를 상기 회원 ID에 대응하여 새로운 거래실적가치(포인트)로서 갱신 기록하고, 구매 완료정보를 해당 회원의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로 전송한다(S92). 한편, 상기 판단결과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인터넷 관리서버(IS)는 거래 거절정보를 해당 회원의 퍼스널 컴퓨터 단말기(PTu)로 전송한다(S92).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말로서 퍼스널 컴퓨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휴대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카드매체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입하고 구입 대금의 결제와 함께 카드 단말기를 통하여 거래실적가치를 할당받는 오프라인 거래 및, 예를 들면 인터넷 웹사이트의 쇼핑몰 등에서 카드매체의 회원번호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입하고 거래실적가치를 할당받는 온라인 거래에서 발생하는 거래실적 가치를 통합하여 누적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거래실적가치를 현금으로 환전하거나 또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상의 물품 대금으로 지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카드매체 통합 시스템의 사업자 입장에서는 카드매체의 수요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오프라인의 카드매체 가맹점 및 온라인의 인터넷 쇼핑몰 운영 업체의 입장에서는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카드매체의 거래내역에 따라 거래실적가치를 할당하여 해당 카드매체에 누적 기록하고 상기 카드매체 별로 거래내역과 함께 상기 할당된 거래실적가치를 저장하는 복수의 카드 단말기와,
    카드매체를 이용하여 각종 물품을 판매하는 복수의 인터넷 쇼핑몰 서버와,
    상기 카드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카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저장된 카드매체의 오프라인상의 거래내역과 거래실적가치를 전송받으며,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로부터 온라인상의 거래내역을 전송받아 그 거래내역에 따라 온라인상의 거래실적가치를 할당하고, 상기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의 거래내역 및 거래실적가치를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매체는 충전식 선불카드이고, 상기 카드 단말기는 상기 충전식 선불카드에 충전된 충전금액을 판독하고 거래금액을 정산하여 정산금액을 새로운 충전금액으로 상기 충전식 선불카드에 갱신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식 선불카드에 저장된 거래실적가치를 금액으로 환전하여 상기 선불카드에 누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단말기는 상기 카드매체에 적립된 거래실적가치를 금액으로 환전하여 특정 계좌로 이체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그 요청을 관리서버에 통지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특정 계좌를 액세스할 수 있는 부가가치망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거래실적에 대응하는 금액이 상기 특정 계좌로 이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매체의 이용자가 자신의 접속 단말을 통해서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거래실적가치에 의한 물품구매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인터넷 쇼핑몰의 서버는 해당 회원 ID와 비밀번호 및 구매대금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회원 인증 처리를 수행한 다음에, 상기 회원 ID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내고 이 거래실적가치가 상기 구매금액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거래가능여부 정보를 인터넷 쇼핑몰의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는 상기 거래가능여부 정보에 따라 상기 이용자의 접속 단말로 거래결과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요청 및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요청에 의하여 부가가치망 서버에 접속하여 지불인증 처리, 계좌이체 처리 및 신용카드 이체 처리 등을 수행하는 지불인증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회원이 자신의 접속 단말을 통해서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의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및 회원 ID를 입력하고 물품구매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인터넷 쇼핑몰의 서버는 해당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구매대금, 회원 ID 및 자신의 이체계좌번호를 포함하는 구매대금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지불인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지불인증서버는 상기 구매대금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에 전송하여 대금의 이체 요청을 행하고,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로부터의 대금 이체 완료 정보를 받으면,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로 대금 이체 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 회원 ID와 구매대금을 포함하는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회원 ID와 구매대금을 이용하여 회원 ID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내고, 상기 구매대금에 대응하는 거래내역가치를 상기 읽어낸 거래내역가치에 가산한 새로운 거래내역가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회원이 자신의 접속 단말을 통해서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신의 거래내역가치를 금액으로 환전하여 자신의 특정 이체계좌로 이체하기 위하여 자신의 회원 ID와 비밀번호, 회원의 이체계좌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인터넷 쇼핑몰의 서버는 해당 회원 ID와 비밀번호 및 회원의 이체계좌번호를 포함하는 거래실적가치의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상기 지불인증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지불인증서버는 상기 거래실적가치의 계좌이체 요청정보중 해당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해당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회원 인증처리를 함과 동시에, 상기 회원 ID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내고 이 읽어낸 거래실적가치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거래실적가치의 환산 금액과 관리서버의 인출계좌번호를 상기 지불인증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지불인증서버는 상기 회원의 이체계좌번호와 상기 거래실적가치의 환산 금액 및 관리서버의 인출계좌번호를 포함하는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로 전송하고, 그후 상기 부가가치망 서버로부터 계좌 이체 완료정보를 받으면, 해당 인터넷 쇼핑몰의 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 계좌이체 완료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계좌이체 완료 정보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낸 거래실적가치에서 상기 계좌이체된 금액에 대응하는 거래실적가치를 감산한 새로운 거래실적가치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카드 단말기가 설치된 제휴사의 서버 및 상기 인터넷 쇼핑몰 운영사의 서버에 해당 회사의 거래내역을 가공한 자료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000018277A 2000-04-07 2000-04-07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시스템 KR10036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277A KR100365672B1 (ko) 2000-04-07 2000-04-07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277A KR100365672B1 (ko) 2000-04-07 2000-04-07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889A KR20010094889A (ko) 2001-11-03
KR100365672B1 true KR100365672B1 (ko) 2002-12-26

Family

ID=1966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277A KR100365672B1 (ko) 2000-04-07 2000-04-07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476A (ko) * 2001-01-20 2002-07-26 이경환 단말기를 이용한 카드 누적포인트 관리시스템 및 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85A (ko) * 2000-05-01 2001-11-26 장남선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000054060A (ko) * 2000-05-19 2000-09-05 임정규 인터넷을 통한 신용포인트 및 마일리지의 현물전환서비스제공방법
KR20010074287A (ko) * 2001-05-04 2001-08-04 김형석 적립포인트의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0373A (ko) * 2001-07-26 2003-02-05 정상규 온라인 고객확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0247A (ko) * 2002-05-18 2003-11-28 (주)에스티게이트 통합 캐쉬백 서비스를 통한 서비스 가맹점 수익분배 방법
KR100687073B1 (ko) * 2002-07-11 2007-02-27 엘지카드 주식회사 포인트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6731A (ko) * 2002-08-19 2004-02-25 이승용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8165940B2 (en) 2008-01-31 2012-04-24 Visa U.S.A. Inc. Non-credit account credit ra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476A (ko) * 2001-01-20 2002-07-26 이경환 단말기를 이용한 카드 누적포인트 관리시스템 및 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889A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18679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nic-card settlement through an internet network
KR20020006625A (ko) 중간계정을 이용하는 전자 지불 시스템
US7850080B2 (en) Assist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purchases of goods or services conducted with payment card systems
US20020070270A1 (en) Award point service system, recording medium for use therein and award point service method
JP4326165B2 (ja) Icカード及び電子マネー入金システム
KR20060111200A (ko) 휴대 단말기 번호를 가상 계좌로 이용한 결제 방법 및시스템
KR100792959B1 (ko) Ic카드를 이용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충전,지불 및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0189A (ko) 통합 전자화폐 시스템
JP6667010B2 (ja) モバイルプリペイドカードのサービスシステム、そのクローンカード保存装置及びサービス方法
KR100365672B1 (ko)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시스템
KR20010089104A (ko) 개인용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30120590A1 (en) Electronic settlement method and system
KR100381102B1 (ko) 카드매체의 사용실적 관리 시스템
KR100386331B1 (ko) 비밀번호에 의한 선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선불카드 운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56343B1 (ko) 전자용돈화폐 발행 및 거래시스템
JP2005317040A (ja) Icカード及び電子マネー入金システム
KR101803075B1 (ko) 모바일 카드의 클론 카드 저장장치,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클론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0464676B1 (ko) 동전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79697B1 (ko) 쿠폰 구매 결제에 대응한 리펀드 서비스 방법
KR20170123224A (ko) 모바일 카드의 클론 카드 저장장치,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클론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5805A (ko) 무선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구매 결제 제어방법
KR20010000329A (ko) 네트워크형 선불카드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전자거래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간 회원공유방법
JP2005038446A (ja) Icカード及び電子マネー入金システム
KR100851676B1 (ko) 선불결제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67036A (ko) 선불카드의 충전방법 및 충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