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043B1 - 환기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환기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043B1
KR100360043B1 KR1020000021799A KR20000021799A KR100360043B1 KR 100360043 B1 KR100360043 B1 KR 100360043B1 KR 1020000021799 A KR1020000021799 A KR 1020000021799A KR 20000021799 A KR20000021799 A KR 20000021799A KR 100360043 B1 KR100360043 B1 KR 100360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predetermined
ventilation cap
mold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581A (ko
Inventor
박태업
Original Assignee
박태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업 filed Critical 박태업
Priority to KR102000002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043B1/ko
Priority to KR2020000012229U priority patent/KR200201440Y1/ko
Publication of KR20010097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05Incremental shaping or bending, e.g. stepwise moving a shaping tool along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0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annular parts, e.g. ri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1)상형과 하형을 준비하여 소정의 프레스설비에 설치하는 외부커버 금형준비 단계; 2)상기 대응형성된 상,하형사이에 금속판체를 위치시킨 뒤 압착시켜 구형의 둥근곡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돌출부,확개연부,소정의 공간을 각각 형성하도록 한 뒤 상기 확개연부를 따라 절단시켜 외부커버를 가공하는 단계; 3)상기 가공된 외부커버의 돌출부중 일측 경사면에 엔드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면이 소정형태로 굴곡을 이루도록 소정의 곡면금형을 대응시켜 측면압착시키는 빗면형성단계; 4)상기 곡면이 형성된 외부커버의 빗면에 컷팅기로 수개의 브릿지를 컷팅시킴과 동시에 컷팅된 부분을 내측으로 밀어 넣어 안내날개를 형성하는 안내날개형성 단계; 및 5)기 형성된 원통형 하부몸체의 연부와 상기 외부커버의 확개연부와의 사이에 원판형 망판을 사이에 두고 결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환기캡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기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환기캡의 제조방법{A method of vent cap}
본 발명은 환기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렌지후드 혹은 실내 환기를 위하여 벽체를 뚫어 설치되는 환기구(換氣口)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많은 환기캡이 알려져 왔다. 환기캡은 기본적으로 통로에 삽착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삽착부 보다 크고 개구부를 형성한 외부커버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때때로 이 외부커버와 몸체사이에 망판 혹은 금속원판(다수 절취공을 형성한 원판)개재시킨 것도 있다.
또한, 이와같은 외부커버의 대부분은 망판이 개재된 것과 달리 외부커버의 하부를 개방시키고 거기에 빗살형 날개를 형성한 별도의 판체를 부착하는 것도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환기캡은 외부커버와 별도 날개판을 독립적으로 제조한 뒤 결합시켜야하는 제조공정상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가공공정상 하나의 금속판을 통한 성형 가공이 가능한 외부커버 제조시에 다수의 절취공과 날개를 동시 가공함이 필요하였고, 전체 공정을 자동화함이 필요하고, 환기캡의 기류가 통과하는 구멍이 단순히 통과구멍이 아니라 소정의 연장된 날개구조를 갖도록 하여 실내기류를 집속한다든가 한쪽 방향으로 안내토록 함이 필요로 되었다.
따라서 하나의 판체를 통하여 구형 돌출부의 가공과 동시에 돌출부 하부가 기류통과용 장공외에 장공형성시 발생한 금속조각으로써 빗살형 안내날개를 형성하도록 한 환기캡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본 발명은 실내기류의 흐름을 안내함은 물론 기류의 흐름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고, 제조공정이 일련의 자동화공정이 가능하며, 구조적으로 설치상태에서 물방울등이 유입됨이 차단되는 새로운 구조를 제공하고 빗살형 안내날개의 제조가 단순, 용이함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정상의 편리성이 보장된 환기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환기캡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환기캡의 제조공정중 초기 단계에서 가공되는 외부커버의 가공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 환기캡의 외부 커버를 성형하기 위한 상형 및 하형의 대응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환기캡의 외부 커버 경사면을 압착가공함과 동시에 엔드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4a는 본 발명 환기캡의 외부커버에 경사면및 엔드라인이 가공된 상태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 환기캡의 외부커버 경사면에 가이드베인을 컷팅가공한 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환기캡 110:외부커버
111:통기공 112:돌출부
114:확개연부 116:공간
118:안내날개 120:몸체
130:망판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환기캡의 제조방법은 1)상형은 한 쪽면이 소정형태로 돌출부를 이루도록 하고,하형은 상기 상형에 대응하도록 요입된 형태로 상형과 하형을 준비하여 소정의 프레스설비에 설치하는 외부커버 금형준비단계; 2)상기 대응형성된 상,하형사이에 금속판체를 위치시킨 뒤 압착시켜 구형의 둥근곡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연부를 따라 소정폭으로 절곡되어 링형으로 확개된 확개연부와, 이 확개연부의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각각 형성하도록 한 뒤 상기 확개연부를 따라 절단시켜 외부커버를 가공하는 단계; 3)상기 가공된 외부커버의 돌출부중 일측 경사면에 엔드레스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면이 소정형태로 굴곡을 이루도록 소정의 곡면금형을 대응시켜 측면압착시키는 곡면형성단계; 4)상기 곡면이 형성된 외부커버의 경사면에 소정의 컷팅기로 수개의 브릿지를 컷팅시킴과 동시에 컷팅된 부분을 내측으로 밀어 넣어 안내날개를 형성하는 안내날개형성단계; 및 5)기 형성된 원통형 하부몸체의 연부와 상기 외부커버의 확개연부와의 사이에 원판형 망판을 사이에 두고 결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환기캡을 완성하는 단계를포함하는 환기캡의 제조방법으로 달성된다..
이와같은 환기캡의 제조공정은 결국 안내날개 혹은 물방울 유입방지용 엔드라인을 형성하고, 특히 안내날개부분이 곡면을형성하게 된 환기캡을 제공하며, 특히 이와같은 환기캡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환기캡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환기캡의 제조공정중 초기 단계에서 가공되는 외부커버의 가공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 환기캡의 외부 커버를 성형하기 위한 상형 및 하형의 대응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환기캡의 외부 커버 경사면과 엔드라인을 압착가공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 환기캡의 외부커버에 절취용 라인 마킹 및 엔드라인이 가공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 환기캡의 외부커버 경사면에 마킹된 절취라인을 컷팅하면서 안쪽으로 절곡처리한 상태의 단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공정단계로 제조된다.
1)외부커버 제조용 금형준비단계; 상부금형(a)과 하부금형(b)을 가공하는 단계로서 상형(a)은 한쪽면이 소정형태로 돌출부를 이루도록 하고, 하형은 상기 상형에 대응하도록 요입된 형태로 상형과 하형을 가공한 뒤 소정의 프레스설비에 설치한다.
2)외부커버 제조용 커버가공단계: 첨부 도면 도 2a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대응형성된 상,하형사이에 소정 재질의금속판체(c)를 위치시킨 뒤 압착시켜 구형의 둥근곡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돌출부(112)와, 이 돌출부(112)의 연부를 따라 소정폭으로 절곡되어 링형으로 확개된 확개연부(114)와, 이 확개연부(114)의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116)을 각각 형성하도록 한 뒤 상기 확개연부를 따라 절단시켜 외부커버(110)를 가공한다. 이때 가공된 외부커버는 첨부 도면 도 3a에서도시하는 바와같이 빗면(e)이 형성되어 있으나, 곡면이 아니고 수직면이다. 도 2a의 상형과 하형의 구조에서 알 수 있다.
3)경사면 형성단계:상기 가공된 외부커버의 돌출부중 일측 빗면에 엔드라인(f)을 형성함과 동시에 빗면(e)이 소정형태로 굴곡을 이루도록 소정의 곡면금형(c)을 대응시켜 측면압착시킨다. 이는 첨부 도면 도 2b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별도의 측면금형(c)를 압착함으로써 그 테두리에는 볼록한 엔드라인(f)이 형성되고, 내부빗면은 공간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4)안내날개 형성단계: 첨부 도면중 도 4a에서 도시하는 빗면(e)에 마킹된 2점쇄선의 절취용 라인을 따라 통상 컷팅기를 사용하여 절취한다.절취상태는 도면에서 굵게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단의 경사라인과 이를 길게 연장한 수직라인으로 이루어진 부분만이 절취되어 있다.따라서 이점쇄선으로 마킹된 두개의 수직라인과 상,하단의 두개 경사라인중 하나의 수직라인은 절취되어 있지 않게 된다.이런 방법으로 마킹된 전체 이점쇄선을 절취하여 둔다.이후 각 절취된 부분의 나머지 절취되지 않는 라인을 축으로 안쪽으로 접어넣으면 결국 하나의 절취된 조각편이 형성되면서 안쪽공간(116)으로 밀어넣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형성된 길게 형성된 구멍을 기류통기공(111)이라하고, 밀어넣어진 조각편들은 안쪽공간(116)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돌출되어 있게 된다.이것을 안내날개(118)라 하며, 이 안내날개(118)들에 의하여 내측으로 유입되는 불규칙한 소용돌이치는 기류등이 일정하게 집속되어 안내되며, 기류통기공(111)을 통과하는 기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는 기능도 있다.이와같이 하여 빗면(e)과, 기류통기공(111)과 엔드라인(f)을 형성한 외부커버()가 제조되는 것이다.
5)조립단계: 첨부 도면중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 형성된 원통형 하부 몸체(120)의 연부와, 상기 제조된 외부커버의 확개연부와의 사이에 원판형 망판(130)을 사이에 두고 결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본 발명 환기캡을 완성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프레스설비에 상,하형을 설치한 뒤 상,하형 사이에 간단히 금속판체를 넣고 압착가공하고, 또한, 측면금형가공으로 돌출부의 빗면을 경사면으로 처리하게 되며, 이후 컷팅기를 통하여 컷팅함과 동시에 밀어넣음으로써 안내날개를 내부공간측에 위치토록 하는 외부커버의 가공이 하나의 자동화공정으로 간단히 제조되어 종래 일일이 수가공 공정을 자동화공정으로 변경가능하게 하며, 외부커버의 구조 역시 단순한 기류통기공이 아니라 절취시에 형성된 조각편으로 불규칙 기류를 평탄기류를 안내할 수 있는 안내날개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빗면에 기류안내공을 천공하기 위하여 일일이 수공작업을 통하여 제조하던 것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줄어들게 되며, 가공 전과정의 공정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와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상기한 환기캡은 그 통기공에 형성된 안내날개로 인하여 불규칙 기류흐름을 제어하여 원활한 기류이동을 안내하고, 소음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통풍구상에 설치한 뒤에도 물방울등이 앤드라인을 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됨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1. 환기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상형은 한쪽면이 소정형태로 돌출부를 이루도록 하고, 하형은 상기 상형에 대응하도록 요입된 형태로 상형과 하형을 준비하여 소정의 프레스설비에 설치하는 외부커버 금형준비단계;
    2)상기 대응형성된 상,하형사이에 금속판체를 위치시킨 뒤 압착시켜 구형의 둥근곡면과 빗면으로 이루어진 돌출부와, 이돌출부의 연부를 따라 소정폭으로 절곡되어 링형으로 확개된 확개연부와, 이 확개연부의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각각 형성하도록 한 뒤 상기 확개연부를 따라 절단시켜 외부커버를 가공하는 단계;
    3)상기 가공된 외부커버의 돌출부중 일측 빗면에 엔드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빗면이 소정형태로 굴곡을 이루도록 소정의곡면금형을 대응시켜 측면압착시키는 곡면형성단계;
    4)빗면에 마킹된 2점쇄선의 절취용 라인을 따라 컷팅기를 사용하여 두개의 수직라인과 상,하단의 두개 경사라인중 하나의 수직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라인을 절취하되, 나머지 절취되지 않는 수직라인을 축으로 안쪽으로 접어넣어 조각편을 형성하면서 안쪽공간으로 밀어넣어 길게 기류통기공을 형성하고, 밀어넣어진 안쪽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안내날개를 돌출형성하여 각 절취라인 전체를 같은 방법으로 가공하는 안내날개 형성단계; 및
    5)기 형성된 원통형 하부몸체의 연부와 상기 외부커버의 확개연부와의 사이에 원판형 망판을 사이에 두고 결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환기캡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기캡의 제조방법.
KR1020000021799A 2000-04-24 2000-04-24 환기캡의 제조방법 KR100360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799A KR100360043B1 (ko) 2000-04-24 2000-04-24 환기캡의 제조방법
KR2020000012229U KR200201440Y1 (ko) 2000-04-24 2000-04-28 환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799A KR100360043B1 (ko) 2000-04-24 2000-04-24 환기캡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229U Division KR200201440Y1 (ko) 2000-04-24 2000-04-28 환기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581A KR20010097581A (ko) 2001-11-08
KR100360043B1 true KR100360043B1 (ko) 2002-11-07

Family

ID=1966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799A KR100360043B1 (ko) 2000-04-24 2000-04-24 환기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0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6406A (zh) * 2016-08-01 2016-12-07 鲁东大学 一种室内安装的穿墙风口组件
KR20210002000U (ko) 2020-02-27 2021-09-06 김재민 가구용 환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5425A (zh) * 2016-05-17 2016-07-27 广东新风缘空气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穿墙管及该穿墙管的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523U (ko) * 1988-10-21 1990-05-03 박태업 환기창 카바
KR930007097Y1 (ko) * 1991-04-30 1993-10-13 이병현 비치파라솔이 장착케 된 야외용 침대
KR970047249A (ko) * 1995-12-27 1997-07-26 권태인 난방용 분기관의 제조방법
KR970073782A (ko) * 1996-05-07 1997-12-10 이세로 진공보온병의 내통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523U (ko) * 1988-10-21 1990-05-03 박태업 환기창 카바
KR930007097Y1 (ko) * 1991-04-30 1993-10-13 이병현 비치파라솔이 장착케 된 야외용 침대
KR970047249A (ko) * 1995-12-27 1997-07-26 권태인 난방용 분기관의 제조방법
KR970073782A (ko) * 1996-05-07 1997-12-10 이세로 진공보온병의 내통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6406A (zh) * 2016-08-01 2016-12-07 鲁东大学 一种室内安装的穿墙风口组件
KR20210002000U (ko) 2020-02-27 2021-09-06 김재민 가구용 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581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28296T2 (de) Formwerkzeug zum Formen von Reifen
DE60119266T2 (de) Formwerkzeug zum Formen von Reifen
US20020134202A1 (en) Composite blade
KR100360043B1 (ko) 환기캡의 제조방법
CN111412183B (zh) 一种风机叶轮及其加工制造工艺
CN110520285A (zh) 阀插入件和空气排放阀
RU2526458C1 (ru) Форма для вулканизации шины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0201440Y1 (ko) 환기캡
EP1985934A1 (en) Indoor equipmen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EP1027209B1 (en) Article and method for composite tire mold blades
EP0356314A2 (en) A multi-blade impeller for a cross-flow fan
RU2390696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крепежных элементов части корпуса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решетки и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части корпуса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решетки
EP1120177B1 (en) Method of producing a cooling liner
JPH06221299A (ja) 多翼ファ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51008A (ko) 다익 팬 및 그 제조 방법
EP0456596A1 (en) A centrifugal pump
JP5581039B2 (ja) 窓障子装着型の換気装置
JP7090218B2 (ja) シロッコファンの羽根車、それを用いたレンジフード
JP2596890B2 (ja) 多翼ファンの羽根車とその製法
CN215409404U (zh) 一种离心式小型通风机叶轮
US20170136853A1 (en) Air box cover with integral air flow straightener pattern
CN117621185B (zh) 一种高适应激光刀模
KR200339126Y1 (ko) 펀칭핀 구조체
KR200223898Y1 (ko) 시로코 팬
US3168780A (en) Method of making roof venti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