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332B1 -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332B1
KR100357332B1 KR1020010045114A KR20010045114A KR100357332B1 KR 100357332 B1 KR100357332 B1 KR 100357332B1 KR 1020010045114 A KR1020010045114 A KR 1020010045114A KR 20010045114 A KR20010045114 A KR 20010045114A KR 100357332 B1 KR100357332 B1 KR 100357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tension
bridge
mold
en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316A (ko
Inventor
용환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용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용환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10045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3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빔을 외부긴장력도입방법을 이용하여 내하력을 증강시키는 경우 외부긴장재를 정착시키는 정착단이 다단계로 구성된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은 교량의 주형 양 단부에 한 쌍의 단부정착장치를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부정착장치의 사이에 한 쌍의 중간정착장치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부정착장치와 중간정착장치를 관통하는 다수의 인장재를 교량의 주형 하측과 하부 양측 면에 각각 설치하는 제3단계와; 일부 인장재를 인장하여 각 단부를 단부정착장치에 각각 고정하고, 남은 인장재를 인장하여 상기 중간정착장치에 각각 인장고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단부정착장치와 중간정착장치와 다수의 인장재를 케이스로 복개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장치는 교량의 주형 양 단부 하측과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단부정착장치와; 단부정착장치의 사이에 위치한 교량의 주형 중간 두 지점 하측과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중간정착장치와; 상기 단부정착장치에 인장상태로 고정되거나 중간정착장치에 인장상태로 고정되는 다수의 인장재와; 상기 단부정착장치와 중간정착장치와 다수의 인장재를 복개하도록 교량의 주형 하측과 하부 양측 면에 설치고정되는 보호케이스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장재의 인장에 의한 압축력과 휨모멘트를 다단계로 도입함으로써 교량빔의 중앙부에서의 보강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교량의 양 단부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지압응력의 과도한 집중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its devices to strengthen a girder of bridge by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using multiple anchorage system}
본 발명은 교량빔을 외부긴장력도입방법을 이용하여 내하력을 증강시키는 경우 외부긴장재를 정착시키는 정착단이 다단계로 구성된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도로를 통과하는 화물운송차량의 대형화 및 중차량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하중효과는 교량의 주형에 과도한 처짐을 발생하시키고, 콘크리트 바닥에 인장균열을 발생시키는 등 교량구조물에 손상을 유발시키며, 결국 교량의 공용 내하력을 저하시키게 되어 유지관리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기설되어 있는 노후 교량의 주형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보정해주기 위해 외부 인장력을 도입한 외부긴장재 도입공법(External Prestressing Method)이 많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공법은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설치한 인장재(강연선)를 인장함으로써 교량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하중작용에 의해 교량 중앙에 발생하는 처짐을 상쇄시키는 복원력을 부여해 주는 공법으로써 효과적으로 교량의 내하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측면에서 강연선을 곡률배치시켜 정착시키는 공법으로는 지압지지정착장치를 이용한 공법과 마찰지지정착장치를 이용한 공법 등이 있고, 하단에서 정착시키는 공법으로는 직선배치로 지압지지정착장치를 이용한 공법과 가설공 및 앵커볼트를 이용한 전단지지정착장치를 이용한 공법 등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공법들이 가로보 및 지장물의 지장, 정착부의 응력집중 현상에 의한 지압콘크리트의 문제, 상부구조의 연속화할 경우 지압지지철판의 설치 곤란등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 현장 적용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인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인장재는 교량의 주형 양단부에서 정착되기 때문에 양 단부의 응력집중 현상에 의한 지압콘크리트의 문제는 더욱 심각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장력이 감소하고, 이는 다시 교량 중앙부의 처짐 및 균열을 야기시켜 인장재를 재 인장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의 주형 양 단부와 중간 부분에서 동시에 인장력을 도입하여 주형 정착부에 발생하는 국부응력의 집중을 해소하고 중앙부의 처짐 및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주형 양 단부에 한쌍의 단부정착장치를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부정착장치의 사이에 한쌍의 중간정착장치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부정착장치와 중간정착장치를 관통하는 다수의 인장재를 교량의 주형 하측과 하부 양측면에 각각 설치하는 제3단계와; 일부 인장재를 인장하여 각 단부를 단부정착장치에 각각 고정하고, 남은 인장재를 인장하여 상기 중간정착장치에 각각 인장고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단부정착장치와 중간정착장치와 다수의 인장재를 케이스로 복개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강선보강방법으로 교량의 주형에 시공되는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강선보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주형 양 단부 하측과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단부정착장치와; 단부정착장치의 사이에 위치한 교량의 주형 중간 두 지점 하측과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중간정착장치와; 상기 단부정착장치에 인장상태로 고정되거나 중간정착장치에 인장상태로 고정되는 다수의 인장재와; 상기 단부정착장치와 중간정착장치와 다수의 인장재를 복개하도록 교량의 주형 하측과 하부 양측면에 설치고정되는 보호케이스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도(보호케이스 설치 후 및 전)
도 3 및 도 4는 단부정착장치 부분 분리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중간정착장치 부분 분리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 저면도(보호케이스 설치 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 정면도(보호케이스 설치 전 및 후)
도 10은 단부정착판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1은 단부정착판의 다른 실시예 사용 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부정착장치 11 : 단부정착판
12, 23 : 지지판 13, 24 : 보강판
14, 25 : 정착헤드 15, 27 : 분할쐐기
16, 21b, 41 : 앵커볼트 17 : 지지강봉
18 : 고정정착구 20 : 중간정착장치
21 : 중간정착판 22 : 자동정착구
26 : 정착헤드캡 28 : 푸시와셔
29 : 스프링 30 : 인장재
40 : 보호케이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교량빔의 외부강선보강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량(1)의 주형(2) 하부에 설치되는데, 이를 5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로 한쌍의 단부정착장치(10)를 교량(1)의 주형(2) 양 단부 하부에 설치하는데, 상기 단부정착장치(10)는 단부정착판(11)과 고정정착구(1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부정착판(11)은 도 2 및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이 상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다수의 앵커볼트구(11a)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절곡형성된 양 측면에는 한쌍의 지지강봉구(11b)가 관통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단부정착판(11)은 교량(1)의 주형(2) 양 단부 하측과 양측면 하부에 앵커볼트(16)로 고정되는데, 이때에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형(2)의 헌치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및 도 8에서 도 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강봉(17)을 주형(2)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인양구에 삽입시켜 고정하게 되면 단부지지판(11)을 더욱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3의 미설명 부호 (17a)는 너트이다. 한편, 상기 고정정착구(18)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판(12)과 보강판(13)과 정착헤드(14)와 분할쐐기(15)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2)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단부정착판(11)의 하측과 측면에 교량(1) 주형(2)의 폭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각각 용접고정된다. 이러한 지지판(12)에는 후술할 다수의 인장재(30)가 각각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12a)가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13)은 일면이 경사지고 타면은 수직으로 형성된 사다리꼴의 판재로써, 상기 지지판(1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밑변과 수직변이 단부정착판(11)과 지지판(13)에 각각 용접 고정된다. 이러한 보강판(13)의 밑변과 수직변의 교차점에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판(13)의 용접시 형성되는 지지판(12)의 용접비드를 고려하여 비드홈(13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착헤드(14)에는 도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쐐기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쐐기구멍(14a)은 이를 관통하는 어느 하나의 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분할쐐기(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분할쐐기(15)는 이등분 또는 삼등분 된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단부정착장치(10)는 후술할 인장재(30)중 어느 하나를 지지판(12)의 관통구(12a)와 정착헤드(14)의 쐐기구멍(14a)으로 관통시키고 이를 긴장시킨 후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쐐기(15)를 쐐기구멍(14a)에 밀어넣어 인장재(30)를 고정시킴으로써 정착시키게 된다.
다음 제2단계로 상기 단부정착장치(10)의 사이에 위치한 교량(1)의 주형(2) 중간 두 지점 하부에 한쌍의 중간정착장치(20)를 설치하는데, 상기 중간정착장치(20)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정착판(21)과 자동정착구(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정착판(21)은 양단이 상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다수의 앵커볼트구(21a)를 통해 상기 단부정착장치(10)의 사이에 위치한 교량(1)의 주형(2) 중간 두 지점 하측과 양측면 하부에 앵커볼트(21b)로 고정되며, 상기 중간정착판(21) 역시 주형(2)의 헌치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동정착구(22)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정착구(18)와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지지판(23)과 보강판(24)과 정착헤드(25)와 분할쐐기(27)외에도 정착헤드캡(26)과 푸시와셔(28)와 스프링(29)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3)과 보강판(24)과 정착헤드(25)와 분할쐐기(27)는 상기한 고정정착구(18)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외에 더 구비되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먼저, 정착헤드캡(26)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착헤드(25)의 후측면, 즉 쐐기구멍(25a)의 직경이 큰쪽면을 복개하게 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정착헤드(25)의 각 쐐기구멍(25a)에 대응하는 위치에 쐐기여유홈(26a)과 스프링안착홈(26b)과 관통구(26c)가 원형 계단식으로 점차 좁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푸시와셔(28)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구(28a)가 형성된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스프링(29)은 탄성력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자동정착구(22)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장재(30)가 관통하는 정착헤드(25)와 정착헤드캡(26)의 내측에 분할쐐기(27)와 푸시와셔(28)와 스프링(29)을 쐐기구멍(25a)과 쐐기여유홈(26a)과 스프링안착홈(26b)에 각각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정착헤드(25)와 정착헤드캡(26)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중간정착장치는(20) 인장재(30)를 긴장시킬 경우 분할쐐기(27)가 쐐기여유홈(26a)측으로 약간 후진하게 되어 인장재(30)가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고 인장이 해제될 경우에는 스프링(29)의 탄성력을 받고 있는 푸시와셔(28)가 분할쐐기(27)를 앞쪽으로 밀게 되어 바로 인장재(30)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쐐기여유홈(26a)의 두께는 6㎜정도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두께가 너무 크면 인장재(30)의 신속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장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두께가 너무 작으면 분할쐐기(27)에 의해 인장재(30)가 완전 고정되어 인장력의 조정이 어렵게 된다. 한편, 상기 분할쐐기(27)와 푸시와셔(28)와 스프링(29)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할 B인장재(32)와 D인장재(34)와 F인장재(36)가 관통하는 곳에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단부정착장치(10)와 중간정착장치(20)가 설치되면 마감재를 이용하여 그 둘레면을 마감한다.
다음 제3단계로 상기한 단부정착장치(10)와 중간정착장치(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수의 인장재(30)를 교량(1)의 주형(2) 하측과 하부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단부정착장치(10)와 중간정착장치(20)를 관통시켜 설치한다. 이때 A인장재(31) 내지 E인장재(35)는 주형(2) 하측에 배치되며, 각 한쌍의 G인장재(36)와 F인장재(37)는 주형(2)의 양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인장재(30)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닥의 와이어(36a)로 이루어진 PT강연선을 외부코팅한 피복강연선으로 형성된다. 도 8의 미설명 부호 (36b)는 피복층이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피복강연선은 내부식성 및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공지기술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긴장재의 마감방법(PT강연선의 단부에 쉴드를 형성하고 그 내측을 그리이스 등으로 충진하는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매우 환경친화적이다.
다음 제4단계로, 인장재(30)를 상기와 같이 설치한 후에는, 이들을 각각 긴장한 후 고정하는데, 상기 A인장재(31)와 C인장재(33)와 E인장재(35)와 한쌍의 G인장재(37)는 인장한 후 양 단부를 상기 단부정착장치(10)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B인장재(32)와 D인장재(34)와 한쌍의 F인장재(36)는 인장한 후 상기 중간정착장치(20)에 각각 인장고정한다. 이 때 상기 중간정착장치(20)에 인장되는 B인장재(32)와 D인장재(34)와 F인장재(36)는 그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양단을 중간정착장치(20)측에 형성해도 좋지만, 인장작업의 편리성을 위해서는 길게 형성하여 그 양 단부를 단부고정장치(30)에 고정하는 것도 좋다. 여기서 상기 인장재(30)의 인장작업은 단독인장기를 사용하여 항상 좌우 대칭으로 인장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인장고정된 인장재(30)의 인장력은 A인장재(31)와 C인장재(33)와 E인장재(35)와 G인장재(37)의 경우 단부정착장치(10) 사이에 작용하고, B인장재(32)와 D인장재(34)와 F인장재(36)의 경우에는 중간정착장치(20) 사이에만 작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수의 인장재(30)가 부분적으로 도입되어 일부는 주형(2)의 양단부에서 인장력을 도입하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주형(2)의 중간부분에서 인장력을 도입하게 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마지막 5단계로, 상기 중간정착장치(20)와 단부정착장치(10)에 인장재(30)의 정착이 완료되면, 보호케이스(40)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정착장치(10)와 중간정착장치(20)와 다수의 인장재(30)를 보호케이스(40)로 복개하는데, 상기 보호케이스(40)는 도 1 및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량(1)의 주형(2) 하측과 하부 양측면에 앵커볼트(41)로 고정한다. 이러한 보호케이스(40)는 중량이 가벼운 합성수지재나 경합금으로 형성함으로써 교량(1)의 자중이 증가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미관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강선보강장치는 교량(1)에 가로보(3)가 많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단부정착장치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정착판(11′)의 단부에 보강판(11″)을 직각으로 형성해주면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11″)을 가로보(3)에 고정시킴으로써 단부정착판(11′)을 더욱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시공방법으로 시공되는 본 발명은 인장재(30)의 긴장에의한 압축력과 휨모멘트를 교량의 주형 양단에서만 도입하는 종래의 공법과는 달리 B인장재(32)와 D인장재(34)와 F인장재(36)를 통해 주형(2)의 중앙 부분에서도 동시에 도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하중작용에 의해 교량(1)의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상쇄시킴으로써 중앙 지점부의 처짐과 균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교량(1)의 보강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장대교량의 경우 중간정착장치(20)를 여러 단계로 설치하여 장착함으로써 그 보강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프리스트레싱 인장력을 다단계로 도입하기 때문에 종래 공법의 교량 양 단부에서 발생하였던 국부응력집중현상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어 단부 콘크리트에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지압응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량(1)에 가로보(3)가 많을 경우에도 이를 잘 이용하여 단부정착장치(30)를 정착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시공시 지장물의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이상의 명백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인장재의 긴장에 의한 압축력과 휨모멘트를 다단계로 도입함으로써 중앙 지점부에서의 보강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교량의 양 단부에서 발생하는 국부응력집중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코팅된 강연선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방법에서 적용하는 그라우팅이 필요없게 되어 환경적 측면에서 매우 뛰어난 장점을 가지며, 외부 보호케이스를 설치하게 되어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주형(2) 하부를 감싸듯이 양단이 상측으로 절곡형성되고 교량(1)의 주형(2) 양 단부 하측과 양측면 하부에 앵커볼트(16)로 고정되는 단부정착판(11)과, 상기 단부정착판(11)의 하측과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정착구(18)가 구비된 한쌍의 단부정착장치(10)와;
    주형(2) 하부를 감싸듯이 양단이 상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단부정착장치(10)의 사이에 위치한 교량(1)의 주형(2) 중간 두 지점 하측과 양측면 하부에 앵커볼트(21b)로 고정되는 중간정착판(21)과, 상기 중간정착판(21)의 하측과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자동정착구(22)가 구비된 한 쌍의 중간정착장치(20)와;
    교량(1)의 주형(2) 하측에 배치되어 인장상태로 양단이 상기 단부정착장치(10)에 각각 고정되는 A인장재(31)와 C인장재(33)와 E인장재(35), 교량(1)의 주형(2) 하부 양측면에 배치되어 인장상태로 양단이 상기 단부정착장치(20)에 각각 고정되는 G인장재(37), 교량(1)의 주형(2) 하측에 배치되어 인장상태로 상기 중간정착장치(20)에 각각 인장고정되는 B인장재(32)와 D인장재(34), 교량(1)의 하부 양측면에 배치되어 인장상태로 상기 중간정착장치(20)에 각각 인장고정되는 F인장재(36)로 구성된 다수의 인장재(30)와;
    상기 단부정착장치(10)와 중간정착장치(20)와 다수의 인장재(30)를 복개하도록 교량(1)의 주형(2) 하측과 하부 양측면에 설치고정되는 보호케이스(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정착구(22)가,
    보강판(24)에 의해 보강지지되는 지지판(23)의 후측에 설치되고 인장재(30) 중 어느 하나가 관통하는 정착헤드(25)와 상기 정착헤드(25) 후측에 결합고정되는 정착헤드캡(26)의 결합체 내측에 분할쐐기(27)와 푸시와셔(28)와 스프링(29)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29)이 푸시와셔(28)와 분할쐐기(27)를 밀어줌으로써 해당 인장재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장치.
  3. 교량(1)의 주형(2) 양 단부 하부에 한쌍의 단부정착장치(10)를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부정착장치(10)의 사이에 위치한 교량(1)의 주형(2) 중간 두 지점 하부에 한쌍의 중간정착장치(20)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부정착장치(10)와 중간정착장치(20)를 관통하는 다수의 인장재(30)를 교량(1)의 주형(2) 하측과 하부 양측면에 각각 설치하는 제3단계와;
    A인장재(31)와 C인장재(33)와 E인장재(35)와 한쌍의 G인장재(37)를 인장하여 각 단부를 단부정착장치(10)에 각각 인장고정하고, B인장재(32)와 D인장재(34)와한쌍의 F인장재(36)를 인장하여 상기 중간정착장치(20)에 각각 인장고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단부정착장치(10)와 중간정착장치(20)와 다수의 인장재(30)를 보호케이스(40)로 복개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
KR1020010045114A 2001-07-26 2001-07-26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및 그 장치 KR100357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14A KR100357332B1 (ko) 2001-07-26 2001-07-26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114A KR100357332B1 (ko) 2001-07-26 2001-07-26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616U Division KR200264437Y1 (ko) 2001-11-20 2001-11-20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316A KR20020021316A (ko) 2002-03-20
KR100357332B1 true KR100357332B1 (ko) 2002-10-19

Family

ID=1971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114A KR100357332B1 (ko) 2001-07-26 2001-07-26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3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657B1 (ko) 2006-03-30 2007-11-02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텐던 조립체
KR101941945B1 (ko) 2018-05-03 2019-01-24 한국시설안전공단 빅데이터 기반 능동형 교량 거더 인장응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38409B1 (ko) * 2019-03-28 2019-10-30 (주)대림이엔씨 지그재그 분산배치형 강선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05560B1 (ko) * 2021-04-30 2021-09-27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구조물의 성능 개선용 외부 긴장재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공법
KR102355734B1 (ko) 2021-03-08 2022-02-08 (주)엔텍 교량구조물의 거더 외부긴장장치
KR102391522B1 (ko) * 2021-10-21 2022-04-28 (주)대림이엔씨 이중쐐기 정착구와 편심조절 새들을 구비한 외부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265B1 (ko) * 2002-11-18 2005-08-03 노윤근 강재 교량의 내하력 증진을 위하여 단계적으로 강재에프리스트레싱 도입을 위하여 설치한 내하력 보강장치 및이를 이용한 내하력 보강방법
KR101579274B1 (ko) * 2015-01-02 2015-12-22 주식회사 명훈이앤씨 정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합성거더
KR101989164B1 (ko) * 2018-07-23 2019-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력벽 전단보강을 위한 프리스트레스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력벽 전단보강 방법
KR102205916B1 (ko) * 2018-12-19 2021-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슬래브의 휨내력 보강을 위한 프리스트레스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의 휨내력 보강방법
CN114960482A (zh) * 2022-06-20 2022-08-30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 一种安全高效解除体外预应力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657B1 (ko) 2006-03-30 2007-11-02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텐던 조립체
KR101941945B1 (ko) 2018-05-03 2019-01-24 한국시설안전공단 빅데이터 기반 능동형 교량 거더 인장응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38409B1 (ko) * 2019-03-28 2019-10-30 (주)대림이엔씨 지그재그 분산배치형 강선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55734B1 (ko) 2021-03-08 2022-02-08 (주)엔텍 교량구조물의 거더 외부긴장장치
KR102305560B1 (ko) * 2021-04-30 2021-09-27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구조물의 성능 개선용 외부 긴장재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공법
KR102391522B1 (ko) * 2021-10-21 2022-04-28 (주)대림이엔씨 이중쐐기 정착구와 편심조절 새들을 구비한 외부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316A (ko)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5752B2 (en) Anchor system with substantially longitudinally equal wedge compression
KR100357332B1 (ko)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방법및 그 장치
KR102119436B1 (ko) 보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JP5388318B2 (ja) 橋梁補強構造及び橋梁補強方法
KR100388078B1 (ko) 교량 보수 보강장치 및 그 공법
JP2004324265A (ja) 橋梁の落橋防止装置及び移動制限装置並びに落橋防止工法
JP3373426B2 (ja) 斜張橋ケーブル用サドル構造体
KR100860796B1 (ko) 상하 대칭 또는 비대칭 정착브라켓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연속화 방법
JP2744955B2 (ja) ゲルバー橋ヒンジ部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200184684Y1 (ko) 교량의 부모멘트 방지장치
KR200264437Y1 (ko) 다단계 정착장치를 이용한 교량빔의 외부긴장재보강장치
KR20040091350A (ko) 피에스에스 거더
JP2002332610A (ja) 橋梁類の塔頂サドル構造および橋梁類の塔頂サドル施工法
KR100426611B1 (ko) 교량의 외부 강선 보강을 위한 연결장치
KR100254056B1 (ko) 교량 주형의 보수 보강 방법 및 장치
JP4493245B2 (ja)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CN107268460B (zh) 一种桥梁加固装置
KR100466017B1 (ko) 교량의 강상자형 주형보 보강공법 및 그 구조
KR20200061868A (ko) 2차 긴장을 이용한 거더교의 보강장치 및 방법
KR100442969B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방법 및 그 장치
KR200278091Y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KR100373522B1 (ko) 합성 정착보강부를 이용한 강판형교의 강선 보강공법 및그 장치
KR20050024804A (ko) 거더 교량의 거더와 가로보와의 사이의 슬래브 하면의단면을 보강하는 단면 증설보강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JPS5927819B2 (ja) アンボンド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工法
KR200208848Y1 (ko) 합성 정착보강부를 이용한 강판형교의 강선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