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746B1 -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746B1
KR100352746B1 KR1020000047911A KR20000047911A KR100352746B1 KR 100352746 B1 KR100352746 B1 KR 100352746B1 KR 1020000047911 A KR1020000047911 A KR 1020000047911A KR 20000047911 A KR20000047911 A KR 20000047911A KR 100352746 B1 KR100352746 B1 KR 10035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steam generating
main body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224A (ko
Inventor
박상업
Original Assignee
박상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업 filed Critical 박상업
Priority to KR102000004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7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인쇄물상에 분사된 날염잉크를 고착시키기 위한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저장통(21)과 전원공급, 물공급, 증기발생시간 및 온도의 조절기능을 갖는 증기발생통제수단(T)이 구비된 보조본체(20); 상단에 단열판(17)이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통제수단(T)에 의해 공급된 물과 증기발생시간에 따라 하단에 설치된 히터(13)의 가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수단(S)이 내측에 구비되는 증기발생통(12)과, 상기 증기발생통(12)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 내부몸체(18)와, 상기 증기발생통(12)과 내부몸체(18) 사이에 설치되어 증기발생통(12) 내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30)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본체(2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몸체 (18)와 단열판(17)의 상면에 위치하는 날염인쇄물(40)이 증기발생통(12)에서 발생된 증기에 의해 날염된 색소를 대상물에 견고히 고착시키는 메인본체(10); 상기 메인본체(10) 상단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구비된 개폐손잡이(51)에 의해 개폐가능한 덮개(5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An Evapor Generating Device for the printed materials}
본 발명은 피인쇄물상에 분사된 날염잉크를 고착시키기 위한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 하단에 구비된 증기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증기가 그 상부에 올려진 날염인쇄물을 통과되도록 구성되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증기발생을 통제 조절하는 증기발생통제수단이구비된 보조본체와, 상기 메인본체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부에 모인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덮개로 구성되어 날염인쇄물상의 색소를 고온의 증기로 고착시켜 인쇄품질이 뛰어난 날염인쇄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날염인쇄물의 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날염인쇄물을 증열처리하는데 사용되었던 증열처리장치는 증열처리실의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원단에 직접 인쇄된 대상물에 대해서 다량으로 생산되는 날염인쇄물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다품종 소량 생산하는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그 사용이 부적절한 면이 있었다.
또한, 대형화에 따라 증열실에서 발생된 증기가 골고루 분산되지 못해 날염인쇄물에 얼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고,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증열실 내부에 송풍기, 덕트, 건조대 등이 설치되여야 하고,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대형 보일러를 설치하므로 인해서 장치가 더욱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증기의 이동거리가 길어서 증기의 열손실이 크고, 그로 인해 증열기의 예열시간이 길어져서 열에너지의 손실이 커지는 폐단이 있었다.
특히, 날염 인쇄기술의 발달로 근래에는 원단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제단된 옷감이나 의류 및 의류의 특정부위에만 염색하는 경우 소정부위를 증열처리하기 위해 종래의 대형화된 증열기를 이용시 증열처리 과정의 번거러움과 이로 인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증열기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날염인쇄물의 후처리장치는 증기 발생시 전력소모가 적고, 증기발생에 필요한 물소모량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으며, 고온의 증기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후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하도록 규격을 최소화하고, 그 구조를 간단히 하여 어디서든 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날염인쇄물에 응결수가 낙하되어 인쇄물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날염인쇄물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내부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를 사용하여 날염된 인쇄물을 후처리하는 사용상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에 의해 후처리가 진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업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메인본체 12 : 내측몸체
12 : 증기통 13 : 히터
14 : 증발가속막 15 : 물분사관
16 : 물튐방지막 17 : 단열판
20 : 보조본체 30 : 단열재
40 : 날염인쇄물 50 : 덮개
T : 증기발생통제수단 S : 증기발생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날염인쇄물의 후처리장치는 물저장탱크와 전원공급, 물공급, 증기발생시간 및 온도의 조절기능을 갖는 증기발생통제수단이 구비된 보조몸체; 상단에 단열판이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통제수단에 의해 공급된 물과 증기발생시간에 따라 히터의 가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수단이 내측에 구비되는 증기발생통과, 상기 증기발생통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 내부몸체와, 상기 증기발생통과 내부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증기발생통 내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몸체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몸체와 단열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날염인쇄물이 증기발생통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해 날염된 색소를 대상물에 견고히 고착시키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 상단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구비된 개폐손잡이에 의해 개폐가능한 덮개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증기발생통제수단은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와, 각 기기의 동작을 단속하는 작동스위치와, 물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물공급타이머와, 물공급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를 조절하여 증기발생 총시간을 통제하는 증기발생타이머와, 증기발생수단의 히터의 온도를 검출하는 열전대온도계의 값을 측정하여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증기발생수단은 증기발생통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증기발생통 내부로 물을 공급 분사하는 물분사관과, 상기 물분사관에서 분사된 물이 증기발생통 저면에 부딪혀 되튀는 것을 방지하고 낙하된 물을 사방으로 퍼지도록 하단에 복수개의 스테인레스 망이 설치되는 증발가속막과, 상기 단열판의 하단에 설치되어 증기발생통 저면에서 미세한 물방울이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튐방지막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덮개는 메인몸체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승되어 배출되는 수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유입된 증기중 덮개 내부에서 응결된 응결수가 메인몸체 상부에 설치된 날염인쇄물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에 경사진 응결수낙하방지막이 설치되며, 상기 응결수낙하방지막에 낙하되어 응결수받이부에 모인 응결수를 덮개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하단에 응결수배출관이 연결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에서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전체적인 개략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의 정단면도와 사용상태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는 날염프린터에 의해 날염이 행해진 인쇄물에 고온의 증기를 통과시켜 날염된 색소가 대상물에 견고히 고착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주요 구성으로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수단(S)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면에 안치되는 날염인쇄물(40)에 증기를 통과시키는 메인본체(10)와, 메인본체 (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메인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증기발생수단(S)에 물의 공급과 증기발생시간, 히터의 온도조절 등을 할 수 있는 증기발생통제수단 (T)이 구비된 보조본체(20)와, 상기 메인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메인본체(10) 하단에서 발생되어 날염인쇄물(40)을 통과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덮개(5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각 주요부의 세부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보조본체(20)의 증기발생통제수단(T)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발생용 물을 저장 공급하는 물저장통(21)과, 보조본체(20)의 내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물저장통(21)의 하단으로 연결 설치되어 메인본체(10)에 증기발생용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22)과, 물공급관(22)의 중앙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23)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3)를 제어하여 물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외측면에 설치된 증기발생타이머(63)와 물공급타이머(62), 외부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24)와, 각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작동스위치(61)로 구성된다.
또한, 보조본체(20)의 하단 내부에는 메인본체(10)의 내측 하단에 설치된 히터(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선으로 연결 설치된 마그네트스위치(25)와, 히터(13)의 온도를 검출하여 마그네트스위치(25)를 제어하는 온도제어기(65)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본체(10)는 보조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증기발생수단(S)으로는 가장 내측에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증기발생통(12)이 구비되고, 이 증기발생통(12)의 외측으로 증기발생통(12)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의 단열재(30)가 설치되며, 단열재(30)의 외측으로는 내부몸체(18)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기발생통(12)의 저면에는 상기 보조본체(20)에 설치된 온도제어기 (65)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필요한 범위(0∼400℃까지 제어가능하며, 설정된 온도에서 2℃범위 이내에서 온도가 유지된다)의 온도까지 상승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판형 히터(13)가 설치되고, 히터(13)가 설치된 일단에는 히터(13)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여 온도제어기(65:히터의 온도제어범위와 동일)에 보내는 열전대온도계(64)가 구비된다.
또한, 증기발생통(12)의 중간부위에는 구리관으로 제작되고 물저장통(21)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22)에 연결되어 다수의 미세한 분사공(15′)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관(15)이 설치되고, 이 물분사관(15)의 설치높이는 물저장통 (21)의 설치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여 물저장통(21)의 물이 중력에 의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통(12)의 하부에는 물분사관(15)에서 분사된 물이 가열된 히터(13)에 낙하되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낙하된 물방울이 사방으로 비산되도록 눈금이 3㎜의 스테인레스 망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증발가속망(14)이 설치되고, 증기발생통(12) 상단부에는 가열된 증기발생통(12) 바닥에서 튀어 오르는 미세한 물방울이 증기발생통(12) 상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눈금이 0.1㎜ 이하인 스테인레스 망으로 이루어진 물튐방지막(16)이 다수겹 설치된다.
그리고, 증기발생통(12)의 최상단에는 가열된 증기발생통이 날염인쇄물(4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 두께의 단열판(17)이 설치되어지되, 내부몸체(18)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열판(17)과 내부몸체(18) 상면으로 날염이 행해진 날염인쇄물(40)이 위치 고정된다.
한편, 상기 메인본체(10)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방향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덮개(50)의 내부에는 증기발생통(12) 하단에서 발생된 증기가 날염인쇄물(40)을 통과한 후에 모이게 되며, 내부에 모여진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덮개(50)의 일측에 증기배출공(52)이 관통형성되고, 또한 모인 증기가 응결되어 내부몸체(18) 상면에 위치한 날염인쇄물(40)에 낙하되어 색소가 번지거나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면직류의 응결수낙하방지막(54)이 덮개(50)의 내부에 횡방향 배치되는 구성을 갖으며, 상기 응결수낙하방지막(54)에 낙하된 응결수가 모일 수 있도록 덮개(50)의 내측으로 응결수받이부(55)가 구비되며, 이 응결수받이부(55)에 모인 응결수가 덮개(5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측에 응결수배출관(53)이 연결 설치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의 동작 및 그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먼저, 외부와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보조본체(20)에 구비된 온도제어기(65)를 조작하여 메인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13)의 온도를 적정한 수준까지 가열 유지시킨다.
다음에, 메인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덮개(50)를 열고 날염이 행해진 후처리 대상물인 날염인쇄물(40)을 내부몸체(18)와 단열판(17) 상부에 올려놓고 덮개(50)를 덮어서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증기발생타이머(63)의 조작으로 증기가 발생되는 총시간을 결정하고, 물공급타이머(62)로 증기발생에 필요한 물의 공급량을 결정한 후에 후처리장치의 작동스위치(61)를 동작시킨다.
작동스위치(61)의 조작으로 물공급타이머(62)로 셋팅된 시간동안 물공급관 (2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가 열리게 되고, 물저장통(21)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물공급관(22)을 통해 메인본체(10)의 증기발생통(12) 내부에 돌출 설치된 물분사관(15)으로 공급된다.
물분사관(15)에 공급된 물은 다수개의 분사공을 통해 증기발생통(12) 내부에 분사되고, 이렇게 분사된 물은 가열된 히터(13) 상면에 떨어지면서 즉시 증발하여 고온의 수증기가 된다.
고온의 수증기는 증기발생통(12) 상부로 이동하여 단열판(17)과 단열판(17) 상부에 올려져 있는 날염인쇄물(40)을 통과하여 최상단에 구비된 덮개(50) 내부에 모이게 된다.
덮개(50) 내부에 모인 수증기는 덮개(50)의 일측에 형성된 증기배출공(52)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며, 외부로 미쳐 빠져 나가지 못하고 덮개(50) 내부에서 응결된 응결수는 응결수낙하방지막(54)에 낙하되어 덮개(50)의 내부에 절곡 형성된응결수받이부(55)에 모이게 되고, 응결수받이부(55)에 모인 응결수는 일측에 형성된 응결수배출관(53)을 통해 덮개(5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물분사관(15)을 통해 분사된 물이 모두 수증기가 되어 증발되면, 물공급관(2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가 다시 열렸다가 닫히는 동작이 반복되어 고온의 증기를 계속해서 발생시킨다.
증기발생시간은 증기발생타이머(63)에서 정한 총 증기발생시간이 경과되면 증기발생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날염인쇄물(40)의 후처리가 끝나면, 덮개(50)를 열고 후처리된 대상물을 꺼냄으로서 후처리 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고, 날염 인쇄물의 색소가 고온의 증기에 의해 고착되므로 색소의 번짐이 없어 선명하고 깨끗한 날염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날염인쇄물(40)을 통과한 증기가 덮개(50) 내부에 모인 후에 외부로 배출되므로 응결수가 낙하되어 후처리대상물의 색소가 얼룩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처리대상물의 크기 및 종류별로 각각 다르게 제작하여 사용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날염인쇄물의 후처리장치는 날염프린터에 의해 원단이나 제단된 옷감, 의류 등에 분사된 색소를 고온증기로 고착시키므로 선명하고 깔끔한 날염인쇄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날염인쇄물의 크기나 재질에 상관없이 후처리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색소를 고착시키기 위한 고온증기발생시간을 재질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후처리대상물의 선택성이 넓으며, 고열증기의 열손실의 최소화와 이로 인한 열에너지 소모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간편한 조작에 의해 사용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능력 유무에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발명이다.

Claims (4)

  1. 증기발생용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21)과 전원공급, 물공급, 증기발생시간 및 온도의 조절기능을 갖는 증기발생통제수단(T)이 구비된 보조본체(20); 상단에 단열판(17)이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통제수단(T)에 의해 공급된 물과 증기발생시간에 따라 하단에 설치된 히터(13)의 가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수단 (S)이 내측에 구비되는 증기발생통 (12)과, 상기 증기발생통(12)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 내부몸체(18)와, 상기 증기발생통(12)과 내부몸체(18) 사이에 설치되어 증기발생통(12) 내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30)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본체(2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몸체(18)와 단열판 (17)의 상면에 위치하는 날염인쇄물(40)이 증기발생통(12)에서 발생된 증기에 의해 날염된 색소를 대상물에 견고히 고착시키는 메인본체(10); 상기 메인본체(10) 상단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구비된 개폐손잡이(51)에 의해 개폐가능한 덮개(5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통제수단(60)은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원 온/오프스위치(61)와, 물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물공급타이머(62)와, 물공급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를 조절하여 증기발생 총시간을 통제하는 증기발생타이머(63)와, 증기발생수단의 히터(13)의 온도를 검출하는 열전대온도계(64)와, 상기 열전대온도계(64)의 값을 측정하여 히터(13)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기(65)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수단은 증기발생통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증기발생통제수단에 의해 물저장통(21)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증기발생통(12) 내부로 공급 분사하는 물분사관(15)과, 상기 물분사관(15)에서 분사된 물이 증기발생통(12)의 저면에 구비된 히타(13) 상면에 부딪혀 되튀는 것을 방지하고 낙하된 물을 사방으로 퍼지도록 히터(13) 상단에 복수개의 스테인레스 망이 설치되는 증발가속막(19)과, 상기 물분사관(15)의 상단에 설치되어 히터(13) 상면에 낙하된 물이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튐방지막(19′)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0)는 메인본체(10)에서 발생되어 상승한 증기가 배출되도록 일측에 관통형성된 수증기배출공(52)과, 유입된 증기중 덮개(50) 내부에서 응결된 응결수가 메인본체(10) 상부에 설치된 후처리대상물(40)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덮개(50) 내측에 설치되는 응결수낙하방지막(54)과, 상기 응결수낙하방지막(540에 낙하된 응결수가 한곳에 모여 덮개(50) 외부로 배출되도록 덮개(50) 하단 일측에 관통 형성된 응결수배출공(53)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KR1020000047911A 2000-08-18 2000-08-18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KR10035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911A KR100352746B1 (ko) 2000-08-18 2000-08-18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911A KR100352746B1 (ko) 2000-08-18 2000-08-18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224A KR20000072224A (ko) 2000-12-05
KR100352746B1 true KR100352746B1 (ko) 2002-09-16

Family

ID=1968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911A KR100352746B1 (ko) 2000-08-18 2000-08-18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67B1 (ko) * 2006-12-04 2007-10-15 이규철 날염물의 증열처리용 천 지지장치
KR101107512B1 (ko) * 2008-06-30 2012-02-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디지털 날염 전용 복합 후가공기
KR101253027B1 (ko) * 2012-12-31 2013-04-09 강우경 옻을 이용한 자수제품의 친환경 보존처리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109A (en) * 1978-06-02 1981-12-08 Sando Iron Works, Co. Ltd. Apparatus for fixing dyes printed on a cloth by wet heat treatment
KR850002164Y1 (ko) * 1983-07-06 1985-10-07 박기형 날염포(捺染布)용 연속증열기
JPH0457957A (ja) * 1990-06-25 1992-02-25 Sotou Kougiyou Kk 捺染羊毛布帛のバツチ式蒸熱処理装置
KR950012678A (ko) * 1993-10-14 1995-05-16 문정환 반도체 장치의 소자 격리막 제조 방법
KR960003050U (ko) * 1994-06-30 1996-01-22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빈 체결장치
JPH08134784A (ja) * 1994-11-08 1996-05-28 Osaka Gas Co Ltd アクリル毛布の蒸熱方法及び装置
KR200171988Y1 (ko) * 1999-09-02 2000-03-15 동신기계공업주식회사 날염포용 증열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109A (en) * 1978-06-02 1981-12-08 Sando Iron Works, Co. Ltd. Apparatus for fixing dyes printed on a cloth by wet heat treatment
KR850002164Y1 (ko) * 1983-07-06 1985-10-07 박기형 날염포(捺染布)용 연속증열기
JPH0457957A (ja) * 1990-06-25 1992-02-25 Sotou Kougiyou Kk 捺染羊毛布帛のバツチ式蒸熱処理装置
KR950012678A (ko) * 1993-10-14 1995-05-16 문정환 반도체 장치의 소자 격리막 제조 방법
KR960003050U (ko) * 1994-06-30 1996-01-22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빈 체결장치
JPH08134784A (ja) * 1994-11-08 1996-05-28 Osaka Gas Co Ltd アクリル毛布の蒸熱方法及び装置
KR200171988Y1 (ko) * 1999-09-02 2000-03-15 동신기계공업주식회사 날염포용 증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224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1517B2 (en) Hand-held garment steamer with scale collection chamber
KR100866884B1 (ko) 건조기의 포량 결정 제어방법 및 그 건조기
KR101056942B1 (ko) 진동자를 이용한 향 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RU26552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аром одежды
EP3194648B1 (en) A steam device
CN100370176C (zh) 电蒸汽装置
WO2007133004A1 (en) Garment refreshing apparatus
CN107002346B (zh) 蒸汽熨斗头
KR100352746B1 (ko) 날염 인쇄물의 후처리장치
EP210476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fabric processing apparatus
CN108239871A (zh) 避免平烫时滴水的蒸汽发生装置及熨烫器
US7516566B2 (en) Steam iron having a lightweight soleplate and flat resistive heating tracks for heating the soleplate
US4744160A (en) Fabric pressing machine using superheated steam
US3186106A (en) Drier having flow rate-responsive control means
CN101586295B (zh) 洗涤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0279485A (ja) スチームアイロン
KR101513626B1 (ko)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3774327A (en) Steam emitting ironing board
KR10129127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0182315Y1 (ko) 전기 압력밥솥의 보습구조
TR201810267T4 (tr) Bir buhar-geçirgen süzgeç ile buharlı ütü.
KR970009651B1 (ko) 스케일방지용 증발 농축 건조 폐수처리장치
EP2304094B1 (en) Steam utilizing apparatus
KR101521930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20220125087A (ko) 스티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