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085B1 -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 도금층 눌림방지 강판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 도금층 눌림방지 강판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085B1
KR100362085B1 KR1020000032939A KR20000032939A KR100362085B1 KR 100362085 B1 KR100362085 B1 KR 100362085B1 KR 1020000032939 A KR1020000032939 A KR 1020000032939A KR 20000032939 A KR20000032939 A KR 20000032939A KR 100362085 B1 KR100362085 B1 KR 100362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d
carbon
steel sheet
steel
ca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2749A (ko
Inventor
김기병
오현운
반영삼
정문기
최진혁
이상호
김정태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085B1/ko
Publication of KR2001011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28In vertic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2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zin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아연도금시, 도금강판의 배면에 고용탄소에 의해 발생되는 선상 도금표면 눌림현상으로 인한 품질 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속냉간압연기 (TCM) 및 조질압연기(SPM) 압연로울 가공모드 및 연속소둔라인에서 연신율조정을 통하여 제품의 기타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용탄소에 의한 선상 도금표면 눌림현상을 제거한 작업방법 및 이론에 관한 것이다.
뱃치 아닐링로(BAF) 소둔설비가 아닌 연속소둔설비를 갖추고 있는 상황에서 탄소함유량 200ppm 이상 소재를 전기도금라인에 투입할 경우 고용탄소에 의해 선상으로 나타나는 도금표면 눌림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고용탄소에 의한 선상 도금표면 눌림현상이 생기면 냉연 제품의 경우 품질 자체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이를 원료로 제품생산시에 커다란 수요가 불만이 발생된다. 그러나, 고용탄소에 의한 선상 도금표면 눌림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IF스틸(Interstitial Free-Steel)을 사용할 경우 원가 상승 요인이 됨으로 인하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IF스틸이 아닌 일반 탄소강 CQ(탄소 200ppm 이상) 소재를 투입하여도 고용탄소에 의한 도금표면 눌림현상을 제거하여 수요가 불만 사항인, 도금 강판 배면과 상부면과 품질 차이를 동일한 수준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도금층 눌림방지 강판제조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 도금층 눌림방지 강판제조방법{The technology to prevent that the Zn-layer is pressed down by the Conductor roll in Vertical cell in Electolytic Galvanizing Line}
본 발명은 전기도금 강판(인산염 강판 및 내지문 강판)의 가장 큰 장점인 미려한 외관품질을 요하는 도금강판에 있어 그 배면의 선상 도금층 표면눌림 현상으로 인한 품질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의 도금층 눌림방지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도금 강판은 그 배면에 발생하는 선상 스트렛치 스트레인(stretch strain)으로 인해 선상 도금층 표면눌림 현상이 생기면 빛의 난반사로 인해 발생되는 상부면과 배면과의 색차가 외관을 중시하는 용도에 문제가 생기고, 나아가 수요가들에게 도금 품질상의 문제로까지 인식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탄소함유량 200ppm 이상의 소재를 전기도금라인에 투입할 때 자주 발생하는데, 연구결과 선상도금층 눌림현상은 고용탄소에 의한 영향때문에 주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BAF 소둔 설비가 아닌 연속 소둔 설비로 게다가 특히 탄소함유량 200ppm 이상 소재를 전기도금라인에 투입할 경우 고용탄소에 의해 선상으로 나타나는 도금표면 눌림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이러한 고용탄소에 의한 선상 도금표면 눌림현상이 생기면 냉연제품의 경우 품질상에 문제가 되지 않으나 다음의 전기아연도금 제품생산시 외관불량이 되기 쉬우므로, 고용탄소에 의한 이와 같은 선상 도금표면 눌림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IF스틸(Interstitial Free-Steel)을 사용할 경우 원가상승 요인이 됨으로 인하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따라서, 특히 탄소함유량 200ppm 이상의 소재를 투입하여도 고용탄소에 의한 도금표면 눌림현상이 없도록 도금강판 배면과 상면과의 품질차이를 동일한 수준으로 생산가능하도록 장시간 연구결과, 냉간압연공정 및 조질압연 공정, 그리고 최종 전기도금공정에 이르기까지 연속냉간압연기(TCM) 워크로울 가공모드조정, 연속소둔라인(CAL)의 조질압연기(SPM) 로울 가공모드조정, 그리고 조질압연기 연신율(SPM elongation)조정 및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의 도금조 압하량 조정들을 통해 불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도금라인에서 선상 도금층 표면 눌림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작업조건을 도출하는 것을 본 발명의 과제로 하였다.
제 1 도는 도금층 표면 눌림현상 발생 요인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상의 두께별 및 조질압연기 연신율 조정에 따른 브라잇스폿등급의 분포를 일 실시예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형 전기도금라인에 공급되는 탄소함유량 200ppm 이상의 연속소둔된 강판에 있어 발생되는 선상의 도금층 표면 눌림결함은 연속냉간압연 및 조질압연라인에서의 로울 가공모드조정, 전기도금라인 및 연속소둔라인에서의 텐션조정, 조질압연기에서의 두께별 연신율조정, 도금조에서의 텐션조정등에 의하여 선상의 도금층 표면 눌림현상을 제거하도록 한 수직형 전기아연 도금설비에서의 도금층 눌림방지를 위한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우선 선상 도금층 표면 눌림현상 발생원인을 추정해 보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금강판의 배면에 발생하는 선상 도금층 표면 눌림현상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속냉간압연기의 제 1 번 워크로울 가공모드를 1) 방전가공(EDT) 임펄스(imp)(+)모드 2) 방전가공(EDT) 용량(cap.)(-) 모드 3) 숏 블라스트(Shot blast) 및 4) 브라이트 모드(Bright mode) 가공등을 통해 그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1 과 같았다.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선상 스트렛치 스트레인(stretch strain)의 발생은 연속냉간압연(TCM) 전공정에서는 상기 연소아닐링라인(CAL) 처리후 조질압연시 방전가공 워크로울시 파상도가 잔존하고, 특히 탄소함량 200ppm 이상 함유되는 소위 보통 탄소강재(CQ재)에서 스트렛치 스트레인이 발생하기 쉬운 것임을 알게 되었다.일단 스트렛치 스트레인이 발생된 강판에 도금을 하더라도 내지문처리후 또는 기타 전기도금라인에서 눌린자국을 후처리하더라도 흔적이 잔존함을 알 수 있었고, 인산염 결정에도 편차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이러한 현상은 PCM 압연의 경우에도 전기도금라인에서 도금중 눌림자국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아 알 수 있었다.이에 따라, 상기 스트렛치 스트레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속냉간압연기(TCM)의 워크로울 가공모드, 연속소둔라인(CAL)의 조질압연기(SPM)로울 가공모드, 그리고 조질압연기(SPM) 연신율 상향조정 및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의 도금조 압하량 조정등을 통해 최적 작업조건을 도출하여 보았다.본 발명자들은 표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속냉간압연기 No. 5 워크로울 및 SPM 워크로울 가공모드별 도금표면 눌림현상을 조사하였다. 표 1 에서 조도 A∼D 별로 명시된 숫자는 시편갯수로서, 이로 미루어보아 두께가 특히 탄소함유량 200ppm 이상의 CQ재의 경우 두께가 두꺼울 수록 그 영향이 커서 조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
표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속압연기(TCM) No. 5(#5) 워크로울의 경우 0.5 브라이트 모드(Bright mode) 작업시 조도에 있어, A, B 급이 많이 분포되는 등 양호한 실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두께 0.8mm 이하의 경우 상당히 양호한 실적을 나타내었다. 조질압연기(SPM) 워크로울의 경우 워크로울의 조도가 낮을수록(2.0 방전가공 용량(-)모드)에서 가장 양호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들 결과에 따라 가공로울 표면조도가 도금강판 표면에 전사되면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강판 표면의 조도값인 Ra값을 종래의 1.0∼0.7 에서 0.7∼0.4 로 하향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조질압연기(SPM)에서의 연신(Elongation)에 의한 선상 도금층 표면눌림현상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 표 2 와 같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표 2
표 2의 결과를 토대로 종래의 작업방법보다 연신율(Elongation)을 상향조정하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두께별 연신율 작업범위를 설정하게 되었다.
표 3
다음, 강판내부에 침입형(틈새형) 형태로 존재하는 고용탄소에 의해 발생되는 도금층 눌림현상을 방지하고, 소재의 불균일 변형을 주기 위하여 종래의 연신범위보다 높은 연신율을 적용하여 보았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작업소재의 두께보다 0.2% 이상 높은 연신율을 적용하였다. 예를 들어 두께 0.5mm∼~1.0mm의 경우 연신율을 두께수치 +0.2% 이상을 적용하였으며, 두께 1.1mm 이상인 경우 연신율을 두께수치 +0.1% 이상을 적용하였다. 예를 들어 두께 0.7mm 의 경우 연신율을 0.9, 그리고 두께 1.2mm 의 경우 연신율을 1.3 을 적용하므로써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다음으로 수직형 전기도금설비에서 유도로울(Conductor roll)과 도금강판과의 마찰에 의한 영향을 확인하고자 전기도금라인(EGL) 및 연속소둔라인(CAL)에서 텐션(tension), 도금전류, CD 로울직경, 조질압연 연신율, 워크로울모드등으로 나누어 표 4 와 같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수직형 전기도금설비에서 가장 큰 영향은 표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금조의 입출측에서의 텐션(tension)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압하량을 감소시킬수록 개선의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즉, 표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작업방법과 비교하여 도금조 입측의 텐션은 낮게 관리하고, 도금조 출측의 텐션은 높게 관리할 경우 도금층 눌림현상은 현저히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가장 개선의 효과가 높은 0.8mm 두께 ×1219mm 폭을 가진 강판의 경우, 종래의 작업방법은 도금조 입측 텐션 20, 도금조 출측 텐션 38 일 때 도금층 눌림현상 등급이 2 등급이 나왔으나, 도금조 입측의 텐션 15 로 낮게 관리하고, 도금조 출측의 텐션 42 로 높게 관리할 경우 도금층 눌림현상 등급이 1 등급이 나올정도로 현저히 개선되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도금조 입측의 텐션을 높게 관리하고 도금조 출측의 텐션을 낮게 관리할 경우 도금층 눌림현상의 개선효과는 볼 수 없었다. 한편, 전류밀도는 도금층 눌림현상에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상술한 각종 테스트를 통해 선상 도금층 표면 눌림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작업방법을 표 5 와 같이 도출하게 되었다.
표 5
본 발명은 수직형 전기도금라인에 공급되는 공급되는 탄소함유량 200ppm 이상 연속소둔된 강판의 고용탄소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규명된 선상형태의 도금층 표면 눌림결함을 본 발명상의 전기도금라인, 연속소둔라인등에서의 작업공정 개선을 통하여 IF스틸 및 뱃치아닐닝소둔 소재가 아닌 탄소함량 200ppm 이상의 일반탄소강 소재를 이용하여 선상 도금층 표면 눌림현상 제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품질향상은 물론 저비용으로도 고품질의 전기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함으로써 원가절감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

  1. 연속소둔설비 및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 탄소함량 200ppm 이상의 강판소재의 선상 도금층 표면 눌림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기아연도금강판의 제조를 위해 부여되는 전기아연도금 전 소지 표면의 조도 Ra 를 0.7∼0.4, 강판두께 0.5∼1.0mm 의 경우 적용되는 연신율을 1.0∼1.2% 범위로 두께 1.1mm 의 경우 1.2∼1.4%, 두께 1.2mm 의 경우 1.3% 적용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제조방법과 전기아연도금 작업시 강판 스트립의 장력을 부여하는 유도로울(conduct roll)의 입측은 14, 출측은 42 인 압하량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의 도금층 눌림 방지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00032939A 2000-06-15 2000-06-15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 도금층 눌림방지 강판제조방법 KR100362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39A KR100362085B1 (ko) 2000-06-15 2000-06-15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 도금층 눌림방지 강판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39A KR100362085B1 (ko) 2000-06-15 2000-06-15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 도금층 눌림방지 강판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749A KR20010112749A (ko) 2001-12-22
KR100362085B1 true KR100362085B1 (ko) 2002-11-22

Family

ID=1967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939A KR100362085B1 (ko) 2000-06-15 2000-06-15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 도금층 눌림방지 강판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392B1 (ko) * 2005-10-28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강도가 우수한 인장강도 40㎏/㎟ 급 고장력강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40B1 (ko) * 2001-12-26 2008-02-1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반곡을 자동 교정하는 방법
EP3297970B1 (en) * 2015-05-20 2022-04-20 Flexitallic Investments, Inc. Sealing material and gasket of improved water resistance and process for making this sealing materi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2903A (en) * 1981-06-05 1982-12-13 Hitachi Ltd Controlling method for tension in continuous processing line
JPH09241886A (ja) * 1996-03-06 1997-09-16 Kawasaki Steel Corp 電気めっき金属帯の押し疵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0036918A (ko) * 1999-10-12 2001-05-07 이구택 냉연강판 도금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2903A (en) * 1981-06-05 1982-12-13 Hitachi Ltd Controlling method for tension in continuous processing line
JPH09241886A (ja) * 1996-03-06 1997-09-16 Kawasaki Steel Corp 電気めっき金属帯の押し疵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0036918A (ko) * 1999-10-12 2001-05-07 이구택 냉연강판 도금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392B1 (ko) * 2005-10-28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강도가 우수한 인장강도 40㎏/㎟ 급 고장력강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749A (ko) 200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9009B1 (en) Battery can, sheet for forming battery c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heet
EP2116311B1 (en) High tensile cold rolled steel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ld rolled steel plate
CN108265227B (zh) 一种电子元件用高精度超薄冷轧钢带及其生产方法
KR101821659B1 (ko) 표면처리금속판 및 그 표면처리금속판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EP0164263A2 (en) Production of a base steel sheet to be surface-treated which is to produce no stretcher strain
WO2008075603A1 (ja) 鋼帯の調質圧延方法および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CN112845582B (zh) 一种宽幅ta4精密钛带卷生产工艺
CN1332807A (zh) 具有良好成形性能的钢带及其生产方法
KR100362085B1 (ko) 수직형 전기아연도금설비에서 도금층 눌림방지 강판제조방법
US5629099A (en) Alloying-treated iron-zinc alloy dip-plated steel sheet excellent in press-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680426B1 (ja) 圧延用ワークロ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圧延機ならびに圧延方法
CN115846405A (zh) 一种制备低表面白线类缺陷高强钢的方法及高强钢
JP2005240143A (ja) 缶用鋼板用原板と缶用鋼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362084B1 (ko) 선영성이 우수한 아연-니켈 복합 전기아연도금강판의제조방법
CN114210728B (zh) 一种背光板超平超薄精密带钢消除表面橘皮印的控制方法
CN110093577A (zh) 微米级基板破损导致镀锌缺陷的消除方法
US2023041693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zinc-nickel alloy electroplated steel sheet
JP3470634B2 (ja) 電気めっき用下地鋼板ならびに電気めっき鋼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10060886A (ko) 표면외관 및 내식성이 우수한 전기주석 도금강판제조방법
KR100543514B1 (ko) 브라이트 냉연강판 제조방법
JP3277158B2 (ja) 外観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合金化処理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4096629B2 (ja) 冷間タンデム圧延機及びそれを用いた極薄鋼板の冷間圧延方法
JPH0711484A (ja) 錫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JPS5947608B2 (ja) メッキ鋼板の調質圧延ロ−ル
JPH10280184A (ja) Ni拡散メッキ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