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237B1 - 응집제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응집제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237B1
KR100356237B1 KR1020000045363A KR20000045363A KR100356237B1 KR 100356237 B1 KR100356237 B1 KR 100356237B1 KR 1020000045363 A KR1020000045363 A KR 1020000045363A KR 20000045363 A KR20000045363 A KR 20000045363A KR 100356237 B1 KR100356237 B1 KR 10035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coagulant
flocculant
air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1810A (ko
Inventor
인효석
Original Assignee
인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효석 filed Critical 인효석
Priority to KR102000004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2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 또는 정수장에서 사용되는 응집제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응집제 용해장치는 응집제를 일시 저장하는 응집제저장호퍼와, 일측 말단이 응집제저장호퍼와 연결되는 응집제공급기와, 응집제공급기 타측 말단에 연결 설치되는 와류발생기와, 와류발생기와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공기ㆍ응집제공급관과, 응집제가 용해되는 용해수를 공급하는 용해수공급펌프와, 일측 말단이 용해수공급펌프와 연결되는 용해수공급관과, 공기ㆍ응집제공급관의 타측 말단과 연결되는 제1유입부와 용해수공급관의 타측 말단과 연결되는 제2유입부와 배출부를 포함하는 이젝터와, 이젝터의 배출부와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혼합물공급관과, 교반기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축과 교반축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용해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집제 용해장치는 혼합물공급관의 타측 말단에 볼탱크가 추가로 설치되거나, 와류발생기와 공기ㆍ응집제공급관사이에 습기차단수단이 추가로 설치되거나, 용해수공급관과 공기ㆍ응집제공급관상이에 양측 말단이 연결되며 개폐밸브를 갖는 세척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Description

응집제 용해장치{POLYMER MIXING FEED SYSTEM}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 또는 정수장에서 사용되는 응집제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응집제 용해장치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실2000-0005013)에 게재되거나,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실0113114)에 게재된 것 등이 있다.
종래의 응집제 용해장치는 응집제를 주로 임펠러가 설치된 용해조에서 용해시키므로, 용해조가 응집제 공급장치에서 용해조로 고르게 분산되어 공급되지 않으면 응집제가 뭉쳐서 잘 용해되지 않거나 용해액의 농도가 균일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응집제는 특성상 공기중의 습기 및 용해조로부터 증발하는 습기를 쉽게 흡수하여 응고 또는 고형화되므로, 장기간 방치하거나 관리가 소홀할 경우 용해장치에 잔류하는 응집제의 응고 또는 고형화로 용해장치의 고장을 초래하거나 응집제를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응집제를 고르게 분산ㆍ투입하고 응집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응집제공급기로부터 유입된 응집제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발생기와,용해조에 유입되기 전에 응집제를 용해수에 고르게 분산ㆍ용해시키는 이젝터와 혼합물공급관과 볼탱크를 포함하는 응집제 용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응집제 용해장치의 작동 중단중 응집제 용해장치 내부에 잔류하는 응집제를 제거하고, 용해조로부터 증발하여 유입되는 수증기를 대기중에 방출하기 위하여, 세척관과 습기차단수단을 포함하는 응집제 용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발명은 용해조에서의 응집제 용해도를 높이고, 용해액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기위하여 용해조의 바닥부를 곡선형으로 하고, 용해조 내부에 임펠러가이드 및 가이드베인을 설치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제 용해장치의 개략도.
도2는 도1의 좌측면도.
도3은 도1의 평면도.
도4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와류발생기 작동시의 습기차단수단 작동상태도.
도4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와류발생기 작동중단시의 습기차단수단 작동상태도.
도5는 도1의 AA'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응집제저장호퍼 12:응집제공급기
12a:응집제공급기통 12b:스크루컨베이어
M:회전동력장치 13:스크루컨베이어구동축
14:와류발생기 16:공기공급관
18:송풍기 20:습기차단수단
20a:습기차단관 20b:습기차단판
20c:에어벤트 22:공기ㆍ응집제공급관
24:이젝터 24a:제1유입부
24b:제2유입부 24c:배출부
26:용해수공급펌프 28:용해수공급관
30:혼합물공급관 32:볼탱크
34:용해조유입관 36:용해조
36a:용해조 천정부 36b:용해조 바닥부
36c:용해조 측면부 38:교반기
40:교반축 42:침전방지용 임펠러
44:임펠러가이드 46:가이드베인
48:상부 임펠러 50:세척관
50a:세척밸브 52:바이패스관
52a:바이패스밸브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응집제를 일시 저장하는 응집제저장호퍼와,
일측 말단이 응집제저장호퍼와 연결되는 응집제공급기와,
응집제공급기 타측 말단에 연결 설치되는 와류발생기와,
와류발생기와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공기ㆍ응집제공급관과,
응집제가 용해되는 용해수를 공급하는 용해수공급펌프와,
일측 말단이 용해수공급펌프와 연결되는 용해수공급관과,
공기ㆍ응집제공급관의 타측 말단과 연결되는 제1유입부와, 용해수공급관의 타측 말단과 연결되는 제2유입부와, 배출부를 포함하는 이젝터와,
이젝터의 배출부와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혼합물공급관과,
교반기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축과 교반축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용해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용해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젝터의 제2유입부와 배출부의 연결선이 벤츄리관을 형성는 응집제용해장치를 제공하기도 하고, 혼합물공급관의 내부에는 와선형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응집제용해장치를 제공하기도 하며, 혼합물공급관의 타측 말단에는 내부에 볼(ball)을 포함하는 볼탱크가 연결되는 응집제용해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류발생기와 공기ㆍ응집제공급관사이에 습기차단수단이 추가로 설치되며, 습기차단수단은 와류발생기 작동시에는 와류발생기와 공기ㆍ응집제공급관사이를 개방하고, 와류발생기 미작동시에는 와류발생기와 공기ㆍ응집제공급관사이를 폐쇄시키는 습기차단판을 포함하는 응집제용해장치를 제공하기도 하며,습기차단수단은 습기차단판과 상기 공기ㆍ응집제공급관의 상기 일측 말단사이에, 대기중에 개방되어 있는 에어벤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응집제용해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해조의 바닥부가 용해조의 측면부와 곡선형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임펠러는 용해조의 바닥 근처에 설치되는 응집제용해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반축이 원통형의 임펠러가이드 내부에 설치되고, 임페러가이드 내부에는 임펠러가 설치되고, 임펠러 가이드 외부에는 일정 높이의 가이드베인이 용해조 바닥부에 설치되고, 임펠러 상부에는 상부 임펠러가 추가로 설치되는 응집제용해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해수공급관과 용해조에 양측 말단이 연결되며, 개폐밸브를 갖는 바이패스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응집제용해장치를 제공하기도 하며, 용해수공급관과 공기ㆍ응집제공급관상이에 양측 말단이 연결되며, 개폐밸브를 갖는 세척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응집제용해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제 용해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2는 도1의 좌측면도를 나타내고, 도3은 도1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4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와류발생기 작동시의 습기차단수단 작동상태도를 나타내고, 도4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와류발생기 작동중단시의 습기차단수단 작동상태도를 나타내고, 도5는 도1의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집제용해장치는 응집제저장호퍼(10)를 갖는다. 응집제저장호퍼(10)는 상부가 원통형이며, 하부가 원추형이다.
원추형인 응집제저장호퍼(10)의 하부는 응집제공급기(12)의 일측 말단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측 말단의 측면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응집제공급기(12)는 속이빈 응집제공급기통(12a)과 그에 내장된 스크루컨베이어(screw conveyor)(12b)(축에 나사선 모양의 날개가 달린 컨베이어를 의미함)를 갖는다. 스크루컨베이어(12b)는 회전 동력장치(M)에 연결된 스크루컨베이어 구동축(13)에 연결된다.
응집제공급기(12) 타측 말단에는 와류발생기(14)가 연결 설치된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응집제공급기(12)의 타측 말단부의 응집제공급기통(12a)은 스크루컨베이어(screw conveyor)(12b) 날개 외주보다 약간 큰 원통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크루컨베이어(screw conveyor)(12b) 날개를 내부에 포함하는 한 어떤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4a와 도4b를 참조하면, 와류발생기(14)는 스크루컨베이어(12b)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기공급관(16)과 연결되며, 공기공급관(16)은 송풍기(18)에 연결된다.
도4a와 도4b를 참조하면, 와류발생기(14) 말단에는 습기차단수단(20)가 연결된다. 습기차단수단(20)은 습기차단관(20a)과 습기차단판(20b)과 에어벤트(20c)를 포함하는데, 습기차단판(20b)은 습기차단관(20a)의 단면보다 약간 작거나 단면에 근접한 얇고 가벼운 판으로 습기차단관(20a)의 내벽에 길이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에어벤트(20c)는 습기차단관(20a)에 관통 연결되어 대기중에 개방된다. 또한, 에어벤트(20c)는 습기차단판(20b)이 습기차단관(20a)과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공기 및 응집제 혼합물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여 습기차단판(20b)면이 습기 차단관(20a) 내벽과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습기차단관(20a)은 도4a, 도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습기차단판(20b) 설치부를 중심으로 "ㄱ"자 형으로 아래로 굽어있고, 에어벤트(20c)는 습기차단판(20b)이 습기차단관(20a)을 차단한 경우 습기차단관(20a)의 아랫부분과 일자형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습기차단관(20a)은 습기 차단판(20b) 설치부를 중심으로 일자형으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습기차단수단(20)은 습기차단관(20a)에 있어서 습기차단판(20b)이 설치되는 부위의 단면을 와류발생기(14)의 타측 말단의 단면보다 크게하여, 와류발생기(14)의 작동유무에 따라 습기차단판(20b)을 습기차단관(20a)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와류발생기(14)와 후술하는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사이를 개폐 할 수도 있다. 또한, 습기차단수단(20)은 습기차단판(20b)과 에어벤트(20c)를 동시에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습기차단수단(20)은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의 일측 말단에 연결되고,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의 타측 말단은 이젝터(24)의 제1유입부(24a)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 이젝터(24)의 제1유입부(24a)와 연결되는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의 타측 말단부의 단면적은 서서히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젝터(24)의 제1유입부(24a)의 단면적이 서서히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의 타측 말단부의 단면적과 이젝터(24)의 제1유입부(24a)의 단면적은 균일할 수도 있다.
다시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이젝터(24)는 제1유입부(24a)외에 제2유입부 (24b)와 배출부(24c)를 추가로 갖는데, 제2유입부(24b)에는 용해수공급펌프(26)에 연결된 용해수공급관(28)의 일측 말단이 연결되고, 배출부(24c)에는 혼합물공급관(30)의 일측 말단이 연결된다.
이젝터(24)는 제2유입부(24b)와 배출부(24c)의 연결선이 벤츄리관을 형성하고, 제1유입부(24a)는 상기 노즐부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 일실시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젝터(24)의 제2유입부(24b)와 배출부(24c)의 단면적은 균일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젝터(24)의 배출부(24c)에는 혼합물공급관(30)의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데, 혼합물공급관(30)의 내벽에는 와선형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혼합물공급관(30)의 타측 말단은 내부에 볼(ball)을 포함하는 볼탱크(32)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볼탱크(32)에 내장되는 볼의 크기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볼탱크(30)의 상단부에는 용해조 유입관(34)의 일측 말단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혼합물공급관(30)은 볼탱크(32)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고, 용해조 유입관(34)은 볼탱크(3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용해조 유입관(34)의 타측 말단은 용해조(36)를 관통하여 용해조 바닥부(36b)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 일실시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해조 유입관(34)의 타측 말단은 용해조(36)의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용해조(36)는 용해조 천정부(36a)와 용해조 측면부(36c)와 용해조 바닥부 (36b)를 포함하는데, 용해조 바닥부(36b)는 용해조 측면부(36c)와 곡선형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조(36) 내부에는 교반기(38)에 의해 구동하는 교반축(40)이 용해조 바닥부(36b) 근처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교반축(40)은 원통형의 임펠러가이드(44) 내부에 설치되고, 임페러가이드(44) 내부에는 침전방지용 임펠러(42)가 설치된다. 임펠러가이드(44)는 임펠러지지대(도면 미도시)에 설치되거나, 용해조 바닥부(36b)에 직접 설치되는데 어느 경우에나 임펠러가이드(44) 상부를 통하여 유입된 혼합물이 임펠러가이드(44) 하부를 통하여 후술하는 가이드베인(46) 설치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임펠러가이드(44)의 바깥쪽에는 일정 높이의 가이드베인(46)이 용해조 바닥부(36b)에 설치된다. 도5을 참조하면, 가이드베인(46)은 용해조 천정부(36a)에서 내려다 봤을때 와선형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직선형이어도 무방하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교반축(40)에는 임펠러가이드(44)의 윗부분에 상부 임펠러(48)가 설치된다.
한편, 용해수공급관(28)과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은 세척관(50)의 말단과 각각 관통되어 연결되고, 세척관(50)은 세척밸브(50a)가 설치된다. 세척관(50)이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을 관통하는 지점은 습기차단수단(20)에 가까운 것이 좋다.
또한, 용해수공급관(28)과 용해조(36)에는 바이패스관(52)의 양측 말단이 연결되고, 바이패스관(52)은 바이패스밸브(52a)를 갖는다.
이하,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응집제용해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응집제저장호퍼(10)의 원추형 하단부를 통해 응집제공급기통(12a)에 응집제가 유입되고, 스크루컨베이어 구동축(13)이 회전함에 따라 스크루 컨베이어(screw conveyor)(12b)가 회전하여 응집제를 와류발생기(14)에 공급한다.
도4a를 참조하면, 와류발생기(14)에는 송풍기(18)가 작동함에 따라 공기공급관(16)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와류가 발생한다. 와류발생기(14)에 발생한 와류는 스크루컨베이어(screw conveyor)(12b)에 의해 유입된 응집제를 밀도가 균등한 분진의 상태로 분산시켜 공기 및 응집제를 습기차단수단(20)에 공급한다.
습기차단수단(20)에 유입된 공기 및 응집제는 압력에 의해 습기차단판(20b)을 공기 및 응집제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시켜 에어벤트(20c)를 차단하고, 습기차단수단(20)를 지나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에 유입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공기 및 응집제는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을 지나 이젝터(24)의 제1유입부(24a)에 유입된다.
한편, 용해수공급펌프(26)의 작동에 의해 용해수공급관(28)에 응집제를 용해시키는 용해수가 유입되고, 용해수공급관(28)에 유입된 용해수는 이젝터(24)의 제2유입부(24b)에 유입된다.
이젝터(24)의 제2유입부(24b)와 배출부(24c)의 연장선은 벤츄리관을 형성하므로, 노즐부의 압력이 낮아져서 노즐부에 위치한 제1유입부(24a)로부터 공기 및 응집제가 빠른 속도로 유입되어 배출부(24c)에는 공기와 응집제와 용해수 혼합물이 흐르게 된다.
공기와 응집제와 용해수 혼합물은 배출부(24c)를 지나 혼합물공급관(30)을 통과한다. 혼합물공급관(30)은 내부에 와선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공기와 응집제와 용해수 혼합물이 와류를 형성하게 되므로, 응집제가 더욱 작은 입자로 되고 용해수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응집제의 용해도가 증가한다.
혼합물공급관(30)을 통과한 공기와 응집제와 용해수 혼합물은 볼탱크(32)를 통과하면서 볼과 충돌하게 되므로 응집제의 미세화는 더욱 촉진되고 물분자와의 충돌회수도 증가하므로 용해도가 가일층 증가하게 된다.
공기와 응집제와 용해수 혼합물은 볼탱크(32)를 지나 용해조유입관(34)을 통하여 용해조 바닥부(36b)에 유입된다.
한편, 교반기(38)기가 작동함에 따라 교반축(4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교반축(40)에 고정된 침전방지용 임펠러(42)가 회전한다.
침전방지용 임펠러가 회전하면, 임펠러가이드(44)의 하단부를 통해 임펠러 가이드(44)의 외부로 응집제 및 용해수 혼합물이 유출되고, 임펠러 가이드(44)의 상단부를 통해 임펠러가이드(44)의 내부로 응집제 및 용해수 혼합물이 유입된다.
임펠러가이드(44)의 하단부를 통해 임펠러가이드(44)의 외부로 유출된 응집제 및 용해수 혼합물은 임펠러가이드(44)의 바깥쪽에 설치된 와선형의 가이드베인(46)을 따라 용해조 바닥부(36b)로부터 용해조 측면부(36c)를 거쳐 용해조 상부로 이동한다. 용해조 상부로 이동한 응집제 및 용해수 혼합물은 다시 임펠러가이드(44)의 상단부를 통해 임펠러가이드(44)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침전방지용 임펠러(44)가 용해조 바닥부(36b) 근처에서 회전함에 따라 응집제가 교반축(40)을 중심부로 하여 "U"자형 유동을 계속하므로 응집제가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용해조유입관(34) 말단부가 용해조 바닥부 (36b)에 위치하여 용해조유입관(34) 내부의 응집제가 "U"자형 유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점에 유입되므로 용해조 상부에 유입되는 것보다 용해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암펠러가이드(44)의 윗부분에 설치된 상부 임펠러(48)가 회전함으로써 응집제의 분진화 및 물분자와의 충돌횟수를 증가시키므로 응집제의 용해도가 증가한다.
한편, 용해조(36) 내부에 용해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바이패스밸브(52a)를 열어 바이패스관(52)을 통하여 급수가 신속히 이루어 지도록 한다.
응집제 공급 중단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4a를 참조하면, 응집제공급기(12) 작동이 중단된 후에도 일정 시간동안 와류발생기(14)가 작동되어 와류발생기(14)에 유입된 응집제가 습기차단수단(20)과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을 거쳐 이젝터(24)에 유입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응집제공급기(12) 작동이 중단되면, 세척관(50)의 세척밸브(50a)가 열려 세척관(50)으로부터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에 용해수가 유입되어,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 하부와 이젝터(24)의 제1유입부(24a)에 남아 있는 응집제를 세척하여, 이젝터(24)의 배출부(24c)를 통하여 응집제공급기(12) 작동시와 동일하게 응집제를 용해조(36)에 공급한다.
와류발생기(14)에 공급된 응집제가 모두 용해조(36)에 공급되면, 와류발생기 (14)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송풍기(18)와, 용해수공급펌프(26)의 작동을 중단한다.
도4b를 참조하면, 와류발생기(14)의 작동이 중단되면 습기차단판(20b)이 와류발생기(14)쪽으로 회전하여, 와류발생기(14)와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사이를 차단하고 에어벤트(20c)를 개방함으로써 공기ㆍ응집제공급관(22)으로부터 올라오는 수증기가 와류발생기(14)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기로 유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장기간 가동 중단시에는 바이패스밸브(52a)를 열어 바이패스관(52)을 통하여 이젝터(24)와 혼합물공급관(30)과 볼탱크(32)에 남아 있는 용해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일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일실시예는 응집제저장호퍼(10)의 상부는 원통형이고, 하부는 원추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의 형태는 육면체형이고, 하부는 사면체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일실시예에서는 응집제공급기(12)가 스크루컨베이어를 포함하도록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기어와, 일정한 지점에서 기어의 이빨과 접촉하여 일정한 양의 응집제를 와류발생기(14)에 공급하고, 접촉한 이빨과 분리시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는 장치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는 습기차단수단(20)를 포함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는 습기차단수단(2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는 혼합물공급관(30)의 내벽에 와선형 안내돌기를 형성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선형태의 안내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안내돌기를 전혀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는 혼합물공급관(30)과 볼탱크(32)와 용해조유입관(34)을 포함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는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둘을 모두 포함하거나, 둘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일실시예는 용해조 바닥부(36b)가 곡선부를 형성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는 곡선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는 임펠러가이드(44)와 가이드베인(46)을 포함하였으나, 다른실시예는 임펠러가이드(44)와 가이드베인(46)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어느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는 침전방지용 임펠러(42)와 상부 임펠러(48)를 포함하는데, 다른 실시예는 침전방지용 임펠러(42)와 상부 임펠러(48)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는 세척관(50)을 포함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는 세척관(5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는 바이패스관(52)을 포함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는 바이패스관 (52)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와류발생기에 의해 응집제를 고르게 분산시키고, 이젝터와 혼합물공급관과 볼탱크를 구비함으로써 응집제가 용해수에 고르게 혼합ㆍ용해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해조에 임펠러가이드와 가이드베인을 설치하고 용해조 바닥부를 곡선형으로 함으로써 용해조내의 용해액의 용해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세척관을 설치하여 응집제 공급중단 후 응집제 용해장치내의 응집제를 제거하고, 습기차단수단을 구비하여 용해조로부터 유입되는 수증기를 대기중으로 방출함으로써, 응집제 용해장치내에 응집제가 잔류하여 응고 및 고형화되어 응집제 용해장치에 고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0)

  1. 응집제를 일시 저장하는 응집제저장호퍼와,
    일측 말단이 상기 응집제저장호퍼와 연결되는 응집제공급기와,
    상기 응집제공급기 타측 말단에 연결 설치되는 와류발생기와,
    상기 와류발생기와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공기ㆍ응집제공급관과,
    상기 응집제가 용해되는 용해수를 공급하는 용해수공급펌프와,
    일측 말단이 상기 용해수공급펌프와 연결되는 용해수공급관과,
    상기 공기ㆍ응집제공급관의 타측 말단과 연결되는 제1유입부와, 상기 용해수공급관의 타측 말단과 연결되는 제2유입부와, 배출부를 포함하는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의 상기 배출부와 일측 말단이 연결되는 혼합물공급관과,
    교반기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용해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용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2유입부와 상기 배출부의 연결선이 벤츄리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용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공급관은 내부에 와선형 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집제용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공급관의 타측 말단에는 내부에 볼(ball)을 포함하는 볼탱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용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공급관의 타측 말단에는 내부에 볼(ball)을 포함하는 볼탱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용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기와 공기ㆍ응집제공급관사이에는 습기차단수단이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습기차단수단은 상기 와류발생기 작동시에는 상기 와류발생기와 공기ㆍ응집제공급관사이를 개방하고, 상기 와류발생기 미작동시에는 상기 와류발생기와 상기 공기ㆍ응집제공급관사이를 폐쇄시키는 습기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용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수단은,
    상기 습기차단판과 상기 공기ㆍ응집제공급관의 상기 일측 말단사이에, 대기중에 개방되어 있는 에어벤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용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조의 바닥부는 측면부와 곡선부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용해조의 바닥 근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용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축은 원통형의 임펠러가이드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임페러가이드 내부에는 상기 임펠러가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 가이드 외부에는 일정 높이의 가이드베인이 상기 용해조 바닥부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 상부에 상부 임펠러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용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수공급관과 상기 공기ㆍ응집제공급관상이에 양측 말단이 연결되며, 개폐밸브를 갖는 세척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용해장치.
KR1020000045363A 2000-08-04 2000-08-04 응집제 용해장치 KR10035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363A KR100356237B1 (ko) 2000-08-04 2000-08-04 응집제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363A KR100356237B1 (ko) 2000-08-04 2000-08-04 응집제 용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810A KR20020011810A (ko) 2002-02-09
KR100356237B1 true KR100356237B1 (ko) 2002-10-18

Family

ID=1968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363A KR100356237B1 (ko) 2000-08-04 2000-08-04 응집제 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2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26B1 (ko) * 2010-11-10 2013-04-23 주식회사 포스코 안수 중의 불순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1463130B1 (ko) * 2014-05-26 2014-11-21 주식회사 네오텍 자외선 소독 설비 석영관의 화학세척 시스템 및 화학 세척 방법
KR20190010417A (ko) * 2017-07-20 2019-01-30 (주)네이처와이드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작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245B1 (ko) * 2002-07-15 2004-12-17 김승희 약품 용해장치
KR100831243B1 (ko) * 2007-11-23 2008-05-22 디에스환경기술 주식회사 응집제공급장치
KR100862394B1 (ko) * 2008-02-25 2008-10-13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0840937B1 (ko) * 2008-03-14 2008-06-24 디에스환경기술 주식회사 응집제공급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0614A (en) * 1976-06-18 1978-07-11 Houdaille Industries, Inc. Method for polymer dissolution
KR950002845U (ko) * 1993-07-19 1995-02-16 강영철 회전의자의 높이 조정장치
KR19980033608U (ko) * 1996-12-09 1998-09-05 김종진 폐수처리용 약품의 자동 투입장치
KR19990025732U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분말약품 용해장치
JPH11179187A (ja) * 1997-12-24 1999-07-06 Terunaito:Kk 分散機構付き粉体供給機並びにそれを用いた高分子水溶液の調製方法及び廃水または高含水泥土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0614A (en) * 1976-06-18 1978-07-11 Houdaille Industries, Inc. Method for polymer dissolution
KR950002845U (ko) * 1993-07-19 1995-02-16 강영철 회전의자의 높이 조정장치
KR19980033608U (ko) * 1996-12-09 1998-09-05 김종진 폐수처리용 약품의 자동 투입장치
KR19990025732U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분말약품 용해장치
JPH11179187A (ja) * 1997-12-24 1999-07-06 Terunaito:Kk 分散機構付き粉体供給機並びにそれを用いた高分子水溶液の調製方法及び廃水または高含水泥土の処理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26B1 (ko) * 2010-11-10 2013-04-23 주식회사 포스코 안수 중의 불순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1463130B1 (ko) * 2014-05-26 2014-11-21 주식회사 네오텍 자외선 소독 설비 석영관의 화학세척 시스템 및 화학 세척 방법
KR20190010417A (ko) * 2017-07-20 2019-01-30 (주)네이처와이드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143790B1 (ko) * 2017-07-20 2020-08-12 (주)네이처와이드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810A (ko) 200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748B1 (ko) 수처리 시스템
US4580904A (en) Device for obtaining high-quality mixtures of solids and liquids extending to the colloidal system or to coagulation intended for treating water or for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s
KR100356237B1 (ko) 응집제 용해장치
KR100635531B1 (ko) 집진이 가능한 복합 분말약품주입장치
JP3372246B2 (ja) ダイオキシンなどの,有害物質が含まれる有害ガスの浄化方法及び装置
JP4854942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200218465Y1 (ko) 정수용 혼화장치
KR101166805B1 (ko) 2단 혼화 분말폴리머 용해장치
CN212559598U (zh) 一种沉淀池
JP3184729B2 (ja) 混合溶解装置
KR200396166Y1 (ko) 집진이 가능한 복합 분말약품주입장치
KR101369979B1 (ko) 선회와류식 고속응집장치
KR100462245B1 (ko) 약품 용해장치
JP2723809B2 (ja) 濁水処理装置
KR102406985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폐수 중화처리장치
KR102383450B1 (ko) 수처리용 폴리머 용해장치
KR200172329Y1 (ko) 폭기식 폐수처리 장치
KR100440716B1 (ko) 수처리용 고체약품 투입기
CN207951246U (zh) 一种带控制系统的调节池
KR102039735B1 (ko) 산화처리 및 슬러지 제거능이 우수한 상수처리용 정화시스템
KR200194312Y1 (ko) 분말 폴리마 용해장치 구조
KR102413221B1 (ko) 약품 혼합이 용이한 라인믹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KR200208473Y1 (ko) 자흡식 세정 탈취기
CN220788124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0663631B1 (ko) 회전식 약액운 혼합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