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539B1 -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539B1
KR100362539B1 KR1020000063215A KR20000063215A KR100362539B1 KR 100362539 B1 KR100362539 B1 KR 100362539B1 KR 1020000063215 A KR1020000063215 A KR 1020000063215A KR 20000063215 A KR20000063215 A KR 20000063215A KR 100362539 B1 KR100362539 B1 KR 10036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heat exchanger
evaporator
steam
evap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212A (ko
Inventor
홍성규
Original Assignee
홍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규 filed Critical 홍성규
Priority to KR102000006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5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직물 및 편직물(편성물)의 불안정해진 조직을 세팅(SETTING)시켜 이의 형태가 안정성을 갖게하는 건식직물 가공용 증융기(蒸絨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직물가공용 증융기에 있어서는 증융부에서 셋팅된 원단이 방출부로 방출될시 상당한 습도(80%범위)와 열(40℃범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습도와 열을 가진 상태에서 원단 수납실에 수납되면 수납되는 과정 원단 자체의 무게에 의해 원단이 압압되어 절첩부위에 구김부가 형성되어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를 수정하기 위한 교정작업을 별도로 실시해야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저조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피가공물인 원단이 증융부에서 셋팅된 후 방출부로 방출될 때 상온으로 냉각ㆍ건조되게 한 증융기(특허등록 10-0231652)를 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온도가 낮거나 습한 스팀이 나올 경우에는 메인실린더(6)내에서 셋팅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원단(E)이 굽굽하거나 촉감이 나쁘게되는 등 품질저하의 원인이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증융부(C)에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증융을 위하여 메인실린더(6)에 공급되는 스팀을 열교환기(1)를 통하여 미리 건조한 상태에서 공급함으로서 방출부(D)로 방출되는 원단(E)의 습기를 줄여 고품질의 원단(E)을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Heat exchanger installation steam blowing}
본 발명은 각종 직물 및 편직물(편성물)의 불안정해진 조직을 세팅(SETTING)시켜 이의 형태가 안정성을 갖게하는 건식직물 가공용 증융기(蒸絨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직물가공용 증융기는 원단도입부와 증융부 및 방출부로 구성되어 일연의 작업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바 이는 증융부에서 셋팅된 원단이 방출부로 방출될시는 상당한 습도(80%범위)와 열(40℃범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습도와 열을 가진 상태에서 원단 수납실에 수납되면 수납되는 과정 원단 자체의 무게에 의해 원단이 압압되어 절첩부위에 구김부가 형성되어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를 수정하기 위한 교정작업을 별도로 실시해야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저조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은 피가공물인 원단이 도입부를 통해 도입되어 증융부에서 셋팅된 후 방출부로 방출될 때 방출부에 쿨링블라우어 및 플레이어로울러에 의해 셋팅된 피가공물이 상온으로 냉각ㆍ건조되게 한 증융기(특허등록 10-0231652)를 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메인실린더에 스팀을 공급하는 보일러와 증융기와의 거리가 멀 경우 등과 같이 온도가 낮거나 습한 스팀이 나올 경우에는 메인실린더내에서 셋팅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원단이 굽굽하거나 촉감이 나쁘게되는 등 품질저하의 원인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증융부에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증융을 위하여 메인실린더에 공급되는 스팀을 열교환기를 통하여 미리 건조한 상태에서 공급함으로서 방출부로 방출되는 원단의 습기를 줄여 고품질의 원단을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표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평면표시도
도 3은 열교환기의 측면도
도 4는 열교환기의 평면도
도 5은 도 1의 " F "부분 확대 평면도
도 6은 도 1의 " F "부분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증융기 몸체 B-원단도입부 C-증융부
D-방출부 E-원단
1-열교환기 2-히팅코일(파이프) 3, 4-스팀유입구
3', 4'-스팀배출구 5-트랩(TRAP) 6-메인실린더
7-쿨링블라우어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증융기(A)의 구성(도 1, 2 참조)을 살펴보면 크게 원단도입부(B)와 증융부(C) 및 방출부(D)로 구분되고, 원단도입부(B)에서 도입된 원단(E)은 증융부(C)에 설치된 메인실린더내(6)에서 포지와 함께 감김된 상태에서 스팀이 분사되고, 이에 의해 셋팅작업이 이루어진 후 포지와 함께 감겼던 원단(E)은 다시 풀림되어 방출부(D)로 방출되며, 방출되는 과정 쿨링블라우어(7)에 의해 셋팅된 피가공물(원단)(E)이 상온으로 냉각ㆍ건조되게 된다.
본 발명은 셋팅작업시 건조한 스팀의 공급을 위해 상기의 증융기(A)에 열교환기(1)를 장착한 것으로 그 구성은 원통형 열교환기(1)의 하부 주면 일측에는 스팀유입구(3)를; 상부 주연의 중심에는 스팀배출구(3')를; 하부 주연의 중심에는 트랩(TRAP)(5)을 각각 형성하고, 또한 열교환기(1)의 내부에는 고온 건조한 스팀이지나갈 수 있는 히팅코일(파이프)(2)을 나선형상으로 형성하되 열교환기(1) 주면의 일측 상하부에 각각 스팀유입구(4)와 스팀배출구(4')를 형성하여 고온ㆍ건조한 스팀이 히팅코일(파이프)(2)을 지나갈 수 있게한 것이다(도 3, 4참조).
즉 스팀유입구(3)를 통해 들어온 다소 습한 스팀은 열교환기(1)내의 히팅코일(파이프)(2)과 열전도현상에 의하여 고온ㆍ건조한 스팀으로 되고 이는 스팀배출구(3')를 통하여 메인실린더(6)에 공급되는 것이다(도 5참조). 이 때 스팀이 건조해짐에 따라 응축되어 열교환기(1) 내에 고인 물은 트랩(5)을 통하여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기(1)내 히팅코일(파이프)(2)은 전열선으로 대체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또한 열교환기를 다단(도면에서는 3단으로 설치하였음)으로 설치할 경우 더욱더 일정한 상태의 스팀을 공급할 수 있어 원단(E)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발명은 증융기(A)에 열교환기(1)를 장착했기 때문에 보일러와 증융기(A)와의 거리가 멀어도 스팀을 일정한 고온상태로 유지시켜 주며, 열교환기(1) 내의 히팅코일(파이프)(2)에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서 메인실린더(6)에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 및 압력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순수한 고온ㆍ건조의 스팀을 공급함으로서 냉각시 효과가 좋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원통형 열교환기(1)의 하부 주면 일측에는 스팀유입구(3)를; 상부 주연의 중심에는 스팀배출구(3')를; 하부 주연의 중심에는 트랩(TRAP)(5)을 각각 형성하고, 열교환기(1)의 내부에는 고온 건조한 스팀이 지나갈 수 있는 히팅코일(파이프)(2)을 나선형상으로 형성하되 이는 열교환기 주면의 일측 상하부의 스팀유입구(4)와 스팀배출구(4')와 연결되고, 상기의 열교환기(1) 상부 주연 중심에 형성된 스팀배출구(3')는 메인실린더(6)에 연결되어 고온ㆍ건조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
KR1020000063215A 2000-10-26 2000-10-26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 KR100362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215A KR100362539B1 (ko) 2000-10-26 2000-10-26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215A KR100362539B1 (ko) 2000-10-26 2000-10-26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950U Division KR200224659Y1 (ko) 2000-10-26 2000-10-26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212A KR20010025212A (ko) 2001-04-06
KR100362539B1 true KR100362539B1 (ko) 2002-12-05

Family

ID=1969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215A KR100362539B1 (ko) 2000-10-26 2000-10-26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14850C (zh) * 2002-05-31 2007-05-09 浙江印染机械有限公司 蒸汽加热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3597U (ja) * 1983-10-11 1985-05-04 大阪瓦斯株式会社 スチ−マ
JPH01124674A (ja) * 1987-10-10 1989-05-17 A Monforts Gmbh & Co 織成及び編成布地を処理するための蒸絨設備
KR910000811A (ko) * 1989-06-09 1991-01-30 김상응 폴리 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방법
JPH093766A (ja) * 1995-06-19 1997-01-07 Hisaka Works Ltd 繊維製品の形態安定化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KR19980063345U (ko) * 1997-04-16 1998-11-16 문정환 반도체 기억소자의 구제회로
KR100231652B1 (ko) * 1997-10-25 1999-11-15 홍성규 증융기(dea\catiwing machine)
KR20000049213A (ko) * 1996-10-17 2000-07-25 월커 존 허버트 직물의 연속 압력 디케타이징 및 스테이플 섬유 어셈블리의 세팅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3597U (ja) * 1983-10-11 1985-05-04 大阪瓦斯株式会社 スチ−マ
JPH01124674A (ja) * 1987-10-10 1989-05-17 A Monforts Gmbh & Co 織成及び編成布地を処理するための蒸絨設備
KR910000811A (ko) * 1989-06-09 1991-01-30 김상응 폴리 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방법
JPH093766A (ja) * 1995-06-19 1997-01-07 Hisaka Works Ltd 繊維製品の形態安定化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KR20000049213A (ko) * 1996-10-17 2000-07-25 월커 존 허버트 직물의 연속 압력 디케타이징 및 스테이플 섬유 어셈블리의 세팅
KR19980063345U (ko) * 1997-04-16 1998-11-16 문정환 반도체 기억소자의 구제회로
KR100231652B1 (ko) * 1997-10-25 1999-11-15 홍성규 증융기(dea\catiw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14850C (zh) * 2002-05-31 2007-05-09 浙江印染机械有限公司 蒸汽加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212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9284C (en) Utilisation of waste heat in the dryer section of paper machines
US1158503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JP4774490B2 (ja) 縫製生地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US1148607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2001527170A (ja) 紙ウェブの乾燥の方法および装置
JPH0718596A (ja) ソフトティッシュ抄紙機のヤンキープレスの性能向上方法および装置
KR100362539B1 (ko)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
KR200224659Y1 (ko) 열교환기가 장착된 증융기
RU2006124748A (ru) Выпарная установка
CN108503185A (zh) 一种污泥除湿干燥系统
JPS6366370A (ja) 織物、編物等の連続蒸絨方法
JPH07229081A (ja) 製紙機の乾燥セクション
JP2002168405A (ja) 過熱蒸気発生装置及び過熱蒸気利用の処理装置
JP2017219231A (ja) 水・空気接触型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水・空気接触型空気調和機、水・空気接触型空気調和機の制御器、水・空気接触型空気調和機の制御プログラム
JPH10286178A (ja) 飲食品材料等の熱処理装置
EP3382315A1 (e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JP2007029330A (ja) 衣服仕上げ機
KR101128532B1 (ko) 열전소자와 폐열을 이용한 응축 건조장치
CA3164106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pulp web
JP3796098B2 (ja) シャツプレス仕上げ機
KR20110024698A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및 히트펌프식 건조기 제어방법
KR200429768Y1 (ko) 순환식 냉각시스템을 이용한 감압식 건조장치
KR200289198Y1 (ko) 모자용 냉각 다림기
KR0128148Y1 (ko) 건조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KR20060115171A (ko) 의류건조기용 히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