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577B1 -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577B1
KR100362577B1 KR1020000083687A KR20000083687A KR100362577B1 KR 100362577 B1 KR100362577 B1 KR 100362577B1 KR 1020000083687 A KR1020000083687 A KR 1020000083687A KR 20000083687 A KR20000083687 A KR 20000083687A KR 100362577 B1 KR100362577 B1 KR 100362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reverse torque
reduction module
hinge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4556A (ko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5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다수의 기어조립에 의해 속도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회전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감속모듈을 구비한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가 수동모드시 리버스 토크를 제어하기 위하여 감속모듈의 구동샤프트에는 소정의 마찰 플레이트가 동축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스타트 토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리버스 토크를 기구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REVERSE TORQUE IN AN AUTOMATIC/MANNUAL FOLDED RADIOTELEPHONE}
본 발명은 자동 및 수동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수단으로 사용되는 감속모듈의 구동샤프트가 수동모드시 역회전되는 기어리버스(Gear Reverse)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라 함은, 메인바디(main body)상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sub body)구비한 단말기를 칭한다. 예를 들면, 플립커버 타입(flip cover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단말기, 플립업 타입(flip-up type) 단말기등을 들수 있다.
최근들어, 메인바디상에서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접이형 휴대용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자동과 기존의 수동을 겸한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단말기가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며, 좀더 소형 경박화된 단말기의 출시를 위해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출원번호 1999년 제49228호에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감속모듈에 의해 회전하는 힌지샤프트와 상기 힌지샤프트에 의해 회전하는 힌지캠 및 상기 감속모듈, 힌지샤프트 및 힌지캠등이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중공형의 힌지암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서브바디를 열고 닫게되는 수동모드일 경우, 감속모듈의 힌지샤프트는 자체회전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힌지암과 함께 회전되므로써, 축방향으로 후퇴만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감속모듈의 구동샤프트에 설치된 힌지샤프트는 자동모드일 경우에만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수동모드일 경우에는 자체회전이 되지 않도록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리버스 토크(Reverse Torque)라 함은 서브바디를 메인바디상에서 수동으로 동작시킬 때 감속모듈의 기어가 회전되는 기어 리버스 현상이 발생되는 토크를 지칭한다. 이는 탄성수단인 스프링과 캠/샤프트에 의해 기어 모터의 출력축에 가해지는 스프링/캠 토크가 상기 리버스 토크보다 크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어 리버스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힌지캠과 힌지샤프트의 각이 변하게 되므로써, 기기의 오동작을 유발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캠 토크가 리버스 토크보다 작게 설계해야 되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때 기어의 출력측쪽으로 전달되는 스타트 토크보다는 커야 하는데, 단말기의 수동동작시 기어모터에 전압을 공급하여 역기전력을 발생토록 하여 원하는 리버스 토크를 얻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어에 일정 전압을 공급하여 리버스 토크를 높이는 방법은 저전압(예를 들면 3.6V)을 사용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모터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기어의 효율이 감소하여 소비전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압공급없이 기구적으로 리버스 토크를 제어할 수 있는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다수의 기어조립에 의해 속도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회전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감속모듈을 구비한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수동모드시 리버스 토크를 제어하기 위하여 감속모듈의 구동샤프트에는 소정의 마찰 플레이트가 동축을 가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 자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모듈의 구동샤프트상에 마찰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모듈의 구동샤프트가 회전할 때, 마찰 플레이트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개폐장치 40: 감속모듈
44: 마찰 플레이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 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메인바디상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출원된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스프링/캠 토크가 리버스 토크보다 크므로써 발생되는 기어 리버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버스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개폐장치에 사용되는 감속모듈이 일반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역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예를 들면, 플립 타입이나 플립업 타입 단말기에 범용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국내 특허출원번호 1999년 제49228호에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이미 개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하고, 개폐장치만을 기술하고자 한다.
통상적으로, 단말기는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연결시켜주는 힌지모듈을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힌지암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서브바디를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가 사용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장치는 타측 일부가 상기 메인바디(도 3에 도시됨)(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힌지캠(30)과, 상기 힌지캠과 자동 또는 수동 개폐모드시 선택적인 연동 회전을 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샤프트(46)와, 상기 힌지샤프트(4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축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설치되는 감속모듈(40)과, 상기 감속모듈(40)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탄성수단(50) 및 서브바디(도 3에 도시됨)(120)상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바디(110)와 연결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힌지캠(30), 힌지샤프트(46), 감속모듈(40) 및 탄성수단(50)이 순차적으로 수납되기 위한 장착구멍(21)을 구비한 중공형 힌지암(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암(20)은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캠(30), 힌지샤프트(46), 감속모듈(40)등을 순차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힌지하우징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므로써 별도의 힌지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힌지암(20)의 외주면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 체결구(2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서브바디상에 체결된다.
상기 힌지캠(30)은 상기 힌지샤프트(46)와 접하는 면상에는 한쌍의 산형부와, 상기 산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골형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힌지캠(30)의 반대면은 상기 힌지암에 일부 돌출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감속모듈(40)의 회전축에 고정된 힌지샤프트(46)의 상기 힌지캠(30)과 대향되는 면상에는 상기 골형부에 접할 수 있도록 일정 형상의 돌부가 형성된다. 즉, 자동으로 상기 서브바디를 개폐할때, 상기 감속모듈(4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힌지샤프트(46)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돌부에 상기 힌지캠(30)의 산형부가 걸리게 되므로써 상기 서브바디가 개방되거나 회전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즉, 서브바디가 메인바디상에서 자동으로 개폐될시, 상기 힌지샤프트(46)의 돌부는 상기 힌지캠(30)의 산형부에 걸려서 상기 힌지캠(30)은 상기 힌지샤프트(46)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서브바디가 메인바디상에서 수동으로 개폐될시, 상기 힌지캠(30)의 산형부가 상기 힌지샤프트(46)의 돌부를 밀게되므로써 상기 감속모듈(40)을 축방향으로 후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감속모듈(40)을 축방향으로(힌지샤프트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수단(50)으로는 압축형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힌지암(20)의 장착구멍(21)상에는 상기 탄성수단(50)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힌지더미(60)가 장착된다. 상기 힌지더미(6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속모듈(40)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전원케이블이 인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힌지더미(60)에는 소정의 체결편(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암에 형성된 체결구(22)에 체결되므로써, 개폐장치의 최종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모듈의 구동샤프트상에 마찰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감속모듈의 구동샤프트가 회전할 때, 마찰 플레이트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수동모드시, 리버스 토크를 제어하기 위하여 감속모듈(40)의 구동샤프트(45)에는 소정의 마찰 플레이트(44)가 동축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감속모듈이 스프링/캠 토크가 리버스 토크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되는 기어 리버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버스 토크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마찰 플레이트는 감속모듈(40)의 외주면과 접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마찰 플레이트(44)는 상기 감속모듈의 재질을 감안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수동모드일 경우에 상기 마찰 플레이트(44)는 상기 감속모듈(40)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므로써, 구동 샤프트(45)에 일정 마찰력을 증가시키므로써 리버스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스프링/캠 토크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때 기어의 출력측쪽으로 전달되는 스타트 토크보다 커야 하기 때문에, 리버스 토크를 증가시킬 때 함께 증가되는 스타크 토크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찰 플레이트(44)는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샤프트가 회전시 상기 감속모듈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즉, 자동모드일 경우에 상기 마찰 플레이트는 감속모듈에 어떤 토크의 증가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버스 토크 제어장치는 일정 전원의 공급없이 기구적으로만 리버스 토크를 제어하기 때문에 소비전류의 증가가 없게 되며, 모터의 내구성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다수의 기어조립에 의해 속도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회전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감속모듈을 구비한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수동모드시 리버스 토크를 제어하기 위하여 감속모듈의 구동샤프트에는 소정의 마찰 플레이트가 동축을 가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플레이트는 감속모듈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샤프트가 회전시 상기 감속모듈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 제어장치.
KR1020000083687A 2000-12-28 2000-12-28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제어장치 KR10036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687A KR100362577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687A KR100362577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556A KR20020054556A (ko) 2002-07-08
KR100362577B1 true KR100362577B1 (ko) 2002-11-29

Family

ID=2768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687A KR100362577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5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66Y1 (ko) * 1999-09-29 2000-03-15 주식회사슈버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200188046Y1 (ko) * 2000-01-25 2000-07-15 김교형 휴대폰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010037142A (ko) * 1999-10-14 2001-05-07 박종섭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 개폐 장치
KR20010064903A (ko) * 1999-12-20 2001-07-11 서평원 휴대 전화기의 자동 개폐장치
KR20010097895A (ko) * 2000-04-27 2001-11-08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66Y1 (ko) * 1999-09-29 2000-03-15 주식회사슈버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20010037142A (ko) * 1999-10-14 2001-05-07 박종섭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 개폐 장치
KR20010064903A (ko) * 1999-12-20 2001-07-11 서평원 휴대 전화기의 자동 개폐장치
KR200188046Y1 (ko) * 2000-01-25 2000-07-15 김교형 휴대폰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010097895A (ko) * 2000-04-27 2001-11-08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556A (ko) 200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071B2 (en) Electric motorized hinge apparatus
JP3639203B2 (ja) 携帯電話機のフォルダー駆動装置及びそのフォルダー駆動方法
JP2004060883A (ja) 携帯装置のホルダー駆動装置
JP2006321467A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EP1286522A3 (en) Foldable wireless terminal
KR100362577B1 (ko)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리버스 토크제어장치
JP2769607B2 (ja) 駆動力伝達機構
KR100686126B1 (ko) 휴대 전화기의 자동 개폐장치
KR100498981B1 (ko)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KR100350468B1 (ko) 자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서브바디 개폐 감지장치
KR20010037142A (ko)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 개폐 장치
JP2002310132A (ja) ヒンジ用ロータリーアクチュエータ
KR100485345B1 (ko) 개폐 속도 가변형 오토 폴더형 휴대전화기
JP2902300B2 (ja) 炊飯器等の蓋の自動閉止装置
KR100342418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405283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US20040203497A1 (en) Auto folder type mobile phone
KR100504425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절첩식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722611B1 (ko) 노트북 컴퓨터 자동개폐장치
KR100500127B1 (ko) 휴대전화기
KR200353381Y1 (ko) 휴대폰용 힌지장치
JPS581767Y2 (ja) ジドウ − シユドウレンズシボリチヨウセイキリカエキコウ
KR20070058834A (ko) 자동 회전형 카메라
JP3624549B2 (ja)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構造
JPH05234494A (ja) 遮断器の電動チャージ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