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641B1 - 오프셋 제어 회로 및 오프셋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셋 제어 회로 및 오프셋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641B1
KR100357641B1 KR1020000007330A KR20000007330A KR100357641B1 KR 100357641 B1 KR100357641 B1 KR 100357641B1 KR 1020000007330 A KR1020000007330 A KR 1020000007330A KR 20000007330 A KR20000007330 A KR 20000007330A KR 100357641 B1 KR100357641 B1 KR 10035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or
level
signal
output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640A (ko
Inventor
오구라요이치
마루카와소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2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rigid discs
    • G11B23/0321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rigid discs rigid cartridges for sing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02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operation to be executed
    • G11B11/1051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5/0002Special dispositions or recording techniques
    • G11B2005/0005Arrangements, methods or circuits
    • G11B2005/001Controlling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record carriers or transducing characteristics of transducers by means not being part of their structure
    • G11B2005/0013Controlling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record carriers or transducing characteristics of transducers by means not being part of their structure of transducers, e.g. linearisation, equalisation
    • G11B2005/0016Controlling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record carriers or transducing characteristics of transducers by means not being part of their structure of transducers, e.g. linearisation, equalisation of magnetoresistive transduc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27Analogue recording
    • G11B5/035Equali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비선형성을 갖는 재생 신호에 있어서, 고속이고 또한 정확히 DC 오프셋 제어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C 프리 부호인 기록 데이터의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경우에, 재생 신호를 파형 등화 수단(1)에 의해 등화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에 의해 표본화한다. 표본화 데이터를 2치화하여, DC 프리 부호의 특징을 살려 오프셋량을 검출하고, 아날로그/디지탈·컨버터(2)의 기준 레벨을 조작하여, 제 1 적분기(5)의 출력이 영이 되도록 한다. 그 후, 레벨 시프트 회로(6)의 출력을 제 2 적분기(7)에 입력하여,이 출력이 영이 되도록 레벨 시프트량을 조정하여, 수렴값을 유지한다. 그 후는, 유지된 레벨 시프트량을 이용하여, 제 2 적분기(7)의 출력이 영이 되도록 기준 레벨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고속이고 또한 정확히 DC 오프셋 제어를 한다.

Description

오프셋 제어 회로 및 오프셋 제어 방법{OFFSET CONTROL CIRCUIT AND OFFSET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오프셋 제어 회로 및 오프셋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디스크 매체, 광 자기 디스크 매체 및 자기 매체 등에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의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것으로서, 고속이고 또한 정확히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오프셋 제어 회로 및 오프셋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장치의 하나로서 자기 디스크 장치가 있다.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최근의 고 기록 밀도화에 따른 재생 헤드로서 MR 헤드(Magneto-Resistive Head)가 도입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MR 헤드는 자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입력 자계 H에 대하여, MR 소자의 저항율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기록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다.
MR 소자는, 이상적으로는 동작 곡선의 선형 영역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입력 신호, 즉, 기록되어 있는 자계가 정부(正負) 대칭이면, 출력 신호도 정부 대칭의 신호 진폭으로 된다.
그러나, 바이어스점이 어긋난 경우는, 동작 곡선상의 비선형인 영역을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출력 신호는 정부 비대칭의 신호로 된다. 이러한, 재생 파형이 정부 비대칭성을 갖는 경우, 재생 신호의 DC 레벨의 특정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그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종래 사용되고 있던 방법을 도 6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피드포워드 루프에 의해 신호의 오프셋을 제거하는 것이다.
도 6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C 커플링된 재생 신호는, 파형 등화 수단(1)을 이용하여 등화된 후,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2)에 의해 표본화되어, 오프셋 검출 회로(26)에 입력된다. 여기서, 오프셋 검출 회로(26)는, 도 7 에 나타내는 것 같은 구성으로, 표본화된 신호로부터 진폭 오차량을 구하는 것이며, 도 8 은 오프셋 검출 회로(26)에 의해 입력 신호로부터 진폭 오차량을 구하기까지의 파형도이다.
즉, 상기 오프셋 검출 회로(26)는, 입력 신호 S1를, T1/2 (T1은, 자화 반전폭(磁化 反轉幅))만큼 지연시키는 제 1 지연 회로(29)와, 입력 신호 Sl에서 제 1 지연 회로(29)의 출력을 감산하는 제 1 감산기(30)를 갖는다. 제 1 감산기(30)의 출력 S2는 오프셋이 제거된 신호로 된다.
또한, 오프셋 검출 회로(26)는 제 1 감산기(30)의 출력 S2를, T1/2만큼 지연시키는 제 2 지연 회로(31)와, 제 1 감산기(30)의 출력 S2와 제 2 지연 회로(31)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32)와, 가산기(32)의 출력 S3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게이트 신호 S4를 발생하는 판정 회로(33)를 갖는다.
또한, 오프셋 검출 회로(26)는 제 1 감산기(30)의 출력 S2로부터 제 2 지연 회로(31)의 출력을 감산하는 제 2 감산기(34)와, 제 2 감산기(34)의 출력 S5를 게이트 신호 S4로 선택하는 선택 회로(35)를 갖는다. 이 선택 회로(35)의 출력 S6이 진폭 오차량을 나타내는 진폭 오차 신호로 된다.
다음에, 오프셋 검출 회로(26)로부터 출력되는 진폭 오차 신호를 평균화 회로(27)에 입력한다. 여기서, 평균화 회로(27)는 헤드 재생 신호에 중첩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이다. 감산기(28)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의 출력으로부터 평균화 회로(27)의 출력을 감산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재생 신호의 오프셋이 보상된다. 즉, DC 레벨이 제어된다.
단, 정확한 진폭 오차량을 얻기 위해서는, 재생 신호의 정부의 신호에 간섭이 없는 것이 전제로 되기 때문에, 상기 진폭 오차량을 얻기 위한 동작은 데이터 신호 전의 트레이닝 신호에 있어서 동작시키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은, 정확한 진폭 오차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자화 반전폭이 기지인 트레이닝 신호를 이용할 필요가 있고, 트레이닝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재생 신호에 대해서는 오프셋을 보상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특히, 광 재생과 같이 재생 신호가 적분(積分)계의 특징을 갖는 경우는 더욱 실현이 어렵게 된다.
또한, 이 종래 기술을, 기록 데이터 신호 영역에 적용할 수 있었다고 해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표본화 레이트가 비트 레이트의 수배 정도 되는것이 아니라면, 정밀도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 고기록 밀도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선 방향의 고밀도 기록 재생에 알맞은 신호 처리 방식인 파샬 레스폰스ㆍ맥시멈 라이클리후드(이하, PRML이라 한다) 신호 처리방식이 채용되어 왔다.
PRML 신호 처리방식이란, 재생 신호에 의도적인 파형 간섭을 촉진하여, 재생 신호를 잡음의 강조를 극력 억제하도록 제한한 대역으로 등화한 후, 기지의 간섭의 규칙에 따라, 가장 확실할 것 같은 계열을 복조하는 최대 복호기에 의해 데이터 복조를 하는 방식이다.
PRML 신호 처리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는, 재생 신호가 갖는 클럭 성분의 위상과 동기시킨 재생 클럭에 의해, 다(多) 비트로 표본화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되지만, 소비 전력이나 동작 속도를 고려하면, 표본화 레이트는 비트 레이트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로 구성으로부터 보더라도, 소자에 의한 특성 격차나 경년 변화를발생하는 아날로그 소자보다도, 집적화에 의해 비용 저감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탈 소자를 이용한 쪽이 좋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신호이더라도, 재생 신호가 갖는 클럭 성분의 주파수에 가까운 레이트로 표본화한 디지탈 재생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 데이터 영역에서도, DC 프리 부호의 특징과 진폭 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이고 또한 정확히, DC 레벨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오프셋 제어 회로 및 오프셋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RML 신호 처리 방식 등의 고밀도 기록 재생에 유리한 방식의 적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오프셋 제어 회로 및 오프셋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의한 오프셋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 는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신호의 비대칭의 요인을 도해(圖解)한 도면,
도 3 은 상기 실시예 1 에 의한 오프셋 제어 회로에 있어서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 는 상기 실시예 l 에서의 레벨 변동 검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 는 상기 실시예 l 에 의한 기준 레벨 제어 회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 은 종래의 피드포워드 루프를 이용한 오프셋 보상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 은 종래의 오프셋 보상 회로의 구성 요소인 오프셋 검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 은 종래의 오프셋 검출 회로에 의해, 입력 신호로부터 진폭 오차량을구하기까지의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형 등화 수단 2 :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3 : 2치화 수단 4 : 변환기
5 : 제 1 적분기 6 : 레벨 시프트 회로
7 : 제 2 적분기 8 : 시프트량 조정 수단
9 : 전환 수단 10 : 기준 레벨 제어 회로
11 : 모드 제어기 12,13 : 절대값 변환기
14,15 : 평균화 수단 16 : 카운터
17,18 : 유지 수단 19 : 변동량 판정 수단
20,21 : 증폭기 22 : 루프 필터
23 : 가산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관한 오프셋 제어 회로는,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가 DC 성분을 갖지 않은 DC 프리 부호이고,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경우에,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오프셋 제어 회로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상기 파형 등화 수단에 의해 등화된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서 재생할 때에 이용하는 재생 클럭에 의해 다 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표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표본화된 신호를 2치화하기 위한 2치화 수단과, 2치화된 신호를 기초로 절대치가 같은 부호가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의 출력을 적분하기 위한 제 1적분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표본화된 신호 레벨을 전체적으로 시프트하는 레벨 시프트 회로와,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제 2 적분기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시프트량을 조정하는 시프트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가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는 기준 레벨 제어 회로와, 동작 모드를, 트레이닝 모드와 통상 동작 모드의 어느 하나로 하는 가를 전환하는 모드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으로 수렴한 후, 상기 기준 레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영으로 하도록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으로 수렴하였을 때의 상기 시프트량의 수렴값을,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하고, 상기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시프트량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고속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 에 의한 오프셋 제어 회로는, 청구항 1 에 기재된오프셋 제어 회로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DC 레벨의 시간적인 변동량을 검출하는 레벨 변동 검출기를 구비하며, 상기 레벨 변동 검출기가, 상기 변동량이 작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고,상기 변동량이 크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관한 오프셋 제어 회로는, 청구항 1 에 기재된오프셋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기준 레벨 제어 회로가,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여,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증폭율을 조절할 수 있는 적응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적응 제어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장소에 따라 특성이 다른 비선형 왜곡에 대하여도 적응적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 에 의한 오프셋 제어 방법은,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가 DC 성분을 갖지 않은 DC 프리 부호이고,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경우에,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오프셋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오프셋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어 장치는, 재생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상기 파형 등화 수단에 의해 등화된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서 재생할 때에 이용하는 재생 클럭에 의해 다 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표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표본화된 신호를 2치화하기 위한 2치화 수단과, 2치화된 신호를 기초로 절대치가 같은 부호가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의 출력을 적분하기 위한 제 1 적분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표본화된 신호 레벨을 전체적으로 시프트하는 레벨 시프트 회로와,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제 2 적분기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시프트량을 조정하는 시프트량 조정 수단과,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가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는 기준 레벨 제어 회로와, 동작 모드/트레이닝 모드와 통상 동작 모드의 어느 하나로 하는 가를 전환하는 모드 제어기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으로 수렴한 후, 상기 기준 레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영으로 하도록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으로 수렴하였을 때의 상기 시프트량의 수렴값을,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하고, 상기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시프트량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고속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 에 의한 오프셋 제어 방법은, 청구항 4 에 기재된오프셋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DC 레벨의 시간적인 변동량을 검출하는 레벨 변동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레벨 변동 검출기가, 상기 변동량이 작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고, 상기 변동량이 크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 에 의한 오프셋 제어 방법은, 청구항 4 에 기재된오프셋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준 레벨 제어 회로가,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여,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증폭율을 조절할 수 있는 적응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적응 제어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장소에 따라 특성이 다른 비선형 왜곡에 대하여도 적응적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의한 오프셋 제어 회로 및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한 오프셋 제어 방법에 대응하는 실시예 1 에 대하여, 도 1∼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의한 오프셋 제어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광디스크 장치와 같이, 재생 신호가 적분계의 특징을 갖는 경우, 특히, DVD-ROM(Read 0nly Memory)에 있어서의 8-l6 변조 부호와 같이, 연속하는 디지탈 데이터인 1 또는 0 이 3T(T는 최소 기록 단위) 내지 11T로 제한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 영역이 연속적으로 존재하여, 트레이닝 영역이나, VFO 패턴이라 하는, 단일 패턴이 반복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부호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일례로서 고려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8-16 변조는, 기록 데이터로서 1과 0이 각각 존재하는 확률이 같게 되도록 변조되는 것이며, 부호 자신의 주파수 특성으로서 DC 성분이 존재하지 않는 DC 프리(free) 부호라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신호는 비선형 왜곡을 갖는 것이 많다. 특히,애시메트리(asymmetry)(비대칭)라고 하는 정부(正負) 비대칭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광디스크 재생 신호에 비대칭이 발생하는 요인을 도 2 에 의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재생에 있어서는, 빔 스포트(24)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을 주사할 때에, 피트(2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장소를 통과하는 경우는 빛의 반사율이 강하고, 피트(25)가 형성되어 있는 장소를 통과하는 경우는 반사율이 약해지기 때문에, 그들 반사광의 강도 분포의 시간적인 적분값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피트(25)가 데이터의 기록 길이에 따라 정확히 형성되면 비대칭은 발생하지 않지만, 피트(25)는 완전한 직사각형이 아니라, 양단은 타원 형상으로 둥그스럽게 된다. 또한, 기록 길이가 짧을수록 피트(25)의 형성이 어렵게 되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를 발생한다.
이들에 의해, 반사광의 적분에 있어서의 피트 양단의 편차가, 3T∼5T정도까지의 짧은 기록 길이에 있어서 현저하게 되어, 재생 파형에 비대칭이 현저하게 된다. 반대로, 6T 이상의 긴 기록 길이에 있어서는, 적분값이 포화하던가 또는 밑바닥에 도달하기 때문에 영향은 작아진다.
이와 같이, 비대칭의 발생 확률은, 짧은 기록 길이의 것부터 높게 되기 때문에, 3T∼5T의 파형이 갖는 DC 레벨이, 재생 파형의 DC 레벨을 지배하고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즉, 기록시의 조건에 따라 비대칭의 정도도 변하기 때문에, 재생 신호의 DC 레벨을 정확히 제어하지 않으면, 클럭 재생, 데이터 복조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으로 된다.
도 1에 있어서, 광디스크 재생 신호를 파형 등화 수단(l)에서 고역(高域)을 강조하는 보정을 실시한다. 파형 등화 수단(1)은 부스트(boost)량과 컷오프 주파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필터로 구성된다. 예컨대, 고차(高次) 리플 필터 등이다.
파형 등화 수단(1)의 출력 신호를, 재생 신호가 갖는 클럭 성분의 위상과 동기하도록 한 재생 클럭을 이용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으로서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에 의해, 다 비트의 디지탈 신호로 표본화한다.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2)에 의해 표본화된 다 비트의 디지탈 신호를, 1 또는 0 의 두가지 값으로 식별하는 수단으로서의 2치화 수단(3)에 입력한다.
또, 여기서, 표본화 데이터가 영 레벨에 모이도록 위상이 조정된, 예컨대, PRML 신호 처리방식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2치화 수단(3)의 구성 요소로서, 입력부에 1+D(D는 샘플링 시간폭의 지연에 상당)의 처리를 삽입하는 것이라도 좋다.
2치화된 신호는,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절대치가 같은 부호가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수단으로서의 변환기(4)에 입력된다. 또, 여기서, 변환기(4)는, 예컨대, 입력 신호가 1인 경우는 -1을 출력하고, 입력 신호가 0인 경우는 1을 출력하는 구성의 것이라도 좋다.
변환기(4)의 출력 신호는 제 1 적분기(5)에 입력되어 적분된다. 여기서, 기록 데이터가 DC 프리 부호인 경우는, 제 1 적분기(5)의 출력 신호가 영으로 되는부분이 정확한 DC 레벨이라고 단정할 수 있다.
한편,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에 의해 표본화된 신호는, 레벨을 전체적으로 시프트하는 수단으로서의 레벨 시프트 회로(6)에 입력되고, 레벨 시프트후의 신호는 제 2 적분기(7)에 입력되어 적분된다. 여기서, 재생 파형이 정부 대칭인 경우는, 레벨 시프트를 하지 않더라도, 제 2 적분기(7)의 출력 신호는 영이 된다.
레벨 시프트 회로(6)의 시프트량은 제 2 적분기(7)의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시프트량 조정 수단(8)에 의해 설정된다.
얻어진 제 1 적분기(5)의 출력 신호와 제 2 적분기(7)의 출력 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가를 전환하는 수단으로서의 전환 수단(9)을 거쳐서, 그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의 기준 레벨 제어 회로(10)를 동작시킴으로써, 표본화후의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단, 제 1 적분기(5)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경우는, 참조할 수 있는 데이터가 표본화 주파수분의 분해능밖에 없고, 시정수도 크기때문 에 고속 동작에는 대응할 수 없다.
한편,제 2 적분기(7)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경우는, 시정수도 작게 고속 동작에 대응할 수 있지만, 비대칭이 존재하는 경우는, 정확한 DC 레벨을 특정할 수 없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트레이닝 모드와 통상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처리에 관하여, 도 3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 우선, 제 1 적분기(5)의 출력 신호가 영이 되도록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의 기준 레벨을 제어한다. 이것이 수렴한 때의 재생 파형의 DC 레벨이 정상값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의 기준 레벨을 유지하고, 제 2 적분기(7)의 출력 신호를 영으로 하도록 시프트량 조정 수단(8)을 제어한다. 이것이 수렴한 때의 시프트량을 시프트량 조정 수단(8)에 유지해 놓는다.
다음에,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 시프트량 조정 수단(8)에 유지되어 있는 값을 이용하여, 제 2 적분기(7)의 출력 신호가 영이 되도록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고속으로 DC 오프셋 레벨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트레이닝 모드와 통상 동작 모드의 상태를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모드 제어기(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신호이더라도, 재생 신호가 갖는 클럭 성분의 주파수에 가까운 레이트로 표본화한 디지탈 재생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 데이터 영역에서도, DC 프리 부호의 특징을 이용하여 정확히 DC 레벨을 제어하고, 얻어진 DC 레벨을 이용하여 진폭 정보로부터 DC 레벨을 제어하는 경우의 레벨 시프트량을 학습시켜 놓는 것에 의해, 통상 동작시에서는, 레벨 시프트량과 진폭 정보를 이용한 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탐색후의 DC 레벨을 고속이고 또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탈화의 이점으로서, PRML 신호 처리 방식의 적응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고밀도 기록 재생에 알맞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청구항 2 에 의한 오프셋 제어 회로 및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한 오프셋 제어 방법에 대응하는, 실시예 2 에 의한 오프셋 제어 회로에 관하여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 의 오프셋 제어 회로는, 상기 실시예 1 에서 기술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의 기준 레벨의 제어 방식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DC 레벨의 시간적인 변동량을 검출하는 레벨 변동 검출기를 갖고, 상기 레벨 변동 검출기에 있어서, 변동량이 작다고 판단된 경우는, 제 1 적분기(5)의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고, 변동량이 크다고 판단된 경우는, 제 2 적분기(7)의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벨 변동 검출기는, 예컨대, 도 4 에 나타내는 것 같은 구성의 것이라도 좋다.
즉, 레벨 변동 검출기는, 제 1 적분기(5)와 제 2 적분기(7)의 양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여, 각각의 신호를 절대치로 변환하는 절대치 변환기(12, 13)와, 각각을 평균화하는 평균화 수단(14, 15)과,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16)와, 카운터(16)로 계산되는 소정의 시간마다의 평균 수단(14, 15)의 출력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17, 18)과, 유지 수단(17, 18)의 출력으로부터 변동량을 검출하여 전환 신호를 출력하는 변동량 판정 수단(19)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전환수단(9)은 레벨 변동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전환 신호에 근거하여, 제 1 적분기(5)와 제 2 적분기(7)의 출력을 전환하여 기준 레벨 제어 회로(1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DC 레벨의 시간적인 변동량이 작은 영역에 대해서는, 응답 속도는 느리더라도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를 중시하는 DC 프리 부호의 특징을 살린 제어(제 1 적분기(5)의 출력 신호를 이용한다)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품질을 향상할 수 있고, DC 레벨이 정규의 위치와 다른 경우 및 시간 변동이 큰 경우에는, 제어 속도를 중시한 진폭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제어(제 2 적분기(7)의 출력 신호를 이용함)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국부적인 응답에 대한 추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최적의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의한 오프셋 제어 회로 및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한 오프셋 제어 방법에 대응하는, 실시예 3 에 의한 오프셋 제어 회로에 대하여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 의 오프셋 제어 회로는 상기 실시예 1 에서 기술한 기준 레벨 제어 회로(10)가, 도 5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한 것이다.
즉, 기준 레벨 제어 회로(10)는 제 1 적분기(5)의 출력 신호와 제 2 적분기(7)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여,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증폭율을 조절하는 수단인 증폭기(20, 21)와, 증폭기(20)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루프 필터(22)와, 증폭기(2l)의 출력 신호와 루프 필터(22)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2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오프셋 제어 회로는 이 기준 레벨 제어 회로(10)의 출력을 바탕으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장소에 따라 특성이 다른 비선형 왜곡에 대하여도 적응적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리라이트 가능한 기록 매체 등에 있어서, 조건이 다른 장치로 추가 기록하는 것 등이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장소에 의한 비선형 특성의 차이나, 재생시의 외란등에 의해 DC 레벨이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상태에 있어서도, 정확히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관한 오프셋 제어 회로는,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가 DC 성분을 갖지 않은 DC 프리 부호이고,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경우에,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오프셋 제어 회로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이것에 의해 등화된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서 재생할 때에 이용하는 재생 클럭에 의해 다 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표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표본화된 신호를 2치화하기 위한 2치화 수단과, 2치화된 신호를 기초로 절대치가 같은 부호가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의 출력을 적분하기 위한 제 1 적분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표본화된 신호 레벨을 전체적으로 시프트하는 레벨 시프트 회로와,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제 2 적분기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시프트량을 조정하는 시프트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가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는 기준 레벨 제어 회로와, 동작 모드를 트레이닝 모드와, 통상 동작 모드중 어느 하나로 하는 가를 전환하는 모드 제어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에 수렴한 후, 상기 기준 레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영으로 하도록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에 수렴하였을 때의 상기 시프트량의 수렴값을,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하며, 상기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시프트량의 값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고속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신호이더라도, 재생 신호가 갖는 클럭 성분의 주파수에 가까운 레이트로 표본화한 디지탈 재생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 데이터 영역에서도, DC 프리 부호의 특징을 이용하여 정확히 DC 레벨을 제어하여, 얻어진 DC 레벨을 이용하여 진폭 정보로부터 DC 레벨을 제어하는 경우의 레벨 시프트량을 학습해 놓은 것에 의해, 통상 동작시에서는, 레벨 시프트량과 진폭 정보를 이용한 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탐색후의 DC 레벨의 고속이고, 또한 정확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탈화의 이점으로서, PRML 신호 처리 방식의 적응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고밀도 기록 재생에 알맞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 에 관한 오프셋 제어 회로는, 청구항 1 의 오프셋 제어 회로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DC 레벨의 시간적인 변동량을 검출하는 레벨 변동 검출기를 구비하여, 상기 레벨 변동 검출기가 상기 변동량이 작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고, 상기 변동량이 크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DC 레벨의 시간적인 변동량이 작은 영역에 대해서는, 응답 속도는 느리더라도 성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를 중시하는 DC 프리 부호의 특징을 살린 제어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품질을 향상할 수 있어, DC 레벨이 정규의 위치와 다른 경우, 및 시간 변동이 큰 경우에는, 제어 속도를 중시한 진폭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제어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국부적인 응답에 대한 추종성능이 향상하는 것으로 되어, 최적의 DC 레벨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관한 오프셋 제어 회로는, 청구항 1 에 기재된오프셋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기준 레벨 제어 회로가,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여,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증폭율을 조절 가능한 적응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적응 제어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장소에 따라 특성이 다른 비선형 왜곡에 대하여도 적응적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장소에 의한 비선형 특성의 차이나, 재생시의 외란등에 의해, DC 레벨이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상태에 있어서도, 정확히 DC 레벨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 에 의한 오프셋 제어 방법은,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가 DC 성분을 갖지 않은 DC 프리 부호이고,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경우에,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오프셋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오프셋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어 장치는, 재생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상기 파형 등화 수단에 의해 등화된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서 재생할 때에 이용하는 재생 클럭에 의해 다 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표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표본화된 신호를 2치화하기 위한 2치화 수단과, 2치화된 신호를 기초로 절대치가 같은 부호가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의 출력을 적분하기 위한 제 1 적분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표본화된 신호 레벨을 전체적으로 시프트하는 레벨 시프트 회로와,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제 2 적분기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시프트량을 조정하는 시프트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가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는 기준 레벨 제어 회로와, 동작 모드와 트레이닝 모드와 통상 동작 모드중의 어느 하나로 하는 가를 전환하는 모드 제어기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으로 수렴한 후, 상기 기준 레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영으로 하도록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으로 수렴하였을 때의 상기 시프트량의 수렴값을,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하고, 상기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시프트량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고속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신호이더라도, 재생 신호가 갖는 클럭 성분의 주파수에 가까운 레이트로 표본화한 디지탈 재생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 데이터 영역에서도, DC 프리 부호의 특징을 이용하여 정확히 DC 레벨을 제어하고, 얻어진 DC 레벨을 이용하여 진폭 정보로부터 DC 레벨을 제어하는 경우의 레벨 시프트량을 학습해 놓는 것에 의해, 통상 동작시에서는, 레벨 시프트량과 진폭 정보를 이용한 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탐색후의 DC 레벨의 고속이고 또한 정확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탈화의 이점으로서, PRML 신호 처리 방식의 적응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고밀도 기록 재생에 알맞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 에 의한 오프셋 제어 방법은, 청구항 4 에 기재된오프셋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DC 레벨의 시간적인 변동량을 검출하는 레벨 변동 검출기를 구비하여, 상기 레벨 변동 검출기가, 상기 변동량이 작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고,상기 변동량이 크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DC 레벨의 시간적인 변동량이 작은 영역에 대해서는, 응답 속도는 느리더라도 성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를 중시하는 DC 프리 부호의 특징을 살린 제어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품질을 향상할 수 있어, DC 레벨이 정규의 위치와 다른 경우, 및 시간 변동이 큰 경우에는, 제어 속도를 중시한 진폭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제어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국부적인 응답에 대한 추종성능이 향상하는 것으로 되어, 최적의 DC 레벨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 에 의한 오프셋 제어 방법은, 청구항 4 에 기재된오프셋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준 레벨 제어 회로가,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여,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증폭율을 조절 가능한 적응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적응 제어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장소에 따라 특성이 다른 비선형 왜곡에 대하여도 적응적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장소에 의한 비선형 특성의 차이나 재생시의 외란등에 의해, DC 레벨이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상태에 있어서도, 정확히 DC 레벨의 제어를 할 수 있다.

Claims (6)

  1.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가 DC 성분을 갖지 않은 DC 프리 부호이고,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경우에,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오프셋 제어 회로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상기 파형 등화 수단에 의해 등화된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서 재생할 때에 이용하는 재생 클럭에 의해 다 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표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표본화된 신호를 2치화하기 위한 2치화 수단과,
    2치화된 신호를 기초로 절대치가 같고 부호가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의 출력을 적분하기 위한 제 1 적분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표본화된 신호 레벨을 전체적으로 시프트하는 레벨 시프트 회로와,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제 2 적분기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시프트량을 조정하는 시프트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가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는 기준 레벨 제어 회로와,
    동작 모드를, 트레이닝 모드와 통상 동작 모드중 어느 하나로 하는 가를 전환하는 모드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으로 수렴한 후, 상기 기준 레벨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영으로 하도록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으로 수렴하였을 때의 상기 시프트량의 수렴값을,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하고,
    상기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시프트량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고속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제어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DC 레벨의 시간적인 변동량을 검출하는 레벨 변동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레벨 변동 검출기가,
    상기 변동량이 작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고,
    상기 변동량이 크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제어 회로.
  3.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가 DC 성분을 갖지 않은 DC 프리 부호이고,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경우에,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오프셋 제어 회로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상기 파형 등화 수단에 의해 등화된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서 재생할 때에 이용하는 재생 클럭에 의해 다 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표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표본화된 신호를 2치화하기 위한 2치화 수단과,
    2치화된 신호를 기초로 절대치가 같고 부호가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의 출력을 적분하기 위한 제 1 적분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표본화된 신호 레벨을 전체적으로 시프트하는 레벨 시프트 회로와,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제 2 적분기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시프트량을 조정하는 시프트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여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증폭율을 조절할 수 있는 적응 제어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적응 제어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장소에 따라 특성이 다른 비선형 왜곡에 대해서도 적응적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는 기준 레벨 제어 회로와,
    동작 모드를, 트레이닝 모드와 통상 동작 모드중 어느 하나로 하는 가를 전환하는 모드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으로 수렴한 후, 상기 기준 레벨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영으로 하도록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으로 수렴하였을 때의 상기 시프트량의 수렴값을,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하고,
    상기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시프트량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고속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제어 회로.
  4.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가 DC 성분을 갖지 않은 DC 프리 부호이고,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경우에,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오프셋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오프셋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어 장치는,
    재생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상기 파형 등화 수단에 의해 등화된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서 재생할 때에 이용하는 재생 클럭에 의해 다 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표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표본화된 신호를 2치화하기 위한 2치화 수단과,
    2치화된 신호를 기초로 절대치가 같고 부호가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의 출력을 적분하기 위한 제 1 적분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표본화된 신호 레벨을 전체적으로 시프트하는 레벨 시프트 회로와,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제 2 적분기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시프트량을 조정하는 시프트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가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는 기준 레벨 제어 회로와,
    동작 모드를, 트레이닝 모드와 통상 동작 모드중 어느 하나로 하는 가를 전환하는 모드 제어기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으로 수렴한 후, 상기 기준 레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영으로 하도록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으로 수렴하였을 때의 상기 시프트량의 수렴값을,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하며,
    상기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시프트량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고속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재생 신호의 DC 레벨의 시간적인 변동량을 검출하는 레벨 변동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레벨 변동 검출기가,
    상기 변동량이 작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며,
    상기 변동량이 크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제어 방법.
  6.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가 DC 성분을 갖지 않은 DC 프리 부호이고, 재생 신호가 비선형성을 갖는 경우에, DC 레벨의 제어를 하는 오프셋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오프셋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어 장치는,
    재생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상기 파형 등화 수단에 의해 등화된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서 재생할 때에 이용하는 재생 클럭에 의해 다 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표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표본화된 신호를 2치화하기 위한 2치화 수단과,
    2치화된 신호를 기초로 절대치가 같고 부호가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의 출력을 적분하기 위한 제 1 적분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표본화된 신호 레벨을 전체적으로 시프트하는 레벨 시프트 회로와,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적분하기 위한 제 2 적분기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의 시프트량을 조정하는 시프트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여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증폭율을 조절 가능한 적응 제어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적응 제어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장소에 따라 특성이 다른 비선형 왜곡에 대하여도 적응적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는 기준 레벨 제어 회로와,
    동작 모드를, 트레이닝 모드와 통상 동작 모드중 어느 하나로 하는 가를 전환하는 모드 제어기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트레이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적분기의 출력이 영으로 수렴한 후, 상기 기준 레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영으로 하도록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으로 수렴하였을 때의 상기 시프트량의 수렴값을,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하며,
    상기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시프트량 조정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시프트량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적분기의 출력 신호가 영이 되도록 상기 기준 레벨을 제어하여, 고속으로 DC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제어 방법.
KR1020000007330A 1999-02-17 2000-02-16 오프셋 제어 회로 및 오프셋 제어 방법 KR100357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906099A JP3512156B2 (ja) 1999-02-17 1999-02-17 オフセットコントロール回路及びオフセットコントロール方法
JP99-39060 1999-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640A KR20010006640A (ko) 2001-01-26
KR100357641B1 true KR100357641B1 (ko) 2002-10-25

Family

ID=1254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330A KR100357641B1 (ko) 1999-02-17 2000-02-16 오프셋 제어 회로 및 오프셋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91962B1 (ko)
JP (1) JP3512156B2 (ko)
KR (1) KR100357641B1 (ko)
CN (1) CN1138255C (ko)
TW (1) TW4619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6145B2 (ja) 2000-01-17 2004-0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記録データ再生装置
US6434098B2 (en) * 2000-04-26 2002-08-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device
US7253680B2 (en) * 2003-05-21 2007-08-07 World Energy Labs (2), Inc. Amplifier system with current-mode servo feedback
US7078965B2 (en) * 2004-04-26 2006-07-18 World Energy Labs (2), Inc. Servo balancing among driver devices
JP4152257B2 (ja) * 2003-05-26 2008-09-17 三洋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用オフセット調整回路、集積回路、光ディスク装置、及びオフセット調整方法
US8958575B2 (en) * 2007-06-29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Amplifier with configurable DC-coupled or AC-coupled output
CN101257466B (zh) * 2008-03-28 2011-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对设备输出的直流偏移进行衰减的装置和方法
TWI452810B (zh) * 2011-11-08 2014-09-11 Richtek Technology Corp 電源轉換器的混合式補償電路及方法
US9385858B2 (en) * 2013-02-20 2016-07-0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Timing phase estimation for clock and data recove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182A (en) * 1987-07-01 1990-10-02 Hitachi, Ltd. Information retrieving system with level clamping
JPH0226165A (ja) * 1988-07-15 1990-01-29 Hitachi Ltd 中継装置及びpll回路
JPH07264057A (ja) * 1994-03-18 1995-10-13 Hitachi Ltd 位相同期回路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3499034B2 (ja) 1995-03-13 2004-02-23 富士通株式会社 非対称信号検出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255C (zh) 2004-02-11
JP3512156B2 (ja) 2004-03-29
JP2000243032A (ja) 2000-09-08
TW461990B (en) 2001-11-01
CN1266262A (zh) 2000-09-13
US6291962B1 (en) 2001-09-18
KR20010006640A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695B1 (ko) 기록 제어 장치,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US7215631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0357641B1 (ko) 오프셋 제어 회로 및 오프셋 제어 방법
JP4707314B2 (ja) 非対称再生信号におけるオフセットを補償する方法
US6658054B1 (en) Waveform equalizer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92838B1 (ko) 데이터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US6094408A (en) Adaptive and selective cancellation of inter-symbol interference of a read channel in storage technologies
KR100556004B1 (ko) 재생 신호 처리 장치 및 광 디스크 장치
JPH08315518A (ja) デジタル信号用信号処理装置
US7120102B2 (en) Jitter detection apparatus and jitter detection method
US6278749B1 (en) Data 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ng data
JPH1166746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
US20070115785A1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6122126A (en) Digital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and digital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detection of second harmonic distortion and bias current control
JP2861627B2 (ja) 記録情報再生装置
JP2507019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272349B1 (ko) 신호 채널의 샘플값 처리회로 및 방법
KR100272542B1 (ko) 디지탈디스크의비트데이타재생방법
JPH0798804A (ja) デイジタル磁気再生装置及びデイジタル磁気記録再生装置
JPH11185385A (ja) デ−タ・スライス回路およびデ−タ・スライス方法
JPH05334802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H01133203A (ja) 磁気記録情報の再生回路
JPH09167346A (ja) 光ディスク記録パワー制御装置
JPH0828049B2 (ja) 波形等化装置
JPS6235710A (ja) 信号レベル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