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405B1 -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 Google Patents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405B1
KR100357405B1 KR1020000006832A KR20000006832A KR100357405B1 KR 100357405 B1 KR100357405 B1 KR 100357405B1 KR 1020000006832 A KR1020000006832 A KR 1020000006832A KR 20000006832 A KR20000006832 A KR 20000006832A KR 100357405 B1 KR100357405 B1 KR 100357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shing water
filter
water suppl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422A (ko
Inventor
한상우
Original Assignee
한국탈수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탈수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탈수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6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405B1/ko
Priority to KR2020000003922U priority patent/KR200188391Y1/ko
Publication of KR2001008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61F2007/0024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상형의 여과포로 이루어진 상,하부 여과벨트 사이로 주입되는 산업폐기물을 다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이송과 동시에 가압하여 탈수시키되, 상기 상,하부 여과벨트로 이루어진 벨트프레스를 상측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설치한 'S'형 벨트프레스 또는 좌,우측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설치한 'W'형 벨트프레스를 구성하여된 산업용 탈수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인의 선출원 발명인 자동노즐을 사용하되 상기 노즐의 막힘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세정수공급펌프로 부터 공급되는 필터에 의해 거르도록 구성함은 물론 필터와 노즐사이의 세정수공급파이프의 어느 한 곳에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세정수공급파이프를 개폐하여 노즐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에어밸브를 설치하여서, 상기 세척노즐을 이용하여 여과포를 세척시 세정수에 포함되었다가 노즐구멍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세정작업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로 벨트세척중간중간에 선택적으로 차단 되었다가 공급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 함으로써 밸트세정 효율을 극대화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drying machine install auto nozzle}
본 발명은 물의 압력에 의해 노즐이 하강하면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여과포 세척 노즐을 장착하여서된 산업용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정수공급펌프로부터 노즐사이의 세정수공급파이프의 어느 한 곳에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세정수공급파이프를 개폐하여 노즐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에어밸브를 설치하여서, 상기 세척노즐을 이용하여 여과포를 세척시 세정수에 포함되었다가 노즐구멍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세척중간중간에 선택적으로 차단 되었다가 공급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 함으로써 밸트세정 효율을 높히도록 한 것이다.
산업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수많은 산업체에서는 각종 산업폐기물(가공슬러지등)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된 산업폐기물은 물과 혼합되어 지표면으로 침투하거나 하천으로 흘러들어서 환경오염의 한 원인이 되었다.
이에 산업폐기물을 탈수하여 순수한 슬러지로된 폐기물을 수거함으로써 산업폐기물의 양도 줄이고 산업폐기물이 수분에 포함되어 지표면에 스며들거나 하천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산업용탈수기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망상의 여과포로 이루어진 상,하부여과벨트 사이로 흘러들어오는 산업용폐기물을 다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회전과 동시에 가압하여 탈수시키는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상기 산업용폐기물의 탈수효과를 높히기 위해서 상,하여과벨트에 묻게되는 슬러지를 깨끗하게 세정하여 주어야만 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산업용탈수기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여과벨트 세정장치들은 거의 모두가 노즐의 수가 많이 형성된 원심펌프형 세정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노즐의 수가 많아서 세정수의 분출압력이 낮아져 세정효율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그 만큼 세정수의 양이 많이 공급되어야 함으로써 사용된 세정수를 여과하여 다시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여과기와 같은 재활용시스템이 필요하였으며, 폴리머 성분이 녹아있는 여과액을 재활용하므로 노즐의 막힘이 빈번하여 정상적인 세정이 힘들었다.
이에 본인의 선출원 발명으로써 특허등록출원 제99-21167호가 안출하였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바와같이 세정수공급파이프와 결합되도록 상측 외연에 나사결합부(11)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하단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부가 구비된 노즐삽입공(12)을 형성하여서된 노즐케이스(10)를 구성하고, 상기 노즐케이스(10)의 노즐삽입공(12)으로 양측에 돌기(21)가 형성된 링(20)의 내부로 플랜지 저면 양측에 요홈(31)이 형성되고 반으로 절개되어 한쌍으로된 노즐몸체(30)를 자중에 의해서 하단이 벌어지도록 결합하여서된 노즐(40)을 스프링(50)으로 탄지되도록 결합하여서, 살수시에는 수압의 작용으로 노즐(4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노즐몸체(30)의 선단이 오므라들도록 구성한 노즐(40)을 세정수공급파이프의 선단에 설치함으로써, 노즐(40)이 세정수를 분사시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노즐케이스(10) 안에 양측으로 벌어져있던 노즐몸체(30)가 하강하면서 노즐삽입공(12)입구로 노즐몸체(30)의 선단부분이 토출되어 세정수를 분사하고, 세정수가 중단되면 스프링(50)에 의해 노즐(40)이 상승하면서 오므라들었던 노즐몸체(30)가 다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노즐몸체(30) 안에 있던 이물질들이 노즐삽입공(12)을 통해 밖으로 나와 자동적으로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 노즐의 막힘이 전혀없고, 운전자가 수동으로 노즐을 청소하지 않아 작업중 중도에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토록 하여 현재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다.
그러나 이또한 폴리머 성분이 녹아있는 여과액을 재활용하므로 노즐(40)구멍의 막힘을 완벽하게 방지하기는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본인의 선출원 발명인 노즐을 사용하되 상기 노즐의 막힘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세정수공급펌프로부터 노즐사이의 세정수공급파이프의 어느 한 곳에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세정수공급파이프를 개폐하여 노즐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에어밸브를 설치하여서, 상기 세척노즐을 이용하여 여과포를 세척시 세정수에 포함되었다가 노즐구멍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세정작업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로 벨트세척중간중간에 선택적으로 차단 되었다가 공급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 함으로써 밸트세정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2a,도2b,도2c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본인의 선출원 발명인 자동노즐의 구성상태도로서,
도2a는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2b는 노즐몸체가 양측으로 벌려져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c는 노즐이 수압에 의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즐케이스 11 : 나사결합부
12 : 노즐삽입공 20 : 링
21 : 돌기 30 : 노즐몸체
31 : 요홈 40 : 노즐
50 : 스프링 60 : 라디알크라운(radialcrown)로울러
70 : 여과벨트 80 : 세정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망상형의 여과포로 이루어진 상,하부 여과벨트(70) 사이로 주입되는 산업폐기물을 다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이송과 동시에 가압하여 탈수시키되, 상기 상,하부 여과벨트(70)로 이루어진 벨트프레스를 상측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설치한 'S'형 벨트프레스 또는 좌,우측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설치한 'W'형 벨트프레스를 형성하여된 공지의 산업용 탈수기의 상,하부 여과벨트(70)를 고압 세정하는 세정수공급파이프(80)의 선단에 본인이 선출원한 자동노즐(40)을 설치함에 있어서,
세정수공급펌프(90)로 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걸러내는 필터(100)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100) 전방과 노즐(40)사이의 세정수공급파이프(80)에 타이머(200)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세정수공급파이프(80)를 개폐하여 노즐(40)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에어밸브(220)를 고정설치하여서, 상기 자동노즐(40)을 이용하여 여과벨트(70)를 세척시 세정수에 포함되었다가 노즐(40)구멍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세척작업 중간중간에 선택적으로 차단 되었다가 공급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세척도중에도 제거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망상형의 여과포로 이루어진 상,하부 여과벨트(70) 사이로 주입되는 산업폐기물을 다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이송과 동시에 가압하여 탈수시키되, 상기 상,하부 여과벨트(70)로 이루어진 벨트프레스를 상측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설치한 'S'형 벨트프레스 또는 좌,우측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설치한 'W'형 벨트프레스로 구성한 다음 상기 산업용탈수기의 상,하부 여과벨트(70)를 고압 세정하는 세정수공급파이프(80)와 결합된 물분사용 자동노즐(40)을 구성하여 설치완료한 다음에 산업용탈수기를 가동하면 상,하여과벨트(70)로 이루어진 벨트프레스 사이로 산업용쓰레기가 투입되면서 산업용쓰레기를 탈수하여 표면에 슬러지가 묻어있는 상태로 진행되는 상,하여과벨트(70)가 외부로 물이 튀지 못하도록 구성된 세정박스()내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세정수공급펌프(90)를 가동시키면 세정수가 고압으로 세정수공급파이프(80) 내로 압송되어 필터에 의해 세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음 세정수공급파이프(80)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다수의 노즐(40)의 노즐삽입공(12)에 스프링(50)으로 설치되고, 링(20)의 내부에 반으로 절개되어 자중에 의해 하단이 벌어지도록 결합된 한쌍의 노즐몸체(30)로 이루어진 노즐(40)이 하강하면서 상기 노즐삽입공(12) 입구로 노즐몸체(30)의 선단부분이 토출되어 벌어져 있던 노즐몸체(30)의 하단이 오므라들면서 입술모양의 장공으로된 분사공(32)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분사공(32)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망상형의 여과포로 이루어진 벨트를 깨끗하게 세척한다.
이때, 이와같이 자동노즐(40)을 이용하여 상,하여과벨트(70)를 세척하고 있는 도중에는 타이머(200)에 일정간격으로 반복작동되도록 입력된 반복시간이 되면 타이머(200)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210)가 작동하면서 에어밸브(220)의 실린더를 작동시켜서 세정수공급파이프(80)를 개폐하여 자동노즐(40)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공급한다.
이와같이 에어밸브(220)가 세정수공급파이프(80)를 밀폐하게 되면 세정수의 공급이 중단되기때문에 상기 노즐케이스(10) 안에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하강되었던 노즐(40)이 스프링(50)의 반발력으로 상승하면서 노즐몸체(30)가 다시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노즐몸체(30) 안에 있던 이물질들이 노즐삽입공(12)을 통해 밖으로 나와 자동적으로 찌꺼기기가 제거되는 것이다.
찌꺼기가 제거된 후에는 타이머(200)에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210)가 역으로 작동하면서 에어밸브(220)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후퇴하면서 밀폐되었던 세정수공급파이프(80)가 개방되기 때문에 또다시 노즐(40)로 공급되는 세정수압에 의해 한쌍의 노즐몸체(30)로 이루어진 노즐(40)이 하강하면서 상기 노즐삽입공(12) 입구로 노즐몸체(30)의 선단부분이 토출되어 벌어져 있던 노즐몸체(30)의 하단이 오므라들면서 입술모양의 장공으로된 분사공(32)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분사공(32)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망상형의 여과포로 이루어진 여과벨트(70)를 깨끗하게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자동으로 작동하는 자동노즐(40)에 의해 세척수를 분사시켜서 여과벨트(70)를 세척하는 도중에 타이머(200)의 신호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작동하는 에어밸브(220)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탈수장치 전체를 가동하고 있는 상태 즉, 세척중간중간에도 선택적으로 차단 되었다가 공급되는 고압의 세정수로 자동노즐(40)을 막고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주기 때문에 작업중단없이 벨트세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본인의 선출원 발명인 자동노즐을 사용하되 상기 자동노즐의 막힘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세정수공급펌프로 부터 공급되는 필터에 의해 거르도록 구성함은 물론 필터와 자동노즐사이의 세정수공급파이프의 어느 한 곳에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세정수공급파이프를 개폐하여 자동노즐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에어밸브를 설치하여서, 상기 자동노즐을 이용하여 여과포를 세척시 세정수에 포함되었다가 자동노즐구멍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세정작업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로 벨트세척중간중간에 선택적으로 차단 되었다가 공급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 함으로써 밸트세정 효율을 극대화한 것이다.

Claims (1)

  1. 망상형의 여과포로 이루어진 상,하부 여과벨트 사이로 주입되는 산업폐기물을 다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이송과 동시에 가압하여 탈수시키되, 상기 상,하부 여과벨트로 이루어진 벨트프레스를 상측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설치한 "S"형 벨트프레스 또는 좌,우측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설치한 "W"형 벨트프레스를 형성하여된 공지의 산업용 탈수기의 상,하부 여과벨트를 고압 세정하는 세정수공급파이프의 선단에 자동 물분사 노즐을 설치함에 있어서,
    세정수공급펌프로 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걸러내는 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 전방과 노즐사이의 세정수공급파이프에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세정수공급파이프를 개폐하여 노즐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에어밸브를 고정설치하여서, 상기 세척노즐을 이용하여 여과포를 세척시 세정수에 포함되었다가 노즐구멍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세척중간중간에 선택적으로 차단 되었다가 공급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세척도중에도 제거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KR1020000006832A 2000-02-14 2000-02-14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KR100357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832A KR100357405B1 (ko) 2000-02-14 2000-02-14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KR2020000003922U KR200188391Y1 (ko) 2000-02-14 2000-02-15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832A KR100357405B1 (ko) 2000-02-14 2000-02-14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922U Division KR200188391Y1 (ko) 2000-02-14 2000-02-15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422A KR20010081422A (ko) 2001-08-29
KR100357405B1 true KR100357405B1 (ko) 2002-11-07

Family

ID=1964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832A KR100357405B1 (ko) 2000-02-14 2000-02-14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40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98A (ja) * 1983-06-21 1985-01-10 Japan Organo Co Ltd ベルトプレス型脱水装置の洗浄水量制御方法
JPH05336854A (ja) * 1992-06-05 1993-12-21 Yamatake Honeywell Co Ltd 灌水制御装置
JPH0623306A (ja) * 1992-07-09 1994-02-01 Mitsubishi Heavy Ind Ltd 噴水制御装置
KR0126034Y1 (ko) * 1995-08-14 1998-10-01 김종진 탈수기용 탈수 벨트 자동세정장치
KR200155512Y1 (ko) * 1997-03-07 1999-10-01 김주식 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벨트 세척장치
KR200178979Y1 (ko) * 1999-11-11 2000-04-15 김정태 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장치
KR200179015Y1 (ko) * 1999-11-16 2000-04-15 박재황 산업용탈수기의 벨트세척노즐
KR200186811Y1 (ko) * 1999-11-24 2000-06-15 김정태 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98A (ja) * 1983-06-21 1985-01-10 Japan Organo Co Ltd ベルトプレス型脱水装置の洗浄水量制御方法
JPH05336854A (ja) * 1992-06-05 1993-12-21 Yamatake Honeywell Co Ltd 灌水制御装置
JPH0623306A (ja) * 1992-07-09 1994-02-01 Mitsubishi Heavy Ind Ltd 噴水制御装置
KR0126034Y1 (ko) * 1995-08-14 1998-10-01 김종진 탈수기용 탈수 벨트 자동세정장치
KR200155512Y1 (ko) * 1997-03-07 1999-10-01 김주식 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벨트 세척장치
KR200178979Y1 (ko) * 1999-11-11 2000-04-15 김정태 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장치
KR200179015Y1 (ko) * 1999-11-16 2000-04-15 박재황 산업용탈수기의 벨트세척노즐
KR200186811Y1 (ko) * 1999-11-24 2000-06-15 김정태 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422A (ko)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8391Y1 (ko)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KR101894876B1 (ko) 필터 프레스용 여과포 및 여과판 동시 세척 장치
KR100357405B1 (ko)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KR100331993B1 (ko)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KR100868337B1 (ko) 벨트프레스형 슬러지 탈수기
KR200166704Y1 (ko) 고압세정장치
KR200220279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0204010Y1 (ko)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배출장치
KR200242878Y1 (ko) 수처리장의 침사물 분리기
KR100257025B1 (ko) 슬럿지 탈수 처리장치
KR200420120Y1 (ko) 고압세척 및 절수 기능을 갖는 스크린용 세척수공급관
JP3783091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における洗浄装置
KR100832429B1 (ko) 필터프레스 여과판 자동세척장치
RU2232618C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2442884B1 (ko) 리사이클을 통한 세척수 공급 및 슬러지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프레스 탈수기
KR102449582B1 (ko) 이동식 튜브형 고액분리장치
KR200218959Y1 (ko) 이동식 걸름망을 갖는 슬러지 제거장치
KR200149923Y1 (ko) 여과장치
KR100331994B1 (ko) 라디알크라운로울러가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KR200330028Y1 (ko) 순환식 필터프레스
KR200236846Y1 (ko) 슬러지 제거장치
KR960005058Y1 (ko) 슬럿지의 탈수장치
JPS5879511A (ja) 生コン設備洗滌廃水処理時の脱水機濾布洗滌方法
KR200252258Y1 (ko) 폐수 부유물 제거 장치의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KR20190096590A (ko) 슬러지 분리 겸용 이송 파이프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