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754B1 - 전동송풍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송풍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754B1
KR100360754B1 KR1020000023267A KR20000023267A KR100360754B1 KR 100360754 B1 KR100360754 B1 KR 100360754B1 KR 1020000023267 A KR1020000023267 A KR 1020000023267A KR 20000023267 A KR20000023267 A KR 20000023267A KR 100360754 B1 KR100360754 B1 KR 100360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winding
shielding plate
rotor
commu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313A (ko
Inventor
다카하시유지
오다카슈이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9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around salient p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04D29/28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rotors of the squirrel-c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8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around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전기청소기나 전동공구 등의 회전전기기구에 사용되는 전동송풍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본미분말에 의한 절연불량대책, 타부품과의 절연거리 부족대책과 아울러 권선직경을 작게 감을 수 있도록 장력을 가해서 감더라도 차폐판에 권선압력을 가하지 않는 구조로 하기 위해, 프레임내에 수납된 고정자 및 회전자; 회전자의 한쪽끝측에 마련된 정류자; 회전자의 다른쪽끝측에 마련된 팬 및; 고정자의 적어도 정류자와 대향하는 측의 고정자코일의 내측에 이 고정자코일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마련된 차폐판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카본미분말에 의한 절연불량을 방지하여 타부품과의 절연거리부족을 해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자코일의 권선직경이 작아지도록 장력을 가해서 감더라도 차폐판에 권선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성의 전동송풍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전동송풍기 및 그의 제조방법{Motor Fa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나 전동공구 등의 회전전기기구에 사용되는 전동송풍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화 57-27840호에 개시된 종래의 전동송풍기를 도시한 반단면 측면도, 도 17은 종래의 전동송풍기의 고정자의 평면도, 도18은 도 17에 있어서의 A측에서 본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종래의 전동송풍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7에 있어서의 상반부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대략 원통형상의 프레임, (2)는 고정자, (2a)는 고정자코일, (2b)는 고정자코어, (2c)는 고정자코어(2b)에 있어서의 축심방향 끝면부, (3)은 회전자, (3a)는 회전자코일로서, 고정자(2)가 회전자(3)을 둘러싸도록 프레임(1)내에 수납되어 있다. 회전자(3)의 한쪽끝측에는 정류자(4)가 마련되고, 다른쪽끝측에는 팬(5)가 부착되어 있다. 고정자(2)의 고정자코일(2a)는 고정자코어(2b)에서 이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으로 연장된 절연성의 권선틀(6)을 거쳐서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 양끝면부(2c)에서 적당한 간극을 가질 수 있도록 감겨져 있다. (7)은 고정자코일(2a)로의 급전용 단자이다.
정류자(4)에 대해서는 프레임(1)에 레이디얼방향에서 삽입하고 고정된 브러시홀더(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카본브러시(9)가 코일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해 순차 연속적으로 슬라이딩 접촉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의 팬(5)와 대향한 끝부에는 흡기구멍(11)이 마련되고 동일 프레임(1)의 정류자(4) 근방의 측부 및 천정면부에는 배기구멍(12)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자(4)와 대향한 측의 고정자코일(2a)의 내측부에 수지제의 절연성을 갖는 차폐판(14)를 배치하고, 이 차폐판(14)와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 끝면부(2c) 사이에 간극부(15)를 마련하고 있다. 이 차폐판(14)의 크기(면적)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고정자코일(2a)의 내측면적과 대략 동일하고, 고정자코일(2a)와 권선틀(6) 사이에 끼워넣어져 양자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다. 또, 고정자코일(2a)와 고정자코어(2b) 사이에는 절연시트(16)이 개재되어 있다.
종래의 고정자코일(2a)의 권선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우선, 간극부(15)에 고정자코어(2b)를 권선기에 고정시키는 부품이 삽입된다. 다음에, 고정자코어(2b)의 내측에 권선안내지그를 세트하고, 그 지그형상을 따라서 플라이어(flier) 권선을 실행한다. 권선을 실행할 때, 권선안내지그와 고정자코일(2a) 사이에 차폐판(14)가 끼워유지되는 형태로 되고, 고정자코일(2a)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판(14)와 밀착해서 감겨진다.
다음에, 도 19를 사용해서 종래의 전동송풍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카본브러시(9)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전동송풍기가 시동되면, 카본브러시(9)의 슬라이딩 마찰이 발생하고, 그 카본미분말이 정류자(4)의 회전에 의해서 주위로 비산하다. 그리고, 정류자(4) 측의 고정자코일(2a)는 정류자(4)의 최근방에 있으므로, 고정자코일(2a)의 내측부에 대해서는 정류자(4)로부터 다량의 카본미분말이 직진적으로 비산해 온다. 그러나, 차폐판(14)가 카본미분말의 고정자코일(2a)로의 부착을 차단하고, 프레임(1) 내부에 부유하는 카본미분말은 간극부(15) 등을 이용해서 전동송풍기내의 공기류로 반송되어 배기구멍(12)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고정자코일(2a)의 내측부에 카본미분말이 거의 부착되지 않고, 카본브러시(9)의 수명종료시에 가까운 시점에 도달해도 고정자코일(2a)와 고정자코어(2b) 사이의 절연불량을 거의 초래하지 않는다.
최근의 전기청소기 등에 사용되는 전동송풍기는 소형화, 대용량화의 경향을 나타내며, 그것에 사용되는 회전자, 고정자에 대해서도 소형화, 고효율화, 고출력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고정자코일(2a)의 전선직경을 굵게 하고, 권선직경이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장력을 가하면서 슬롯내에 억지로 감도록 되어 있고, 종래와 같이 차폐판(14)와 밀착시켜 고정자코일(2a)를 감는 구성에서는 권선후 권선안내지그를 리세트했을 때 고정자코일(2a)의 권선압력에 차폐판(14)가 견디지 못해 회전자(3)측으로 쓰러져 후공정에서 회전자(3)을 삽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전선직경을 굵게 하는데 있어서 고정자코어(2b)의 슬롯내에 정렬시켜 권선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고정자코어를 분할할 수 없는 한 정렬권선은 곤란하다고 고려된다. 또, 차폐판(14)를 두껍게 하거나 보강하는 것에 의해서 강도를 증가시키는 연구가 실행되더라도 자극부 톱니부의 두께 이상으로는 두껍게 할 수 없다.
또, 종래의 차폐판(14)와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 끝면부(2c)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15)에서는 그의 공간이 너무 작아 카본미분말이 통과할 풍로로서 그의 효과를 얻는 것은 곤란하였다. 여기에서, 이 간극부(15)를 크게 하면, 차폐판(14)의 강성을 약하게 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본미분말에 의한 절연불량대책, 타부품과의 절연거리 부족대책과 아울러 권선직경을 작게 감을 수 있도록 장력을 가해서 감더라도 차폐판에 권선압력을 가하지 않는 구조의 전동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권선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권선후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자를 권선기에 부착했을 때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자를 권선기에 부착했을 때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권선후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권선후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권선후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고정자의 권선후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 및 종래의 전동송풍기의 반단면 측면도,
도 17은 종래의 고정자의 평면도,
도 18은 종래의 고정자를 도 17에 있어서의 A측에서 본 측면도,
도 19는 종래의 고정자의 부분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2: 고정자, 2a: 고정자코일, 2b: 고정자코어, 2c: 축심방향 끝면부,
2d: 고정자 톱니부, 2e: 고정자슬롯, 2f: 절연시트, 3: 회전자, 4: 정류자, 5: 팬,
14: 차폐판, 14a: 분리부, 17a: 고정자를 권선기에 고정시키는 부품,
17b:권선안내지그.
본 발명은 프레임내에 수납된 고정자 및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한쪽끝측에 마련된 정류자; 상기 회전자의 다른쪽끝측에 마련된 팬 및; 상기 고정자의 적어도 상기 정류자와 대향하는 측의 고정자코일의 내측에 이 고정자코일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마련된 차폐판을 구비한 것이다.
또, 프레임내에 수납된 고정자 및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한쪽끝측에 마련된 정류자; 상기 회전자의 다른쪽끝측에 마련된 팬 및; 상기 고정자의 적어도 상기 정류자와 대향하는 측의 고정자코일의 내측에 이 고정자코일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마련된 차폐판을 구비하고, 이 차폐판의 중앙부에 상기 고정자코일이 노출되는 분리부를 마련한 것이다.
또, 프레임내에 수납된 고정자 및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한쪽끝측에 마련된 정류자; 상기 회전자의 다른쪽끝측에 마련된 팬 및; 상기 고정자의 적어도 상기 정류자와 대향하는 측의 고정자코일의 내측에 이 고정자코일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마련된 차폐판을 구비하고, 이 차폐판의 중앙부에 상기 고정자코일이 노출되는 분리부를 마련한 전동송풍기의 제조방법으로서, 권선안내지그를 상기 차폐판의 분리부와 대향시켜 상기 차폐판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세트하고 이 권선안내지그를 따라서 상기 고정자코일을 감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전동송풍기의 전체구조는 상술한 종래의 전동송풍기의 설명에 사용한 도 16의 반단면 측면도에 도시한 전동송풍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전동송풍기의 고정자(2)의 사시도로서, 정류자(4)와 대향하는 측을 위쪽으로 향하게 한 도면이다. 도 2는 고정자(2)를 정류자(4)와 대향하는 측에서 본 평면도, 도 3은 도 2를 B측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권선후의 고정자(2)를 정류자(4)와 대향하는 측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권선후의 고정자(2)의 측면도이다.
도 1∼도 5에 있어서, (2a)는 고정자코일, (2b)는 고정자코어, (2c)는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 끝면부, (2d)는 자극톱니부, (2e)는 고정자(2)의 4모서리에 자극톱니부(2d)로 둘러싸여 형성된 고정자슬롯, (2f)는 슬롯(2e)의 내벽 및 고정자코어(2b)의 내벽을 덮고 축심방향 끝면부(2c)에서 돌출해서 마련된 절연시트이다. 고정자코일(2a)는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 끝면부(2c)와의 사이에 적당한 간극을 갖도록 고정자슬롯(2e)에 감겨져 있다.
(14)는 자극톱니부(2d)의 끝부에서 축심방향 끝면부(2c)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절연성을 갖는 차폐판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판(14)는 고정자코일(2b)의 내측 전부를 덮는 것이 아니고 중앙부에 분리부(14a)를 갖고 있다. 또, 차폐판(14)는 절연시트(2f)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차폐판(14)의 위치어긋남이 발생하거나 절연시트(2f)가 어긋나서 고정자코일(2a)와 고정자코어(2b)가 접촉할 우려가 없으며, 또 별도의 부품을 조합한 것에 비해서 강성이 강하게 되어 부품점수 및 제조공정을 삭감할 수도 있다.
다음에, 고정자코일(2a)의 권선방법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6은 권선시의 고정자(2)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I-I 단면도이다. 우선, 고정자코어(2b)에 권선기를 고정시키는 부품(17a)를 삽입하고, 다음에 고정자코어(2b)의 내측에 권선안내지그(17b)를 세트한다. 이 때, 권선안내지그(17b)는 차폐판(14)의 분리부(14a)와 대향하는 위치에 차폐판(14)의 외측면보다 다소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세트하고, 그 지그형상을 따라서 플라이어권선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권선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고정자코일(2a)의 권선직경이 가능한 한 작게 되도록 장력을 가하면서 고정자슬롯(2e)내에 억지로 감도록 권선을 실행해도 고정자코일(2a)의 권선압력은 권선안내지그(17b)에 가해지고, 차폐판(14)에 직접 가해지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권선후에 권선안내지그(17b)를 리세트했을 때 고정자코일(2a)와 차폐판(14) 사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이 형성되고, 고정자코일(2a)의 권선압력에 차폐판(14)가 견디지 못하여 회전자(3)측으로 쓰러져 후공정에서 회전자(3)을 삽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차폐판(14)는 절연시트(2f)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다소의 권선압력이 가해졌다고 하더라도 그의 권선압력에 견디지 못하는 일은 없다. 또, 고정자코일(2a)가 회전자(3)측으로 침입하는 일이 없으므로, 회전자(3)측과의 절연거리부족을 해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자코일(2a)와 차폐판(14) 사이의 간극은 차폐판(14)에 권선압력이가해지지 않을 정도의 간극이면 좋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권선을 실시한 경우에는 특히 차폐판(14)의 분리부(14a)와 가까운 측에 먼 측보다 큰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송풍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본브러시(9)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전동송풍기가 시동되면, 카본브러시(9)의 슬라이딩 마모가 발생하고, 그 카본미분말이 정류자(4)의 회전에 의해서 주위로 비산한다. 그리고, 정류자(4)측의 고정자코일(2a)는 이 정류자(4)의 최근방에 있기 때문에 고정자코일(2a)의 내측부에 대해서는 정류자(4)로부터 다량의 카본미분말이 직진적으로 비산해 온다. 그러나, 차폐판(14)가 카본미분말의 고정자코일(2a)로의 부착을 차단하고, 프레임(1) 내부에 부유하는 카본미분말은 차폐판(14)의 분리부(14a) 등을 이용해서 전동송풍기내의 공기류로 반송되어 배기구멍(12)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분리부(14a)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그 부분의 고정자코일(2a)가 노출되어 카본미분말이 부착될 우려가 있지만, 노출부는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 끝면부(2c)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으로서 고정자코일(2a)에 흠집이 나는 등의 가공열화의 우려가 매우 적은 장소이기 때문에, 가령 이 부분에 카본미분말이 부착되어도 절연불량을 발생시킬 우려가 매우 적은 것으로 고려된다. 또, 종래의 차폐판(14)와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 끝면부(2c)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15)에서는 그의 공간이 너무 작아 카본미분말이 통과하는 풍로로서의 효과를 얻는 것은 어려웠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폐판(14)에 분리부(14a)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카본미분말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풍로로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카본미분말에 의한 절연불량을 방지하고 다른 부품과의 절연거리부족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선직경을 작게 감을 수 있도록 장력을 가해서 감더라도 차폐판(14)에 권선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자(2)의 측면도, 도 9는 권선후의 고정자(2)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6)은 각 차폐판(14)의 상단에 일체로 성형된 권선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차폐판(14)에는 분리부(14a)(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여 고정자코일(2a)가 고정자코어(2b)의 내측에 대해서 노출되는 부분을 마련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고정자코일(2a)의 권선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차폐판(14)에 권선틀(6)을 일체로 성형한 것에 의해, 권선후의 권선형상을 일정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고정자코일(2a)의 높이를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타부품과의 절연거리부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자(2)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을 C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상기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고정자(2)의 정류자(4)와 대향하는 측에만 차폐판(14)를 마련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차폐판(14)를 형성하고 각 차폐판(14)에는 분리부(14a)를 마련하고 있다. 즉, 각 자극톱니부(2d)의 상하단에 합계 8개의 차폐판(14)가 형성되어 있다. 카본미분말은 특히 정류자(4)측에 많기 때문에 적어도 정류자(4)와 대향하는 측의 고정자코일(2a)의 내측에 차폐판(14)를 마련하면 충분하지만, 전동송풍기를 횡방향으로 설치한 경우나 상하 역방향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팬(5)와 대향하는 측의 고정자코일(2a)에도 카본미분말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양측에 차폐판(1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카본미분말의 부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코일(2a)의 권선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며, 각 분리부(14a)에 권선안내지그(17b)를 차폐판(14)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세트해서 권선을 실시한다. 또, 절연시트(2f)와 차폐판(14)와 권선틀(6)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권선직경을 작게 감을 수 있도록 장력을 가해서 감더라도 차폐판(14)에 권선압력이 가해지지 않음과 동시에 카본미분말에 의한 절연불량이나 타부품과의 절연거리부족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자(2)의 측면도, 도 13은 그의 고정자(2)를 정류자(4)와 대향하는 측에서 본 평면도, 도 14는 권선후의 고정자(2)의 측면도, 도 15는 권선후의 고정자(2)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폐판(14)에 분리부(14a)를 마련하는 것이 아니고 개구부(14b)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14b)는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 끝면부(2c)와 고정자코일(2a) 사이에 형성된 간극과 대향해서 마련되어 있다. 고정자코일(2a)의 권선은 차폐판(14)를 내측과 외측에서 끼워넣는 권선안내지그를 세트하고 그 권선안내지그의 외측면을 따라서 고정자코일(2a)를 감도록 실행한다. 따라서, 권선후에 권선안내지그를 리세트했을 때 차폐판(14)와 고정자코일(2a) 사이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판(14)의 외측에 세트한 권선안내지그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폭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권선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고정자코일(2a)의 권선압력이 직접 차폐판(14)에 가해지는 일이 없어, 권선압력에 견디지 못하여 차폐판(14)가 회전자(3)측으로 쓰러져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종래의 차폐판(14)와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 끝면부(2c)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15)에 비해서 차폐판(14)의 개구부(14b)를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카본미분말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풍로로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절연시트(2f)와 차폐판(14)를 일체로 성형하고 있으므로 강성은 강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자코어(2b)의 축심방향 끝면부(2c)에 수지제의 고정자코일 결선용 단자대(18)을 절연시트(2e)와 일체로 마련하고 있으므로, 사전에 단자대(18)에 급전용 단자(7)을 꽂아두면 권선후의 단말선을 급전용 단자(7)에 맡겨둘 수 있고 단말선을 권선기내에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제조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는 전기청소기용 2극 고정자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실시예 관해서는 발명의 취지에 반하지 않는한 고정자코어, 차폐판, 차폐판의 분리부, 극 수 등의 구체적인 형상, 위치, 재질 등은 각 실시예에 제약받지 않고 여러 가지 사양으로 구성해서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동송풍기에 의하면, 카본미분말에 의한 절연불량을 방지하여 타부품과의 절연거리부족을 해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자코일의 권선직경이 작아지도록 장력을 가해서 감더라도 차폐판에 권선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성의 전동송풍기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동송풍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정자코일의 권선직경이 작아지도록 장력을 가해서 감더라도 차폐판에 권선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성의 전동송풍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프레임내에 수납된 고정자 및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한쪽끝측에 마련된 정류자;
    상기 회전자의 다른쪽끝측에 마련된 팬;
    상기 고정자에 형성된 고정자 슬롯;
    고정자 코어의 축심방향 끝면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상기 고정자 슬롯에 감긴 고정자 코일 및;
    상기 고정자 코어의 적어도 상기 정류자와 대향하는 측의 축심방향 끝면부로부터 돌출한 상기 고정자 코일의 내측에 이 고정자 코일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마련된 차폐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송풍기.
  2. 프레임내에 수납된 고정자 및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한쪽끝측에 마련된 정류자;
    상기 회전자의 다른쪽끝측에 마련된 팬 및;
    상기 고정자의 적어도 상기 정류자와 대향하는 측의 고정자코일의 내측에 이 고정자코일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마련된 차폐판을 구비하고,
    이 차폐판의 중앙부에 상기 고정자코일이 노출되는 분리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송풍기.
  3. 프레임내에 수납된 고정자 및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한쪽끝측에 마련된 정류자; 상기 회전자의 다른쪽끝측에 마련된 팬 및; 상기 고정자의 적어도 상기 정류자와 대향하는 측의 고정자코일의 내측에 이 고정자코일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마련된 차폐판을 구비하고, 이 차폐판의 중앙부에 상기 고정자코일이 노출되는 분리부를 마련한 전동송풍기의 제조방법으로서,
    권선안내지그를 상기 차폐판의 분리부와 대향시키고 상기 차폐판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세트하고, 이 권선안내지그를 따라서 상기 고정자코일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송풍기의 제조방법.
KR1020000023267A 1999-11-15 2000-05-01 전동송풍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60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383599A JP3619089B2 (ja) 1999-11-15 1999-11-15 電動送風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1999323835 1999-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313A KR20010049313A (ko) 2001-06-15
KR100360754B1 true KR100360754B1 (ko) 2002-11-18

Family

ID=1815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267A KR100360754B1 (ko) 1999-11-15 2000-05-01 전동송풍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19089B2 (ko)
KR (1) KR100360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7954A1 (en) 2020-06-05 2021-12-0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rushless motor for a power to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5022A (en) * 1987-08-25 1989-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5022A (en) * 1987-08-25 1989-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45289A (ja) 2001-05-25
JP3619089B2 (ja) 2005-02-09
KR20010049313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922B1 (ko) 모터의 터미널 연결구조
US20070114866A1 (en) Commutator motor
US20020047457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833651B2 (en) Claw-pole ro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H10309047A (ja) モータ
US20220247257A1 (en) Brushless motor including a nested bearing bridge
US3525891A (en) Brush mounting arrangement for dynamoelectric machines
US20060125345A1 (en) Direct current motor
KR100360754B1 (ko) 전동송풍기 및 그의 제조방법
US6867528B2 (en) Dynamo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mounting a brush assembly to a brush holder
US6515389B1 (en) Permanent field small-size motor
KR100503721B1 (ko) 직류 전동기
CN217183066U (zh) 定子组件、电机组件和电子水泵
JPH09252557A (ja) 電動機
CN218415963U (zh) 一种直流无刷电机定子组件
CN219287218U (zh) 电机和电器设备
JP2001251792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コア
US20020121836A1 (en) End shield for a commutator mach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end shield
CN216599163U (zh) 一种低噪音电机
CN218771501U (zh) 一种永磁电机的线圈与爪极的固定结构
US20240079917A1 (en) Motor
CN211720342U (zh) 双转子电动机的分段式定子
JP4918279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構造
JP2010200467A (ja) 整流子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送風機,電気掃除機,電気機器
KR20060007865A (ko)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