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700B1 -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700B1
KR100364700B1 KR1020000069276A KR20000069276A KR100364700B1 KR 100364700 B1 KR100364700 B1 KR 100364700B1 KR 1020000069276 A KR1020000069276 A KR 1020000069276A KR 20000069276 A KR20000069276 A KR 20000069276A KR 100364700 B1 KR100364700 B1 KR 100364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umidity
sensor
humidity senso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9452A (ko
Inventor
김상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0006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70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2544586A priority patent/JP3916561B2/ja
Priority to AU2001244821A priority patent/AU2001244821A1/en
Priority to PCT/KR2001/000545 priority patent/WO2002042689A1/en
Priority to RU2003114860/28A priority patent/RU2267057C2/ru
Priority to CN018192688A priority patent/CN100406805C/zh
Priority to EP01917946A priority patent/EP1346181A4/en
Priority to US10/432,282 priority patent/US6953921B2/en
Priority to DE60141549T priority patent/DE60141549D1/de
Priority to EP08075483A priority patent/EP1954099A1/en
Priority to ES08075482T priority patent/ES2342578T3/es
Priority to EP08075482A priority patent/EP1962563B1/en
Publication of KR2002003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80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806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aboratory u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리니어 특성을 갖는 볼로 매트릭 소자를 이용한 온도/습도센서는 조리기기 내의 음식물의 랩 사용유무 및 사용자의 요리모드 선택에 따라 요리시간이 조절 가능하도록 한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항 값의 변동에 따라 조리기기 내의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소자와, 조리기기 내의 온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저항 값을 통해 변화되는 습도감지소자의 온도에 따른 저항 값의 오차를 보상하는 보상소자와, 습도감지소자에서 감지되는 습도에 해당되는 출력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그 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증폭부의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가변저항과, 가변저항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 일단은 보상소자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리니어 특성을 갖는 볼로 매트릭 소자를 이용한 온도/습도센서는 조리기기 내의 음식물의 랩 사용유무를 감지하여 해당 음식물의 요리시간을 조절하고 사용자가 데우기 기능 선택시 선택된 데우기 요리모드에 해당되는 온도를 유지하여 요리를 수행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음식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oker using sensor temperature/humidity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기기 동작시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온도/습도센서의 센서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는 조리기기 내의 습도 량에 따라 저항 값이 변동되는 써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습도감지소자(Sh)와, 상기 습도감지소자(Sh)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습도감지소자(Sh)의 저항값 변동에 따른 전압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써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보상소자(St)와, 상기 습도감지소자(Sh)의 고내습도 출력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전압과의 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10)와, 상기 습도감지소자(Sh)의 저항값 변동에 따라 발생되는 고내습도 출력전압에 상응하는 전압 변동분을 출력하여 상기 증폭부(10)의 비반전(+)단자에 인가하는 가변저항(VR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제어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음식물을 원하는 상태로 요리하기 위해 조기기기의 요리설정 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조리기기는 기 설정된 송풍시간(S1)동안 팬(도시생략)을 구동시켜 송풍하고(S10), 해당 송풍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상기 판단 결과(S11), 상기 송풍 종료되었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도시생략)을 발진시키고, 상기 팬(도시생략)은 계속해서 구동시킨다(S13).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론(도시생략)을 발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조리기기 내의 습도 변화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습도감지소자(Sh)가 감지한다.
즉, 상기 마그네트론(도시생략)이 발진하여 발생되는 조기기기 내의 습도량에 의해 상기 습도감지소자(Sh) 저항체의 저항 값이 변화되므로 해당 습도감지소자(Sh)의 출력전압 또한 변동된다.
이어서 상기 습도감지소자(Sh)의 고내습도 출력전압(V1)은 증폭부(10)의 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여기서 제로 밸런스(Zero Balance)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즉, 상기 마그네트론(도시생략)을 발진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폭부(10)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전압(V2)이 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1)과 동일하도록 상기 가변저항(VR2)을 가변하여 제로 밸런스(zero balance)되도록 한다.
결국, 상기 가변저항(VR2)을 가변하여 상기 증폭부(10)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2)을 해당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1)과 동일하도록 제로 밸런스화 함으로써 상기 증폭부(10)의 출력전압 즉, 센서출력값(V0)은 초기화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로 밸런스가 완료되면(S14), 상기 증폭부(10)에서 출력되는 센서출력값(V0)이 초기값(Vref)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상기 판단 결과(S15), 상기 센서출력값(V0)이 초기값(Vref)으로 설정되었으면,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 대비 메뉴별 발생되는 전압변화(△V)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출력값(V0)을 초기값(Vref)으로 설정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따른 전압과 상기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의 차에 의한 전압변화(△V)가 존재하며, 해당 전압변화(△V)에 상기 센서출력값(V0)이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6), 상기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 대비 메뉴별 발생되는 전압변화(△V)에 도달하면, 해당 전압변화(△V)에 도달하는 시간(T1)을 계산하여 도 3과 같이, 지연 운전시간(T2= T1×α)을 산출한다(S17).
여기서 상기 α는 분량 보상계수이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지연 운전시간(T2) 동안 마그네트론(도시생략) 발진 및 팬(도시생략)을 구동시키고, 상기 지연 운전시간(T2) 경과 후, 상기 마그네트론(도시생략) 발진 및 팬(도시생략) 구동을 정지시킨다(S18).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5), 상기 증폭부(10)에서 출력되는 센서출력값(V0)이 센서초기값(Vref)으로 설정되지 않았으면, 상기 마그네트론 발진 후, 기 설정된 발진시간(S2)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상기 판단 결과(S19), 상기 마그네트론 발진 후, 기 설정된 발진시간(S2)이 경과되었으면, 해당 센서초기값(Vref)을 설정하고(S20), 현재 전압변화(△V)도달시간을 '1'초 증가시킨다(S21).
이어서 상기 전압변화(△V)를 '1'초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 대비 메뉴별 발생되는 전압변화(△V)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상기 판단 결과(S22), 상기 전압변화(△V)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현재 전압변화(△V) 도달시간을 '1'초 증가시키는 단계(S21)로 복귀하여 해당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S22), 상기 전압변화(△V)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전압변화(△V)에 도달하는 시간(T1)을 계산하여, 지연 운전시간(T2)을 산출하는 단계(S17)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S16), 상기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 대비 메뉴별 발생되는 전압변화(△V)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기 현재 전압변화(△V) 도달시간을 '1'초 증가시키는 단계(S21)를 수행한다.
결국,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 내의 습도 변화는 상기 온도/습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센서출력값(V0)에 의해 나타난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온도/습도센서의 센서출력값(V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변화에 따라 선형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서 음식물 데우기 기능 수행이 어렵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써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온도/습도센서는 리니어(Linear)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음식물 데우기가 어렵다.
둘째, 음식물의 랩(lap) 사용유무에 따라 온도/습도센서의 센서출력값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인해 랩 사용에 따른 요리시간 조절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리니어 특성을 갖는 볼로 매트릭 소자를 이용한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최상의 요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기기 동작시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온도/습도센서의 센서출력값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6a 및 도 6b는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에 랩(lap) 사용유무에 따른 센서출력값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에서 센서출력값에 따른 요리 수행시간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에서 음식물 데우기설정에 따른 센서출력값을 나타낸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는 저항 값의 변동에 따라 조리기기 내의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소자와, 조리기기 내의 온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저항 값을 통해 변화되는 습도감지소자의 온도에 따른 저항 값의 오차를 보상하는 보상소자와, 습도감지소자에서 감지되는 습도에 해당되는 출력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그 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증폭부의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가변저항과, 가변저항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 일단은 보상소자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제어방법은 마그네트론, 팬, 온도/습도 센서 및 제어부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제어부가 마그네트론을 발진시킴과 동시에 온도/습도 센서가 습도감지를 수행하도록 하고 해당 센서출력값(Vs)에 따라 초기값(Vref)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과 메뉴별 센서출력값에 따라 지연 운전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지연 운전시간 시작에 따른 센서출력값(Vs) 감지 후 기 설정된 샘플링 타임 주기로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센서출력값(Vlap)을 검출하는 단계와, 지연 운전시간시작에 따른 센서출력값(Vs) 감지 후 사용자가 데우기 키를 선택하면, 선택된 데우기 키의 온도에 해당되는 전압변화가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됨에 따라 마그네트론 발진 및 팬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데우기 키를 선택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샘플링 타임 주기로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센서출력값(Vlap)이 기 설정값(K)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요리 수행시간을 달리하여 해당 요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에 랩(lap) 사용유무에 따른 센서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에서 센서출력값에 따른 요리 수행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에서 음식물 데우기 설정에 따른 센서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는 저항 값의 변동에 따라 조리기기 내의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소자(Sh)와, 조리기기 내의 온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저항 값을 통해 변화되는 상기 습도감지소자(Sh)의 온도에 따른 저항 값의 오차를 보상하는 보상소자(St)와, 상기 습도감지소자(Sh)에서 감지되는 습도에 해당되는 출력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그 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100)와, 상기 증폭부(100)의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가변저항(VR11)과, 상기 가변저항(VR1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 일단은 상기 보상소자(St)에 연결되는 저항(R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습도감지소자(Sh) 및 보상소자(St)는 볼로 매트릭 소자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습도감지소자(Sh)와 저항(R12)은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보상소자(St)와 가변저항(VR11)도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브릿지 회로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동작을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요리모드를 선택하면, 기 설정된 송풍시간(S11)동안 팬(도시생략)을 구동시켜 송풍한다(S100).
그리고 상기 송풍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판단 결과(S110), 상기 송풍 종료되지 않았으면, 현재 송풍시간을 '1'초 증가시키고(S120), 상기 기 설정된 송풍시간(S11)동안 송풍하는 단계(S100)로 복귀하여 해당 단계를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10), 상기 송풍 종료되었으면, 마그네트론(도시생략)을 발진시키고, 상기 팬(도시생략)은 계속해서 구동시킨다(S130).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도시생략) 발진과 동시에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조리기기 내의 습도 변화를 감지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특성을 갖는 볼로 매트릭 소자를 이용한 습도감지소자(Sh)는 조리기기 내의 습도량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습도감지소자(Sh)는 해당 저항 체의 저항 값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을 출력한다.
결국, 조리기기 내의 습도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습도감지소자(Sh)의 고내습도 출력전압(V100)은 증폭부(100)의 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습도감지소자(Sh)와 병렬 연결된 가변저항(VR11)을 가변시켜, 상기 습도감지소자(Sh)의 출력전압과 동일한 전압(V200)이 상기 증폭부(100)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증폭부(100)는 상기 가변저항(VR11)에 의해 가변된 기준전압(V200)을 비반전(+) 단자로 입력받아 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습도감지소자(Sh)의 출력 전압과의 차에 해당되는 전압을 증폭한다.
결국, 상기 증폭부(100)에서 출력되는 전압 변화량 즉, 센서출력값(Vs)으로부터 해당 조리기기 내의 습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변저항(VR11)을 조절하여 상기 습도감지소자(Sh)의 출력전압과 동일하도록 기준전압을 초기 설정하면, 상기 증폭부(100)의 반전(-) 단자와 비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의 차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증폭부(100)의 출력값인 센서출력값(Vs)은 초기 설정된다.
여기서 제로 밸런스(Zero Balance)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상기 판단 결과(S140), 상기 제로 밸런스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증폭부(100)에서 출력되는 센서출력값(Vs)이 초기값(Vref)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50), 상기 센서출력값(Vs)이 초기값(Vref)으로 설정되었으면, 상기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 대비 메뉴별 발생되는 전압변화(△V)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즉, 상기 제로 밸런스 완료후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 대비 사용자가 선택한 각 메뉴별에 따른 전압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60), 상기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 대비 메뉴별 발생되는 전압변화(△V)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전압변화(△V)에 도달하는 시간(T11)을 계산하여 지연 운전시간(T12= T11×α)을 산출한다(S170).
여기서 상기 판단 결과(S150), 상기 센서출력값(Vs)이 초기값(Vref)으로 설정되지 않았으면, 상기 마그네트론(도시생략) 발진 후, 기 설정된 발진시간(S12)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0).
상기 판단 결과(S180), 상기 마그네트론(도시생략) 발진 후, 기 설정된 발진시간(S12)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증폭부(100)의 출력값, 즉 센서출력값(Vs)을 센서초기값(Vref)으로 설정하고(S190), 현재 전압변화(△V) 도달시간을 '1'초 증가시킨다(S200).
이때, 현재 전압변화(△V) 도달시간을 '1'초 증가시켜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변화(△V)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상기 판단 결과(S210), 상기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 대비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전압변화(△V)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기 현재 전압변화(△V) 도달시간을 '1'초 증가시키는 단계(S200)로 복귀하여 해당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S210), 상기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 대비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전압변화(△V)에 도달하였으면, 해당 전압변화(△V)에 도달하는 시간(T11)을 계산하여 지연 운전시간(T12)을 산출하는 단계(S170)로 복귀하여 해당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지연 운전시간(T12) 시작에 따른 센서출력값(Vs)을 상기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샘플링 타임 주기로 검출한다(S220).
이때, 상기 지연 운전시간(T12) 시작에 따른 조리기기 동작시 사용자가 데우기 키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상기 판단 결과(S230), 사용자가 상기 데우기 키를 입력하지 않았으면, 상기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샘플링 타임 주기로 검출되는 센서출력값(Vlap)으로부터 음식물에 랩(lap)이 씌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센서출력값(Vlap)이 기 설정값(K)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기기기 내에서 조리되고 있는 음식물에 랩(lap)이 씌어져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센서출력값(Vs)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때, 상기 지연 운전시간(T12) 시작에 따른 센서출력값(Vs)을 상기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샘플링 타임 주기로 해당 센서출력값(Vlap)을 검출하고, 검출된 센서출력값(Vlap)이 기 설정값(K) 이상이면, 상기 랩(lap) 씌운요리로 도 8과 같이, 기 설정된 시간(T13) 동안 요리한다(S250).
한편, 상기 판단 결과(S240), 상기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센서출력값(Vlap)이 기 설정값(K) 이상이 아니면, 도 8과 같이, 상기 산출된 지연 운전시간(T12) 동안만 요리한다(S260).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230), 사용자가 데우기 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데우기 키에 해당되는 음식물 데이기 온도에 상응하는 전압변화(△V1)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한다(S270).
이어서 상기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센서출력값(Vs)이 상기 설정된 전압변화(△V1)에 도달하면(S280), 상기 마그네트론(도시생략) 발진 및 팬(도시생략) 구동을 정지시킨다(S290).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T13) 및 지연 운전시간(T12)이 경과되면, 상기마그네트론(도시생략) 발진 및 팬(도시생략)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S290)를 수행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는 리니어 특성을 갖는 볼로 매트릭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해당 온도/습도센서의 센서출력값(Vs) 역시 리니어(Linear)하다.
결국, 리니어 특성을 갖는 볼로 매트릭 소자를 이용한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데우기 온도로 해당 음식물을 최적으로 요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리니어 특성을 갖는 볼로 매트릭 소자를 이용한 온도/습도센서는 조리기기 내의 음식물의 랩 사용유무 및 사용자의 데우기 요리모드 선택에 따라 해당 조기기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마그네트론 및 팬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음식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저항 값의 변동에 따라 조리기기 내의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소자;
    조리기기 내의 온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저항 값을 통해 변화되는 상기 습도감지소자의 온도에 따른 저항 값의 오차를 보상하는 보상소자;
    상기 습도감지소자에서 감지되는 습도에 해당되는 출력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그 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가변저항; 그리고,
    상기 가변저항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 일단은 상기 보상소자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감지소자 및 보상소자는 볼로 매트릭 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감지소자와 저항은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보상소자와 가변저항도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브릿지 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습도센서를이용한 조리기기.
  4. 마그네트론, 팬, 온도/습도 센서 및 제어부를 구비한 조리기기에서,
    상기 제어부가 마그네트론을 발진시킴과 동시에 상기 온도/습도 센서가 습도감지를 수행하도록 하고 해당 센서출력값(Vs)에 따라 초기값(Vref)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센서초기값(Vref)과 메뉴별 센서출력값에 따라 지연 운전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연 운전시간 시작에 따른 센서출력값(Vs) 감지 후 기 설정된 샘플링 타임 주기로 상기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센서출력값(Vlap)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지연 운전시간 시작에 따른 센서출력값(Vs) 감지 후 사용자가 데우기 키를 선택하면, 선택된 데우기 키의 온도에 해당되는 전압변화가 상기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됨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 발진 및 팬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데우기 키를 선택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샘플링 타임 주기로 상기 온도/습도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센서출력값(Vlap)이 기 설정값(K)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요리 수행시간을 달리하여 해당 요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제어방법.
KR1020000069276A 2000-11-21 2000-11-21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64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276A KR100364700B1 (ko) 2000-11-21 2000-11-21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E60141549T DE60141549D1 (de) 2000-11-21 2001-03-31 Bolometrischer Feuchtigkeitssensor und Kocher damit und Verfahren zur Kochersteuerung
PCT/KR2001/000545 WO2002042689A1 (en) 2000-11-21 2001-03-31 Bolometric humidity sensor and cook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ker
RU2003114860/28A RU2267057C2 (ru) 2000-11-21 2001-03-31 Болометрический гигрометр, плита или печь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литы или печи
CN018192688A CN100406805C (zh) 2000-11-21 2001-03-31 热辐射湿度传感器和使用其的炊具以及用于控制炊具的方法
EP01917946A EP1346181A4 (en) 2000-11-21 2001-03-31 BOLOMETRIC HUMIDITY DETECTOR AND OVEN INTEGRATING THIS DET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OVEN
JP2002544586A JP3916561B2 (ja) 2000-11-21 2001-03-31 ボロメータ湿度センサ、これを用いた調理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1244821A AU2001244821A1 (en) 2000-11-21 2001-03-31 Bolometric humidity sensor and cook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ker
EP08075483A EP1954099A1 (en) 2000-11-21 2001-03-31 Bolometric humidity sensor and cook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er
ES08075482T ES2342578T3 (es) 2000-11-21 2001-03-31 Detector bolometrico de humedad y cocina que lo utiliza. y metodo para controlar la cocina.
EP08075482A EP1962563B1 (en) 2000-11-21 2001-03-31 Bolometric humidity sensor and cook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er
US10/432,282 US6953921B2 (en) 2000-11-21 2001-03-31 Bolometric humidity sensor and cook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276A KR100364700B1 (ko) 2000-11-21 2000-11-21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452A KR20020039452A (ko) 2002-05-27
KR100364700B1 true KR100364700B1 (ko) 2002-12-16

Family

ID=1970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276A KR100364700B1 (ko) 2000-11-21 2000-11-21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7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134Y1 (ko) * 1987-09-21 1990-03-15 주식회사한국마이카 판(板)상 집성운모 절연재 제조장치
KR20000009955A (ko) * 1998-07-29 2000-02-1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랩유무 판단방법 및 장치
KR200196091Y1 (ko) * 2000-04-28 2000-09-15 주식회사메타텍 센서를 이용한 전등 제어 장치
KR20000061565A (ko) * 1999-03-27 2000-10-25 구자홍 저항형 볼로미터 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134Y1 (ko) * 1987-09-21 1990-03-15 주식회사한국마이카 판(板)상 집성운모 절연재 제조장치
KR20000009955A (ko) * 1998-07-29 2000-02-1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랩유무 판단방법 및 장치
KR20000061565A (ko) * 1999-03-27 2000-10-25 구자홍 저항형 볼로미터 센서
KR200196091Y1 (ko) * 2000-04-28 2000-09-15 주식회사메타텍 센서를 이용한 전등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452A (ko) 200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996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oking Process in a Cooking Device
KR900003965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요리방법
JP3916561B2 (ja) ボロメータ湿度センサ、これを用いた調理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64700B1 (ko) 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64699B1 (ko) 온도/습도 센서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7053347B1 (en) Microwave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64702B1 (ko) 조리기기의 온도/습도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288414A (ja) 電子レンジ
KR100186402B1 (ko) 전자레인지의 음식물 온도 감지 보상 방법 및 회로
JPH08178302A (ja) 電子レンジにおける湿度センサーのリードタイム制御方法
KR100377722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조리제어방법_
JP3323026B2 (ja) 加熱調理装置
KR950001228B1 (ko) 전자레인지의 절대습도 감지장치
KR100533272B1 (ko) 전자레인지의 팝콘요리제어방법
JPS62129620A (ja) 調理器
KR880000166B1 (ko) 절대습도센서를 이용한 고주파 가열장치
KR100420343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요리시간 보상방법
KR100377723B1 (ko) 전자레인지의조리제어방법및장치
KR0115086Y1 (ko) 전자렌지의 가스센서 오 감지 방지회로
KR0139732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조리 제어방법 및 장치
JPS587794A (ja) 電子レンジ
KR930007515B1 (ko) 전자레인지의 절대습도 감지방법 및 장치
JPS6029522A (ja) 電子レンジ
JPS5840431A (ja) 電子レンジ
JPH05371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