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260B1 -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260B1
KR100365260B1 KR1020000075443A KR20000075443A KR100365260B1 KR 100365260 B1 KR100365260 B1 KR 100365260B1 KR 1020000075443 A KR1020000075443 A KR 1020000075443A KR 20000075443 A KR20000075443 A KR 20000075443A KR 100365260 B1 KR100365260 B1 KR 10036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inking body
crane
sinking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460A (ko
Inventor
김응천
Original Assignee
김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천 filed Critical 김응천
Priority to KR102000007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2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4Apparatus for passing chains or the like under vessel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해에 침몰된 선박이나 항공기등의 각종 침몰체를 인양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부가 잠수를 하지 못할 정도로 깊은 심해에 침몰한 침몰체 주위의 해저면으로 중량추를 침강시키고, 이 중량추에서 고압의 유체를 분사시켜서 침몰체의 전후방 바닥에 구덩이가 파지도록 하며, 침몰체 하부의 전후방 구덩이로 인양체인이 가로질러 삽입시켜 침몰체의 하부바닥을 감싸도록 한 뒤에 인양체인을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의 크레인으로 걸어서 침몰체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은,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6)의 크레인(7)에 매달은 중량추(9)를 침몰체(25) 주위의 해저로 침강시키는 중량추 해저 침강단계(1)와, 상기 중량추(9)를 침몰체(25)의 주위로 이동시키면서 중량추에 장착된 고압유체분사기(19)(19a)에서 고압의 유체를 침몰체(25) 주위의 해저로 분사시켜서 침몰체주위의 해저 토사가 파헤치며 토사펌핑수단으로 파헤쳐지는 토사를 수중상부로 상향 펌핑시켜 침몰체의 전후방 해저에 구덩이를 형성하게 하는 해저구덩이 형성단계(2)와, 침몰체(25) 하부의 전후방 구덩이로 인양체인(15)을 가로질러 삽입시켜 침몰체(25)의 하부를 "∪"형으로 감싸도록 하는 인양체인 거는단계(3)와,
상기 침몰체(25)의 전후방에 "∪"형으로 감싸도록 걸은 인양체인(15)을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의 크레인으로 걸어 침몰체(25)을 인양하는 침몰체 인양단계(4)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는, 기중기선(6)에 장착된 크레인(7)의 와이어로프(8)의 단부에는 해저로 침강하는 중량추(9)가 매달리게 설치되고, 상기 중량추(9)의 일측에는 기중기선(6)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해저면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해저면을 파헤쳐서 웅덩이를 형성하게 하고 해저면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부상하는 토사를 수중상부로 펌핑하는 해저면굴착기(12)가 설치되며, 기중기선(6) 주변의 수면에 떠있는 부표(13)와 중량추(9)의 사이에는 길이가 매우긴 와이어로프(14)가 해저면에 늘어트려지게 연결되고, 상기 침몰체(25)의 전후방하부를 감싸게 걸어서 수면으로 올라온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연결되어 부표(13)에 연결되었던 와이어로프(14)의 타단을 당김에 따라 침몰체(25)의 전후방하부를 ∪"형으로 감싸서 침몰체(25)을 인양하게 하는 인양체인(15)이 구비된 것으로서, 잠수부가 잠수를 하지 못할 정도로 깊은 심해에 침몰한 침몰체(25) 주위의 해저면으로 중량추(9)를 침강시키고, 이 중량추에서 고압의 유체를 분사시켜서 침몰체(25)의 전후방 바닥에 구덩이가 파지도록 하며, 이 구덩이로 중량추에 연결된 와이어로프가 침몰체(25)의 하부바닥을 감싸도록 한뒤에 이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굵은 인양체인(15)을 연결시켜서 재차 굵은 인양체인(15)이 침몰체(25)의 하부바닥을 감싸도록 하며, 이렇게 감싸여진 인양체인(15)을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의 크레인으로 걸어서 침몰체(25)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A pulling up method of sunken body under the sea , and the pulling up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심해에 침몰된 선박이나 항공기등의 각종 침몰체를 인양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부가 잠수를 하지 못할 정도로 깊은 심해에 침몰한 침몰체 주위의 해저면으로 중량추를 침강시키고, 이 중량추에서 고압의 유체를 분사시켜서 침몰체의 전후방 바닥에 구덩이가 파지도록 하며, 침몰체 하부의 전후방 구덩이로 인양체인이 가로질러 삽입시켜 침몰체의 하부바닥을 감싸도록 한 뒤에 인양체인을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의 크레인으로 걸어서 침몰체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 호수등의 물속에 선박이나 항공기등의 침몰체가 침몰한 경우에 침몰체가 침몰한 물의 깊이가 깊지 않아서 잠수부가 잠수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이면, 잠수부가 물속으로 들어가 침몰체에 인양체인을 묶어서 침몰체를 인양할 수 있는데, 물속의 깊이가 50∼60mm 이상으로 깊을 경우에는 잠수부가 물속으로 들어갈 수 없고 깊은 물속에 침몰한 침몰체를 인양할 장비가 개발된 바가 없어서 깊은 물속에 침몰한 침몰체는 인양할 수가 없었다.
상기와 같이 깊은 물속에 침몰한 침몰체를 인양하지 못하고 깊은 물속에 침몰체를 방치해둠에 따라 재산상의 막대한 손실과, 침몰체에서 유출되는 기름으로 강과 바다, 호수등을 오염시키는 피해가 매우 큰 것이 현재의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이나 바다, 호수 특히, 물속의 깊이가 50∼60mm 이상으로 깊어서 잠수부가 잠수를 하지 못하는 깊은 물속(이하, 심해라고 칭한다)에 선박이나 항공기등의 침몰체가 침몰된 경우에 침몰체의 전후방 해저면을 고압의 유체로서 파헤친 뒤에 침몰체의 전후방 하부에 파헤쳐진 구덩이로 인양체인을 바늘에 실을 꿰어서 바느질하듯 가로질어 삽입시킨 뒤에 그 인양체인을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의 크레인으로 걸어서 인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은,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의 크레인에 매달은 중량추를 침몰체 주위의 해저로 침강시키는 중량추 해저 침강단계와, 상기 중량추를 침몰체의 주위로 이동시키면서 중량추에 장착된 고압유체분사기에서 고압의 유체를 침몰체 주위의 해저로 분사시켜서 침몰체주위의 해저 토사가 파헤치며 토사펌핑수단으로 파헤쳐지는 토사를 수중상부로 상향 펌핑시켜 침몰체의 전후방 해저에 구덩이를 형성하게 하는 해저구덩이 형성단계와, 침몰체 하부의 전후방 구덩이로 인양체인을 가로질러 삽입시켜 침몰체의 하부를 "∪"형으로 감싸도록 하는 인양체인 거는단계와, 상기 침몰체의 전후방에 "∪"형으로 감싸도록 걸은 인양체인을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의 크레인으로 걸어 침몰체를인양하는 침몰체 인양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는, 기중기선에 장착된 크레인의 와이어로프의 단부에는 해저로 침강하는 중량추가 매달리게 설치되고, 상기 중량추의 일측에는 기중기선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해저면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해저면을 파헤쳐서 웅덩이를 형성하게 하고 해저면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부상하는 토사를 수중상부로 펌핑하는 해저면굴착기가 설치되며, 기중기선 주변의 수면에 떠있는 부표와 중량추의 사이에는 길이가 매우긴 와이어로프가 해저면에 늘어트려지게 연결되고, 상기 침몰체의 전후방하부를 감싸게 걸어서 수면으로 올라온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연결되어 부표에 연결되었던 와이어로프의 타단을 당김에 따라 침몰체의 전후방하부를 ∪"형으로 감싸서 침몰체를 인양하게 하는 인양체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의 이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해저면굴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해저면굴착기의 이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침몰체를 인양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량추 해저 침강단계 2 : 해저구덩이 형성단계
3 : 인양체인 거는단계 4 : 침몰체 인양단계
5 : 해저면 6 : 기중기선 7 : 크레인
8 : 와이어로프 9 : 중량추 10 : 콤푸레셔
11 : 발전기 12 : 해저면굴착기 13 : 부표
14 : 와이어로프 15 : 인양체인 16 : 흡입관통
17 : 토출관 18 : 호스 19 : 고압유체분사기
20 : 연결관부 21 : 펌핑분사구 22 : 수직분사구
23 : 수평분사구 24 : 팬 25 : 침몰체
26 : 중량물 27 : 와이어로프 28 : 권상기
29 : 도르래 30 : 앙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은,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6)의 크레인(7)에 매달은 중량추(9)를 침몰체(25) 주위의 해저로 침강시키는 중량추 해저 침강단계(1)와, 상기 중량추를 침몰체(25)의 주위로 이동시키면서 중량추에 장착된 고압유체분사기(19)(19a)에서 고압의 유체를 침몰체(25) 주위의 해저로 분사시켜서 침몰체주위의 해저 토사가 파헤치며 토사펌핑수단으로 파헤쳐지는 토사를 수중상부로 상향 펌핑시켜 침몰체의 전후방 해저에 구덩이를 형성하게 하는 해저구덩이 형성단계(2)와, 침몰체(25) 하부의 전후방 구덩이로 인양체인(15)을 가로질러 삽입시켜 침몰체(25)의 하부를 "∪"형으로 감싸도록 하는 인양체인 거는단계(3)와, 상기 침몰체(25)의 전후방에 "∪"형으로 감싸도록 걸은 인양체인(15)을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의 크레인으로 걸어 침몰체(25)를 인양하는 침몰체 인양단계(4)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량추 해저 침강단계(1)에서 중량추(9)를 침강시킬 때 는 수면위에 떠 있는 부표(13)와 중량추(9)의 사이에 길이가 매우 긴 와이어로프(14)로 연결되어 와이어로프가 해저바닥에 늘어트려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양체인 거는단계(3)는 해저에 구덩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중량추(9)에 연결되어 해저에 늘어트려진 와이어로프(14)가 침몰체(25) 하부의 해저에 형성된 구덩이를 통하여 침몰체의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한 뒤에 중량추(9)를 수면위로 끌어 올려 와이어로프(14)가 침몰체(25)의 하부를 "∪"형으로 감싸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수면으로 올라온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굵은 인양체인(15)을 연결하고 부표(13)에 연결되었던 와이어로프(14)의 타단을 당겨서 굵은 인양체인(15)이 상기 침몰체(25)의 하부를 "∪"형으로 재차 감싸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양체인 거는단계(3)의 다른 실시예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면에 떠 있는 부표(26a)와 매우 긴 와이어로프(26b)가 연결된 2개의 중량물(26)을 침몰체(25)의 양측 해저면에 침강시키고, 양단부가 기중기선(6)에 설치된 권상기(28)에서 감겨있고 중앙에 인양체인(15)이 연결된 와이어로프(27)의 양측을 양측 중량물(26)에 설치된 도르래(29)를 통하여 권상기(28)에서 감아서 와이어로프(27)의 중간에 설치된 인양체인(15)이 침몰체(25)의 전후방 하단에 형성된 구덩이로 가로질러 삽입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중기선(6)에 장착된 크레인(7)의 와이어로프로프(8)의 단부에는 해저로 침강하는 중량추(9)가 매달리게 설치되고, 상기 중량추(9)의 일측에는 기중기선(6)에 설치된 콤푸레셔(10) 및 발전기(11)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해저면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해저면을 파헤쳐서 웅덩이를 형성하게 하고 해저면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부상하는 토사를 수중상부로 펌핑하는 해저면굴착기(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중기선(6) 주변의 수면에 떠있는 부표(13)와 중량추(9)의 사이에는 길이가 매우긴 와이어로프(14)가 해저면에 늘어트려지게 연결되고, 상기 침몰체(25)의 전후방하부를 감싸게 걸어서 수면으로 올라온 와이어로프(14)의 타측 단부즉, 부표(13)가 연결되었던 와이어로프(14)의 타단을 당김에 따라 침몰체(25)의 전후방하부를 ∪"형으로 감싸서 침몰체(25)을 인양하게 하는 인양체인(1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해저면굴착기(12)는 두가지형태로 설치되는데 먼저 4에 도시된 해저면굴착기(12)의 일실시예는 하방이 개방된 흡입관통(16)의 상부에 흡입관통(16)으로 흡입된 토사를 수중상부로 토출하는 토출관(17)이 상향 설치되고, 이 흡입관통(16)의 일측에는 상기 콤푸레셔(10)와 호스(18)로 연결되어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고압유체분사기(19)이 설치된다.
상기 고압유체분사기(19)은 상부에 호스(18)와 연결되는 연결관부(20)와, 흡입관통(1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흡입관통(16)의 상부로 유체를 분사시키는 펌핑분사구(21)과,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분사시키는 수직분사구(22)와,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평분사구(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도 5에 도시된 해저면굴착기(12)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굴착기(12)는 중량추(9)의 일측에 콤푸레셔(10)와 호스(18)로 연결되어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고압유체분사기(19a)를 설치하되, 이 고압유체분사기(19a)는 상부에 호스(18)와 연결되는 연결관부(20)와,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분사시키는 수직분사구(22)와,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평분사구(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추(9)의 타측에는 상부에 토출관(17)이 상향 설치된 흡입관통(16)이 고정 설치되고, 흡입관통(16)의 하부에는 고압유체분사기(19a)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파헤쳐지는 토사를 상향 토출시키는 팬(24)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팬(24)은 기중기선(6)에 탑재된 발전기(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의 이실시예를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즉, 이실시예에 의한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는 기중기선(6)에 장착된크레인(7)의 와이어로프(8)의 단부에는 해저로 침강하는 중량추(9)가 매달리게 설치되고, 상기 중량추(9)의 일측에는 기중기선(6)에 설치된 콤푸레셔(10) 및 발전기(11)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해저면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해저면을 파헤쳐서 웅덩이를 형성하게 하고 해저면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부상하는 토사를 수중상부로 펌핑하는 해저면굴착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침몰체(25)의 양측 해저면에 침강시키는 중량물(26)에는 기중기선(6) 주변의 수면에 떠있는 부표(26a)와 와이어로프(26b)가 연결되어 있고, 양측 중량물(26)의 일측에는 도르래(29)가 설치되며, 이 양측 중량물(26)의 사이에는 가운데 인양체인(15)이 위치하고 그 인양체인(15)의 양단에 와이어로프(27)가 연결되어 양측 와이어로프(27)가 도르래(29)를 통하여 기중기선(6)에 설치된 권상기(28)에 감겨져 있다.
상기 해저면굴착기(12)는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해저면굴착기(12)의 일,이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의 이실시예에 설치된 해저면굴착기(1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30"은 기중기선을 수면위에 정박시키는 앵커(anchor)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업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의 일실시예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침몰체(25)의 상부 수면위에 정박한 기중기선(6)의 크레인(7)을 이용하여 크레인(7)의 와이어로프(8)에 매달린 중량추(9)를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으로 침강시킨다. 이렇게 중량추(9)를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으로 침강시킬 때는 기중기선(6)에 설치된 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침몰체(25)의 침몰된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으로 중량추(9)를 침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침강하는 중량추(9)에는 와이어로프(14)의 한쪽이 연결되어 있고 또 다른 한쪽 끝은 기중기선(6) 주변의 수면위에 떠 있는 부표(13)에 연결된 상태이고, 이렇게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로프(14)는 길이가 매우길어서 해저면에 늘어트려진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중량추(9)를 침강시키다가 중량추(9)의 하단이 해저면에 도달하게 될 즈음에 기중기선(6)에 탑재된 콤푸레셔(10) 또는 발전기(11)를 구동시켜서 고압의 유체가 도 4 및 도 5와 같이 고압유체분사기(19)(19a)를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압의 유체가 고압유체분사기(19)(19a)에서 분사될 때, 도 4에 도시된 해저면굴착기(12)의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압의 유체가 수직분사구(22)와 수평분사구(23)를 통하여 해저면과 측방으로 분사되면서 그와 동시에 흡입관통(16)의 내측 상부로 분사되게 된다.
상기 수직분사구(22)를 통하여 해저면으로 분사되는 고압유체의 분사압력에 의해 대부분 뻘로 이루어진 해저면이 파헤쳐지게 되고, 측방으로 분사되는 고압유체에 의해서는 해저면 측방의 뻘이 파헤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저면의 뻘(토사)이 파헤쳐지면서 해저면에 부딛쳐서 상승하는 수류에 의해 상기와 같이 파헤쳐지는 토사가 부상하게 되는데, 고압유체분사기(19)의 일측상단에 형성된 펌핑분사구(21)에서 흡입관통(16)의 상부로 분사되는 분사압력에 의해 상기와 같이 부상하는 토사가 흡입관통(16)으로 흡입되면서 토출관(17)을 통하여 수중상부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분사구(22)와 수평분사구(23)에서 분사되는 고압유체에 의해 해저면을 파헤쳐지게 되고 펌핑분사구(21)를 통하여 상향 분사되는 고압유체에 의해 상기 파헤쳐지는 토사가 수중상부로 토출됨에 따라 해저면에는 구덩이가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에 구덩이가 형성되게 되면 중량추(9)를 비롯한 해저면굴착기(12)를 침몰체(25)주변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와 같이 구덩이를 형성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에 구덩이를 형성하면서 중량추(9)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중량추(9)의 하단부 소정위치에는 와이어로프(14)가 연결되어서 와이어로프(14)가 중량추(9)가 이동하는대로 이끌려 다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수평분사구(23)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는 고압유체는 침몰체(25) 하방의 해저면을 파헤쳐서 침몰체(25)의 하방에 커다란 구덩이를 형성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침몰체(25) 하방의 해저면에 구덩이를 형성하는 것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몰체(25)의 전후방하측에 구덩이를 형성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침몰체(25)의 전후방하측에 구덩이를 형성를 형성하면서 중량추(9)가 이동할 때 중량추(9)에 연결된 와이어로프(14)는 바닥에 늘어트려진 상태로 이끌려 다니기 때문에 와이어로프(14)가 침몰체(25)의 전후방하측에 구덩이를 가로질러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와이어로프(14)가 침몰체(25) 하방의 구덩이를 통하여 침몰체(25)의 전후방하측으로 가로질러 삽입되면 중량추(9)를 수면위로 상승시키는데, 이 중량추(9)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14)의 한쪽 끝이 매달려 있어서 바늘에 실을 꿰어 바느질하는 것과 유사하게 와이어로프(14)로서 침몰체(25)의 전후방하측을 "∪"자 형태로 감싸게 된다.
그 뒤, 중량추(9)에 연결되었던 와이어로프(14)의 일측단에 굵은 인양체인(15)을 연결한 상태에서 인양체인(15)의 타측이 물에 빠져 물속으로 들어가지않게 크레인(7)에 연결시켜놓고, 수면에 떠 있는 부표(13)에 연결된 와이어로프(14)의 타측단을 당겨주면 침몰체(25)의 하부를 "∪"자형으로 감싸고 있던 와이어로프(14)가 상기 와이어로프(14)를 끌어올리때와 반대로 당겨지면서 와이어로프(14)와 연결된 인양체인(15)이 물속으로 침강하면서 침몰체(25)의 하부를 다시 "∪"자형으로 감싸게 된다.
이렇게 침몰체(25) 하부의 전후방을 인양체인(15)으로 "∪"자형으로 감싼 뒤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양체인(15)을 기중기선(6)에 설치된 크레인(7)을 이용하여 침몰체(25)를 인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면에는 인양체인(15)을 침몰체(25)의 전후방에 한가닥씩 감싸서 인양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침몰체(25)를 여러가닥으로 감싸서 인양해야 인양시 하중이 분산되어 침몰체이 절단되는 등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대한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침몰체(25)를 인양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는 과정에서 해저면굴착기(12)의 작용설명을 도 4에 도시한 일실시예의 해저면굴착기(12)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는데, 도 5에 도시한 이실시예의 해저면굴착기(12)는 고압유체분사기(19a)를 이용하여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을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파헤치고, 해저면을 파헤칠 때 부상하는 토사를 흡입관통(16)의 하부에 설치된 팬(24)의 회전에 의해 흡입관통(16)으로 흡입하면서 토출관(17)을 통하여 수중상부로 토출시키는 것이므로,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해저면굴착기(12)와 유사하게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는데, 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의 다른 점은 일실시예에서는 중량추(9)의 하단에 와이어로프(14)를 연결하여 와이어로프(14)가 침몰체(25)의 하부를 "∪"자형으로 감싸도록 하였으나,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인양체인 거는단계(3)에서 침몰체(25)의 양측 해저면에 콘크리트블럭형태로 형성되며 10톤(ton)정도로 무거운 중량물(26)을 침강시키뒤에 양측 중량물(26)의 사이에 인양체인(15)이 위치하도록 하고 인양체인(15)의 양단에 연결된 와이어로프(27)를 양측 중량물(26)의 도르래(29)를 통하여 수면위에 정박중인 기중기선(6)의 권상기(28)에서 감아서 인양체인(15)이 침몰체(25)의 전후방 하측에 형성된 구덩이로 가로질러 삽입되게 하는 점이 서로 상이한 것이다.
즉, 침몰체(25)의 상부 수면위에 정박한 기중기선(6)의 크레인(7)을 이용하여 크레인(7)의 와이어로프(8)에 매달린 중량추(9)를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으로 침강시키고, 침몰체(25) 양측의 해저면에 중량물(26)을 침강시킨다. 이렇게 중량추(9)와 중량물(26)을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으로 침강시킬 때는 기중기선(6)에 설치된 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침몰체(25)의 침몰된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으로 중량추(9)와 중량물(26)을 침강시킨다.
상기 중량추(9)는 크레인(7)의 와이어로프(8)에 매달려서 수직방향으로 침강을 하게 되나, 양측 중량물(26)은 10톤(ton)정도로 무거운 콘크리트블럭으로 형성되어 해저면에 위치가 고정되며, 이 중량물(26)에는 수면위에 떠 있는 부표(26a)와 와이어로프(26b)가 연결되어 중량물(26)의 침강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추후에 중량물(26)을 수면위로 들어올릴 때 부표(26a)와 연결된 와이어로프(26b)를 이용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측 중량물(26)의 사이에는 가운데에 굵은 인양체인(15)이 위치하고 이 인양체인(15)의 양단에 와이어로프(27)가 연결되어 있으면서 이 와이어로프(27)는 중량물(26)에 설치된 도르래(29)를 거쳐서 기중기선(6)에 탑재된 권상기(28)에 감겨져 있어 와이어로프(27)의 양단부는 수면위에 정박한 기중기선(6)의 권상기(28)에 걸려있고, 중앙의 무거운 인양체인(15)은 해저면에 늘어트려진 상태로 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량추(9)를 침강시키다가 중량추(9)의 하단이 해저면에 도달하게 될 즈음에 기중기선(6)에 탑재된 콤푸레셔(10) 또는 발전기(11)를 구동시켜서고압의 유체가 도 4 및 도 5와 같이 고압유체분사기(19)(19a)를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압의 유체가 고압유체분사기(19)(19a)에서 분사될 때, 도 4에 도시된 해저면굴착기(12)의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압의 유체가 수직분사구(22)와 수평분사구(23)를 통하여 해저면과 측방으로 분사되면서 그와 동시에 흡입관통(16)의 내측 상부로 분사되게 된다.
상기 수직분사구(22)를 통하여 해저면으로 분사되는 고압유체의 분사압력에 의해 대부분 뻘로 이루어진 해저면(5)이 파헤쳐지게 되고, 측방으로 분사되는 고압유체에 의해서는 해저면 측방의 뻘이 파헤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저면의 뻘(토사)이 파헤쳐지면서 해저면에 부딛쳐서 상승하는 수류에 의해 상기와 같이 파헤쳐지는 토사가 부상하게 되는데, 고압유체분사기(19)의 일측상단에 형성된 펌핑분사구(21)에서 흡입관통(16)의 상부로 분사되는 분사압력에 의해 상기와 같이 부상하는 토사가 흡입관통(16)으로 흡입되면서 토출관(17)을 통하여 수중상부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분사구(22)와 수평분사구(23)에서 분사되는 고압유체에 의해 해저면을 파헤쳐지게 되고 펌핑분사구(21)를 통하여 상향 분사되는 고압유체에 의해 상기 파헤쳐지는 토사가 수중상부로 토출됨에 따라 해저면에는 구덩이가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에 구덩이가 형성되게 되면 중량추(9)를 비롯한 해저면굴착기(12)를 침몰체(25)주변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와 같이 구덩이를형성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침몰체(25) 주변의 해저면에 구덩이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침몰체(25) 양측의 해저면에 침강시켰던 중량물(26)에 연결된 양측 와이어로프(27)를 권상기(28)에 감으면 무거운 인양체인(15)이 침몰체(25)의 전후방하부에 형성된 구덩이로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침몰체(25) 하부의 구덩이로 인양체인(15)이 삽입되면, 침몰체(25) 양측의 해저면에 침강된 중량물(26)을 크레인(7)으로 들어올리고 중량물(26)과 함께 끌어올려진 인양체인(15)을 크레인(7)으로 들어올리면 인양체인(15)에 침몰체(25)의 전후방하부가 "∪"자형으로 감싸지면서 올라와 침몰체(25)를 인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중량물(26)을 들어올릴때는 중량물(26)에 와이어로프(26b)로서 연결된 부표(26a)를 보고 그 부표(26a)가 연결된 와이어로프(26b)를 크레인(7)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이제까지 고압유체로서 해저면을 파헤친다고 설명하였는데, 위에서 언급한 고압유체는 압축공기나 또는 고압수(高壓水)를 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와이어로프와 인양체인, 중량추의 크기는 인양할 침몰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500톤규모의 침몰체를 인양할 경우에 적당한 와이어로프와 인양체인, 중량추의 크기는 와이어로프의 직경이 20∼32mm, 인양체인은 체인고리의 직영이 60mm, 중량추의 무게는 3톤의 것이 적합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는, 강이나 바다, 호수 특히, 물속의 깊이가 50∼60mm 이상으로 깊어서 잠수부가 잠수를 하지 못하는 깊은 물속에 선박이나 항공기등의 침몰체가 침몰된 경우에 침몰체의 전후방 해저면을 고압의 유체로서 파헤친 뒤에 침몰체의 전후방 하부에 파헤쳐진 구덩이로 인양체인을 바늘에 실을 꿰어서 바느질하듯 가로질어 삽입시킨 뒤에 그 인양체인을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의 크레인으로 걸어서 인양할 수 있도록 하여서, 잠수부가 들어가지 못하는 깊은 물속에 침몰된 침몰체를 간편하게 인양할 수 있는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깊은 물속으로 잠수부가 들어가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침몰체를 간편하게 인양할 수 있으므로 인체에 전혀 손상을 주지않는 장점과, 고가의 침몰체를 용이하게 인양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익하고, 침몰체에서 유출되는 기름에 의한 피해도 제거되는 등의 매우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6)의 크레인(7)에 매달은 중량추(9)를 침몰체(25) 주위의 해저로 침강시키는 중량추 해저 침강단계(1)와,
    상기 중량추(9)를 침몰체(25)의 주위로 이동시키면서 중량추에 장착된 고압유체분사기(19)(19a)에서 고압의 유체를 침몰체(25) 주위의 해저로 분사시켜서 침몰체주위의 해저 토사가 파헤치며 토사펌핑수단으로 파헤쳐지는 토사를 수중상부로 상향 펌핑시켜 침몰체의 전후방 해저에 구덩이를 형성하게 하는 해저구덩이 형성단계(2)와,
    침몰체(25) 하부의 전후방 구덩이로 인양체인(15)을 가로질러 삽입시켜 침몰체(25)의 하부를 "∪"형으로 감싸도록 하는 인양체인 거는단계(3)와,
    상기 침몰체(25)의 전후방에 "∪"형으로 감싸도록 걸은 인양체인(15)을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의 크레인으로 걸어 침몰체(25)을 인양하는 침몰체 인양단계(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추 해저 침강단계(1)에서 중량추(9)를 침강시킬 때 는 수면위에 떠 있는 부표(13)와 중량추(9)의 사이에 길이가 매우 긴 와이어로프(14)로 연결되어 와이어로프가 해저바닥에 늘어트려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체인 거는단계(3)는 해저에 구덩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중량추(9)에 연결되어 해저에 늘어트려진 와이어로프(14)가 침몰체(25) 하부의 해저에 형성된 구덩이를 통하여 침몰체의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한 뒤에 중량추(9)를 수면위로 끌어 올려 와이어로프(14)가 침몰체(25)의 하부를 "∪"형으로 감싸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수면으로 올라온 와이어로프(14)의 단부에 굵은 인양체인(15)을 연결하고 부표(13)에 연결되었던 와이어로프의 타단을 당겨서 굵은 인양체인(15)이 상기 침몰체의 하부를 "∪"형으로 재차 감싸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체인 거는단계(3)는 수면에 떠 있는 부표(26a)와 매우 긴 와이어로프(26b)가 연결된 2개의 중량물(26)을 침몰체(25)의 양측 해저면에 침강시키고, 양단부가 기중기선에 설치된 권상기(28)에서 감겨있고 중앙에 인양체인(15)이 연결된 와이어로프(27)의 양측을 양측 중량물(26)에 설치된 도르래(29)를 통하여 권상기(28)에서 감아서 와이어로프(27)의 중간에 설치된 인양체인(15)이 침몰체(25)의 전후방 하단에 형성된 구덩이로 가로질러 삽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4. 기중기선(6)에 장착된 크레인(7)의 와이어로프(8)의 단부에는 해저로 침강하는 중량추(9)가 매달리게 설치되고,
    상기 중량추(9)의 일측에는 기중기선(6)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해저면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해저면을 파헤쳐서 웅덩이를 형성하게 하고 해저면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부상하는 토사를 수중상부로 펌핑하는 해저면굴착기(12)가 설치되며,
    기중기선(6) 주변의 수면에 떠있는 부표(13)와 중량추(9)의 사이에는 길이가 매우긴 와이어로프(14)가 해저면에 늘어트려지게 연결되고,
    상기 침몰체(25)의 전후방하부를 감싸게 걸어서 수면으로 올라온 와이어로프(14)의 단부에 연결되어 부표(13)에 연결되었던 와이어로프(14)의 타단을 당김에 따라 침몰체(25)의 전후방하부를 ∪"형으로 감싸서 침몰체(25)을 인양하게 하는 인양체인(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굴착기(12)는 하방이 개방된 흡입관통(16)의 상부에 흡입관통(16)으로 흡입된 토사를 수중상부로 토출하는 토출관(17)이 상향 설치되고, 이 흡입관통(16)의 일측에는 상기 동력발생장치와 호스(18)로 연결되어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고압유체분사기(19)가 설치되고, 이 고압유체분사기(19)는 상부에 호스(18)와 연결되는 연결관부(20)와, 흡입관통(1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흡입관통(16)의 상부로 유체를 분사시키는 펌핑분사구(21)과,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분사시키는 수직분사구(22)와,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평분사구(2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굴착기(12)는 중량추(9)의 일측에 동력발생장치와 호스(18)로 연결되어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고압유체분사기(19a)를 설치하되, 이 고압유체분사기(19a)는 상부에 호스(18)와 연결되는 연결관부(20)와,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분사시키는 수직분사구(22)와,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평분사구(2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량추(9)의 타측에는 상부에 토출관(17)이 상향 설치된 흡입관통(16)이 고정 설치되고, 흡입관통(16)의 하부에는 고압유체분사기(19a)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파헤쳐지는 토사를 상향 토출시키는 팬(2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
  7. 기중기선(6)에 장착된 크레인(7)의 와이어로프(8)의 단부에는 해저로 침강하는 중량추(9)가 매달리게 설치되고,
    상기 중량추(9)의 일측에는 기중기선(6)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해저면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해저면을 파헤쳐서 웅덩이를 형성하게 하고 해저면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부상하는 토사를 수중상부로 펌핑하는 해저면굴착기(12)가 설치되며,
    침몰체(25)의 양측 해저면에 침강시키는 중량물(26)에는 기중기선(6) 주변의 수면에 떠있는 부표(26a)와 와이어로프(26b)가 연결되어 있고, 양측 중량물(26)의 일측에는 도르래(29)가 설치되며, 이 양측 중량물(26)의 사이에는 가운데 인양체인(15)이 위치하고 그 인양체인(15)의 양단에 와이어로프(27)가 연결되어 양측 와이어로프(27)가 도르래(29)를 통하여 기중기선(6)에 설치된 권상기(28)에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굴착기(12)는 하방이 개방된 흡입관통(16)의 상부에 흡입관통(16)으로 흡입된 토사를 수중상부로 토출하는 토출관(17)이 상향 설치되고, 이 흡입관통(16)의 일측에는 상기 동력발생장치와 호스(18)로 연결되어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고압유체분사기(19)rk 설치되고, 이 고압유체분사기(19)은 상부에 호스(18)와 연결되는 연결관부(20)와, 흡입관통(1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흡입관통(16)의 상부로 유체를 분사시키는 펌핑분사구(21)과,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분사시키는 수직분사구(22)와,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평분사구(2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굴착기(12)는 중량추(9)의 일측에 동력발생장치와 호스(18)로 연결되어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고압유체분사기(19a)를 설치하되, 이 고압유체분사기(19a)는 상부에 호스(18)와 연결되는 연결관부(20)와,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분사시키는 수직분사구(22)와, 연결관부(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평분사구(2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량추(9)의 타측에는 상부에 토출관(17)이 상향 설치된 흡입관통(16)이 고정 설치되고, 흡입관통(16)의 하부에는 고압유체분사기(19a)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파헤쳐지는 토사를 상향 토출시키는 팬(2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침몰체 인양장치.
KR1020000075443A 2000-12-12 2000-12-12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 KR10036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443A KR100365260B1 (ko) 2000-12-12 2000-12-12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443A KR100365260B1 (ko) 2000-12-12 2000-12-12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460A KR20010016460A (ko) 2001-03-05
KR100365260B1 true KR100365260B1 (ko) 2002-12-18

Family

ID=1970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443A KR100365260B1 (ko) 2000-12-12 2000-12-12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110B1 (ko) * 2015-03-30 2015-12-16 주식회사 보해오션 선박인양 제트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선박인양방법
KR101643730B1 (ko) 2016-03-14 2016-07-28 박진옥 침몰선박 인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5025B (zh) * 2021-12-07 2023-08-11 浙江国际海运职业技术学院 一种深海打捞作业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1797A (en) * 1976-07-09 1977-10-04 Erich Hausmann Steel boat hull salvaging assembly
US4479741A (en) * 1981-05-04 1984-10-30 Snamprogetti S.P.A. Device for laying underground or digging up subsea conduits
US4497519A (en) * 1982-11-22 1985-02-05 Grable Donovan B Metal particle recovery at sub-surface locations
US4499840A (en) * 1982-11-18 1985-02-19 Lung Tung Chao Method for the salvage of a sunken vessel
JPS61122333A (ja) * 1984-11-15 1986-06-10 Tomoe Suzuki 掘削装置
US4690087A (en) * 1986-03-21 1987-09-01 Constantin Hadjis System and method for raising sunken vessels
JPH02270695A (ja) * 1989-04-13 1990-11-05 Kajima Corp 台船と海底地盤との付着切り方法及びその装置
US5666898A (en) * 1995-07-05 1997-09-16 Bell; Wesley K. Equipment for raising sunken vessel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1797A (en) * 1976-07-09 1977-10-04 Erich Hausmann Steel boat hull salvaging assembly
US4479741A (en) * 1981-05-04 1984-10-30 Snamprogetti S.P.A. Device for laying underground or digging up subsea conduits
US4499840A (en) * 1982-11-18 1985-02-19 Lung Tung Chao Method for the salvage of a sunken vessel
US4497519A (en) * 1982-11-22 1985-02-05 Grable Donovan B Metal particle recovery at sub-surface locations
JPS61122333A (ja) * 1984-11-15 1986-06-10 Tomoe Suzuki 掘削装置
US4690087A (en) * 1986-03-21 1987-09-01 Constantin Hadjis System and method for raising sunken vessels
JPH02270695A (ja) * 1989-04-13 1990-11-05 Kajima Corp 台船と海底地盤との付着切り方法及びその装置
US5666898A (en) * 1995-07-05 1997-09-16 Bell; Wesley K. Equipment for raising sunken vess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110B1 (ko) * 2015-03-30 2015-12-16 주식회사 보해오션 선박인양 제트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선박인양방법
KR101643730B1 (ko) 2016-03-14 2016-07-28 박진옥 침몰선박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460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29020B2 (en) Method of installing an underwater riser
US34318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anchoring
KR101551888B1 (ko) 침몰선박 인양장치 및 그 인양방법
EP0972114B1 (en) Position penetrated anchor system and its use
US4048945A (en) Removable anchor having retrievable ballast
US64436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ipulating an object located underwater
KR100365260B1 (ko) 심해 침몰체 인양공법 및 그 인양장치
KR101723987B1 (ko) 해양 지지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58632B1 (ko) 석션 파일의 시공방법
EP28983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elding underwater noise
KR100833994B1 (ko) 선체인양용 부력발생장치
KR200431947Y1 (ko) 선체인양용 부력발생장치
CN108005659B (zh) 一种用于城市竖井建设的潜水挖掘施工方法
KR20160130333A (ko)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과 이의 설치방법
US20120027519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sealing and/or securing a borehole
CN107954308A (zh) 一种用于吊装中空六面体的悬吊用具
US4296706A (en) Anchor
CN203514313U (zh) 打入式柱状潜地锚
CN113356179A (zh) 一种水工构筑物地基的处理方法
JPH1025738A (ja) シンカーの埋設方法
JPH09195281A (ja) 海上におけるケーソンの据付方法
CN108750031A (zh) 防风浪水上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555948B1 (ko) 매설된 해저케이블을 노출시키는 방법
KR101555953B1 (ko) 매설된 해저케이블을 노출시키는 방법
CN214776446U (zh) 一种张力腿式浅海岩土勘察移动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