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080B1 - 고리 올리고당과 그들의 유도체를 이용한 조영제의 새로운포접 착체 - Google Patents

고리 올리고당과 그들의 유도체를 이용한 조영제의 새로운포접 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080B1
KR100362080B1 KR1020000016183A KR20000016183A KR100362080B1 KR 100362080 B1 KR100362080 B1 KR 100362080B1 KR 1020000016183 A KR1020000016183 A KR 1020000016183A KR 20000016183 A KR20000016183 A KR 20000016183A KR 100362080 B1 KR100362080 B1 KR 10036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contrast agent
contrast
complex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525A (ko
Inventor
게켈러케이.이.
전성현
강한창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00016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0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9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거대고리 분자를 이용하여 기존의 상용화된 조영제(contrast agent)가 생체 내에서 보다 안정하게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조된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착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리 올리고당 또는 그 유도체와 같은 거대고리 분자 내의 공간(cavity)에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조영제가 포접되도록 유도하여 신규한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포접 착체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상용화된 조영제가 갖는 부작용들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 착체는 환자에게 투여할 때 환자의 안전을 극대화시키면서 조영제의 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리 올리고당과 그들의 유도체를 이용한 조영제의 새로운 포접 착체{NEW INCLUSION COMPLEXES OF CONTRAST AGENTS WITH CYCLIC OLIGOSACCHARIDES AND THEIR DERIVATIVES}
본 발명은 고리 올리고당 또는 그 유도체를 조영제와 포접시켜 제조한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포접착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접 착체 형태의 조영제는 기존의 조영제가 갖는 부작용을 줄여 환자의 안전을 극대화시키면서 조영제의 기능은 유지할 수 있다.
조영제는 환자의 병소의 위치와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통 관 내로 주입되는 진단시약으로, X선 전산 단층 조영술(X-ray Computed Tomography; CT), 자기 공명 영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등을 이용할 때 투여된다 (문헌[Tilock, C., Adv. Drug Del. Rev., Vol. 37, pp. 33-51, 1999] 참조). 이러한 조영제는 유용한 정보를 주기도 하지만, 체내에 존재할 경우, 두통, 오한, 열, 구토 등과 같은 가벼운 증상에서부터, 실신, 호흡 곤란, 혈압 강하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신장 질환, 혈류 이상, 세포 독성 유발, 사망에 이르기까지 치명적인 증상들을 유발할 수 있다 (문헌[Fay, W.P., et al., Thrombo, Hemostat, Vol. 80, pp. 266-272, 1998; Haller, C., et al., Cardiovascular Res., Vol. 33, pp.655-665, 1997; Davidson, A. J., et al., Radiology of thekidney and urinary tract, 2nd ed., W. B. Saunders Co., pp.825-935, 1994; Grainger, R. G., Diagnostic Radiology, 2nd Ed., Churchill Livingstone, Vol. 1. pp. 11-22, 1992; 및 Shebadi, W.H., Radiology Vol. 143, pp. 11-17, 1982] 참조). 따라서, 이러한 조영제의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투여 속도를 줄이거나, 농도를 낮추어 투여하기도 하고 있다.
또한, X-선용 조영제의 경우는, 화학적 구조를 단량체 타입에서 이량체 또는 삼량체로 개선하여 요오드 원자의 비중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문헌[Davidson, A.J., et al., Radiology of the kidney and urinary tract, 2nd Ed., W. B. Saunders Co., pp.825-835, 1994] 참조).
한편, 당류로부터 얻어지는 고리 올리고당은 내부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작은 화합물을 포접시킬 수 있어 수질 내에 존재하는 방향족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어 환경분야(문헌[Murai, S, et al., Environ. Sci. Technol., Vol. 32, pp. 782-787, 1998] 참조)에 이용되기도 하고, 소수성 항암제나 약물을 포접시켜서 약물 전달매체로서 약학분야([Hirayama, F., et al., Adv. Drug Del. Rev., Vol. 36, pp. 125-141, 1999] 참조)에 이용되기도 하며, 그 외에도 식품, 화장품, 농약 분야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가진 물질로 알려져 있다(문헌[Szejtli, J. et al., Comprehensive supramolecular chemistry, vol. 3, Cyclodextrins, Pergamon, 1996] 참조).
본 발명자들은 조영제를 체내에 사용할 때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인자, 특히 요오드를 고리 올리고당으로 포접하여 포접 착체를 형성함으로써 부작용 유발 인자가 생체 내 물질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그의 유도체들의 핵자기공명(NMR) 분석 스펙트럼 및 적외선(IR) 흡광 스펙트럼이며,
도 3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아이오버솔의 포접 착체의 한 예(혼합비 3:1)의 모형도이고,
도 4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CD),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NaD),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 포접 착체(CD/NaD)에 대한 자외선/가시광선 흡광 스펙트럼이고,
도 5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CD),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NaD),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 혼합물에 대한 적외선 흡광 스펙트럼이고,
도 6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의 포접 착체(CD/NaD)와 그들의 혼합물에 대한 적외선 흡광 스펙트럼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β-사이클로덱스트린(CD), 아이오버솔(Opt),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아이오버솔 포접 착체 (CD/Opt)에 대한 자외선/가시광선 흡광 스펙트럼 및 적외선 흡광 스펙트럼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고리 올리고당 또는 그의 유도체를 조영제와 교반혼합하여 반응시켜 제조된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포접 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포접 착체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접 착체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조영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당해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비이온성 또는 이온성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분지쇄 C1-100알킬 또는 아릴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및 R3기가 치환되는 경우, 치환체는 경우에 따라 치환되거나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술폰기, 포스페이트기, 아민기, 티올기, 카르복실에스테르, 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일 수 있다.
상기 조영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온성 단량체의 예로서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나트륨 3,5-디아세트아미도-2,4,6-트리요오도벤조에이트, 시판 상품 Hypaque 50), 메글루민(N-메틸글루카민)과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의 혼합물(시판 상품 Renografin 60, Urografin), 메글루민 아이오탈라메이트(N-메틸글루카민-5-아세트아미도-2,4,6-트리요오도-N-메틸이소프탈라메이트, 시판 상품 Conray); 비이온성 단량체로서 아이오파미돌((s-)-N,N'-비스[2-히드록시-1-(히드록시메틸)에틸]-2,4,6-트리요오도-5-락타미도이소프탈아미드, 시판 상품 Isovue 300), 아이오헥솔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5-[N-(2,3-디히드록시프로필)아세트아미도]-2,4,6-트리요오도이소프탈아미드, 시판 상품 Omnipaque), 아이오버솔(N,N'-비스 [2,3-디히드록시프로필]-5-[N-(2-디히드록시에틸)글루코아미도]-2,4,6-트리요오도이소프탈아미드, 시판 상품 Optiray), 아이오프로미드(5-메톡시아세틸아미노-2,4,6-트리요오도이소프탈산[(2,3-디히드록시-N-메틸프로필)-(2,3-디히드록시프로필)]디아미드, 시판 상품 Ultravist); 이온성 이량체로서 메글루민과 나트륨 아이옥사글레이트(상품명 Hexabrix); 비이온성 이량체로서 아이오딕사놀 등이 있다.
조영제로 대표적인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와 아이오버솔의 구조식은 각각 하기 화학식 2 및 3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는 친수성을 가지고 내부에는 소수성을 가져 상기 조영제와 같은 소수성 게스트 분자에 대해 이상적인 공동(cavity)으로서 작용하는 거대고리 분자를 게스트 분자의 포접(encapsulation)에 이용하며, 그러한 거대고리 분자로서 하기 화학식 4의 고리 올리고당 또는 이들의 유도체들을 사용한다.
상기 식에서, M은 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등과 같은 단당류 또는 이의 유도체이다.
상기 화학식 4의 고리 올리고당에서, M이 단당류의 유도체인 경우, 탄소수 1 내지 10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아릴, 고분자 또는 관능기,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술폰기, 포스페이트기, 아민기, 티올기 등이 도입된 유도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리 올리고당의 구체적인 예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이클로만닌, 사이클로갈락틴, 사이클로알트린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서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구조식은 하기 화학식 5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타입 등 공지된 모든 타입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포접 착체는, 고리 올리고당 또는 그의 유도체와 조영제를 조영제 성분에 따라 적절한 몰비로 혼합하여 일정 시간동안 교반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2000-9983호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포접 착체는 반응물들의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액상내 잔존방법(Liquid-phase retention method)(문헌 [Spivakov, B.Y. et al.,Nature,315, pp 313-315, 1985] 참조)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포접 착체의 형성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과 적외선 분광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접 착체는 조영제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인체 내에 사용시의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조영제 조성물에 활성 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영제 조성물은 공지된 모든 제형 형태,예를 들면 액제(solution), 산제(powder) 등 일 수 있으며, 특히 액제로 하여 혈관 주사함으로써 체내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포접 착체의 체내 투입시의 적절한 유효량은 요오드 함량을 기준으로 10-2내지 6 x 102mg/kg 체중의 범위이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에틸렌글리콜이 도입된 β-사이클로덱스트린(CD-TRI-EG) 유도체의 합성
에틸렌글리콜 1 중량%의 수용액을 상온에서 1 중량%의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사이클로덱스트린(monochlorotriazinyl-β-cyclodextrin) (CD-TRI, 독일 Wacker사) 수용액에 1 시간 동안 천천히 적가하고, 약 2 시간 동안 0℃에서 방치시켰다. 다시 상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여 축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묽은 산 용액을 이용하여 반응 용액을 pH 7까지 떨어뜨려 반응을 종결시키고, 침전된 염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맑은 수용액은 분자량 1,000 g/mol 짜리 막을 이용하여 막 여과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동결 건조하여 표제 물질을 얻었다.
제조예 2: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도입된 β-사이클로덱스트린(CD-TRI-PEG) 유도체의 합성
에틸렌글리콜 대신 분자량이 15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의 공정을 반복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도입된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얻었다.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얻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를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함께 NMR 및 IR 분석하여 분석 스펙트럼을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IR 분석은 Perkin-Elmer IR 2000을 이용하여 KBr 펠렛으로 제작하여 수행하였고, NMR 분석은 300 MHz의 JEOL JNM-LA 300 WB FT-NMR을 이용하여 중수에 녹인 시료에 대해 상온에서 수행하였다. 도 1에서 (a)는 CD-TRI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사이클로덱스트린), (b)는 CD-TRI-EG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사이클로덱스트린-에틸렌글리콜), (c)는 CD-TRI-PEG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사이클로덱스트린-폴리에틸렌글리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의 유도체들을 수용성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표준분자량 시료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용, 40 ℃에서 분석), CD-TRI는 Mn(수평균분자량)이 1560이었고, CD-TRI-EG는 Mn이 3360, Mw(중량평균분자량)이 4620, 분자량분포(Mw/Mn)가 1.38이었으며, CD-TRI-PEG는 Mn이 5620, Mw이 6300, 분자량분포(Mw/Mn)가 1.12였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포접 착체 형성
생리 식염수에 녹인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sodium diatrizoate, NaD) 용액을 상온에서 생리 식염수에 녹인 사이클로덱스트린(CD) 또는 제조예 1 또는 2에서 얻은 그의 유도체 용액과 다양한 조성비(몰 기준)로 혼합하여 일정 시간동안 교반 반응시켜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포접 착체는, 액상 내 잔존방법을 이용하여 착체를 형성하지 못한 조영제는 제거하고 포접착체 만을 분리함으로써 수득하였으며, 분석 기기로 퍼킨-엘머사의 Perkin-Elmer Lambda 12를 이용하여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분광 스펙트럼을 측정했으며, Perkin-Elmer IR 2000을 이용하여 KBr 펠렛으로 제작하여 적외선 흡수 분광을 수행하여 착체 형성을 검증하였다.
도 4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CD),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NaD) 및 CD/NaD 착체에 대한 자외선/가시광선 흡광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자체는 최대 흡수 파장이 보이지 않지만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는 240 nm에서 최대 흡수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액상내 잔존법으로 잔류된 용액이 나타내는 238 nm에서의 흡수는 사이클로덱스트린과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의 포접착체의 형성을 보여준다.
참조를 위해, β-사이클로덱스트린(CD),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NaD) 및 CD와 NaD의 혼합물에 대한 적외선 흡광 스펙트럼을 도 5에 나타내었으며, CD/NaD 포접 착체(3:1 및 6:1)의 흡광 피크를 CD와 NaD의 혼합물에 대한 적외선 흡광 피크와 비교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퍼킨-엘머사에서 상품명 Perkin-Elmer IR 2000으로 시판하는 기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KBr 펠렛으로 제작하여 분석하였다. 도 5로부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의 혼합물은 두 물질 각각의 고유의 피크들을 모두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6을보면, CD와 NaD의 포접 착체의 적외선 흡광 피크는 혼합물의 피크와는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혼합물에서 NaD의 아마이드기내의 카보닐기는 1,661 cm-1에서 흡수 피크를 나타내지만, 포접 착체에서는 CD내의 하이드록실기와 NaD의 카보닐기에 의해 분자간 수소 결합이 형성되므로 1,639cm-1로 흡수 피크가 이동된다. 상기 도 5와 도 6을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포접 착체는 단순 혼합물이 아니라 다른 강한 상호작용을 갖는 신규의 착체 화합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β-사이클로덱스트린(CD), 아이오버솔(Opt) 및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상기 CD/Opt 포접 착체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 및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각각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아이오버솔(Opt)은 246 nm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8로부터, 아이오버솔의 카보닐기와 하이드록실기가 수소 결합을 유발하여 1,645 cm-1의 흡수 피크를 보이지만 포접 착체는 아이오버솔 자체의 수소 결합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하이드록실기가 아이오버솔의 카보닐기와 부가적인 수소 결합을 유도하여 피크가 1,641cm-1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7과 도 8을 비교함으로써, 역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포접 착체는 단순 혼합물이 아니라 다른 강한 상호작용을 갖는 신규의 착체 화합물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아이오버솔(Ioversol)의 포접 착체 (혼합비 3:1)의 모형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포접 착체의 형성 정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고리 화합물과 조영제의 포접 착체율은 포접시간과 두 물질간의 몰비에 의해 다른 값을 보였지만, 일정 조성에서 일정 시간동안 포접을 유도하여 안정한 포접 착체가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초기 사용된 조영제가 100% 착체 형성하지는 않았지만 착체 형성율도 실제 응용 가능한 수치를 나타낸다.
β-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와 조영제와의 포접 착체 형성 정도
고리 올리고당 조영제 조성비(몰비) 포접시간(h) 착체율(%)
β-사이클로덱스트린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 6:1 10 96
β-사이클로덱스트린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 3:1 10 47
β-사이클로덱스트린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 1:1 5 18
β-사이클로덱스트린 아이오버솔 1:1 1 84
β-사이클로덱스트린 아이오버솔 6:1 10 77
β-사이클로덱스트린-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 1:1 20 19
β-사이클로덱스트린-폴리 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 1:1 10 31
β-사이클로덱스트린-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아이오버솔 1:1 10 84
β-사이클로덱스트린-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아이오버솔 1:1 1 74
β-사이클로덱스트린-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아이오버솔 3:1 10 75
β-사이클로덱스트린-폴리 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아이오버솔 1:1 10 76
β-사이클로덱스트린-폴리 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아이오버솔 3:1 10 80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포접 착체의 X-선 흡광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얻은 포접 착체 용액 중에서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와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착체에 대해 전압 20 kV의 X-선 흡광기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포접 착체 형성에 사용된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와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조성비와 교반시간에 따른 포접 착체의 흡광도 값을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포접되지 않은 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의 것과 비교하여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액의 초기 농도는 모두 동일하며, 착체를 유도한 용액의 경우 액상내 잔존법을 통해 미착체 조영제는 제거되었으므로 실제 측정에 사용된 착체 용액은 기준용액(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 용액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착체 형성율 만큼 감소된 용액 농도를 갖는다.
사이클로덱스트린/나트륨 디아트리조에이트 비율(몰비) 교반시간 εC 값
0:1 - 0.1043
1:1 2 0.1041
1:1 5 0.1043
1:1 10 0.1076
1:1 20 0.1043
1:1 40 0.1065
3:1 1 0.1029
6:1 1 0.1049
표 2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조영제를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켜 제조된 포접 착체는, 기준 용액의 농도보다 감소된 농도의 착체 용액을 사용했지만, 조영제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흡광 능력이 소실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더 증진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상용화된 조영제 성분과 임상학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확인된 고리 올리고당류를 포접시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포접 착체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조영제임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조영제를 고리 올리고당 또는 그의 유도체와 반응시켜 제조된 포접 착체는, 조영제의 주 흡광 기능은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체내 사용시의 부작용이 최대한 저하될 수 있어 환자의 병소 진단용 조영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의 조영제와, 고리 올리고당 또는 탄소수 1 내지 10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아릴, 고분자 또는 관능기가 도입된 이의 유도체를 교반혼합하여 반응시켜 제조된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포접 착체: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분지쇄 C1-100알킬 또는 아릴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고리 올리고당이 사이클로덱스트린, 사이클로만닌, 사이클로갈락틴 및 사이클로알트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 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영제가 비이온성 또는 이온성의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접 착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리 올리고당-조영제 포접 착체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
KR1020000016183A 2000-03-29 2000-03-29 고리 올리고당과 그들의 유도체를 이용한 조영제의 새로운포접 착체 KR100362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183A KR100362080B1 (ko) 2000-03-29 2000-03-29 고리 올리고당과 그들의 유도체를 이용한 조영제의 새로운포접 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183A KR100362080B1 (ko) 2000-03-29 2000-03-29 고리 올리고당과 그들의 유도체를 이용한 조영제의 새로운포접 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525A KR20010093525A (ko) 2001-10-29
KR100362080B1 true KR100362080B1 (ko) 2002-11-23

Family

ID=1965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183A KR100362080B1 (ko) 2000-03-29 2000-03-29 고리 올리고당과 그들의 유도체를 이용한 조영제의 새로운포접 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8913B2 (en) 2005-11-28 2010-02-09 Verrow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useful for reducing nephrotoxicity and methods of use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6598A (en) * 1982-01-11 1983-08-02 Mallinckrodt, Inc. Triiodoisophthalamide X-ray contrast agent
KR940019303A (ko) * 1993-02-04 1994-09-14 폴 이. 듀퐁 위장관의 가시화를 위한 필름-형성제중의 알킬벤젠 조성물
JPH06321812A (ja) * 1993-05-18 1994-11-22 Daiichi Rajio Isotope Kenkyusho:Kk 放射性ヨウ素標識脂肪酸−シクロデキストリン複合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イメージング剤
US5824821A (en) * 1997-02-07 1998-10-20 Nycomed Imaging A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odinated contrast agents and intermediates therefor
KR20010084737A (ko) * 2000-02-29 2001-09-06 김효근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그 유도체와 조영제의 포접 착체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6598A (en) * 1982-01-11 1983-08-02 Mallinckrodt, Inc. Triiodoisophthalamide X-ray contrast agent
KR940019303A (ko) * 1993-02-04 1994-09-14 폴 이. 듀퐁 위장관의 가시화를 위한 필름-형성제중의 알킬벤젠 조성물
JPH06321812A (ja) * 1993-05-18 1994-11-22 Daiichi Rajio Isotope Kenkyusho:Kk 放射性ヨウ素標識脂肪酸−シクロデキストリン複合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イメージング剤
US5824821A (en) * 1997-02-07 1998-10-20 Nycomed Imaging A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odinated contrast agents and intermediates therefor
KR20010084737A (ko) * 2000-02-29 2001-09-06 김효근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그 유도체와 조영제의 포접 착체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525A (ko)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6100A (en) Compositions for imaging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HUT72304A (en) Aqueous injectable formulations useful for x-ray contrast diagnosis comprising iodinated aromatic compounds
US8679460B2 (en) Low osmolar X-ray contrast media formulations
JP5674941B2 (ja) ヨードを含有した放射形状の高分子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ct用造影剤組成物
KR101059285B1 (ko) 가돌리늄 착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mri 조영제
KR100358855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그 유도체와 조영제의 포접 착체형성 방법
KR100362080B1 (ko) 고리 올리고당과 그들의 유도체를 이용한 조영제의 새로운포접 착체
MXPA06006044A (es) Agentes de contraste.
Rebizak et al. Macromolecular contrast agent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fluence of polymer content in ligand on the paramagnetic properties
JP2000514850A (ja) プソイドポリロタキサン
EP1792894B1 (en) Contrast agents
WO2007094677A1 (en) Contrast agents
US20090010853A1 (en) Contrast agents
US8066970B2 (en) Contrast agents
AU2003295442B2 (en) Contrast media formulations having improved biological tolerance
US20090098059A1 (en) Contrast agents
US20080260651A1 (en) Contrast agents
WO2008123779A1 (en) Trisubstituted triazamacrocycli c compounds and their use as contrast agents
KR102626071B1 (ko) 아이오딘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혈전 탐지용 ct 조영제
EP1037671A1 (de) Polyrotaxane
AU202139854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ropofol, a cyclodextrin or a cyclodextrin derivative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GB2457358A (en) X-Ray contrast agents comprising three iodinated phenyl groups
KR20210152064A (ko) 신규 폴리옥살레이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영제
WO2009005365A1 (en) Contrast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