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240B1 - 실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실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240B1
KR100353240B1 KR1019997007461A KR19997007461A KR100353240B1 KR 100353240 B1 KR100353240 B1 KR 100353240B1 KR 1019997007461 A KR1019997007461 A KR 1019997007461A KR 19997007461 A KR19997007461 A KR 19997007461A KR 100353240 B1 KR100353240 B1 KR 100353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foot
legs
continuous surface
fill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171A (ko
Inventor
마그뉴쏜파트릭조너스
하그스트롬스타펜
Original Assignee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523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5324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0007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7Monitoring yarn quantity on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 B65H63/02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 B65H63/02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ng or sens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7/00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220/00 – B65H2406/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65H2407/50Means for protecting parts of handling machine
    • B65H2407/51Means for making dustp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8Thread sheet, e.g. sheet of parallel yarns or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Filamentary Materials, Packages, And Safety Devices Therefor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실(Y)과 접촉하는 실제적으로 평평한 감지 표면(B)을 형성하는 필러 푸트(A)를 갖는 실 필러의 실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러 푸트(A)에는 실이 접촉하는 감지 표면을 한정하는 비간섭 연속 표면이 제공되어 짐으로써, 탐지동안 실이 완만하게 처리되고 상기의 필러 푸트(A)에 주로 오염물이 퇴적되는 것이 회피된다.

Description

실 감지장치{YARN DETECTOR}
실 가공 기술에 있어서, 주로 실 축을 교차하여 이동하는 실 턴(yarn turn)을 탐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실 공급 장치내의 실 위에서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실 필러가 사용되고 있다. 필러 푸트가 실제적으로 U자형의 혀 부분을 형성하도록 실 필러가 와이어부로부터 구부러지는 설계가 표준이 되고있다. 상기 혀 부분은 그 장축이 실 축의 측면을 향하게 됨으로써 탐지될 실이 필러 푸트의 하부 표면을 따라 쓸려지게 된다.
IRO AB, SE, 참조 번호 07-0930-0812-01/9647, 페이지 10, 44, 50 및 51의 작동 및 유지 설명서 IWF 9007, 9107, 9207로부터 알려져 있는 실 필러는 이중 다리 와이어 브라켓으로 설계되어 있고 실 공급 장치의 하우징에 지지된 축에 의해 피봇으로 유지됨으로써, 하향으로 구부러지는 필러 푸트가 실 공급 장치의 저장 드럼상에서 전진 이동하는 실 공급물의 실 턴상에 정지하게된다. 이러한 실 필러는 조절 또는 탐지 수단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원위치를 벗어난 실 턴들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U자형상이며 두 개의 다리를 갖는 필러 푸트는 실 턴들의 이동 방향을 향하고 하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져있다. 실 공급 장치의 작동동안에 린트 테일(lint tail)이 필러 푸트로부터 끌려나올 때 까지 오염물 및 주로 린트(lint)가 필러 푸트의 U-자형 기부에서 모여된다. 상기 U-자형 기부에서의 린트 및 린트 테일이 모여지는 것은 실 탐지동안에 기능 장애를 일으킬 뿐 아니라 실 필러의 하부측에서 장애를 일으키고 또 상기 린트를 잡아떼서 실과 함께 더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직조 결함을 일으킨다. 이러한 린트의 모임으로 인한 장애의 위험은 정상 작동동안 실 턴들위에 영구적으로 정지하는 실 필러의 경우에 특히 높다. 이러한 실 필러의 예로는 실 공급 장치내에서 실 공급물중 제 1 실턴의 존재를 탐지하는 실 파손 센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실(yarn)과 접촉하는 편평한 감지 표면(resting surface)을 형성하는 필러 푸트(feeler foot)를 갖는 실 공급 장치의 실 센서용 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설계 및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 필러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실 필러의 측면 및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실 필러를 보여준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필러의 필러 푸트의 단면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러 푸트를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 공급 장치에서 몇 개의 실 필러를 갖는 센서 장치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작동 신뢰성에 특징이 있는 상기 언급된 종류의 실 감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은 실과 접촉하는 편평한 감지 표면을 하부 측면에 의해 형성하는 필러 푸트를 갖는 실 공급장치의 실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러 푸트에는 실리 접촉하는 상기 감지 표면을 형성하는 비간섭적인 연속 표면이 제공되어짐으로서 달성된다.
필러 푸트의 최소한 상기 감지 표면 영역에 있는 상기 연속 표면 영역은 필러 푸트에 오염물 및 린트가 모여지는 것을 방지하고 원치않는 린트 테일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감지 표면 영역의 연속 표면 때문에 실 필러의 접촉 압력에 의해 실 만이 완만하게 로우딩된다. 이는 실 품질이 정교하고 및/또는 실 속도가 높은 경우에 유리하다. 따라서, 필러 푸트에서 오염물이 모여지는 것으로 인한 장애가 회피되고 탐지되는 실에 대한 기계적 부하가 감소되어 실 파손의 위험이 감소되므로, 실 공급 장치의 전체 작동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연속 표면은 실 가공동안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린트가 걸리게 되는 가능성을 없애기 위하여 최소한 필러 푸트의 섕크의 루트안까지 연장된다.
상기 실에 대한 필러 푸트의 접촉 압력은 균등하게 분포된다. 탐지동안 실의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 실제적으로 선형인 모선이 오목하거나 또는 거의 일직선이거나 또는 볼록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연속 표면은, 통과하는 실에 대하여 낮고 일정한 저항을 발생시키고 필러 푸트가 실에 의해 적당히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볼록하게 구부러지거나 또는 몇 개의 표면 부분들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연속 표면은 필러 푸트의 끝부분에서, 저장 드럼 주변에 실제적으로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부분을 가져야한다. 상기 연속 표면의 크기는 특히 드럼상에서 실을 분리하는 경우에 두 개의 이웃한 실 턴들을 씌우기에 충분해야 한다.
상기 연속 표면은 이것이 상기 필러 푸트의 감지 표면을 형성하는 것인 경우에, 실에 위험한 에지 또는 절단 영역을 제거하기 위하여 라운드가공 또는 모떼기 가공되어야 한다. 상기 필러 푸트는 단일 형태로 통합된 연속 표면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조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필러 푸트는 그 표면에 따라서만 작용하므로 상기 필러 푸트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속이 비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섕크(shank)는, 서로 평행하거나 또는 상기 감지 표면을 향해 한 점에 모여지는 외형을 가지면서 상기 필러 푸트까지 연장되는 두 개의 이격된 다리로 형성되어있다. 이러한 설계는 실 공급 장치에서 필러 푸트를 사용할 때 실꼬기(threading-up) 동안에 또는 다른 영향으로 인해 실이 일시적으로 들어올려져서 섕크와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여지는 섕크는 실의 장력으로 인해 실을 상기 정지면의 아래로 자동으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필러 푸트 또는 섕크에서 실의 엉킴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그렇지않으면, 상기 필러 푸트는 와이어 부분을 예를들어 구부려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 다리들 사이의 간극(interspace)은 인서트(속이 비었거나 또는 차있는)로 채워진다. 상기 인서트는 말하자면 상기 간극을 메움으로써 린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퇴적될 수 없다.
와이어 재료를 구부려서 제조한 상기 필러 푸트는 다리들 사이의 간극에서 오염물 및 린트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감지 표면을 형성하는 구두 형태의 커버를 구비한다.
와이어 재료를 구부려서 제조한 상기 필러 푸트의 다리들 사이의 간극은 상기 감지 표면의 뒤에서 고정되거나 또는 감지 표면을 형성하는 막 형태의 평면 부재로 씌워진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리들 사이의 연속 표면은 오염물 및 린트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필러 푸트는 감지 표면 및 연속 표면을 갖는 러너 형태의 부재이다. 이러한 필러 푸트는 이것이 만곡지게 섕크에 장착된다. 이것은 오염물 및 린트의 퇴적이 회피되는 특히 가볍고 구조가 단순한 실시예이다.
와이어 재료를 구부려서 만든 상기 필러 푸트의 다리들 사이의 간극을 씌울때 공동이 남아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동에는 오염물 또는 린트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재가 채워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충전재는 공동을 채우는 것 이외에 다른 기능을 갖지 않는 발포재 또는 다른 재료 (예를들어, 요업 재료)일 수 있다.
도 1은 실의 탐지동안 통상적인 설계의 실 필러(F)를 예시한다. 상기 실 필러는 이중 다리 브라켓으로서 다리(2) 및 (3)를 갖는 와이어 재료(1)를 구부린 것이다. 상기 다리들은 실 필러(F)로부터 섕크(6)를 통해 하향으로 분지되는 필러 푸트(A)의 기부(4)에서 탐지점을 갖는다. 상기 다리(2) 및 (3)의 하부는 탐지동안에 실 (Y)가 미끄러져 통과하는 필러 푸트(A)에서 감지면 또는 감지 표면(B)을 정의한다. 상기 감지 표면(B)을 통해서 실 필러(F)는, 예를 들어 필러 푸트(A)아래의 실(Y)(가끔은 몇 개의 실 턴)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이중 화살표의 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도 1의 하부 도시에 있어서, 필러 푸트(A)의 영역의 다리(2) 및 (3)의 사이에는 간극(5)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간극은 기부(4)를 향해 모서리 형태로 점점 가늘어져 있다. 실의 가공동안에, 적당한 장소에 모여져서 린트 다발을 형성하려는 경향을 갖는 린트가 피할 수 없이 발생된다. 경험한 바와같이, 간극(5)에는 보통 린트 다발(L)을 형성하는 오염물 및 린트가 채워진다. 린트가 계속 발생하는 경우에는 실(Y)의 이동 방향으로 질질 끌려가는 린트 테일(L')이 발생될 수 있다. 린트 다발(L)또는 린트 테일(L')은 기능 장애를 일으키고 또 실 필러의 적당한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감지 표면(5)에 의해 필러 푸트(A)는 두 개의 선으로 실(Y)과 접촉함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실에 대한 높은 국소적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필러 푸트(A)의 다리(2,3)를 갖는 와이어 재료로 만든 실 필러(F)에 있어서, 비간섭적인(uninterrupted) 연속 표면(P)을 갖는 평면 부재(7)가 감지 표면(B)의 영역에 끼워져 있다. 상기의 부재(7)는 도면 부호 8로 도시한 바와같이, 필러 푸트(A)로부터 섕크(6)의 안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필러 푸트(A)는 상기의 감지 표면(B)을 형성하는 두 개의 다리(2,3) 및 상기의 비간섭적인 연속 표면(P)를 통해 실위에서 정지한다. 간극(5)에서 린트가 발생할 수 없거나 또는 탐지 작동에 대하여 위험이 없는 정도까지만 간극에 린트가 퇴적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필러 푸트(A)의 하부에는 도면부호 8로 도시한 바와같이 가끔 섕크(6)의 안쪽까지 연장되는 평면 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 보통 평면 부재(7')는 감지 표면(B)뿐 아니라 비간섭적인 연속 표면(P)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표면을 통해 필러 푸트(A)는 실 위에서 작용한다. 부재(7')의 에지는 도면부호 9로 나타낸 바와같이 상향으로 라운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린트가 간극(5)에 모여질 수 없거나 또는 위험이 없는 정도까지만 모여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두 형태의 커버 (7")가 필러 푸트(A)를 뒤집어씌우고 있다. 커버(7")는 경우에 따라서는 섕크(6)의 안쪽까지 연장되고 하부뿐 아니라 상부로부터 간극(5)을 씌우고 있다. 모두 실과 접촉하는 감지 표면(B) 및 비간섭적인 연속 표면(P)은 커버(7")로 이루어진다. 상기 간극(5)의 영역의 커버(7")의 내부에 제공되는 공동은 발포재 또는 또 다른 재료와 같은 충전재(10)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섕크 측면부만을 통해 라이닝(7")을 밀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필러 푸트(A)의 다리(2) 및 (3)의 사이에 막 형태의 평면 부재(7''')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재는 비간섭적인 연속 표면(P)을 형성하고 간극(5)을 씌우고 있지만, 감지 표면(B)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자리잡고있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오염물 및 린트가 모여져서 장애를 일으키는 것이 불가능해 진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3에서 사용된 것보다 더 작은 평면 부재(7')가 간극(5)을 씌우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도 6에서 러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평면 부재(7')는 필러 푸트(A)를 직접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을 위하여 부재(7')는 섕크(6)를 형성하는 다리(2,3)에 고정될 수 있다. 부재(7')는 비간섭적인 연속 표면(P)을 가지며 감지 표면(B)을 형성한다. 감지 표면(B)을 통해 필러 푸트(A)는 실 위에서 작용한다. 상기 부재(7')는 상향으로 라운드가공된 에지(9)를 가질 수 있고 도면부호 8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섕크(6)의 안쪽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필러 푸트(A)의 다리(2) 및 (3)의 사이에 인서트(11)가 끼워져 있다. 상기 인서트는 간극(5)을 메우고 있으며 가끔 감지 표면(B)의 안쪽까지 연장되거나 또는 감지 표면(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인서트(11)는 비간섭적인 연속 표면(P)을 정의하여 간극(5)내에서 오염물 및 린트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끔 상기 인서트는 섕크(6)의 내측까지 연장되고, 예를 들어 오목한 목 부분을 통해, 둥근 와이어 재료의 다리(2,3)의 굴곡부에 평탄하게 부착된다. 또한,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인서트가 적당한 형태로 접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있어서, 연속 표면(P)은 평탄하고 또 필러 푸트(A)의 감지 표면에 대하여 실제적으로 평행하다. 또는 그렇지 않으면, 특히 종단면 또는 횡단면으로 보았을 때 하향으로 볼록한 굴곡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속 표면(P)은 필러 푸트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선형 모선(generatrice)을 자연적으로 가지게 된다. 상기의 부재(7,7',7'',7''')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시이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리(2',3')를 갖는 필러 푸트(A)는 속이 차 있거나 또는 비어있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의 성형된 부분인데, 상기 재료 또는 금속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러 암(F)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필러 암에 부착된다. 필러 푸트(A)의 하부면에 있는 비간섭적인 연속 표면(P)은 실(Y)의 이동 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면부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둔각으로 결합되어 있는 불연속 표면 부분(12)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러 푸트(A)의 끝부분에는 실제적으로 평탄한 표면부가 존재하여야 하는데, 상기 표면부는 저장 드럼의 주변에 대하여 실제적으로 평행하여야 하고, 실 분리의 경우에 조차도 두 개의 이웃한 실 턴들을 동시에 씌울 수 있도록하는 사이즈를 가져야 한다. 또한, 연속 표면(P)은 본질적으로 평탄하거나 또는 실의 장축을 따라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구부려질 수 있다. 연속 표면(P)의 외측 에지 영역은 라운드가공 또는 모떼기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 표면(P)은 섕크(6)의 루우트까지 연장되고 측면 에지(14) 및 측면벽(13)에서 종결된다. 또한, 필러 푸트(A)의 상부면에는 연속 표면(P')이 제공되어 있다. 이격된 다리(2',3')들은 서로 평행하거나 또는 필러 푸트(A)를 향해 한 점에 모여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특히 실 공급 장치에서 실 필러가 사용된다는 사실에 비추어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사용에 있어서, 예를들어 실 꼬기 동안에, 실은 상기 다리들중 하나의 다리의 측면에 접촉한 다음, 실 필러 또는 필러 푸트에 걸린 채로 유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의 장력에 의해 감지 표면(B)의 아래로 당겨진다. 예를 들어 필러 푸트를 제조하기 위해 경금속이 사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 공급 장치(D)의 권취 부재(2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권취 부재는 정지 저장 드럼(T)에 이웃하고 있다. 상기 정지 저장 드럼상에서 실(Y)은 다음의 이웃하는 실 턴에서 실 공급물로 권취되고 상기 공급물로 부터 실은 소비동안 저장 드럼(T)의 위로부터 도 10의 오른쪽으로 방출된다. 상기의 영역에서 실 공급 장치는 세 개의 실 센서(S1, S2, S3)를 가지는데, 각각의 센서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필러 암(F) 및 필러 푸트(A)를 가지고 있다. 필러 푸트(A)는 센서 하우징(20)으로부터 저장 드럼(T)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저장 드럼에는 실(Y)을 교차하여 장방향으로 연장되는 함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센서(S1)는 실 공급물의 제 1 턴이 적당히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탐지하는 실 파손 센서이다. 실 턴이 존재하는 경우, 필러 암(F)은 들어 올려진 위치로 유지된다. 상기 제 1 실 턴이 없는 경우 상기 필러 암(F)은 하강하고, 결함(실 파손)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제 2 센서(S2)는 저장 드럼 상에서 상기 실 공급물의 최소 허용가능한 사이즈를 탐지하고 상기 드럼 영역에 실 턴이 없는 경우 신호를 발생하는 미니멈 센서이다. 상기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권취 부재(21)의 구동이 스위치 온 되거나 또는 가속됨으로써 실 공급물을 보충하게 된다. 제 3 센서(S3)는 실 공급물의 최대 허용가능한 사이즈를 탐지하고 상기 드럼 영역에서 실(Y)이 존재하는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멕시멈 센서이다. 이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권취 부재의 구동은 스위치 오프 되거나 또는 감속된다. 도 10에서 실(Y)의턴들은 예를들어 실 분리에 의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세 개의 필러 암(F)들은 공동 축(18)에 피봇 지지되고 스프링 어셈블리(C)에 의해 정의되는 원위치를 향해 경사져 있다. 각각의 필러 암은 스프링 어셈블리(C)와 공동작동하기 위한 스톱(19)을 갖는 필러 암 부분(17) 및 끼움 소켓(16)을 구비하고 있다. 끼움 소켓(16)내에는 예를 들어 필러 푸트(A)의 다리(2',3')가 끼워진다. 또한, 각각의 필러 암(9)마다 탐지 장치(T)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탐지 장치는 관련된 필러 암(F)이 원위치에 있거나 또는 원위치로부터 변위되는 경우에 따라, 접점이 없이 광전자 형태로 신호를 발생한다. 원위치에서 각각의 필러 푸트(A)는 도 10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지 표면(B) 또는 연속 표면(P)이 위치하는 함몰부(22)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의 이격 거리는 필러 푸트의 아래를 통과할 때의 실(Y)이 필러 푸트를 원위치로부터 상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설정된다. 도 10에 따른 센서 장치에 있어서, 세 개의 센서가 작은 설치 공간내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세 개 이상 또는 심지어는 몇 개 더 많은 센서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필러 푸트들은 합리적인 제조를 위해 동일한 디자인을 가진다. 오늘날의 설치 환경에 적합하게 하기 위하여, 끼움 소켓(16)에 끼워지지 않는 다리(2',3')는 필요한 길이로 짧아질 수 있다.

Claims (13)

  1. 실(Y)과 접촉하는 편평한 감지 표면(B)을 하부 측면에 의해 형성하는 필러 푸트(A)를 갖는 실 공급장치를 위한 실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러 푸트(A)에는 실이 접촉하는 상기 감지 표면(B)을 형성하는 비간섭적인 연속 표면(P)이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푸트(A)는 상기 감지 표면(B)이 연속된 상태에서 실 접촉 감지 표면(B)으로부터 상향으로 구부러진 섕크(6)를 가지며, 상기 연속 표면(P)은 상기 감지 표면(B)으로부터 상기 섕크(6)의 안쪽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표면(P)은 상기 필러 푸트(A)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선형 모선을 가지며, 상기 연속 표면(P)은 또한 상기 필러 푸트(A)의 상기 길이방향에서 하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표면(P)은 상기 필러 푸트(A)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선형 모선을 가지며, 상기 연속 표면(P)은 또한 상기 필러 푸트(A)의 상기 길이방향에서 서로 둔각을 형성하는 다수의 표면 부분들(1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표면(P)은 그 외측 에지가 라운드 가공 또는 모떼기(15)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푸트(A)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속이 차 있거나 또는 비어있는 성형된 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푸트(A)는 이격된 두 개의 다리들(2,3)과, 상기 다리들(2,3)의 사이에 간극을 구비하는 와이어부(1)로 형성되고, 속이 차 있거나 또는 비어 있는 인서트(11)가 상기 간극(5)을 채우기 위해 상기 다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속 표면(P)이 상기 인서트(11)상에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푸트(A)는 두 개의 다리들(2,3)과 상기 다리들(2,3) 사이에 간극(5)을 구비하는 하나의 와이어부(1)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연속 표면(P)를 형성하는 구두 형태의 커버(7'')가 상기 다리들(2,3)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푸트(A)는 두 개의 다리(2,3) 및 상기 두개의 다리(2,3)의 사이에서 간극(5)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5)은 하나의 막 형태의 평면 부재(7,7')에 의해 그의 하부로부터 덮여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푸트(A)는 상기 연속 표면(P)을 정의하는 만곡진 형태의 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공동은 충전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12. 하부의 측면들에 의해 편평한 실 접촉 감지 표면(B)을 공통적으로 형성하는 두 개의 이격된 다리들(2,3)에 의해 정의되는 필러 푸트(A)를 구비하는 실 공급장치의 실 감지를 위한 실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 접촉 감지 표면(B)의 약간 위쪽으로 상기 필러 푸트(A)에는 상기 다리들(2,3) 사이에 정의된 하나의 간극(5)에 비간접적인 연속 표면(P)이 제공되며, 상기 연속 표면(P)은 막과 같은 요소(7''')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감지 장치.
  13. 삭제
KR1019997007461A 1997-12-17 1998-12-17 실 감지장치 KR100353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6242.6 1997-12-17
DE19756242A DE19756242A1 (de) 1997-12-17 1997-12-17 Fadenliefer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171A KR20000071171A (ko) 2000-11-25
KR100353240B1 true KR100353240B1 (ko) 2002-09-18

Family

ID=785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461A KR100353240B1 (ko) 1997-12-17 1998-12-17 실 감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57692B1 (ko)
EP (1) EP0964826B1 (ko)
KR (1) KR100353240B1 (ko)
CN (1) CN1109647C (ko)
DE (2) DE19756242A1 (ko)
WO (1) WO1999031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1163A (zh) * 2012-03-28 2012-07-25 江苏泰博钢丝制品有限公司 一种防翻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7112A (en) * 1971-04-23 1973-06-05 Wesco Industries Corp Yarn feeding and storage device for textile producing machine
US3844504A (en) * 1972-04-05 1974-10-29 Lawson Hemphill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yarn
US3759455A (en) * 1972-09-28 1973-09-18 Wesco Industries Corp Filament feeding and storage device
US4265176A (en) * 1979-06-01 1981-05-05 Kabushiki Kaisha Sato Kenkyusho Clog preventive device for label printing and applying machine
US4226379A (en) * 1979-12-06 1980-10-07 Leesona Corporation Loom storage feeder improvement
FR2508882B1 (fr) * 1981-07-06 1985-08-16 Inst Textile De France Systeme de detection de la presence de fils sur un continu a filer
DE3417936C2 (de) * 1984-05-15 1986-06-26 Memminger Gmbh, 7290 Freudenstadt Fadenliefer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CS253087B1 (en) * 1985-04-03 1987-10-15 Otakar Curda Thread motion guard
CH685635A5 (de) * 1992-06-17 1995-08-31 Zellweger Uster Ag Anordnung zur Kontrolle des Vorhandenseins von Fäden einer aufgespannten Fadenschicht an einer Textil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4826B1 (de) 2003-03-19
CN1109647C (zh) 2003-05-28
DE59807558D1 (de) 2003-04-24
US6357692B1 (en) 2002-03-19
CN1249727A (zh) 2000-04-05
WO1999031001A1 (de) 1999-06-24
KR20000071171A (ko) 2000-11-25
DE19756242A1 (de) 1999-06-24
EP0964826A1 (de) 199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1719A1 (en)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reel, and method of detecting rotation of reel
KR100353240B1 (ko) 실 감지장치
CN103797167B (zh) 经纱细带监测器和圆型织机
US603883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optoelectronic monitoring of packaging material
US4917937A (en) Cloth for a paper machine
US5318077A (en) Abrasion detector for a rapier band
JP2018193628A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糸検知装置
JPH0718077B2 (ja) 縦糸継ぎ機における2本糸監視装置
US4662575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textile machines
US5860298A (en) Thread feeder with thread-twisting preventive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EP0097316B1 (en) A fault pre-warning device for use in textile manufacturing machines
EP0965552A2 (en) Yarn reserve monitoring device in weft feeders for weaving looms
CN202687647U (zh) 张力测定装置及纱线卷绕装置
KR940002695B1 (ko) 실공급 장치
JP2593963Y2 (ja) 糸切れ検出機能付糸シート搬送装置
US6036132A (en) Air flow disruptor in yarn feeder
EP0103516B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liquide à niveau contrôlé, et application à une machine à laver
US5806570A (en) Weft band guide pin arrangement in a gripper weaving machine
EP1735488A1 (en) Yarn feeder
US5056442A (en) Tight end detector for tufting machines
US5592976A (en) Thread breaking device for a power loom
CN202717439U (zh) 张力测定装置及纱线卷绕装置
JP2858096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織機の横糸感知装置
JP3265105B2 (ja) ドロッパー装置のドロッパーピン落下位置検出装置
KR200189989Y1 (ko) 직조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