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483B1 -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483B1
KR100362483B1 KR1020000048371A KR20000048371A KR100362483B1 KR 100362483 B1 KR100362483 B1 KR 100362483B1 KR 1020000048371 A KR1020000048371 A KR 1020000048371A KR 20000048371 A KR20000048371 A KR 20000048371A KR 100362483 B1 KR100362483 B1 KR 10036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board
unnecessary
lifting frame
lower lifting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5191A (ko
Inventor
곽인효
Original Assignee
썬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썬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0004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4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상자를 만들기 위한 판지의 불필요부분을 정확하게 잘라내어 제거할 수 있고, 기계의 축소화에 의해 공간의 절약 작업상의 안전성을 꾀하도록 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테두리(1)에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용 하부승강프레임(2)과, 그 상부에 종이를 누르는 수단을 설비한 상부승강프레임(3)을 승강자유로 설비하고, 그 하부승강프레임(2)은 구동승강 수단(4)으로 승강가능하게 설비하며, 또 상부승강프레임(3)은 하부승강프레임(2)과는 별도로 승강자유로 설비하여, 상기 하부승강프레임(2)에 설비한 횡방향의 가이드레일(6)과 스프라인샤프트(7)에 펀치판지(A)의 불필요부(a)를 잘라내어 제거하는 깎아내는 제거수단(41)을 설비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40)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회전방향으로는 고정적으로 설비하며, 상기 하부승강프레임(2)에 설비한 구동수단(30)에 의해 전달기구를 통해 깎아내는 제거수단(41)을 작동가능하도록 설비하고, 상기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40)를 임의의 위치에서 잠글을 수 있는 잠금수단(70)을 설비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APPARATUS FOR DELETING THE UNNECESSARY PARTS OF PUNCHED PAPER BOARD FOR MAKING PAPER BOX}
본 발명은 다수 적층된 펀치로 자르는 선을 넣은 판지의 불필요부를 기계적으로 잘라내어 제거하는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 장치로서는, 다수 적층된 펀치로 자르는 선을 넣은 판지의 불필요부를 상방으로부터 파고 들어 후퇴하는 바퀴자국을 그리며 운동하는 복수의 깎아내는 칼을 판지의 측면에 따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 해서 기계적으로 잘라내어 제거하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이하 간단히 "종래예"로 칭함)는 다음에 기재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예는 깎아내는 칼, 구동용 모터, 구동용 모터로부터의 회전전송기구등이 있는 깎아내는 제거유니트를 에어실린더에서 상하동시키기 때문에 다수 적층된 펀치판지의 높이가 예를 들어 1.5m 정도인 경우에는 실린더와 가이드샤프트를 상방으로 상당한 높이만큼 늘릴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기계의 높이가 매우 높게 되어, 상방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여 기계의 대형화는 물론이고, 천정이 높은 설치공간이 필요했다.
또 구동원(驅動源)에 에어실린더를 사용하기 때문에, 에어실린더의 공기압이 내려가거나 에어실린더에 어떤 사고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면 깎아내는 유니트가 낙하하여 손상되고, 또 인체에 불의의 상처를 주는 위험성이 있었다.
더욱이 깎아내는 칼의 구동이 에어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쓸모없는 회전이 많았다.
앞서 기재한 종래예는 가동전에 다수 적층된 펀치판지에 대해 깎아내는 칼의 세트를 미리 행하고 나서 가동하는 것이나, 일단 깎아내는 작업이 시작되면, 가동중(작업중)에 펀치판지에 대해 깎아내는 칼의 위치조정(진행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동중에 적층판지가 기울어진 경우(실제작업에 있어서는 깎아낼 때의 충격·진동 그 외의 적층판지가 기울어지는 일이 생김) 판지에 대해 깎아내는 칼의 위치가 틀려저 깎아낼 필요가 없는 위치에서 깎아 내어, 상자를 구성하는 판지면에 흠집을 내는 경우가 생긴다. 이럴 때는 깎아내는 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일단 가동을 정지하고, 다시 세트를 고쳐 재가동시키는 쓸모없는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효율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앞서 기재한 종래예는 깎아내는 칼의 직사각형 방향의 위치가 일정하여 동깎아내는 칼의 직사각형 방향의 조정이 안되기 때문에, 판지의 잘라내야할 불필요부는 만들어야 할 상자등에 의해 그 형상이 천차만별이었으며, 특히 길이(폭)가 좁은 부분과 넓은 불필요부가 생기는 경우가 많고, 그 경우 깎아내는 칼은 미리 좁은 부분에 맞추어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깎아내는 칼로 이것을 깎아낼 때 좁은 부분은 한번으로 깎아내지만, 넓은 부분은 2,3회 깎아내지 않으면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한장의 깎아내는 동작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려 적층한 판지전부의 불필요부를 제거하는데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앞서 기재한 종래예는 적층판지로부터 잘려나가 제거된 불필요부가 그대로 직하에 낙하하여 동 잘려나가 제거된 불필요부들이 적층판지의 하방부에 산란되어 쌓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것을 폐기 상자등에 운반하는 작업에 상당한 노력이 필요했다.
본 발명은 앞서 기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판지 불필요부를 정확하게 잘라내어 제거할 수 있는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하부승강프레임등을 롯드레스실린더, 밸런스웨이트에 의해 적정하게 승강할 수 있어 설치공간의 협소화를 꾀할 수 있으며, 정지·가동중에 상관없이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좌우 조정하여 잠금수단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잠글 수 있고, 나아가서는 판지의 불필요부를 깎아내는 위치를 전후로 변위(變位)시켜 깎아내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또 잘라낸 불필요부를 도출판으로 도출할 수 있는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와 판지의 위치를 변이하는 적재받침대를 구성하여 판지불필요부 제거장치에 대해 판지의 위치를 세트하여 펀치판지주위의 불필요부를 순서대로 잘라내어 제거할 수 있는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의 일례를 보인 전체 정면도,
도2는 상기 장치의 전체 배면도,
도3은 상기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4는 하부승강프레임, 구동수단 및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일부절개 측면도,
도5는 동 장치의 정면도,
도6은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구동측 풀리의 단면도,
도7은 절취인의 일부절개 측면도,
도8은 도5의 X-X선 단면도,
도9는 적층판지 재치부의 정면도,
도10은 동 장치의 작동상태의 일례를 보인 정면도,
도11은 동 장치의 일부절개 평면도,
도12는 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3은 동 불필요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14는 동 제거된 불필요부만의 사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하부승강프레임 3 : 상부승강프레임 5 : 가이드샤프트
6 : 가이드레일 7 : 스프라인샤프트 20 : 롯드레스실린더
30 : 모터 40 :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58 : 절취인 59 : 장공 60 : 체결볼트
70 : 로크수단 72 : 위치결정용 장공 75 : 밸런스웨이트
86 : 턴테이블 A : 판지 a : 불필요부
이하에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기재의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는, 기계테두리에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용 하부승강프레임과 그 상부에 종이를 누르는 수단을 설치한 상부승강프레임을 승강자유로 설비하고, 그 하부승강프레임은 구동승강수단으로 승강가능하게 설비하고, 더욱이 상부승강프레임은 하부승강프레임과는 별도로 승강자유로 설비하며,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횡방향의 가이드레일과 스프라인샤프트에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를 잘래내어 제거하는, 이른바 깎아내는 제거수단을 설비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회전방향으로는 고정적으로 설비하고, 더욱이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구동수단에 의해 전달기구를 통해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깎아 제거하는 수단을 작동가능하게 설비하여 상기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임의의 위치에서 잠글 수 있는 잠금수단을 설비하고, 정지중·가동중에 상관없이 복수의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판지의 불필요부에 대응하여 제각기 임의의 위치에 세트하여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다수 적층된 펀치판지의 측면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를 깎아내는 수단으로 잘라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는, 앞서 기재한 청구항 1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승강수단으로서 기계테두리의 가이드샤프트와 롯드레스실린더를 직립상태로 병설(竝設)하고, 가이드샤프트에 승강자유인 하부승강프레임을 롯드레스실린더의 구동피스톤의 승강동작에 연동하여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비하고, 하부승강프레임을 균형있게 하는 밸런스웨이트를 하부승강프레임에 연관시켜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의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는,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가이드판의 횡방향의 장공(긴 구멍)을 통해서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에 잠금수단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과 스프라인샤프트에 접동을 자유로이 설비한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임의의 위치에서 조여닫아 잠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의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는 앞서 기재한 청구항 1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깎아내는 수단인 깎아내는 칼의 직사각형 방향으로의 신축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깎아내는 칼을, 잘라내어 제거해야할 불필요부의 폭넓이 방향의 장단에 적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기재의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는, 앞서 기재한 청구항 1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깎아내는 칼로 잘라내어 제거한 불필요부를 기계밖으로 유도하는 도출판을, 상기 하부승강프레임과 동조하여 상하동(上下動)하도록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는, 기계테두리에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용 하부승강프레임과 그 상부에 종이를 누르는 수단을 설비한 상부승강프레임을 승강자유로 설비하고, 그 하부승강프레임은 구동승강수단으로써 승강가능하도록 설비하고, 상부승강프레임은 상기 하부승강프레임과는 별도로 승강자유로 설비하며,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횡방향의 가이드레일과 스프라인샤프트에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를 잘라내어 제거하는 이른바 깎아내는 제거수단을 설비한 판지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회전방향으로는 고정적으로 설비하여 해당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구동수단에 의해 전달기구를 통해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깎아내는 제거수단을 작동가능하게 설비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와, 상기 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대해 적층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위치를 결정하는 회전 및 슬라이드 작동이 가능한 위치결정 조정수단을 설비한 적재받침대를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청구항 1의 발명인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기계테두리에 구동승강수단으로 승강가능하게 설비한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횡방향의 가이드레일과 스프라인샤프트에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를 잘라내어 제거하는, 이른바 깎아내는 제거수단을 설비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회전방향으로는 고정적으로 설비하며, 해당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구동수단에 의해 전달기구를 통해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깎아내는 제거수단을 작동가능하도록 설비하고, 상기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임의의 위치에서 잠글 수 있는 잠금수단을 설비하였기 때문에, 깎아내는 제거수단의 정지중·가동중에 상관없이 복수의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판지의 불필요부에 대응해서 제각기 임의의 위치에 세트하여,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다수 적층된 펀치판지의 측면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를 정확하게 잘라내어 제거할 수 있다. 또, 하부승강프레임은 구동승강수단으로 승강가능하게 설비하고, 상부승강프레임은 상기 하부승강프레임과는 별도로 승강자유로 설비하였기 때문에, 하부승강프레임을 강하(降下)하면 상부승강프레임도 스스로 강하하여, 종이를 누르는 수단이 적층된 펀치판지위에 부딪치게 되는 펀치의 중앙부를 눌러, 하부승강프레임이 종이 누르는 수단으로 눌러져 있는 적층 펀치판지의 측면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깎아내는 제거수단으로 불필요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기계테두리에 가이드샤프트와 롯드레스실린더를 직립상태로 병설하고, 가이드샤프트에 승강자유로 한 하부승강프레임을 롯드레스실린더의 구동피스톤의 승강동작에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설비하고, 하부승강프레임을 균형있게 하는 밸런스웨이트를 하부승강프레임에 연관시켜 설비하였기 때문에, 롯드레스실린더, 밸런스웨이트에 의해 승강 스트로크중의 어느 위치에서도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어 판지 불필요부 제거수단의 제거작업을 안정감있게 행할 수 있다. 만일 실린더에 고장이 생겨도 밸런스웨이트로 밸런스가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판지 불필요부 제거수단의 하부승강프레임이 낙하하는 위험성은 없다. 또, 롯드레스실린더도 승강되기 때문에 종래의 에어실린더와는 다르게 상방으로 튀어나오는 부재가 일체 없어져서 기계의 높이가 낮게 되고 축소화되며 공간적으로도 천정쪽의 구성이 생략되어 설치조건의 제약이 완화된다. 더욱이 깎아내는 수단의 구동원에 전기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스피드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쓸모없는 회전도 전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깎아내는 칼로 인한 불필요부의 잘라내는 제거가 항상 적절하게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앞서 기재한 하부승강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판의 횡방향의 장공을 통해서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에 잠금수단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과 스프라인샤프트에 접동자유로 설비한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임의의 위치에서 조여 잠글 수 있기 때문에, 정지중·가동중에 상관없이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깎아내는 제거수단을 잘라내어 제거해야할 불필요부의 최적위치에 제각기 적합하게 변위시켜 줄 수 있어 가동중에 적층판지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도 기계를 멈추지 않고 판지의 깎아내는 부분에 대해 깎아내는 칼의 위치관계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가동을 정지시켜 다시 세트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깎아내는 칼의 직사각형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깎아내는 칼이 잘라내어 제거해야할 불필요부의 폭넓은 방향의 길이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만들어야 될 상자에 따라 천차만별의 형상을 하고 있는 불필요부의 길이의 장단에 따라 제각기 깎아내는 칼의 길이를 적합화시킴으로 해서 장단의 불필요부를 깎아내는 회수를 줄여 제거할 수 있고, 깎아내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깎아내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5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깎아내는 칼로잘라내어 제거된 불필요부를 기계밖으로 유도하는 도출판을 하부승강프레임과 동조하여 상하동하도록 설비함으로 해서, 깎아내는 수단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속적으로 잘라내어 제거되는 불필요부가 도출판 위에 배출되어 해당 유도판에 관련되어 설비된 콘베이어등에 의해 전용폐기상자등으로 자동적으로 보낼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손이 덜 가게 됨으로 해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청구항 6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와, 적층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의 위치결정을 하는 회전 및 슬라이드 작동이 가능한 위치결정 조정수단을 설비한 적재받침대가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판지를 슬라이드에 의해 가까이 가게 하기도 하고 떨어뜨려 줄 수도 있어 잘라내어 제거해야 할 불필요부에 대한 깎아내는 칼의 위치결정도 간단히 할 수 있다. 그후 불필요부의 각 부분에 대해 각기 깎아내는 칼의 위치결정을 행하여 세트작업(준비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펀치판지의 주위, 예를 들면 양측, 또는 사방의 불필요부에 대해 깎아내는 칼의 위치결정 조정이 정확하게 행하여져 깎아내는 칼에 의해 불필요부의 잘라내는 제거가 적정하게 행하여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기초로 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전체 정면도, 도2는 동 전체 배면도, 도3은 동 전체 측면도, 도4는 하부승강프레임, 구동수단과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일부절개 측면도, 도5는 동 정면도, 도6은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구동측 푸리의 단면도, 도7은 동 깎아내는 칼의 일부절개 측면도, 도8은 도5의 X-X선 단면도, 도9는 적층판지 재치부(載置部)의 정면도, 도10은 동 작동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11은 동 일부절개 평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1은 역 ㄷ자형 기계테두리로, 양측 테두리레버의 하부에 기계테두리 1에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용 하부승강프레임 2와 그 상부에 종이를 누르는 수단용인 상부승강프레임 3을 승강자유로 설비하고, 그 하부승강프레임 2는 구동승강수단 4로 승강가능하게 설비하고, 또한 상부승강프레임 3은 하부승강프레임 2와는 별도로 승강자유로 설비되어 있다.
도1 내지 도5에 있어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용의 하부승강프레임 2와 종이 누르는 수단을 설비한 상부승강프레임 3의 승강수단으로서, 기계테두리 1의 양측 상부 11과 하부의 수부 12와의 사이에 가이드샤프트 5가 직립상태로 설비되고, 그 후방에는 상하의 수부 13,14간에 구동승강수단 4로서 롯드레스실린더 20이 앞서 기재한 가이드샤프트 5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설비되어 있다. 롯드레스실린더 20은 비자성체(非磁性體)의 실린더 21의 내부에 승강하는 자성체의 구동피스톤 22를 설비하고, 상부와 하부에 에어흡배기공 23,24를 설치하여 구동피스톤 22의 상부에 구동에어가 유입되면 하부 에어는 전자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어 구동피스톤 22를 원하는 속도로 하강시킨다. 25는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의 기계테두리 1의 하단에 설치한 받침대로, 테두리틀 이동용 캐스터 26, 브레이크패드 27을 가지고 있는 테두리틀 고정용 실린더 28을 설비하고 있다.
하부승강프레임 2는 단면 ㄷ자형으로, 기계테두리 1에 승강자유의 수단으로서 프레임 2의 양측 후부에 가이드베어링 15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베어링 15로 기계테두리 1에 설비한 가이드샤프트 5에 승강자유로 축지되고, 또한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의 구동승강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베어링 15의 후부에 에어실린더 20의 실린더 21의 외부주위에 승강자유로 설비한 자성체 16a를 설비한 통상체(筒狀體) 16이 설치되고, 이 에어실린더 20의 에어흡배기에 의해 내부의 자성체 구동피스톤 22를 승강동작시킴으로 해서 하부승강프레임 2의 후부 자성체 16a를 설비한 통상체 16이 구동피스톤 22의 자력으로 함께 움직여 승강가능하게 설비되어 있다. 롯드레스실린더 20의 가동, 가속 및 감속, 정지 동작에 의해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을 미리 설정되어진 소정의 속도로 상하동시킬 수 있다. 하부승강프레임에는 후에 기술한 밸런스웨이트 75가 관련되어 설치되고, 이 하부승강프레임은 롯드레스실린더 20으로 승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롯드레스실린더 20에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을 설비한 프레임이 승강되기 때문에 종래의 에어실린더와는 다르게 상방으로부터 튀어나온 부재가 일체 없어져서 기계의 높이가 낮게 되고, 축소화될 수 있으며, 공간적으로도 천정측이 생략되어 설치조건의 제약이 완화된다. 구동승강수단으로서 롯드레스실린더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에어실린더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부승강프레임 3은 양측후부에 가이드베어링 17이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베어링 17으로 가이드샤프트 5에 승강자유로 축지되어 설치되므로, 자체무게로 강하되기 때문에 앞서 기재한 하부승강프레임 2와는 별도의 동작을 한다. 즉, 상부승강프레임 3은, 강하하여 종이 누르는 수단인 종이 누르는 판 105가 적층된 판지 A의 높이에 상관없이 상면(上面)에 맞닿을 때까지 강하해서 맞닿으면 그 위치에서 멈추어 상부승강프레임 3과 종이 누르는 수단의 자체무게로 종이를 누르게 된다.
도1, 도4, 도5에 있어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로서, 하부승강프레임 2에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스프라인샤프트 7과,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과, 가이드레일 6, 가이드부 48등의 가이드기구가 설비된다. 구동수단인 구동모터 30에 의한 스프라인샤프트 7과의 회전전달기구 31은, 하부승강프레임 2위에 설비한 인버터가 달린 모터등의 구동모터 30의 구동축 32에 설비한 구동푸리 33과, 스프라인샤프트 7의 일부분인 피동푸리 39를 회전전달벨트 35로 연동시켜 스프라인샤프트7을 회전구동가능하게 한다. 깎아내는 수단인 구동원에 전기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스피드가 자유롭게 조정될 뿐만 아니라, 쓸모없는 회전도 전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깎아내는 칼에 의한 불필요부분의 잘라내는 제거가 항상 적절하게 행해진다.
회전전달기구는 벨트 전달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퀴체인에 의한 전달로서도 좋다. 36은 구동축 32의 축받이이다.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은 펀치판지 A의 불필요부 a를 잘라내어 제거하는 깎아내는 제거수단 41과, 하부승강프레임 2에 설비한 모터등 구동수단 30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설비되어 있는 구동전달기구 42등을 설비한 것으로, 앞서 기재한 하부승강프레임 2의 전면에 설비한 횡방향의 가이드레일 6과, 그 전방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측의 축받이 8에 의해 평행으로 설비한 스프라인샤프트 7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회전방향으로는 고정적으로 설비하고 또, 하부승강프레임2에 설비한 모터등 구동수단 30에 의한 스프라인샤프트 7의 회전구동에 의해 구동전달기구 42를 통해, 깎아내는 제거수단 41이 깎아내는 운동을 한다. 구동전달기구 42는 구동측푸리43, 피동측푸리 44, 회전전달벨트 45로 구성된다.
도4 내지 도6에 있어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은, 접동체 46과 깎아내는 제거수단 41용인 구동전달기구 42, 깎아내는 칼을 설비한 도물받침대 47등으로 구성되고, 도물받침대 47의 후부가 가이드레일 6에 축방향으로 이동자유로 지지되고, 그 전방에 설비한 접동체 46이 스프라인샤프트 7에 회전방향으로 고정적이고 축방향으로는 접동자유로 설비되며, 도물받침대 47에 대해 스프라인샤프트 7에 회전방향으로 고정적인 접동체 46이 회전자유로 설비되고, 스프라인샤프트 7, 접동체 46과 구동측푸리 43과는 일체적으로 회전까지 되도록 설비되어 있다. 즉 접동체 46은 외부주위의 일측에 구동전달기구 42의 구동측푸리 43을 키 49등으로 결합하는 푸리 보지면(保持面) 46a와, 타측에 도물받침대 47을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비하는 축받침면 46b등을 형성하고 내부주위에는 스프라인베어링 51을 키 51a등으로 고정하여, 접동체 46을 스프라인베어링 51로 스프라인샤프트 7에 회전방향으로 고정적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만 접동할 수 있도록 설비하고, 접동체 46의 푸리 보지면 46a에 키 40등을 통해 구동측푸리 43을 설비하고, 또 축받침면 46a에는 베어링 50을 통해서 도물받침대 47이 설비되고, 상기 도물받침대 47의 후부에는 앞서 기재한 가이드레일 6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상태의 가이드부 48이 나사로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도물받침대 47의 후부가이드부 48이 단면 ㄷ자형의 하부승강프레임 2 전면에 나사로 고정한 가이드레일 6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자유로 지지된다.
52는 베어링 50의 횡방향이동을 고정하는 멈춤쇠이다.
그리고,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은 후부의 가이드부 48이 가이드레일 6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자유로 지지됨과 동시에 앞부분의 접동체 46이 스프라인 샤프트 7에 회전방향으로 고정적이며 축방향으로 접동자유로 지지되어, 스프라인샤프트 7의 회전구동에 의해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의 구동전달기구 42를 통해 깎아내는 제거수단 41로 깎아내는 운동을 행한다.
도7, 도8에 있어서 깎아내는 수단 41의 구동기구로서, 도물받침대 47의 하부에는 깎아내는 칼 58의 기단(基端)을 축지하는 회전축 54가 베어링 55로 회전자유로 지지되고, 앞서 기재한 구동푸리 43의 직하 회전축 54에 피동측푸리 44가 축지되고, 상기 구동측푸리 43과 이 피동측푸리 44와의 사이에 회전전달용 벨트 45가 설치되고, 구동모터 30에 의한 구동력이 스프라인샤프트 7, 스프라인 베어링 51, 접동체 45를 통해서 전달되어 구동측푸리 43, 피동측푸리 44가 회전되어 회전축 54가 회전구동된다. 회전축 54에는 한쪽 끝에 편심(偏心)고정된 크랭크샤프트 56에 한벌의 깎아내는 칼의 부착용인 암프레이트 57의 기단을 베어링 56a를 통해서 회전축 54에 대해 편심회전하도록 축지하고, 암프레이트 57의 선단에는 톱날상태의 도물 58a를 선단에 설비한 깎아내는 칼 58이 장공 59와 조이는 봉투 60등에 의해 직사각형 방향으로의 신축조정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깎아내는 칼 58은 크랭크샤프트 56과의 사이에 한쪽끝이 도물받침대 47에 전반적으로 설치된 지지체 47a에 포인트프레이트 62의 상부가 축61로 축지되고, 또 그 포인트프레이트 62의 하단에 암프레이트 57의 선단근처가 추지(중심을 받쳐주는)핀 63으로 추지되어, 회전축 54의 회전에 의해 톱날상태의 도물 58a가 제거해야할 불필요부 a의 상방으로부터 맞물어, 후퇴할 때 해당 불필요부 a를 판지의 유용(有用) 부분으로부터 잘라내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한 개의 바퀴자국을 그리며 운동한다. 한벌의 깎아내는 칼 58이 번갈아 깎아낸다.
즉, 상기 스프라인샤프트의 일측단에 고정한 회전전달용 피동측푸리 34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고정한 구동측푸리 33과의 사이에 구동벨트 35를 설치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스프라인샤프트 7에 전달함으로써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의 깎아내는 칼 58은 구동측푸리, 회전전달용 벨트 및 피동측푸리를 통해서 회전되는 회전축 54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샤프트 56의 편심회전과 더불어 선단 도물이 상하 및 전후에 암프레이트 57 및 포인트프레이트 62를 통해 일정의 바퀴모양을 그리면서 작동하고(예를 들면 도면 14의 화살표 참조) 선단 칼부분이 제거해야할 불필요부 a에 상방으로부터 맞물려고, 이 물려진 것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방에서 눌러주면서 후퇴함으로 해서 불필요부 a를 확실하게 잘라내어 제거한다. 앞서 기재한 선단 칼부분 58의 운동을 일정한 스피드로 반복하면서 강하함으로 해서 다수 적층된 판지의 일측면에 불필요부 a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해 연속적으로 잘라내어 제거한다. 또 상기 불필요부 a의 잘라내는 제거작동에 있어서 두 개의 깎아내는 칼 58을 한벌로 할 경우, 선단 칼부분의 상기 톱니자국을 그리는 움직임이 도시된 것처럼 번갈아 행하도록 하여 그 잘라내는 제거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깍아내는 칼 58의 길이를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암프레이트 57의 나사구멍에대해 톱날상태의 칼부분 58a를 선단에 설비한 깎아내는 칼 58의 장공 59를 전후로 이동시켜 직사각형 방향으로의 신축조정을 행하여 조이는 볼트 60을 장공 59를 통해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해서 조일 수 있는 구성을 하여, 깎아내는 칼 58이 잘라내어 제거해야할 불필요부 a의 폭넓이 방향의 길이에 적응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만들어야 될 상자등에 따라 천차만별의 형상을 하고 있는 불필요부의 길이의 장단에 따라 제각기의 깎아내는 칼의 길이를 적합하게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길고 짧은 불필요부를 깎아내는 회수를 줄여서 깎아내는 제거를 할 수 있고, 깎아내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깎아내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4에 있어서, 앞서 말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을 소정 위치에서 잠글 수 있는 잠금수단 70을 설비하여, 정지중·가동중에 상관없이 복수의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을 판지 A의 불필요부분에 대응하여 제각기 임의의 위치에 세트하고, 이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을 다수 적층된 펀치판지 A의 측면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분을 깎아내는 수단으로 잘라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즉, 각각의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은 하부승강프레임 2의 하부에 설비한 가이드판 71에 위치결정용 장공 72를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장공 72를 통해서 도물받침대 47에 잠금수단으로서 핸들 73의 조이는 나사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핸들 73을 뒷면부터 조작하여 각 도물받침대 47을 판지의 불필요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조여 잠금으로써 제각기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4조의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을 양측의 도물받침대가 제각기 푸리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중앙의 도물받침대끼리 가까이 하도록 할 수 있다. 도물받침대는 양측에서 푸리와 도물받침대의 위치를 반대로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예를 들면 푸리와 도물받침대를 같은 배치로 해도 좋다. 이 푸리와 도물받침대의 배치는 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에 가장 적절한 배치로 정할 수 있다.
도2에 있어서 앞서 말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등을 설비한 하부승강프레임 2는 밸런스웨이트 75와 균형을 유지해서, 상기 롯드레스실린더 20에 의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의 상하이동이 균형있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등을 구비한 하부승강프레임 2와 밸런스웨이트 75는 체인 76으로 기계테두리 1의 상단에 설비한 스프로켓기어 77을 통해 매달아 놓는 식으로 설비되어,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을 설비한 하부승강프레임 2와 웨이트 75는 항상 연동하여 어느 위치에 두어도 정지(靜止)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구성으로 된 것이므로, 상기 스프라인샤프트 7의 한쪽단에 고정한 회전전달용 푸리 34, 상기 구동모터 30의 모터축에 고정한 구동측푸리 33과의 사이에 구동벨트 35를 설치하여 구동모터 30의 회전을 스프라인샤프트 7에 전달함으로써,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의 깎아내는 칼 58은 구동측푸리43, 회전전달용 벨트45 및 피동측푸리 44를 통해서 회전되는 회전축 54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샤프트 56의 편심회전과 더불어 선단 칼부분이 상하 및 전후에 암프레이트 57 및 포인트프레이트 62를 통해 일정의 바퀴자국을 그리며 작동하고(예를 들면, 도면 14의 화살표 f참조) 선단 칼부분이 제거해야 할 불필요부 a에 상방으로부터 맞물려서 이 물려진 것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방에서 눌러주면서 후퇴함으로써불필요부 a를 확실하게 잘라내어 제거한다.
상술한 선단 칼부분의 운동을 일정한 스피드로 반복하면서 강화함으로 해서 다수 적층된 판지 A의 한쪽면에 불필요부분a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해 연속적으로 잘라내어 제거한다. 또, 상기 불필요부 a의 잘라내는 제거작동에 있어서 두 개의 깎아내는 칼 58을 한벌로 할 경우 선단 칼부분의 상기 톱니자국을 그리는 움직임이 도시된 것처럼 번갈아 행하도록 하여 그 잘라내는 제거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3에 있어서, 적층 판지 A의 불필요부 하락측, 즉 뒷측에는 깎아내는 칼 58로 잘려 떨어진 불필요부 a를 기계밖으로 유도하기 위해 도출판 100을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설비한 하부승강프레임 2와 동조하여 상하이동하도록 설비하고 있다. 상기 도출판 100은 상기 가이드샤프트 5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은 지지부 102에 양단의 축을 회동자유로 추지하고, 하부승강프레임 2와 상기 도출판 100의 앞부분 적당한 곳을 체인 101로 추지하여 도출판 100의 경사각도가 자유롭게 변위할 수 있도록 설비하였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도출판 100과 하부승강프레임 2의 가이드판 71등을 장단조정가능한 연결 체인 101등으로 묶어서, 도출판 100이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과 동조하여 일정의 경사각을 유지한 채 자체무게로 강하하여 끌어올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도출판100이 강하하여 지면에 닿을 때는 수평이 되도록 했다. 도출판 100은 가이드판에 매달아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하부승강프레임과 동조할 수 있도록 매달아 설치해도 좋다.
도면중에 105는 적층판지 A를 누르는 판으로, 상기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의 하부승강프레임 2의 상부에 따로 설비한 상부승강프레임 3에 고정된 L자형 완관(난간, 기둥) 106의 선단하부에 설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승강프레임3은 양측의 가이드샤프트 5에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그 양단 가이드베어링 17로 지지되어 설비되고, 하부승강프레임 2의 강하에 의해 상부승강프레임 3이 자체무게로 강하하여 누르는 판 104가 적층 판지 A의 상면에 맞닿아 멈추어 상부승강프레임 3과 완간 105의 중량으로 적층 판지 A의 상면의 거의 중앙을 눌러주고, 작업종료후에는 하부승강프레임 2의 상승에 의해 상부승강프레임 3이 들어 올려져 누르는 판 105를 적층 판지 A의 상면으로부터 사이를 떨어뜨린다. 또 107은 적층 판지 A의 세트용 봉으로 기계테두리 1에 기상(起床)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그 선단에서 적층 판지 A의 불필요부분을 깎아내는 위치에서 받아 멈추어 준다. 그리고, 종이 누르는 판 105는 상부승강프레임 3과 완간 106의 중량등으로 눌러져 있기 때문에, 적층 판지의 고저에 상관없이 종이 누르는 판이 맞부딪칠 때까지 강하시켜 판지의 상면을 누를 수 있다. 종래의 에어실린더에 의한 종이누름에서는 적층 판지의 고저차에 대응하기 위해 스트로크를 길게 하여 상방으로 돌출하지만, 이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부승강프레임 종이누르는 수단의 자체무게에 의하기 때문에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또, 세트용 봉을 일어나고 쓰러지도록 설치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세트용 봉을 수평하게 신축조정할 수 있도록 바꾸어도 좋다.
도9 내지 도11에 있어서 파레트 80위에 적층된 펀치판지 A의 적재받침대 81에 앞서 말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의 깎아내는 칼 58에 대해 적층 판지 A의 잘라내어 제거해야할 불필요부 a의 위치결정을 하는 회전과 슬라이드 가능한 위치결정 조정수단 82를 설비하고 있다. 즉, 적층 판지 A의 불필요부 a를 잘라내어 제거하는 면은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의 깎아내는 칼 58의 방향으로 향하여 대면시키는 수단으로서 공모양의 고로 83을 설비한 복수의 회전용 프리베어 84위에 회전판 85를 얹어놓은 턴테이블 86을 설비하고, 적층 판지 A의 불필요부 a와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의 깎아내는 칼 58과의 위치관계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턴테이블 86위에 설비한 가이드요철부 87에 복수의 공모양 고로 88을 양단상부에 병설한 롤러콘베이어 89의 하부에 설비한 레일 90을 설치하여 깎아내는 칼 58에 대한 적층 판지 A의 슬라이드 조정(붙이고 떨어뜨리는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중 91은 턴테이블 86의 회전고정용 에어실린더, 92는 파레트 고정용 에어실린더이다.
펀치판지 A의 적재받침대 89를 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조합(편성)한 경우의 사용상태의 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롯드레스실린더 20에 의해 하부승강프레임 2의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은 상한위치에 있고, 그 상부의 상부승강 프레임 3의 누르는 판 105도 상한위치에 세트된다. 거기서, 파레트 80위에 적층된 판지 A를 포크리프트등으로 운반하여 롤러콘베이어 89위에 실어 턴테이블 96에 의해 회전과 롤러콘베이어 89에 의한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드등으로 위치결정을 행하여 세트용 봉 107을 눕혀서 그것에 부딛칠 때까지 적층 판지 A를 슬라이드하여 쓰러뜨려서 위치결정완료 후, 적층판지 A의 잘라내어 제거해야할 불필요부 a의 형상에 의해 각 깎아내는 유니트 40을 하부승강프레임 2의 가이드판 71의 장공 72을 따라 횡방향(좌우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각 핸들 73의 조임으로 잠그고, 깎아내는 칼 58의 길이를 장공 59와 조이는 볼트 60에 의해 직사각형 방향(전후방향)의 위치결정을 한 후, 롯드레스실린더 20을 기동하여 하부승강프레임 2를 하강시키고, 상부승강프레임 3의 종이누르는 판 105로 적층 판지 A를 누르고, 구동모터 30을 기동하여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의 깎아내는 칼 58을 작동시키며, 하부승강프레임 2를 하강시키면서 깎아내는 칼 58로 불필요부 a의 잘라내는 제거를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순서대로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다. 이때 도출판 100도 하부승강프레임 2에 동조하여 하강하기 때문에 제거된 불필요부 a는 도출판 100으로 기계밖으로 도출되어 도출판 100에 의해 폐기상자까지 벨트콘베이어(도시되지 않음)로 도출판 100으로 배출된 잘라낸 불필요부들을 자동적으로 폐기상자에 보내도록 한다.
상술한 깎아내는 제거동작에 의해 한 면의 불필요부분 제거가 끝나면,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을 상한위치로 돌려놓은 후, 적층 판지 A의 사방(4면)의 불필요부분을 잘라낼 때는 턴테이블 86을 90도씩 회전시키고, 또 적층 판지 A의 양측(2면)의 불필요부분을 잘라낼 때는 180도 반전시키며, 앞서말한 이유로 하여 다른 면에 대한 위치결정 및 잘라내는 제거를 행하는 것이다. 상술한 불필요부의 제거 작업에 있어서, 적층 판지 A가 충격 진동등에 의해 기울어져 깎아내는 칼 58과 불필요부 a와의 위치결정에 차질이 생겼을 경우는, 깎아내는 작업중 또는 정지중에 상관없이 기계의 뒷측으로부터 핸들 73의 조이는 나사를 조작하여 운전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 40을 좌우로 이동시켜 깎아내는 칼의 위치를 조정하여, 만약 판지가 기울었어도 유용부 b를 깎아내어 흠집을 내지 않고도 잘라내어야 할 불필요부만을 정확하게 잘라낼 수 있다. 깎아내는 칼 58의 직사각형 방향으로의 신축조정을 행하여, 만들어야 할 상자등에 의해 천차만별의 형상을 하고 있는 불필요부의 길이의 장단에 맞추어 제각기의 깎아내는 칼의 길이를 적합화시킴으로 해서, 길고 짧은 불필요부분을 깎아내는 회수를 줄여 깎아 내어 제거할 수 있고 깎아내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깎아내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12 내지 도14는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2는 불필요부 a를 제거하기 전에 펀치로 자르는 선을 넣는 다수 적층된 판지로서 a는 불필요부, b는 유용부, d는 접는부, e는 잇는부를 나타내고, 도13은 불필요부 a를 제거한 판지 A를, 도14는 제거된 불필요부 a만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상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발명의 요지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깎아내는 칼을 잘라내어 제거해야 할 불필요부의 최적 위치로 가동중이라도 변위시켜줄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수한 실시형태에서는 수동조작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이것을 자동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잘라낸 불필요부를 기계 밖으로 유도하는 도출판을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자체무게로 강하하도록 되어 있지만, 하부승강프레임과 일체화하여 같이 움직이도록 해도 좋다.
또한 깎아내는 칼 58은 2개를 한벌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로 하거나 2개이상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구동수단으로 승강하는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횡방향의 가이드레일과 스프라인샤프트에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분을 잘라내어 제거하는 깎아내는 제거수단을 설비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회전방향에는 고정적으로 설비하고,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구동수단에 의해 전달기구를 통하여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깎아내는 제거수단을 작업가능하게 설비하며, 상기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잠금수단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잠글 수도 있는 잠금수단을 설비한 것으로, 깎아내는 제거수단의 정지중, 가동중에 상관없이 복수의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판지의 불필요부에 대응하여 제각기 임의의 위치에 세트하고, 판지 불필요 부 제거유니트를 다수 적층된 펀치판지의 측면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분을 정확하게 잘라내어 제거할 수 있다. 또, 하부승강프레임은 구동승강수단으로 승강가능하게 설비하고, 상부승강프레임은 하부승강프레임과는 별도로 승강자유로 설비했기 때문에, 하부승강프레임을 강하하면 상부승강프레임도 자체무게로 강하해서 종이 누르는 수단이 적층된 펀치판지 위에 닿아 판지의 중앙부를 누르고, 하부승강프레임이 종이 누르는 수단으로 눌러진 적층 펀치판지의 측면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깎아내는 제거수단으로 불필요부분을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 기재의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기계테두리에 가이드샤프트와 롯드레스실린더를 직립상태로 병설하고, 가이드샤프드에 승강이 자유로운 하부승강후레임을 롯드레스실린더에 구동피스톤의 승강동작에 연동하여 승강가능하게 설비하고, 또한 하부승강프레임을 균형있게 하는 밸런스웨이트를 하부승강프레임에 관련하여 설비했기 때문에 롯드레스실린더, 밸런스웨이트에 의해 승강 스토로크중의 어느 위치에서도 균형을 잡을 수 있어 깎아내는 제거수단의 제거작업을 안정감있게 행할 수 있다. 만일 실린더의 고장이 생겨도 밸런스웨이트로 균형이 잡히기 때문에,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하부승강프레임이 낙하하는 위험성은 없다. 또, 롯드레스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기 때문에 종래의 에어실린더와는 다르게 상방으로의 돌출된 부재가 일체 없어져서 기계의 높이가 낮게 되고 축소화되며 공간적으로도 천정측이 생략되어 설치조건의 제약이 완화된다. 더욱이 깎아내는 수단의 구동원으로 전기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스피드가 자유롭게 조정될 뿐만이 아니라, 쓸모없는 회전도 전혀 없어지므로 깎아내는 칼에 의한 불필요부의 잘라내는 제거를 항시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앞서 말한 하부승강프레임에 설치한 가이드판의 횡방향의 장공을 통해서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에 잠금수단을 나사결합하여 가이드레일과 스프라인샤프트에 접동자유로 설비한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임의의 위치에서 조여 잠글 수 있기 때문에 정지중, 가동중에 상관없이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깎아내는 수단을 잘라내어 제거해야할 불필요부의 최적 위치로 제각기 변위시켜줄 수 있고 가동중 적층판지가 기울어진 경우에도 기계를 멈추는 일없이 판지의 깎아내는 부분에 대한 깎아내는 칼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처럼 가동을 정시켜 다시 세트하는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깎아내는 칼의 직사각형 방향으로의 신축이 가능하게 되어 깎아내는 칼이 잘라내어 제거해야할 불필요부의 폭넓이 방향의 길이에 맞추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만들어야할 상자등에 의해 천차만별의 형상을 하고 있는 불필요부의 길이의 장단에 맞추어 제각기 깎아내는 칼의 길이를 적합하게 조성시킴으로 해서 길고 짧은 불필요부분을 깎아내는 회수를 줄여 깎아내는 제거를 할수 있으므로 깎아내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깎아내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깎아내는 칼로 잘라내어 제거한 불필요부를 기계밖으로 유도하는 도출판을 하부승강프레임과 동조하여 상하이동하도록 설비했기 때문에, 깎아내는 수단으로 위에서 밑(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잘라내어 제거한 불필요부분들이 도출판뒤로 배출되고, 상기 도출판에 관련해서 설비된 콘베이어등에 의해 폐기전용 상자등으로 자동적으로 보낼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수고를 덜 수가 있고,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 기재의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의하면, 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와, 적층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 위치결정을 하는 회전과 슬라이드가능한 위치결정 조정수단을 설비한 적재받침대 등을 조합했기 때문에 적층판지를 예를 들어 180도 또는 90도씩 회전변위 시킴으로써, 깎아내는 수단의 깎아내는 칼에 대한 불필요부의 잘라내는 제거면을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고, 깎아내는 칼에 대해 적층 판지를 슬라이드에 의해 절개시켜 잘라 제거해야할 불필요부에 대한 깎아내는 칼의 위치결정도 간단하게 된다. 그후, 불필요부의 각부에 대한 제각기의 깎아내는 칼의 위치결정을 행하여 세트작업(진행준비)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펀치판지의 주위 예를 들면 양측 또는 사방의 불필요부에 대한 깎아내는 칼의 위치결정 조정이 정확하게 행하여져 깎아내는 칼에 의한 불필요부의 잘라내는 제거가 정확하게 행하여진다.
따라서, 기계의 소형화에 의한 설치공간의 절약과 불필요부 제거동작의 적정화 및 작업상의 안정성향상을 이루어낼 수 있다.

Claims (6)

  1. 기계테두리에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용 하부승강프레임과 그 상부에 종이를 누르는 수단을 설치한 상부승강프레임을 승강자유로 설비하여 그 하부승강프레임은 구동승강 수단으로 승강가능하게 설비하고, 또 상부승강프레임은 하부승강프레임과는 별도로 승강자유로 설비하며,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횡방향의 가이드레일과 스프라인샤프트에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를 잘라내어 제거하는 깎아내는 제거수단을 설비한 판지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회전방향으로는 고정적으로 설비하고, 또한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구동수단에 의해 전달기구를 통하여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의 깎아 제거하는 수단을 작동가능하게 설비하며,
    상기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임의의 위치에서 잠글 수 있는 잠금수단을 설비하여, 정지중,가동중에 상관없이 복수의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판지의 불필요부에 대응하여 제각기 임의의 위치에 세트할 수 있게 하고,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다수 적층된 펀치판지의 측면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를 깎아내는 수단으로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승강 수단으로서 기계테두리에 가이드샤프트와 롯드레스실린더를 직립상태로 병설하고 가이드샤프트에 승강이 자유로운 하부승강프레임을 롯드레스실린더의 구동피스톤의 승강동작에 연동하여 승강가능하게 설비하며, 또한 하부승강프레임을 균형있게 하는 밸런스웨이트를 하부승강프레임에 관련시켜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에 설치한 가이드판을 횡방향의 장공을 통하여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에 잠금수단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과 스프라인샤프트에 접동이 자유롭게 설비한 각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임의의 위치에서 조여 잠글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깎아내는 수단인 깎아내는 칼을 그 칼의 직사각형 방향으로의 신축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깎아내는 칼로 잘라내어 제거해야할 불필요부의 폭넓이에 맞출 수 있도록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깎아내는 칼로 잘라내어 제거되는 불필요부를 기계밖으로 유도하는 도출판을 상기 하부승강프레임과 동조하여 상하동할 수 있도록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
  6. 기계테두리에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용 하부승강프레임과 그 상부에 종이를 누르는 수단을 설비한 상부승강프레임을 승강이 자유롭게 설비하여, 그 하부 상승프레임은 구동상승수단으로 상승가능하도록 설비하고 또한 상부승강프레임은 하부승강프레임과는 별도로 승강자유로 설비하며,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횡방향 가이드레일과 스프라인샤프트에 펀치판지의 불필요부를 잘라 제거하는 깎아내는 제거수단을 설비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회전방향으로는 고정적으로 설비하고, 또 상기 하부승강프레임에 설비한 구동수단에 의해 전달기구를 통하여 판지 불필요부 제거유니트를 깎아 제거하는 수단을 작동가능하게 설비한 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와 상기 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에 대해 적층된 펀치판지의 불필요부의 위치결정을 하는 회전 및 슬라이드 작동이 가능한 위치 결정 조정수단을 설비한 적재받침대를 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판지 불필요부 제거장치.
KR1020000048371A 2000-08-21 2000-08-21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 KR10036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371A KR100362483B1 (ko) 2000-08-21 2000-08-21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371A KR100362483B1 (ko) 2000-08-21 2000-08-21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191A KR20020015191A (ko) 2002-02-27
KR100362483B1 true KR100362483B1 (ko) 2002-11-23

Family

ID=1968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371A KR100362483B1 (ko) 2000-08-21 2000-08-21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478A1 (ko) * 2011-07-28 2013-01-31 주식회사 톱텍 종이판재의 가로판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478A1 (ko) * 2011-07-28 2013-01-31 주식회사 톱텍 종이판재의 가로판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191A (ko) 200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5409A (en) Device for cutting paper, cardboard, and similar materials
EP07126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litting corrugated paperboard boxes
US76583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sheet stacks and sheet processing machine having the apparatus
CN111807133A (zh) 一种高速水墨印刷机
US20020101031A1 (en) Delivery and ejection device for flat elements into a machine working them
JPH09263417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及びそれに好適な折り割り装置
CA1068213A (en) Double downstacker with side-shifting conveyor
KR100362483B1 (ko) 펀치판지의 불필요부 제거장치
CN115818326B (zh) 一种用于包装印刷的模切机的下料机构
CN209395338U (zh) 一种环保性纸板切割机入料装置
CN208560976U (zh) 一种堆书机
CN209668445U (zh) 堆叠装置
CN212245580U (zh) 一种高速水墨印刷机
CN109176125A (zh) 割边设备的上下料机构及其割边机
CN209615747U (zh) 一种便于上料的电子开料锯
CN211891093U (zh) 一种瓦楞纸模切机的上料机构
CN211366464U (zh) 一种切纸机下料装置
JPH08301630A (ja) ガラス板折割り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ガラス板加工装置
CN208698052U (zh) 一种印刷分压切角开槽机
CN209394297U (zh) 插片筒自动加工设备
CN111483859A (zh) 分切堆叠装置及其应用
JP3510151B2 (ja) パンチ板紙の不要部除去装置
CN209668443U (zh) 分切堆叠装置
CN212046163U (zh) 一种印刷纸箱生产用限位装置
CN220517653U (zh) 一种环保包装盒的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