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625B1 -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 - Google Patents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625B1
KR100358625B1 KR1019990046544A KR19990046544A KR100358625B1 KR 100358625 B1 KR100358625 B1 KR 100358625B1 KR 1019990046544 A KR1019990046544 A KR 1019990046544A KR 19990046544 A KR19990046544 A KR 19990046544A KR 100358625 B1 KR100358625 B1 KR 100358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debris
grinding wheel
cov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540A (ko
Inventor
타와라사토시
야스쿠라히로시
가나이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9004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6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4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연삭 지점을 포함한 연삭 부분을 제외하고 연삭 휠의 외주연 표면 및 측면 표면은 커버로 덮여 있다. 먼지 수집판은 연삭 휠의 회전 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위치되어 있다. 후방으로 산재되는 부스러기는 먼지 수집판에 충돌하고, 흡입 포트쪽으로 모인다. 흡입 포트는 부스러기를 빨아내어 진공 클리너내로 빨아낸다. 연삭 휠 둘레에 산재된 부스러기는 커버에 충돌하고, 아래에 형성된 개구부로 떨어지고, 흡입 포트를 통해서 빨아내진다. 따라서, 연삭 부스러기는 효율적으로 수집된다.

Description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GRINDING SWARF COLLECTOR}
본 발명은 파이프의 내부 표면을 연삭하는 동안에 배출되는 부스러기(swarf)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도록 설계된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a grinding swarf collector)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의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장치는 원통형 구조체의 내주연 표면용 절삭기이며, 이러한 장치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86-11408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 개시된 부스러기 수집기를 이하에서 기술한다.
도 7에서, 참조부호(J)는 유도전기로이며, 참조부호(101)는 유도전기로의 내화 라이닝이며, 참조부호(102)는 내화 라이닝(101)에 삽입된 유도 가열 코일이며, 참조부호(K)는 종래 기술과 관련된 내주연 표면 절삭기를 가리킨다.
내주연 표면 절삭기(K)는 유도전기로(J)의 상측 개구부(103)를 덮기 위한 커버(110)와; 브래킷(111)을 거쳐서 커버(110)상에 고정된 선회 조인트(112)와; 상기 선회 조인트(112)의 회전측 부재에 고정된 상단부를 구비하고, 커버(110)를 통과해서 유도전기로(J)의 노 바닥 근처로 연장되는 하단부를 구비하고, 그 측벽 표면에 형성된 축방향 슬릿(113)으로 인해서 C자형 단면을 구비한 지주(114)와; 커버(110)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되어 회전 구동력을 기어 전동 메카니즘(115)을 거쳐 지주(114)로 전달하는 제 1 모터(M1)와; 지주(114)와 동축으로 지주(114) 내측에 배치되고, 선회 조인트(112)의 고정측 부재에 고정된 상단부를 구비하고, 베어링(116)을 거쳐서 지주(114)의 하단부 부분에 의해 지지된 하단부를 구비하는 스크류 부재(117)와; 스크류 부재(117)에 나사체결된 너트 부재(118)와; 슬릿(113)내로 활주식으로 삽입되고, 너트 부재(118)에 고정된 기단부를 구비하고, 지주(114)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아암 부재(119)와; 아암 부재(119)의 선단부에 회전식으로 부착된 기어형 회전 절삭 공구(120)와; 회전 구동력을 기어 전동 메카니즘(121)을 거쳐 회전 절삭 공구(120)로 전달하기 위해 아암 부재(119)상에 배치된 제 2 모터(M2)로 구성되어 있다.
이제 이렇게 구성된 내주연 표면 절삭기에 의해 원통형 구조체의 내주연 표면을 절삭하는 동작, 즉 유도전기로(J)의 내주연 표면인 내화 라이닝(101)을 절삭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최초 상태에서는, 너트 부재(118)가 스크류 부재(117)의 최상측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4)는 유도전기로(J)내로 삽입되어 있다. 유도전기로(J)의 상측 개구부(103)는 커버(110)로 덮여 있으며, 커버(110)의 위치는 지주(114)가 유도전기로(J)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조정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모터(M2)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모터(M2)의 회전 구동력은 기어 전동 메카니즘(121)을 거쳐서 회전 절삭 공구(120)로 전달되며, 그 결과 회전 절삭 공구(120)는 그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또한, 제 1 모터(M1)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모터(M1)의 회전 구동력은 기어 전동 메카니즘(115)을 거쳐서 지주(114)로 전달되며, 그 결과 지주(114)가 회전한다. 지주(114)의 회전 운동은 슬릿(113)에 대해서 활주가능한 아암 부재(119)를 거쳐서 너트 부재(118)로 전달된다. 너트 부재(118)는 스크류 부재(117)상에 나사체결되어 회전한다. 따라서, 너트 부재(118)는 스크류 부재(117)의 축방향을 따라서 아암 부재(119)와 일체로 하강한다. 따라서, 회전 절삭 공구(120)는 아암 부재(119)의 선단부에서 자전함과 아울러, 아암 부재(119)를 회전 반경으로 해서 지주(114)를 중심으로 회전, 즉 공전한다. 더욱이, 회전 절삭 공구(120)는 지주(114)의 축방향을 따라서 하강한다. 따라서, 회전 절삭 공구(120)는 나선형 운동을 하면서 유도전기로(J)의 내주연 표면을 따라서 하강하여 침식 등이 발생한 유도전기로(J)의 내화 라이닝(101)의 전체 내주연 표면을 소망의 깊이로 절삭한다. 이러한 공정 동안에 발생하는 많은 양의 먼지 등은 유도전기로(J)의 외측으로 산재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그 이유는 유도전기로(J)의 상측 개구부(103)가 커버(110)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 종래 기술에 관계된 원통형 구조체용의 내주연 표면 절삭기(K)는 하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130)가 지주(11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지주(114)가 유입 파이프(114')로서 작용하도록 외부 먼지 수집기로 안내되는 파이프(131)가 선회 조인트(112)의 고정측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개구부(132)가 커버(110)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부의 먼지 수집기로 안내되는 파이프(133)가 개구부(132)에 연결되어 있다. 유입 파이프(114') 및 파이프(131, 133)의 작용하에서, 내화 라이닝(101)을 절삭하는 동작 중에 유도전기로에서 발생된 많은 양의 부스러기 및 먼지가 외측으로 빨아내어 배출되고, 먼지 수집기 등에 의해 처리된다.
상술한 종래의 부스러기 수집 기술에 따르면, 중력 작용에 의해 낙하하는 부스러기는 빨아내져 수집된다. 처리된 실린더가 수평 위치 또는 수평에 가까운 각도에 위치된다면, 부스러기는 흡입 포트에 도달하지 않아서 수집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장치는 전기로의 내벽과 같이 내경이 5m 이상인 대형 구조체를 가공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파이프 내경이 약 10㎝ 정도인 병목부에서는 부스러기를 수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술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스러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동시에 부스러기의 산재를 방지할 수 있는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삭 휠에 의해 연삭할 부분을 제외하고 연삭 휠의 외주연 표면 및 측면 표면을 덮기 위한 커버와, 상기 연삭 휠의 회전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위치되어 부스러기를 빨아내기 위한 흡입 메카니즘과, 상기 연삭 휠의 회전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위치되어 산재된 부스러기를 흡입 메카니즘으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수집판을 포함하는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연삭 휠에 의해 연삭할 부분을 제외하고 연삭 휠의 외주연 표면 및 측면 표면을 덮기 위한 커버와, 상기 연삭 휠의 회전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위치되어 부스러기를 빨아내기 위한 흡입 메카니즘과, 상기 연삭 휠의 회전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위치되어 산재된 부스러기를 흡입 메카니즘으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수집판과, 공기를 상기 흡입 메카니즘쪽으로 송풍하기 위한 공기 송풍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송풍 메카니즘과 상기 흡입 메카니즘 사이에 연삭 지점이 개재되어 있는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를 구비한 파이프 내부 표면 연삭기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를 구비한 파이프 내부 표면 연삭기의 측단면도,
도 4는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가 없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의 측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구조체용 내주연 표면 절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6 : 선형 가이드
7 : 모터 유닛 9 : 연삭 유닛
30 : 베벨 기어 32 : 연삭 휠
35 : 아암 부재 36 : 커버
37 : 흡입 포트 38 : 먼지 수집판
40 : 링크 41 : 선형 작동기
43 : 진공 클리너 46 : 압축기
47 : 샤프트 91 : 관통 비드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단지 설명을 위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플랜트의 파이프 용접시에 관통 비드라고 하는 용접 비드를 연삭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가 설치되는 파이프 내부 표면 연삭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은 파이프 내부 표면 연삭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연삭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연삭기의 측단면도이다.
우선, 파이프 내부 표면 연삭기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파이프 내부 표면 연삭기는 대략 2개의 유닛, 즉 연삭 유닛(9)과 모터 유닛(7)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삭 유닛(9)은 그 자체를 파이프내에 고정시키는 기능과, 연삭 휠을 위치시키는 기능과, 본 발명과 관련된 부스러기를 수집하는 기능을 한다. 모터 유닛(7)은 연삭 휠(32)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를 내장하고 있다. 연삭 유닛(9) 및 모터 유닛(7)은 코일 스프링(8)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다.
모터 유닛(7) 내측에는 모터가 선형 가이드(6)의 스테이지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선형 가이드(6)는 파이프의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다. 모터(1)의 출력 샤프트(2)는 조인트(3)를 거쳐서 토크 튜브(5)의 내부 샤프트(4)에 연결되어 있다. 토크 튜브(5)의 내부 샤프트의 다른 단부(29)에는 베벨 기어(30)가 고정되어 있다. 이 베벨 기어(30)와, 연삭 휠(32)에 고정된 베벨 기어(31)가 맞물려서 모터(1)의 회전력을 연삭 휠(32)로 전달한다. 샤프트(47)의 양 단부는 베어링(33)을 거쳐 아암 부재(3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연삭 휠(32)의 방향 및 위치는 3개의 축, 즉 파이프의 반경방향의 축(R 축)과, 파이프의 축방향 축(Z 축) 및 파이프의 원주방향 축(θ 축) 모두에서의 위치 제어에 의해 결정되고, 그럼으로써 파이프의 내주연부상의 관통 비드(91)에 의해 파이프(92)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전체 주연부가 연삭된다.
R 축을 위한 위치 제어 메카니즘은 인코더가 장착된 기어 모터(22)와, 스퍼 기어(23, 24)와, 볼 스크류(25)와, 너트(26)와, 선형 가이드(28)로 구성된다. 모터(22)의 회전은 스퍼 기어(23, 24)의 세트를 거쳐서 볼 스크류(25)로 전달되고, 너트(26)가 부착된 스테이지(27)의 운동은 R 축상의 운동으로 된다. R 축상의 선형 운동을 제외하고 스테이지(27)의 운동의 자유도는 선형 가이드(28)에 의해 억제된다.
유사하게 Z 축을 위한 위치 제어 메카니즘은 R 축을 위한 위치 제어 메카니즘과 유사하게, 인코더가 장착된 기어 모터(11), 스퍼 기어(12, 13), 볼 스크류(14), 너트(15) 및 선형 가이드(17)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11)의 회전은 스퍼 기어(12, 13) 세트를 거쳐서 볼 스크류(14)로 전달되고, 너트(15)가 부착된 스테이지(16)의 운동은 Z 축상의 운동이 된다. Z 축상의 선형 운동을 제외하고 스테이지(16)의 운동의 자유도는 선형 가이드(17)에 의해 억제된다.
θ축을 위한 위치 제어 메카니즘은 인코더가 장착된 기어 모터(18), 스퍼 기어(19), 내접 기어(20) 및 볼 베어링(21)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18)의 회전은 스퍼 기어(19)를 거쳐서 내접 기어(20)로 전달되고, 내접 기어(20)가 부착된 스테이지(48)의 운동은 θ축상의 운동이 된다. θ축상의 회전 운동을 제외하고 스테이지(48)의 운동 자유도는 볼 베어링(21)에 의해 억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다른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는 주로 커버(36), 흡입 포트(37), 먼지 수집판(38), 선형 작동기(41), 호스(42) 및 진공 클리너(43)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36)는 아암 부재(35)에 의해 고정되고, 연삭할 물체와 접촉하지 않는 연삭 휠(32)의 부분을 덮으며 0.5㎜ 두께의 스테인레스강판으로 되어 있다. 즉, 커버(36)는 연삭 휠(32)에 의해 연삭할 부분을 제외하고 연삭 휠(32)의 외주연 표면과 측면 표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외에, 커버(36)와 연삭 휠(32) 사이의 간극은 5㎜ 또는 그 이하 정도로 작게 설정된다.
연삭 휠(32)의 회전 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위치된 커버(36)의 측면 표면상에서 파이프와 유사하게 형성된 흡입 포트(37)는 흡입 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부스러기를 빨아내기 위해 커버(36)상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 포트(37)는 나일론으로 제조된 호스(42)를 거쳐서 진공 클리너(43)에 연결되어 있다.
핀(39)에 의해 지지된 먼지 수집판(38)은 흡입 포트(37) 아래에서 커버(36)에 부착되어 있다. 먼지 수집판(38)은 핀(39)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고, 링크(40)를 거쳐 이에 연결된 선형 작동기(4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해서 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먼지 수집판(38)은 연삭 휠(32)의 회전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터 유닛(7)의 모터(1)의 회전시에, 연삭 휠(32)은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R 축상의 스테이지(27)는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삭 휠(32)이 연삭할 물체를 관통 비드(91)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연삭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부스러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방향으로 산재될 것이다. 본 발명의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를 설치함으로써, 연삭 지점의 후방으로 산재되는 부스러기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수집판(38)에 모인다. 다음에, 부스러기는 흡입 포트(37)를 통해서 진공 클리너(43)내로 빨아내진다. 한편, 연삭 휠 둘레로 산재된 부스러기는 커버(36)에 충돌하고, 커버(36)의 개구부를 통해서 떨어진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서, 부스러기의 산재가 방지될 수 있어, 부스러기가 효율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도 6은 하기의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를 제 2 실시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연삭 지점의 전방으로부터 연삭 지점쪽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구조체를 구비하는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이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는 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6), 흡입 포트(37), 먼지 수집판(38), 선형 작동기(41), 호스(42), 진공 클리너(43), 노즐(44), 공기 호스(45) 및 압축기(46)로 구성된다. 커버(36)는 아암 부재(35)에 고정되어 있고, 연삭할 물체와 접촉하지 않는 연삭 휠(32)의 부분을 덮으며 0.5㎜ 두께의 스테인레스강판으로 되어 있다. 연삭 지점 뒤에 위치된 커버(36)의 측면 표면상에서 파이프와 유사하게 형성된 흡입 포트(37)는 흡입 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부스러기를 빨아내기 위해 커버(36)상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 포트(37)는 나일론으로 제조된 호스(42)를 거쳐서 진공 클리너(43)에 연결되어 있다. 핀(39)에 의해 지지된 먼지 수집판(38)이 흡입 포트(37) 아래에서 커버(36)에 부착되어 있다. 먼지 수집판(38)은 핀(39)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고, 링크(40)를 거쳐 이에 연결된 선형 작동기(4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서 임의 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흡입 포트(37)쪽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노즐(44)이 커버(36)의 외주연부상에 배치되어 있고, 연삭 지점이 노즐(44)과 흡입 포트(37)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노즐(44)은 공기 호스(45)를 거쳐서 외측에 설치된 압축기(46)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흡입 포트(37)쪽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노즐(44)의 효과도 제공하며, 연삭 지점은 노즐(44)과 흡입 포트(37) 사이에 있다. 즉, 노즐(44)은 도 6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기 흐름을 발생한다. 따라서, 부스러기는 멀리 송풍되어 흡입 포트(37)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부스러기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할 때 더 효율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연삭 지점에서 송풍되어 연삭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산시킨다. 이것은 또한 연삭할 물체의 높은 열과 관련된 열화와, 높은 열로 인한 연삭기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을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많은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을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뤄질 수 있는 모든 이러한 변형예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영역내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삭 휠에 의해 연삭할 부분을 제외하고 연삭 휠의 외주연 표면 및 측면 표면을 덮기 위한 커버와, 상기 연삭 휠의 회전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위치되어 부스러기를 빨아내기 위한 흡입 메카니즘과, 상기 연삭 휠의 회전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위치되어 산재된 부스러기를 흡입 메카니즘으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수집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이러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삭 지점의 후방으로 산재된 부스러기는 먼지 수집판에 모이고, 흡입 메카니즘내로 빨아내진다. 연삭 휠 둘레로 산재된 부스러기는 커버에 충돌하고, 커버의 개구부(연삭 부분)로 낙하하며, 흡입 메카니즘내로 빨아내진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부스러기가 확실하게 수집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삭 휠에 의해 연삭할 부분을 제외하고 연삭 휠의 외주연 표면 및 측면 표면을 덮기 위한 커버와, 상기 연삭 휠의 회전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위치되어 부스러기를 빨아내기 위한 흡입 메카니즘과, 상기 연삭 휠의 회전방향면에서 연삭 지점의 뒤에 위치되어 산재된 부스러기를 흡입 메카니즘으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수집판과, 공기를 상기 흡입 메카니즘쪽으로 송풍하기 위한 공기 송풍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송풍 메카니즘과 상기 흡입 메카니즘 사이에 연삭 지점이 개재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이러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삭 지점의 후방으로 산재된 부스러기는 먼지 수집판에 모이고, 흡입 메카니즘내로 빨아내진다. 연삭 휠 둘레로 산재된 부스러기는 커버에 충돌하고, 커버의 개구부(연삭 부분)로 낙하하고, 흡입 메카니즘내로 빨아내진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부스러기는 확실하게 수집될 수 있다. 더욱이, 연삭 지점에서 공기가 송풍되고, 이에 의해 연삭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방산시킬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연삭할 물체의 높은 열과 관련된 열화와, 높은 열로 인한 연삭기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Claims (3)

  1. 삭제
  2. 물체의 불규칙한 표면을 연삭하기 위한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에 있어서,
    연삭 휠에 의해 연삭할 부분을 제외하고 연삭 휠의 외주연 표면 및 측면 표면을 덮기 위한 커버와,
    상기 연삭 휠의 회전방향면에서 불규칙한 표면상의 연삭 지점 뒤에 위치되어 부스러기를 빨아내기 위한 흡입 메카니즘과,
    상기 연삭 휠의 회전방향면에서 연삭 지점 뒤에 위치되어 산재된 부스러기를 흡입 메카니즘으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수집판과,
    상기 먼지 수집판을 상기 연삭 지점에 인접해서 상기 불규칙한 표면에 대향해 위치시키는 선형 작동기와,
    공기를 상기 흡입 메카니즘쪽으로 송풍하기 위한 공기 송풍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송풍 메카니즘과 상기 흡입 메카니즘 사이에 연삭 지점이 개재되며, 상기 공기 송풍 메카니즘은 압축기, 및 상기 연삭 휠 둘레로 연장하는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의 제 1 단부는 상기 압축기와 유체 연통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튜브의 제 2 단부는 공기를 상기 연삭 지점과 먼지 수집판 쪽으로 송풍하기 위한 노즐을 형성하는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수집판은 완전히 회전가능한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
KR1019990046544A 1999-10-26 1999-10-26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 KR100358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544A KR100358625B1 (ko) 1999-10-26 1999-10-26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544A KR100358625B1 (ko) 1999-10-26 1999-10-26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540A KR20010038540A (ko) 2001-05-15
KR100358625B1 true KR100358625B1 (ko) 2002-10-25

Family

ID=3752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544A KR100358625B1 (ko) 1999-10-26 1999-10-26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4205B (zh) * 2022-03-23 2024-05-28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钢坯表面镜面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540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657B1 (en) Grinding swarf collector
CN101184592A (zh) 可附连在切割机上的集尘盖
CN109982800B (zh) 用于发动机驱动的工具的除尘设备
KR100358625B1 (ko) 연삭 부스러기 수집기
JP4762642B2 (ja) 切断機
CN214869212U (zh) 一种钢管制管用内壁清磨装置
JP2005238417A (ja) ハンドグラインダー
EP1103342B1 (en) Grinding swarf collector
CN217832300U (zh) 一种镀锌钢板风管用激光切割机
JP2009023005A (ja) 電動工具
SU776904A1 (ru) Кожух-пылеуловитель
JPH061767Y2 (ja) 横切り機械の吸引用フード
CN110382164B (zh) 抽吸装置
CN112207341A (zh) 无尘切割机
CN219747433U (zh) 一种铸铁灶炉膛修整装置
CN117206672B (zh) 一种除尘装置
CN218193988U (zh) 一种废屑收集装置
CN216028231U (zh) 一种法兰精准加工钻床装置
CN215547320U (zh) 一种新型紧密平面磨床
JP3134215U (ja) 集塵フード
RU2805650C2 (ru) Система отсоса пыли шлифовального станка с оптической системой визуального контроля области обработки в проходящем свете
CN212666404U (zh) 施工用地面开槽机
CN213469768U (zh) 无尘切割机
CN218363909U (zh) 一种自带集尘功能的手持式拉丝机
JP4299222B2 (ja) 研磨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