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825B1 - 낚시찌 - Google Patents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825B1
KR100352825B1 KR1020000060127A KR20000060127A KR100352825B1 KR 100352825 B1 KR100352825 B1 KR 100352825B1 KR 1020000060127 A KR1020000060127 A KR 1020000060127A KR 20000060127 A KR20000060127 A KR 20000060127A KR 100352825 B1 KR100352825 B1 KR 10035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ody portion
cap
coupled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268A (ko
Inventor
김대성
김문구
Original Assignee
김문구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구,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문구
Priority to KR102000006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8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찌는, 수면상에 노출되는 시인부와; 상기 시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체결부재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체결부재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조절부재도 나사결합에 의하여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조절부재는, 부력 또는 침강력을 가지는 재질로 선택적으로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낚시찌{Float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찌의 크기 및 부력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정해진 부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낚시를 하고자하는 장소(예를 들면 바다)의 낚시 환경에 따라 낚시인은 원하는 부력 및 크기의 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조류의 흐름이 늦은 시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부력을 가지는 낚시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시간의 경과와 같이 조류의 흐름이 빨라지면 상대적으로 높은 부력을 가지는 낚시찌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낚시찌는 항상 일정하게 정해진 부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낚시환경(조류와 바람 등)에 따라서 찌를 교환하는데 불편함이 뒤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래의 낚시찌는, 일정하게 정해진 부력과 같이 그 크기도 항상 일정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크기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제기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낚시찌의 구성에 있어서는, 낚시찌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낚시줄을 절단한 다음, 원하는 낚시찌에 낚시줄이 관통하도록 부착한 다음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낚시줄의 절단 및 새로운 찌의 세팅 등이 번거로운 단점이 제기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낚시인이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기본체 120 ..... 몸체
122 .....몸체상부 124 ..... 몸체하부
126 ..... 낚시줄관통부재 128 ..... 체결부재
210 ..... 확장몸체 222 ..... 상부캡
230 ..... 하부캡 240 ..... 조절캡
250 ..... 체결부재 300, 400 ..... 조절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낚시찌는, 수면상에 노출되는 시인부와; 상기 시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체결부재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체결부재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조절부재도 나사결합에 의하여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와 몸체부 사이에는, 낚시줄관통공이 성형된 낚시줄관통부재가 개재되어 있어서, 막대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서로 나사결합하는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로 구성되어 몸체상부와 몸체하부가 결합되면 그 사이에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공간이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시인부에는 상기 배터리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수면상에 노출되는 시인부와, 상기 시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기본체와; 상기 기본체의 하부가 내부에 수납되는 확장몸체; 상기 확장몸체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하부에서 나사결합되는 조절캡; 그리고 상기 하부캡과 조절캡 사이에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조절캡의 하부에는, 낚시줄관통공이 성형된 낚시줄관통부재가 결합되어, 막대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찌에 의하면, 상술한 조절부재에 의하여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찌의 기본체(100)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기본체(100)는, 낚시찌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본체(100) 자체만을 낚시찌로 이용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가조립체를 기본체(100)에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부력을 가감하거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기본체(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기본체(100)는, 수면에 떠서 낚시인이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찌톱부분인 시인부(110)와, 상기 시인부(110)의 하부에 장착되는 몸체부(120)으로 구성되고 있다.
시인부(110)는, 낚시찌에서 수면상에서 상부로 올라와서 낚시인이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하는 부분으로, 통상 찌톱이라고도 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시인부(110)는 물에 뜨는 부분임과 동시에 낚시인이 시각으로 입질을 파악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인부(110)는, 밤에도 낚시찌를 인식할 수 있도록 발광소자(111a,11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광소자(111a,111b)는 캡(1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111a,111b)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부(113)가, 고무캡(114) 및 외부캡(115)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낚시인은 상기 외부캡(115)의 상부를 시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술한 시인부(110)는 시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니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발광소자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야간에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발광소자를 이용하는 것은, 시인부(110)에 대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통상의 막대찌와 같이,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시인부(110)를 막대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한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 시인부(110)는 몸체부(120)의 상부에 조립된다. 몸체부(120)는, 일정한 침강력을 가지고 있어서, 시인부(110) 및 몸체부(120)가 전체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몸체부(120)는 수중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상기 시인부(110)이 수면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인부(110) 및 몸체부(120)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전체적으로는 일정한 부력을 가지도록 성형되어야 하고, 몸체부(120)의 하단부는 일정한 침강력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물론 상기 침강력을 가지는 몸체부(120)의 일부분을 제외한 찌의 전체적인 부분은 물에 뜰 수 있는 일정한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임은 분명하다.
상기 몸체부(120)는, 시인부(110)이 상단부에 조립되는 몸체상부(122)와, 상기 몸체(122)의 하부에 조립되는 몸체하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상부(122)는 몸체하부(124)의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된다. 즉, 몸체상부(122)의 하부에 성형되어 있는 나사부(122a)에 몸체하부(124a)의 상부 외주연에 성형된 나사부(124a)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케이싱체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몸체상부(122)와 몸체하부(124)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에는 예를 들면 배터리(B)를 내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B)를 내장시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111a,111b)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시인부(110)에 발광소자를 내장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상부(122)와 몸체하부(124)를 하나의 부품, 즉 몸체부(120)으로 성형하는 것이 더욱 편리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20)의 하부에는, 낚시줄관통부재(126)이 설치된다. 상기 낚시줄관통부재(126)는, 낚시줄이 관통할 수 있는 낚시줄관통공(126a)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낚시줄관통부재(126)은, 상기 몸체하부(124)의 하단부에 고정되는데,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체결부재(128)을 이용하여 상기 낚시줄관통부재(126)를 몸체하부(124)에 고정하고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낚시줄관통부재(126)의 상단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6b)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28)의 상부 외주연에는 나사부(128a)이 성형되어 있는데, 상기 나사부(128a)는 상기 플랜지부(126b)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몸체하부(124)의 하단부에 성형되어 있는 나사부(124b)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128)와 몸체하부(124) 사이에서, 상기 낚시줄관통부재(126)가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기본체(100)는, 그 자체로서 낚시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본체(100)를 낚시줄에 설치한 상태에서 수면상에 띄우게 되면,몸체부(120)는 수중에 잠기게 되고, 시인부(110)은 수면 상에서 위로 뜨게 되어, 낚시찌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 2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낚시찌의 부력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있어서, 상술한 기본체(100)가 도면부호 100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 내부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기본체(100)는 확장몸체(21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몸체(210)의 상부에는 상부캡(220)에 의하여 밀폐되고, 하부에는 하부캡(230)에 의하여 밀폐된다. 즉, 상부캡(22)의 하부에 성형되어 있는 내주연 나사부(222)가, 확장몸체(210)의 외주연 상부에 성형되어 있는 나사부(212)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양자가 결합되며, 이 때 보다 확실한 방수기능과 기본체(100)의 고정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캡(220)과 확장몸체(210) 사이에는 고무 등으로 성형되는 패킹링(224)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기본체(100)이 상술한 확장몸체(2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캡(23)의 상단부 외주연에 성형된 나사부(232)가, 확장몸체(210)의 하단부 내주연에 성형된 나사부(214)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기본체(100)는 확장몸체(210)의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230)의 하부에는 조절캡(240)이 나사 결합된다. 상기 조절캡(240)은, 그 상부 외주연에 성형된 나사부(240a)가 하부캡(230)의 내주연 하단부에 성형된 나사부(234)에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하부캡(23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조절캡(240)의 하단부에는 낚시줄관통부재(260)가, 체결부재(250)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이는 상술한 기본체(100)의 낚시줄관통부재(126)와 체결부재(128)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부캡(230)의 하부에는 조절캡(240)이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캡(230)과 조절캡(24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조절부재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조절부재(3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조절부재(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캡(230)과 조절캡(240) 사이에 개재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조절부재(300)를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하거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부재(300)는, 물 보다 비중이 큰 재질의 것으로 성형하여, 침강력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부력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재(300)를 적절하게 가감하는 것에 의하여, 부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낚시찌의 크기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부재(300)는 하부캡(230)과 조절캡(240) 사이에 개재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복수개의 조절부재(300)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각각의 조절부재(300)는 상부 외주연에 나사산(302)이 성형되어 있고, 하부 내주연에도 나사산(304)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의 나사산(302)는, 하부의 나사산(304)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칫수와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조절부재(300)는, 각각 상부 및 하부로 연속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한 낚시찌에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렇게 조절부재(300)를 가감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찌의 부력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확장몸체(210)의 하단부에 상술한 조절부재(300)를 적절하게 가감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절부재(3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한 기본체(100)의 하부에도 조절부재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에는 이러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하부(124)와 체결부재(128) 사이에 복수개의 조절부재(400)를 개재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조절부재(400)는, 도 3에 도시한 조절부재(3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낚시줄관통부재(126)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128)와, 몸체하부(124) 사이에는 복수개의 조절부재(400)가 선택적으로 개재되는 것에 의하여 기본체(100)로 구성되는 낚시찌에 있어서도, 부력 및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찌는, 조절부재(300,400)를 이용하여 부력 및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절부재(300,400)는, 본 발명의 기본체(100)의 하단부에 직접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본체(100)가 내부에 삽입되는 확장몸체(210)의 하부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하단부에 낚시줄관통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막대찌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조절부재(300,400)는, 낚시찌의 몸통의 중심부분에 낚시줄이 관통하는 낚시줄관통공이 성형되어 있는 대략 계란 형상의 중통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찌의 부력을 낚시환경(조류 또는 바람 등)에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낚시인은 조류 등과 같은 주변환경에 가장 적절하도록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낚시찌는, 그 부력을 조절할 때 낚시줄을 절단하지 않고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것으로,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때, 보다 간편한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Claims (7)

  1. 수면상에 노출되는 시인부와;
    상기 시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체결부재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체결부재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조절부재도 나사결합에 의하여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몸체부 사이에는, 낚시줄관통공이 성형된 낚시줄관통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서로 나사결합하는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로 구성되고, 몸체상부와 몸체하부가 결합되면 그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상부와 몸체하부 사이의 공간에는 배터리가 장착되고; 상기 시인부에는 상기 배터리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가 설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5. 수면상에 노출되는 시인부와, 상기 시인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기본체와;
    상기 기본체의 하부가 내부에 수납되는 확장몸체;
    상기 확장몸체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하부에서 나사결합되는 조절캡; 그리고
    상기 하부캡과 조절캡 사이에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캡의 하부에는, 낚시줄관통공이 성형된 낚시줄관통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부력 또는 침강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KR1020000060127A 2000-10-12 2000-10-12 낚시찌 KR10035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127A KR100352825B1 (ko) 2000-10-12 2000-10-12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127A KR100352825B1 (ko) 2000-10-12 2000-10-12 낚시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476U Division KR200239314Y1 (ko) 2000-10-12 2000-10-12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268A KR20020029268A (ko) 2002-04-18
KR100352825B1 true KR100352825B1 (ko) 2002-09-16

Family

ID=1969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127A KR100352825B1 (ko) 2000-10-12 2000-10-12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8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4995U (ko) * 1974-12-27 1976-07-07
JPS533894U (ko) * 1976-06-28 1978-01-13
JPS56136579U (ko) * 1980-03-18 1981-10-16
JPS5850679U (ja) * 1981-10-03 1983-04-06 吉田 公亮 ブロツク組立て浮力調節浮子
JPS6417174U (ko) * 1987-07-23 1989-01-27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4995U (ko) * 1974-12-27 1976-07-07
JPS533894U (ko) * 1976-06-28 1978-01-13
JPS56136579U (ko) * 1980-03-18 1981-10-16
JPS5850679U (ja) * 1981-10-03 1983-04-06 吉田 公亮 ブロツク組立て浮力調節浮子
JPS6417174U (ko) * 1987-07-23 1989-01-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268A (ko)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9124A (en) Fishing bobber
US4544364A (en) Illuminated buoy marker
KR20170095090A (ko) 어망 감시용 전자 부이
US3656251A (en) Fish catch indicator
KR200239314Y1 (ko) 낚시찌
KR100352825B1 (ko) 낚시찌
JP2003092961A (ja) 多機能補助パイプを使用する可変浮力中通し浮き
KR101702457B1 (ko)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KR20170108907A (ko) 어망 감시용 전자 부이
KR100593260B1 (ko) 움직이는 루어
JP3297803B2 (ja) 照明付き浮子
KR0139819Y1 (ko) 부력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KR200399569Y1 (ko) 낚시용 찌
KR200370810Y1 (ko) 발광기를 가진 낚시찌
JP2002171883A (ja) 運動センサ付発光釣り具
CN210398689U (zh) 一种电子浮漂
KR100356008B1 (ko) 낚시용 전자찌
CN211185540U (zh) 具有配重调整的改良浮标
KR200373260Y1 (ko) 움직이는 루어
KR100321482B1 (ko)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낚시찌
JP3085168B2 (ja) 電気浮子
KR960020671A (ko) 유동 낚시찌
JPS6014380Y2 (ja) 魚釣り用うき
KR200277582Y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플롯구조
KR200235417Y1 (ko) 주.야 겸용 바다낚시용 구멍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