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408B1 - 2상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2상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408B1
KR100241408B1 KR1019960071563A KR19960071563A KR100241408B1 KR 100241408 B1 KR100241408 B1 KR 100241408B1 KR 1019960071563 A KR1019960071563 A KR 1019960071563A KR 19960071563 A KR19960071563 A KR 19960071563A KR 100241408 B1 KR100241408 B1 KR 100241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ontrol
motor
output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554A (ko
Inventor
정영춘
Original Assignee
정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춘 filed Critical 정영춘
Priority to KR101996007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40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02P6/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waveform of the supplied voltage or current
    • H02P2209/09PWM with fixed limited number of pulses per peri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Specific system operational feature
    • Y10S388/903Protective, e.g. voltage or current lim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12Pulse or frequency cou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자류 DC모터 제어용 논리회로(한국특허 제082278호)를 이용하여 브러시리스 모터를 구동함에 있어서, 소프트 스타트 제어가 필요하고 모터의 과전류나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용 논리회로와 결합하여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소프트 스타트가 가능하고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고, 회전 방향도 제어할 수 있고, 모터의 과전류 및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2상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2상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회로에 있어서 스타트제어 출력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모터 제어출력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펄스폭 제어 발진기 10 : 2상 논리 제어 IC
13 : 풀 브릿지 구동회로 17 : 영구자석 회전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브러시리스 DC 모터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개의 위치 검출 센서와 한 개의 제어IC 에 의해 속도는 변경이 가능하고, 모터를 과전류와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 2상 브러시리즈 DC모터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무정류자 모터는 회전자의 위치 검출에 있어서, 반드시 여자 상수에 대응하고, 회전 여자 변위 각 위치에 각각 회전자 위치검출 센서를 구비해야 하므로, 2상 모터는 최소한 2개의 센서틀, 3상 모터는 최소한 3개의 센서를 그리고 다상 모터는 다수개의 위치 검출 센서가 각각 필요로 하고, 각 센서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논리회로가 필요하였다. 또한 센서리스 방식은 초기 기동 회로와 역기 전압검출회로 및 위상 비교 회로가 필요하여 회로 코스트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 한 개만의 위치 검출 센서로 90°의 위상차가 나는 2상 신호를 얻을 수 있는 논리회로와 위상 제어 수단을 제공하여 속도 제어가 가능한 무정류가 DC 모터 제어용 논리회로(이하 2상 제어 IC 라 한다)를 발명한바 있다.(한국특허 제082278호)
그러나 이 모터제어 논리회로(IC칩화 되어 있음)를 실용할 경우에 모터 기동시 소프트 스타트를 할 수 있는 수단과 모터의 과전류,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였으며, 상기 논리회로와 마찬가지로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회로 수단이 필요하였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정류자 DC모터의 제어용 논리회로(한국특허 제082278호)를 이용하여 2상 무정류자 모터의 소프트 스타트가 가능하고, 회전속도를 가변 시킬 수 있고, 회전 방향도 제어할 수 있고, 과전류 및 과열에 대한 보호기능을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기능을 발휘함에 있어서 최소의 부품수와 크기, 그리고 염가의 2상 브러시리스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
2상 제어 IC(10)의 센서 입력단자(①)에 회전자(17)의 위치검출센서(16)를 연결하고 각상의 위상제어 단자(⑨,⑩,⑪,⑫)에 시정수 저항(8,9)과 콘덴서(81,91)를 각각 연결한다. 한편, 펄스폭을 제어할 수 있는 발진기(6)의 출력을, 2상제어IC(10)의 출력 ON-OFF 제어입력(⑧)과, S.C.R(11)의 에노드를 연결하고, S.C.R(11)의 캐소드는 접지 단자에 연결한다.
그리고, 2상 제어IC(10)의 ØA 및 ØB출력을 각각 공지의 풀브릿지 파워 스위칭회로(13)(14)에 연결하고, 그 출력은 2상 모터의 전기자 코일(21,22)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2상 드라이브 회로에 있어서, 이에 과전류방지수단과 과열방지 수단을 연결하되, 과열방지수단은 전기자 코일(21,22)연결된 플브릿지 회로의 마이너스 접지 라인에 전류 제한 저항(15,16)과 콘덴서(19,20)를 연결하고, 그 출력을 OR 논리회로(12)입력에 연결하여 구성시키고, 과열방지수단은 모터의 전기자코일(21,22)의 내부에 온도 센서(18)를 설치하고 그 출력을 0R논리회로(12)의 입력에 연결하여 구성시킨다.
그리고, OR논리회로(12)의 출력을 S.C.R(11)게이트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2상 무정류자 모터의 제어 회로는 전원 파워 스위치(1)를 ON 하면, 펄스 폭 제어발진기(6)가 저항(4)과 콘덴서(5)의 시정수 만큼 제2도와 같이 ON-OFF듀티비가 달라지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게되고, 이 신호에 합성된 2상 논리제어IC(10)의 출력 ØA 및 ØB은 초기 기동시 펄스폭이 변조(P.W.M)된 ØA ØB가 출력되므로 초기 기동시 기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고, 모터의 소프트 스타트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2상 무정류자 DC모터는 일반적으로 여자각이 0-45°의 범위인 경우에 있어서 역기 전력이 작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돌입 전류(RUSH CURRENT)가 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모터 드라이브 스위칭 소자의 과다 용량 설계가 필요하거나 모터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기 전력이 작은 여자각(0-45°)에서 여자 전류를 발생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제3도의 ØA(Ta1,Ta2)와 ØB(Tb1,Tb2)와 같은 구간의 적절한 위상 제어가 필요하다.
저항(8,9)과 콘덴서(81,91)는 이와 같은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저항과 콘덴서의 시정수에 의해 제3도의 Ta1,Ta2와 Tb1,Tb2의 폭이 각각 결정된다. 즉, 이 기간 동안은 모터의 전기자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류 손실이 없고,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터의 속도 제어는 펄스 폭 제어발진기(6)의 출력 튜티비를 저항(4)의 조정에 의하거나 또는 2상 논리제어IC(10)의 위상제어가변저항(8,9)의 조정에 의해 여자폭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과전류와 과열로 부터의 모터 보호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모터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풀브릿지 스위칭 회로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15), 또는 저항(16)의 전압이 증가하게 되고, 일정 전압 이상이 되면 콘덴서(19,20)에 의해 적분 된 트리거 신호가 OR논리신호(12)의 입력을 통해 S.C.R(11)게이트에 인가된다.
이때 S.C.R(11)은 ON되므로 2상논리제어IC(10)의 ON-OFF단자(⑧)가 “L”상태가 되고, 이 IC(10)의 출력(ØA,ØB)은 모두 “L”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을 정지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모터의 과열 보호를 막기 위해 사용하는 온도센서(18)가 코일의 일정온도 이상에서 “H”신호를 출력하면 OR논리회로(12)를 거쳐 S.C.R(11)을 ON시키므로 다시 모터구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간단하게 과전류와 과열로부터 모터를 보호할 수 있으며, 파워 스위치(1)를 OFF하면 S.C.R이 OFF되고, 다시 스위치(1)를 ON하더라도 S.C.R은 다시 OFF상태를 계속 유지하므로 과전류와 과열의 원인이 제거되면 정상적인 모터 운전을 할 수 있다.
또한 2상 논리제어IC(10)의 정,역 회전제어 입력에 “H”또는 “L”신호를 인가 시킴으로써 IC(10)의 출력ØA 또는 ØB의 위상을 180°반전시켜서 징.역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지된 2상논리제어IC(10)를 이용하여 지극히 간단한 회로 구성과 방법에 의해 소프트 스타트, 속도제어, 보호기능 등을 갖는 싱글 센서(Single Sensor) 방식의 2상 무정류자 모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2상 논리제어IC(10)의 센서 입력에 회전자 위치검출 센서를 연결하고, 2상 출력(③,④,⑤,⑥)를 풀브릿지 파워스위칭회로(13,14)에 각각 연결하고, 파워스위칭회로(13,14)의 출력을 2상 모터의 전기자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2상 모터제어회로에 있어서, 펄스폭 제어 발진기(6)의 출력에 2상 논리제어IC(10)의 운전.정지 제어입력단자(⑧)와 S.C.R을 병렬로 연결하고, S.C.R의 게이트 OR논리회로(12) 출력을 연결하고, OR논리회로 입력(12)에, 파워스위칭회로(13,14)의 과전류방지수단과 과열방지수단의 출력을 연결하괴, 과전류방지수단은 파워스위칭회로(13,14)에 연결한 전류제한 저항(15,16)과 콘덴서(19,20)로 구성시키고 과열방지수단은 전기자코일(21,22)의 내부에 설치한 온도센서(18)로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2상 무정류자 모터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2상 논리제어IC(10)는 이에 가변저항(8,9)와 콘덴서(81,91)가 연결되어, 2상 출력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상 무정류자 모터 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펄프폭 제어발진기(6)는 이에 펄스폭 듀티비를 제어할 수 있는 가변저항(4)과 콘덴서(5)를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2상 무정류자 모터 제어회로.
KR1019960071563A 1996-12-24 1996-12-24 2상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회로 KR100241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563A KR100241408B1 (ko) 1996-12-24 1996-12-24 2상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563A KR100241408B1 (ko) 1996-12-24 1996-12-24 2상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554A KR19980052554A (ko) 1998-09-25
KR100241408B1 true KR100241408B1 (ko) 2000-02-01

Family

ID=1949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563A KR100241408B1 (ko) 1996-12-24 1996-12-24 2상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4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287B1 (ko) * 2001-07-26 2004-05-12 동양기전 주식회사 무센서 브러시리스 모터의 기동방법
KR100618435B1 (ko) * 2004-06-01 2006-08-30 국방과학연구소 직류 전동기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554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6844A (en) Control and operation of brushless continuous torque toroid motor
EP0282598B1 (en) Dc motor drive system
JP3440274B2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制御
US5675231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 single phase motor from circulating currents
US5166591A (en) Current chopping strategy for generating action in switched reluctance machines
US10186997B2 (en) Overvoltage arrester for an electrical drive
US5821722A (en) Multiphase electrical motor, control and method using overlapping conduction periods in the windings
JP4277919B2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モータ駆動制御方法
JPS59149780A (ja) モ−タ駆動装置
US6222333B1 (en) DC brushless motor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US6307338B1 (en)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JPH0236788A (ja) ブラシレス電動モータの制御方法とその制御回路
KR100241408B1 (ko) 2상 무정류자 dc 모터 제어회로
EP0387358B1 (en) Dc motor
JP4736155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04015986A (ja) モータの制御装置
KR20070025067A (ko) Bldc 모터의 제어회로
JP3298267B2 (ja) 位置センサレスdc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装置
KR200143529Y1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구동 전류 제어 장치
KR100320404B1 (ko) Dc전원공급회로와 모터구동회로를 일체로 한 bldc모터의 제어회로
EP1094595B1 (en) Control device for a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JPH06141587A (ja) 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装置
EP0964507B1 (en) A control circuit for an electric motor without commutator
JP3814061B2 (ja) モータ制御回路
JP2003111482A (ja) 直流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