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220B1 -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220B1
KR100356220B1 KR1019990065090A KR19990065090A KR100356220B1 KR 100356220 B1 KR100356220 B1 KR 100356220B1 KR 1019990065090 A KR1019990065090 A KR 1019990065090A KR 19990065090 A KR19990065090 A KR 19990065090A KR 100356220 B1 KR100356220 B1 KR 10035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ase plate
rearview mirror
present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219A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2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쪽면에는 철부를 형성하고, 이곳과 마주 접하는 패드의 안쪽면에는 요부를 형성하여 이것들을 서로 요철 결합시키는 구조로 함께 결합함으로써, 패드의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패드를 정확하게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Structure for mounting pad of rearview mirror in autom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패드를 요철로 결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후사경(rearview mirror)은 운전자가 주행 중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을 볼 수 있는 수단이다.
이러한 후사경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미러(19)가 부착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을 받쳐주면서 도어측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있는 보스(16)를 이용하여 도어측 브라켓(미도시)에 스크류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도어측 브라켓 사이에는 패드(14)가 함께 삽입되고, 패드(14)는 홀(18)을 통해 보스(16)의 주위에 끼워지면서 안쪽면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양면 테이프(15)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안쪽면과 접착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즉, 패드의 가장자리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붙히고 난 다음,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어측에 스크류로 체결한다.
그러나, 기존의 후사경에서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패드를 부착하기 때문에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의 꼭지점 부위가 제대로 붙지 않아 자주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양면 테이프의 접착 위치가 많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접착위치가 제대로 맞지 않아 불량율이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쪽면에는 철부를 형성하고, 이곳과 마주 접하는 패드의 안쪽면에는 요부를 형성하여 이것들을 서로 요철 결합시키는 구조로 함께 결합함으로써, 패드의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패드를 정확하게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자동차용 후사경을 보여주는 정면도도 2는 종래의 패드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도 3은 종래의 패드 안쪽면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안쪽면을 보여주는 배면도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베이스 플레이트
12 : 요부 13 : 철부
14 : 패드 15 : 양면 테이프16 : 보스 17 : 도어측 베이스18 : 홀 19 : 미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장착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있는 보스(16)를 통해 도어측 브라켓에 스크류로 체결하여 후사경을 설치하는 구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도어측 브라켓(17) 사이에 패드(14)를 삽입하여 체결할 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안쪽면에는 다수의 철부(13)를 형성하는 동시에 패드(14)의 안쪽면에는 상기 철부(13)와 일대일 대응하는 다수의 요부(12)를 형성하여 이것들(12),(13)을 요철결합시킴으로써, 패드(14)를 양면 테이프없이 베이스 플레이트(11)상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패드(14)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도어측 브라켓(17) 사이에 삽입 장착되는데, 이때의 패드(14)와 베이스 플레이트(11)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요철부(12),(13)가 형성되어 서로 요철결합되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요철부(12),(13)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1)와 패드(14) 어느 곳에 형성하여도 상관이 없으며, 상기 요부(12)는 철부(13)보다 조금 넓게 형성하여 철부(13)가 용이하게 요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패드(14)는 안쪽면의 요부(12)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안쪽면에 있는 철부(13)에 맞춰 끼우게 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1)상에 일체식으로 조립되면서 도어측 브라켓(17)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요철결합을 이용하여 패드를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장착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패드의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견고하고 정확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미러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그 보스를 통해 도어측 브라켓에 스크류로 체결 설치할 때, 그 사이에 패드가 함께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안쪽면에는 다수의 요부(12)가 형성되는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쪽면에는 다수의 철부(13)가 형성되어서, 패드는 요부(12)와 철부(13)의 결합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결합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 체결시 그 사이에 함께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
  2. 삭제
KR1019990065090A 1999-12-29 1999-12-29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 KR100356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090A KR100356220B1 (ko) 1999-12-29 1999-12-29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090A KR100356220B1 (ko) 1999-12-29 1999-12-29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219A KR20010065219A (ko) 2001-07-11
KR100356220B1 true KR100356220B1 (ko) 2002-10-18

Family

ID=1963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090A KR100356220B1 (ko) 1999-12-29 1999-12-29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2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219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1806B2 (ja) 自動車用バックミラー
KR20220014871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56220B1 (ko) 자동차용 후사경의 패드 장착구조
JP2546515Y2 (ja) 車両用窓の取付構造
JPH0414284Y2 (ko)
CN217294386U (zh) 汽车内后视镜
JPH0144327Y2 (ko)
JPH0641857Y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3252698B2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ガラスの取付構造
JP2002193053A (ja) 車両用バンパと車体パネルとの合わせ部管理構造
JPS5835555Y2 (ja) 車両用ル−ムミラ−の取付構造
KR970005166Y1 (ko) 자동차의 뒷유리 장착구조
JP2560497Y2 (ja) 自動車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位置決め用のスペーサ
JPS58133978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メ−タ−カバ−の取付構造
JP3595180B2 (ja) ガラス位置決めクリップ
JP3292694B2 (ja) リヤアンダーミラーの取付構造
JPH087686Y2 (ja) 車体縁部に対するアンテナ取付機構
JP3451059B2 (ja) 部品取付用クリップ構造
JP2603475Y2 (ja) ウィンドモール
JPH0133400Y2 (ko)
JP2001105981A (ja) 自動車用リヤアンダーミラー
JP3232432B2 (ja) フードモール用取付具
JPH07169558A (ja) バックウインドウの熱線端子接続構造
KR960003518Y1 (ko) 차량의 흙받이 고정구조물
KR100373122B1 (ko) 자동차의 가니쉬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