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805B1 - 와이퍼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805B1
KR100357805B1 KR1019960705931A KR19960705931A KR100357805B1 KR 100357805 B1 KR100357805 B1 KR 100357805B1 KR 1019960705931 A KR1019960705931 A KR 1019960705931A KR 19960705931 A KR19960705931 A KR 19960705931A KR 100357805 B1 KR100357805 B1 KR 100357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wiper device
power
wip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177A (ko
Inventor
콕흐 스테판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70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적어도 1 개의 와이퍼 아암(10)을 가지는 와이퍼 장치가 제안되어 있고, 상기 와이퍼 아암은, 전기모터(11)에 의해서 구동되고, 해당 전기모터의 회전방향은, 적어도 각 종단부 위치에서 각각 바꿀 수 있다. 전기모터(11)에 전원공급되는 전력은, 회전방향을 바꿀 때에 저감된다. 전기모터(11)에, 소정시간 경과후 처음으로, 또는, 와이퍼 아암(10)의 소정위치 도달후 처음으로 정격전력이 전원공급된다. 감소된 전력을 전원공급하기 위해서는, 특히, 전기모터(11)를 흐르는 전류를 감소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에 의해, 전기모터(11) 및 종단부(19)의 열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장치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공개 제 2944224호 명세서로부터, 상위개념 기재와 같은 와이퍼 장치가 공지되는데, 해당 장치는, 전기모터를 가지고 있고, 해당 전기모터의 회전방향은, 와이퍼 아암의 양종단부 위치에서 바꿀 수 있다. 회전운동으로부터 왕복운동을 만들어내는 진자식 전동장치는 없앨 수 있다. 상기 공지 장치는, 양종단부 위치에서 전기모터 작동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종단부를 가지고 있다. 이 양종단부 위치에서 정지 상태가 되는 전기모터에 작동전압 전부가 인가됨으로써, 통상 작동 전류의 수배가 되는 시동전류가 상기 전기모터에 발생된다. 예를들면, 전기모터의 단락에 의해서 달성되는 제동과정을 행하지 않고, 종단부 위치에 도달한 뒤, 전기모터의 극성을 바꾸면, 시동전류를 2배의 값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전력원의 전압에 부가하여 전기모터의 전자기 역기전력이 가해지기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모터 및 종단부의 부하를 감소시킨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청구항에 기재한 각 요건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은, 독립청구항의 상위개념의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한 블럭접속도.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특히, 와이퍼 아암의 양종단부 위치의 영역내에서 전기모터가 회전방향을 바꾸는 사이, 전기모터 및 종단부의 열부하가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모터에 전원공급되는 전력은, 회전방향을 바꿀 때에 저감할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오옴저항과 동시에, 종단부 및 모터의 열부하를 생기게하는 높은 시동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 및 구성은, 각 종속청구항으로부터 얻어진다.
양호한 제 1 구성에 의하면, 전기모터에, 전력 전부가, 소정시간 경과후에 처음으로 전원공급되도록 된다. 다른 수단에 의하면, 전체전력이, 와이퍼 아암이 소정위치에 도달한 뒤 처음으로 전원공급되도록 된다. 이 소정위치는, 대응하는 양종단부 위치 부근의 와이퍼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다. 예를들면, 슬라이드 디스크와 함께 운동하는 슬라이드 콘택트로서 구성할 수 있는 부가적인 위치센서가 필요하다.
전기모터에 전원공급되는 전력을 정격전력에 비하여 감소하는 적절한 수단은, 공급된 작동전압을 감압함에 의하여 가능하다. 전기모터에 전원공급되는 전력을, 정격전력에 비하여 감소하는, 양호한 별도의 수단은 전기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하여 얻는다. 특히, 이 전류의 감소는, 클럭작동의 영역내에서 특히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가능하다. 이 클럭작동은, 전기모터의, 공급가능한 전체작동전압을 인가시키거나, 그 전압으로부터 완전히 떼어버리거나 하여 행하여진다. 이 클럭신호는, 가변주파수 내지 가변온오프비를 가질 수 있다. 주파수 및 온오프비는, 예를들면, 모터의 데이터를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 별도의 기준으로, 전자적인 노이즈빔의 바람직하지 않은 방사를 함께 고려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양호한 별도의 구성으로서는, 전기모터가 종단부 위치에 도달하여 극성을 반전하기 전에 우선 단락시키도록 한다. 이 수단에 의해, 모터를 급속히 제동하여, 전자기 역기전력을 급속히 감쇠시키고, 모터의 열부하를 극히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양호한 별도의 실시예 및 구성은, 이하의 설명과 함께, 별도의 각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도 1 에는 와이퍼 아암(10)이 도시되는데 이 와이퍼 아암은, 상세히 도시하고 있지 않은 윈도우상에서 왕복운동한다. 윈도우아암(10)은, 전기모터(11)에 의해서 구동된다. 종단부 위치센서(12)는, 윈도우아암(10)이 한쪽 또는 다른쪽의 종단부 위치에 도달한 시점을 검출하고, 그것에 계속해서, 종단부 위치신호(13)가 전력 전원공급장치(14)에 송출된다.
전력전원공급장치(14)에는, 위치센서(15)로부터 위치신호(16)가 공급되고, 이 위치신호는, 윈도우아암(10)이 종단부 위치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나타낸다. 전력전원공급장치(14)는 시간 발신기(17)를 가지고 있고, 이 시간 발신기는 종단부 위치신호(13)에 의해서 개시된다. 전력전원공급장치(14)는, 전력전원공급 및 회전방향신호(18)를 종단부(19)에 송출하고, 이 종단부에는, 전기모터(11)가 접속되어 있다, 종단부(19)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은 전력원의 제 1 단자(20) 및 제 2 단자(21)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윈도우아암(10)은, 윈도우 표면을 깨끗히 하기 위하여, 상세히 도시않은 윈도우상에서 왕복운동을 행한다. 이 왕복운동은, 전기모터(11)의 극성반전에 의해서 달성되며, 이 전기모터는, 예를들면, 영구자석 여자형 직류모터 또는 전자정류형 교류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양종단부 위치에 도달한 것은 종단부 위치센서(12)에 의해서 검출된다. 이 종단부 위치센서(12)는, 예를들면, 별개의 센서 또는 전기모터(11) 또는 도시않은 구동부와 결합된, 상세히 도시않은 제어디스크(슬립링을 가지고 있다)이다.
종단부 위치센서(12) 대신에, 와이퍼(10)의 임의의 위치의 척도인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센서를 설치 가능하다.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와이퍼 장치의 범위내에서, 상기 종류의 위치센서를 사용하여, 와이퍼 범위를 감소하도록 한정한 와이퍼 구동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단부 위치신호(13)는 마찬가지로, 상기 종류의 감소된 와이퍼 구동부에서도 발생시켜, 전기모터(11)의 회전방향을 바꾸게 한다.
종단부 위치신호(13)의 발생후, 우선, 전기모터(11)의 제동을 행한다. 전기모터(11)의 효과적인 제동은, 예를들면, 모터전원공급단자의 단락에 의해서 행하여진다(모터의 능동적인 제동에서의 프리휠) 전기모터의 단락은, 전력전원공급 및 회전방향신호(18: 종단부(19)에 상응하여 제어)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이 종단부(19)는 양호하게는, 브릿지회로를 가지고 있고, 이 브릿지회로의 대각선부내에 전기모터(11)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모터(11)의 단락은, 예를들면, 브릿지회로의 하측 또는 상측의 양브릿지 분기부를 동시에 스위치온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전기모터의 회전방향의 전환은, 작동전압의 극성을 반전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모터가 제동되기 이전에, 작동전압의 극성을 완전히 반전하도록 구성하면, 전기모터(11)의 시동전류가 강하게 상승하고, 종단부(19)의 양브릿지 분기부가 스위치온된다. 불가피한 오옴손실 저항에 상응하는 높은 열부하에 의해, 희망하지 않는, 극단적인 경우에는, 개별 각 구성요소가 파손되어버리는 일이 있다, 적어도, 사용하는 각 구성요소는, 비교적 높은 전류부하용으로 구성하여, 적어도 단시간 높은 열부하에 노출되어도 좋도록 구성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모터(11)에 전원공급되는 전력은 회전방향이 전환될 때 저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정격전력은 소정시간 경과후 처음으로 전기모터(11)에 전원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소정시간은, 종단부 위치신호(13)에 의해서 개시되는 시간발신기(17)에 의해서 설정된다. 경과시간중, 전력전원공급 및 회전방향신호(18)는 종단부(19)를 통해, 전기모터(11)용의 전력을 감소하도록 설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모터는 소정위치에 도달한 뒤 처음으로, 정격전력을 전원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동전압의 극성전환 및 전력의 감소는, 종단부 위치신호(13)가 발생한 때 즉시 일어난다. 와이퍼 아암(10)이, 위치센서(15)에 의해서 검출되는 고정위치에 도달하고나서 처음으로, 전력전원공급 및 회전방향신호(18)에 의해서, 전기모터(11)에 대하여 전체전력이 전원공급되도록 된다. 위치센서(15)에 의하여 검출되는 소정위치는, 와이퍼 장치의 간단한 구성에서 종단부 위치의 부근에 위치하는 소정의 고정위치로 한다. 와이퍼 장치가 비교적 고가인 실시예에 있어서, 종단부 위치센서 대신에, 윈도우상의 와이퍼 아암(10)의 실제 위치의 척도인 신호를 송출하는 한 위치센서가 설치되고 있고, 이 위치센서에 의해, 종단부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의 값이 설정되고, 별도의 소정위치에 대응하여 제 2 위치의 값이 설정된다. 상기의 경우, 부가적인 위치센서(15)는 필요하지 않다.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전원공급 및 회전방향신호(18)에 의해, 전기모터(11)용의 전원공급전력이 시동치로부터 전체전력이 되기까지 연속적으로 상승된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 전력전원공급장치(14)는 신호발생기를 구비하며, 이 신호발생기의 신호에 의해, 소정전력의 상승 경과 특성이 정해진다.
전기모터(11)용의 전력전원공급은, 종단부(19)에서 행하여진다. 전압, 전류 또는 양쪽의 량은 동시에 정격작동량보다도 감소하여도 좋다. 전기모터(11)를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것도 특히 적합하다. 전류의 감소는, 특히 용이하게, 전기모터(11)에 시간적으로 교대로 전체작동전압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클럭작동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클럭주파수및 온오프비는, 가변으로 한다. 양쪽의 량, 특히 주파수는, 모터의 데이터에 의존하여 정해진다. 스위치 온의 지속기간의 하측 한계치는, 전기모터(11)를 흐르는 전류를, 스위치온 펄스의 기간중, 소정 최대값으로 밖에 상승시키지 않도록 하여 설정한다. 이 상승시간은, 주로, 모터코일의 인덕턴스에 의해서 정해진다. 이 주파수의 상측의 한계치는, 방사고주파전력이 소정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정해진다. 온오프비를 바꾸는 것에 따라(예를들면, 소정의 고정 주파수로), 전력의 연속적인 상승을, 부가적인 비용을 사용치 않고 실현 가능하다.
전기모터(11)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하는 것은, 전자기적 양립성을 높힌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 이유는, 대응하는 높은 스펙트럼성분을 가지는 스윗칭 펄스가 생기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는, 자동차에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도시한 전기모터(11)는, 1 개의 와이퍼 아암 및, 동시에 복수의 와이퍼 아암(10)을 구동 가능하다. 소정의 자동차에서는, 복수의 전기모터(11)가 설치되고, 별개의 각각의 와이퍼 아암(10)을 구동한다.

Claims (7)

  1. 한개 이상의 와이퍼 아암을 갖는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와이퍼 아암은 전기모터(11)에 의해서 구동되고,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방향은 적어도 각 종단위치에서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때, 전기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은, 회전수를 변화시킬 때에 저감되는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시간발생기(1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간발생기는 종단위치신호(13)에 의해서 시동되며, 전기모터(11)의 정격전력은, 상기 시간발생기(17)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의 경과후 처음으로 상기 전기모터(17)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방향을 변화시키기 전에, 전기모터(11)를 단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압이, 정격전압에 비하여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정격전류에 비하여 저감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감소된 전류를, 전기모터(11)를 시간적으로 교대로 전력원에 접속 또는 차단하는 클럭구동에 의해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전력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차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KR1019960705931A 1994-05-18 1995-05-11 와이퍼장치 KR100357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17370.9 1994-05-18
DE4417370A DE4417370A1 (de) 1994-05-18 1994-05-18 Scheibenwisch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177A KR970702177A (ko) 1997-05-13
KR100357805B1 true KR100357805B1 (ko) 2003-02-17

Family

ID=651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931A KR100357805B1 (ko) 1994-05-18 1995-05-11 와이퍼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61723A (ko)
EP (1) EP0759862B1 (ko)
JP (1) JPH10500082A (ko)
KR (1) KR100357805B1 (ko)
DE (2) DE4417370A1 (ko)
WO (1) WO1995031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5256B2 (ja) 1999-03-05 2007-11-07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制御装置
DE10009797B4 (de) * 2000-03-01 2008-05-15 Valeo Auto-Electric Wischer Und Motoren Gmbh Scheibenwischervorrichtung zum Wischen von Scheiben
JP4787722B2 (ja) * 2006-11-07 2011-10-05 アスモ株式会社 直流モータ駆動制御装置
US9031390B2 (en) * 2012-03-26 2015-05-12 Asmo Co., Ltd. Wip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4224A1 (de) * 1979-11-02 1981-05-0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teueranordnung fuer eine wischanlage fuer kraftfahrzeugscheiben
FR2541639B1 (fr) * 1983-02-25 1988-06-03 Marchal Equip Auto Systeme d'essuie-glace a detecteur de surcharge commandant l'inversion du sens de rotation des balais
DE3333119A1 (de) * 1983-09-14 1985-03-28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Schaltanordnung fuer einen drehrichtungsumkehrbaren elektrischen motor
JPS61247541A (ja) * 1985-04-26 1986-11-04 Nissan Motor Co Ltd ワイパ−駆動装置
US4663575A (en) * 1986-02-21 1987-05-05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Speed control for a window wiper system
JP2798733B2 (ja) * 1989-09-22 1998-09-17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ー制御回路
US5355061A (en) * 1992-01-24 1994-10-11 Grimes Aerospace Company Windshield wip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31361A1 (de) 1995-11-23
JPH10500082A (ja) 1998-01-06
US5861723A (en) 1999-01-19
DE59505213D1 (de) 1999-04-08
EP0759862B1 (de) 1999-03-03
DE4417370A1 (de) 1995-11-23
EP0759862A1 (de) 1997-03-05
KR970702177A (ko) 1997-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0676B2 (ja) Dcモ―タ駆動装置
EP0235074B1 (en) Speed control for a window wiper system
RU2553674C2 (ru) Тормоз для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EP0913291A3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CN101258673A (zh) 用于控制机械换向式电动机的方法
US5793168A (en) Active deceleration circuit for a brushless DC motor
US6897627B2 (en) Control device for dual-motor wiper systems
KR100357805B1 (ko) 와이퍼장치
CA2008475A1 (en) Brushless motor control system
US4751414A (en) Dynamic braking circuit for universal motor
WO1991004602A1 (en) Three-phase reluctance motor
US3185910A (en) Magnetic switch-scr for motor speed control system
JP3674364B2 (ja) 振動型電動機及びその駆動制御装置
SU992067A1 (ru) Привод инъектора дл ангиографии
JPH1141985A (ja) 電動機の直、並列混合転換駆動システム
AR017843A1 (es) Disposicion para el control de accionamiento de un motor electrico
US200501357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negative torque reduction in a brushless DC motor
US6140795A (en) Variable speed control for AC induction motors
US4952860A (en) Motor control system
KR101324344B1 (ko) 회로 장치
JP3883662B2 (ja) モータ制御回路
KR100241408B1 (ko) 2상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회로
EP0508788B1 (en) Circuit arrangement of a DC shunt or compound motor
GB23336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epping motor
EP0638989A1 (en) Motor control circuit for series or compound starting and shunt normal ru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