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550B1 - 유리용융로 - Google Patents

유리용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550B1
KR100355550B1 KR10-1998-0053905A KR19980053905A KR100355550B1 KR 100355550 B1 KR100355550 B1 KR 100355550B1 KR 19980053905 A KR19980053905 A KR 19980053905A KR 100355550 B1 KR100355550 B1 KR 100355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bowl
bottom wall
molten glass
melt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793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55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4Automatically regulating the mel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유리의 유로가 형성된 피더와, 상기 피더와 결합되어 용융유리를 성형장치에 공급하는 보울을 갖는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인접한 상기 피더의 저부벽과 상기 보울의 저부벽중 어느 일측에 삽입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피더와 보울의 저부벽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일정한 줄형상의 맥리(cord) 및 기타 이물불량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용융로
본 발명은,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더와 보울의 저부벽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일정한 줄형상의 맥리(Cord) 및 기타 이물불량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용융로는 유리원료가 유입되어 유리원료가 용해되는 용해로와, 용해로에서 용해된 용융유리를 청징하는 청징부와, 청징부로부터 청징된 용융유리가 유동하는 복수개의 피더와, 피더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용융유리를 성형장치에 공급하는 보울을 가진다.
도 5는 종래 유리용융로의 피더와 보울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105)는 저부벽과 도시하지 않은 측벽에 의해 용융유리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피더(105)의 단부에는 보울(107)의 저부벽과 측벽이 피더(105)의 저부벽 및 측벽과 결합되어 있다. 보울(107)의 저부벽과 측벽으로 형성된 유로를 통해 이동한 용융유리는 보울(107)의 내부로 유입된 후, 하강하여 유출구(119)를 통해 유출된다.
피더(105)와 보울(107)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용융유리는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유동하게 되며, 도시하지 않은 피더(105)의 측벽 상부영역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버너에 의해 적정한 온도로 유지 관리된다. 피더(105)의 측벽에 설치된 이들 버너는 용융유리의 높이보다 소정 높게 위치되어 있어 용융유리의 저부영역과 상부영역은 필연적으로 상호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차에 의해 용융유리의 열적특성 차가 생기게 되어 층이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층이 발생된 용융유리가 도시하지 않은 성형장치에 공급되면 성형되는 유리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보울(107)내에는 용융유리를 교반시키는 니들(121)이 설치되어 있다.
니들(121)에 의해 피더(105)의 저부벽을 따라 유동하여 보울(107)의 측벽을 타고 하강하는 용융유리는 니들(121)에 의해 보울(107)의 중앙영역의 용융유리와어느 정도는 혼합되어 보울(107)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119)를 통해 유출되며, 유출구(119)를 통해 유출된 고브(135)는 고브절단기(133)에 의해 절단되어 성형장치에 일정량 공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피더(105)의 저부벽과 보울(107)의 저부벽의 접합면 사이에는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하면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용융유리가 유입되게 되며, 접합면 사이에 유입되는 용융유리는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용융유리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게 되면 그 조직이 결정화된다. 이렇게 결정화된 용융유리는 접합면의 상부영역을 통과하는 용융유리의 유동 및 온도변화에 의해 접합면으로부터 끌려나오게 됨에 따라 일정한 줄형상의 맥리(cord) 및 이물불량의 정도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더와 보울의 저부벽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일정한 줄형상의 맥리(cord) 및 기타 이물불량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리용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리용융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융로의 피더와 보울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보울과 피더 인접영역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단면도,
도 5는 종래 유리용융로의 피더와 보울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피더 7 : 보울
25 : 히터 27 : 발열부
29 : 수용부 31 : 모르타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융유리의 유로가 형성된 피더와, 상기 피더와 결합되어 용융유리를 성형장치에 공급하는 보울을 갖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상기 피더의 저부벽과 상기 보울의 저부벽중 어느 일측에 삽입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보울의 저부벽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보울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코일형상의 백금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세라믹관으로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코일형상의 백금 내측에는 모르타르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리용융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유리제품을 성형하기 위해서 유리를 용융시키는 유리용융로는 유리원료를 공급받아 약 1500 ~ 160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는 용해로(1)와, 용해로(1)에서 용해된 용융유리를 약 1100 ~ 1200℃로 유지시키면서 청징하는 청징부(3)와, 청징부(3)에서 청징된 용융유리가 각각의 도시하지 않은 성형장치를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피더(5)와, 피더(5)의 단부영역에 결합되어 피더(5)를 통해 유동하는 용융유리를 성형장치에 공급하는 보울(7)을 가진다. 용해로(1)와 청징부(3) 사이에는 용해로(1)에서 청징부(3)로 향하는 용융유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9)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융로의 피더와 보울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보울과 피더 인접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5)에는 저부벽(11)과 측벽(13)에 의해 내부에 용융유리가 유동하는 유로(17)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울(7)에는 피더(5)로부터 보울(7) 내부로 유입된 용융유리를 교반시키고 일정량의 용융유리를유출구(19)로 유출시키는 니들(21)이 설치되어 있다. 니들(21)에 의해 유출구(19)를 통해 유출되는 고브(35)는 유출구(19)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브절단기(33)에 의해 일정량 절단되어 성형장치에 공급된다.
한편, 피더(5)의 저부벽(11)과 인접한 보울(7)의 저부벽(23)에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25)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25)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백금재질로 형성된 코일 형상의 발열부(27)와, 발열부(27)를 수용하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 관상의 수용부(29)를 가지며, 코일형상의 발열부(27) 내측에는 발열부(27)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모르타르(31)가 충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용해로(1)에서 용융되고 청징부(3)에서 청징된 용융유리가 피더(5)에 형성된 유로(17)를 통해 보울(7)을 향해 유동하게 될 때,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유로(17)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용융유리의 상부영역과 저부영역에 발생하는 온도차에 의해 층이 형성된다. 이렇게, 층을 형성하고 유동하는 용융유리는 피더(5)의 저부벽(11)과 보울(7)의 저부벽(23)의 접합면에 소정 유입되게 되며, 접합면 사이에 유입된 용융유리는 유로(17)를 통해 유동하는 용융유리의 유량 및 온도변화에 의해 접합면으로부터 유로(17)로 유출되게 되면 유리불량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피더(5)의 저부벽(11)과 인접한 보울(7)의 저부벽(23)에 설치된 히터(25)에 의해 피더(5)의 저부벽(11)과 보울(7)의 저부벽(23)의 접합영역의 온도를 항상 유로(17)를 따라 유동하는 용융유리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시켜 피더(5)와보울(7)의 접합면 사이에 유입된 용융유리가 유로(17)로 유출되어 맥리(cord) 및 이물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로(17)의 저부영역을 따라 유동하는 용융유리의 온도를 상승시켜 저부영역의 용융유리가 상부를 향해 소정 부상하는 효과를 가져와 유로(17)를 따라 유동하는 용융유리의 상부영역과 저부영역의 온도차에 의해 맥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더와 보울의 저부벽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일정한 줄형상의 맥리(cord) 및 기타 이물불량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리용융로가 제공된다.

Claims (5)

  1. 용융유리의 유로가 형성된 피더와, 상기 피더와 결합되어 용융유리를 성형장치에 공급하는 보울을 갖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상기 피더의 저부벽과 상기 보울의 저부벽중 어느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피더의 저부벽과 상기 보울의 저부벽의 접합영역의 온도를 상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용융유리의 온도 보다 높게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보울의 저부벽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보울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코일형상의 백금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세라믹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상의 백금 내측에는 모르타르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KR10-1998-0053905A 1998-12-09 1998-12-09 유리용융로 KR100355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905A KR100355550B1 (ko) 1998-12-09 1998-12-09 유리용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905A KR100355550B1 (ko) 1998-12-09 1998-12-09 유리용융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793A KR20000038793A (ko) 2000-07-05
KR100355550B1 true KR100355550B1 (ko) 2003-01-29

Family

ID=1956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905A KR100355550B1 (ko) 1998-12-09 1998-12-09 유리용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5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3009A2 (en) * 1992-12-18 1994-06-22 Emhart Glass Machinery Investments Inc. Feeder
JPH07157316A (ja) * 1993-12-02 1995-06-20 Ishizuka Glass Co Ltd ガラス溶融窯の素地替え促進方法
JPH08109028A (ja) * 1994-10-13 1996-04-30 Olympus Optical Co Ltd 溶融ガラス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H101318A (ja) * 1996-06-18 1998-01-06 Ohara Inc 溶融ガラス流量調節装置のパイプ先端部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3009A2 (en) * 1992-12-18 1994-06-22 Emhart Glass Machinery Investments Inc. Feeder
JPH07157316A (ja) * 1993-12-02 1995-06-20 Ishizuka Glass Co Ltd ガラス溶融窯の素地替え促進方法
JPH08109028A (ja) * 1994-10-13 1996-04-30 Olympus Optical Co Ltd 溶融ガラス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H101318A (ja) * 1996-06-18 1998-01-06 Ohara Inc 溶融ガラス流量調節装置のパイプ先端部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793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9934B2 (en) Glass furnace
KR101653408B1 (ko) 유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20057662A (ko) 용융 유리의 공급 장치
JP2010513183A (ja) 前炉内のガラス成形材料の温度制御装置及び方法
JPS63500937A (ja) 溶融ガラス搬送のための前炉
US4906272A (en) Furnace for fining molten glass
KR100355550B1 (ko) 유리용융로
JP2020522450A (ja) ガラス製造装置及び方法
US1953034A (en) Shallow melting tank
US4994099A (en) Method for fining molten glass
US39415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molten glass with batch guiding means
JP2019526524A (ja) ガラス製造装置及び方法
KR200285891Y1 (ko) 유리용융로
KR200337600Y1 (ko) 유리용융로
KR200178264Y1 (ko) 유리용융로
US3891422A (en) Electrically-heated melting furnace with melt cooling means
KR200228874Y1 (ko) 용융유리 피더용 교반장치
JP2002060226A (ja) ガラス溶解窯
JP4143188B2 (ja) 色筋入りガラス製品の製造方法
KR200285888Y1 (ko) 유리용융로
TWI504578B (zh) 製造玻璃之裝置及方法
KR100355536B1 (ko) 유리용융로용피더
KR20010010923A (ko) 유리용융로용 멜터
KR100355547B1 (ko) 유리용융로
KR100414175B1 (ko) 유리용융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