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725B1 -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 - Google Patents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725B1
KR100352725B1 KR1020000039206A KR20000039206A KR100352725B1 KR 100352725 B1 KR100352725 B1 KR 100352725B1 KR 1020000039206 A KR1020000039206 A KR 1020000039206A KR 20000039206 A KR20000039206 A KR 20000039206A KR 100352725 B1 KR100352725 B1 KR 100352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iston
flow path
lower por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5797A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7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5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시간에 세척이 가능함과 더불어, 피스톤펌프와 셧오프가 가까와 액충진시 용량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된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액공급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액을 튜브에 정량주입하도록 구성된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110)에 고정되는 지지수단(510)의 세척실린더(520)와 동작실린더(5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공급탱크(400)로부터 액이 유입되어 노즐(N)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유로부재(560)와, 상기 동작실린더(550)의 하부에 연장설치되어 상기 유로부재 (560)가 노즐(N)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작동하는 셧오프(570)와, 상기 동작실린더(530)와 연결되어 안내수단(540)으로 안내되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세척실린더(555)의 하부에 연장설치되어 상기 유로부재(560)를 통해 액이 정량유입되도록 상승함과 더불어 상기 셧오프(570)가 상승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되면 정량의 액체가 노즐(N)을 통해 배출되도록 피스톤수단(5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 A liquid natural quantity supply device of packing machine }
본 발명은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시간에 세척이 가능함과 더불어, 피스톤펌프와 셧오프가 가까와 액충진시 용량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된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기능은 개장·내장의 소비자포장(co-nsumerpackage), 외장의 수송포장(transitpac-kage)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이 달라진다. 개장은 사용자에게 건네지는 최소단위의 포장으로서 정보표시에, 내장은 개장의 보호에, 외장은 수출목적에 각각 중점을 둔다.
이와 같이 물품이 생산되어 마지막 소비자에게 건네지고 소비되기까지 필요한 보호기능 및 생산성·기계적응성·편리성·보온성·방습성·방청성·안전위생성·폐분성·판매촉진성 등, 그 상품의 성질과 유통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저렴한 비용이 요구되어, 포장기가 다양하게 대두되었다.
이러한 포장기의 개발에 따라서 액체나 유체의 등의 점도가 높은 물질을 백(bag)에 정량포장하기 위한 포장기가 개발되었는 바, 포장기에는 액을 정량공급하기 위한 액정량충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액정량충진장치는 세척시 모두 분해하여 세척을 하게 되므로 번거롭고, 피스톤펌프와 셧오프의 사이가 멀어서 노즐로 주입되는 액을 정량충진하는 것에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단실린더를 사용하여 세척시 분해없이 단시간내에 세척이 가능함과 더불어, 피스톤펌프와 셧오프가 가까와 액충진시 용량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된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량충진장치가 적용된 포장기의 조립도,
도 2는 도 1의 액정량충진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도 1의 액정량충진장치가 액을 정량유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셧오프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피스톤이 하강하여 노즐로 액을 정량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1의 우측면도로 좌측은 액을 정량주입한 상태이고, 우측은 액을 정량유입한 상태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량충진장치의 실린더를 세척할 때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200 : 구동부
300 : 필름공급부 310 : 필름
320 : 필름커팅부 400 : 액공급탱크
500 : 액정량충진장치 N : 노즐
520,555: 세척실린더 560 : 유로부재
562 : 셧오프유로부 563 : 피스톤유로부
587 : 피스톤 600 : 스트립테입공급부
610 : 브레이크수단 620 : 스트립테입
700 : 포머부 800 : 센터실링부
900 : 엔드실링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액공급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액을 튜브에 정량주입하도록 구성된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수단의 세척실린더와 동작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공급탱크로부터 액이 유입되어 노즐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유로부재와, 상기 동작실린더의 하부에 연장설치되어 상기 유로부재가 노즐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작동하는 셧오프와, 상기 동작실린더와 연결되어 안내수단으로 안내되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세척실린더의 하부에 연장설치되어 상기 유로부재를 통해 액이 정량유입되도록 상승함과 더불어 상기 셧오프가 상승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되면 정량의 액체가 노즐을 통해 배출되도록 피스톤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량충진장치가 적용된 포장기의 조립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기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동부(200)가 설치되고, 이 구동부 (200)의 일측에 필름공급부(30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0)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110)을 매개로 액공급탱크(400)와 액정량충진장치(50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구동부(200)의 타측에는 상기 액정량충진장치(500)의 노즐(N)을 지지하도록 스트립테입공급부(6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의 타측이면서 스트립테입공급부(600)의 하부에는 상기 필름공급부(300)에서 공급된 필름(310)이 상기 노즐(N)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로 공급되도록 포머부(700)가 설치되고, 이 포머부(700)의 하부에는 상기 포머부(700)로 원통형을 이루면서 공급되는 필름(310)과 상기 스트립테입공급부(600)에서 공급되는 스트립테입(620)을 필름(310)의 내측 양단 코팅면에 유입되도록 안착하여 밀봉하는 센터실링부(800)와, 이 센터실링부(800)의 하부에 길이방향의 튜브를 일정길이로 실링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엔드실링부(900)가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320은 필름부의 필름을 일정폭으로 잘라내기 위한 필름커팅부이고, 610은 상기 스트립테입공급부(600)가 회전할 때 필요한 정도만 회전하도록 한 브레이크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액정량충진장치(50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지지수단(510)과, 이 지지수단(510)의 최상부에 설치된 세척실린더(520)와 동작실린더(530) 및, 상기 세척실린더(520)와 연결되어 안내수단(540)으로 안내되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동작실린더(550)와, 이 동작실린더(550)의 하단이면서 지지수단(5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공급탱크 (400)로부터 액이 유입되어 노즐(N)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유로부재(560)와, 상기 동작실린더(550)의 하부에 연장설치되어 상기 유로부재(560)가 노즐(N)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작동하는 셧오프(570)와, 상기 동작실린더(530)와 연결되어 안내수단(540)으로 안내되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세척실린더(555)와, 이 세척실린더(555)의 하부에 연장설치되어 상기 유로부재(560)를 통해 액이 정량유입되도록 상승함과 더불어 상기 셧오프(570)가 상승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되면 정량의 액체가 노즐(N)을 통해 배출되도록 피스톤수단(58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510)은, 상기 세척실린더(520)와 유로부재(560)를 지지하는 상하브라켓(511,512)과, 이 상하브라켓(511,512)의 양단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 (513,514)과, 이 상하브라켓(511,512)을 연결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수단(540)을 안내하도록 설치된 서포트부재(515,516)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540)은, 상기 세척실린더(520)의 하부에 체결되는 클램프부재(541)와, 이 클램프부재(541)와 보울트(542)로 체결되는 이동플레이트(543)와, 이 이동플레이트(543)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부재(515,516)에 끼워지는 리테이너(544)와, 상기 이동플레이트(543)의 하부에 설치되어 동작실린더(550)와 세척실린더(555)를 고정하도록 된 하부클램프(545)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유로부재(560)는, 상기 지지수단(510)의 하부에 상기 액공급탱크 (400)와 연결된 밸브(561)를 측벽에 갖춘 셧오프유로부(562)와, 이 셧오프유로부 (562)와 연통되도록 지지수단(510)의 하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세척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세척액유입구멍(563a)이 형성된 피스톤유로부(563)와, 상기 셧오프유로부(562)의 하부에 설치되어 노즐(N)과 연결되는 노즐연결부재(5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셧오프(570)는, 상기 셧오프유로부(562)의 유로를 하부로 부터 소정간격으로 폐쇄하는 제1,2,3폐쇄부(571,572,57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수단(580)은, 상기 세척실린더(555)의 하부에 체결되는 클램프부재(581)와, 이 클램프부재(581)와 보울트(582)로 체결되는 이동플레이트 (583)와, 이 이동플레이트(583)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부재(515,516)에 끼워지는 리테이너(584)와, 상기 이동플레이트(583)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클램프 (585)와, 이 하부클램프(585)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유로부(563)로 상하이동하도록 된 피스톤로드(586)와, 이 피스톤로드(58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유로부(563)로 액체를 유입하거나 가압하여 배출하도록 한 피스톤(587)을 포함한다.
이 피스폰(587)의 외주면에는 실링을 위해 오링(587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유로부(563)의 최하부로 피스톤(587)이 내려간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유로부(563)와 피스톤(587)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액유입구멍(563a)을 통해 피스톤유로부(563)로 유입된 세척액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공급탱크(400)에서 액이 상기 액정량충진장치(500)의 유로부재(560)에 설치된 밸브(561)로 유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동작실린더(530)가 작동하게 되면 세척실린더(555)가 상승하면서 피스톤로드(586)를 매개로 피스톤(587)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561)를 통해 유입된 액이 피스톤유로부(563)를 따라 일정량 유입된다.
이후 상기 동작실린더(550)가 작동하여 셧오프(57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셧오프유로부(562)에서 제1폐쇄부(571)가 열리는 상태로 되어 도 4의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동작실린더(530)가 작동하게 되면 세척실린더(555)가 하강하면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스톤로드(586)를 매개로 피스톤(587)이 하강하게 되므로, 상기 밸브(561)를 통해 피스톤유로부(563)로 유입된 액이 셧오프유로부(562)와 피스톤유로부(563)의 연통된 곳을 따라 가압되어 셧오프유로부(562)의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셧오프유로부(562)의 하부로 배출된 액은 노즐(N)로 유입되어 도시되지 않은 튜브로 정량공급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밸브(561)로 세척액이 들어올 때상기 세척실린더(520)가 작동되면서 동작실린더(530)가 상승하면서 도 4와 같이 셧오프(570)의 제1폐쇄부(571)가 셧오프유로부(562)를 열면서 세척후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액유입구멍(563a)으로 세척액이 유입된 상태로 또는 피스톤(587)이 세척실린더(555)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유로부(563)의 최하부로 내려간 상태로 세척액이 유입되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스톤(587)과 셧오프유로부(562)와 피스톤유로부(563)의 연통부와 형성된 공간으로 세척액이 배출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셧오프유로부와 피스톤유로부에 각각 세척실린더가 설치되어 세척시 기계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 청소시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셧오프유로부와 피스톤유로부가 근접해 있어 설치공간이 조금만 필요하고, 점도가 높은 물질인 경우에도 셧오프유로부와 피스톤유로부의 연결부가 짧아 정량충진의 오차가 적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삭제
  2.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액공급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액을 튜브에 정량주입하도록된 포장기의 액정량충전장치가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수단을 매개로 설치된 세척실린더와 동작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공급탱크로부터 액이 유입되어 노즐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유로부재와, 상기 동작실린더의 하부에 연장설치되어 상기 유로부재가 노즐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작동하는 셧오프와, 상기 동작실린더와 연결되어 안내수단으로 안내되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세척실린더의 하부에 연장설치되어 상기 유로부재를 통해 액이 정량유입되도록 상승함과 더불어 상기 셧오프가 상승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되면 정량의 액체가 노즐을 통해 배출되도록 피스톤수단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수단은, 상기 세척실린더의 하부에 체결되는 클램프부재와, 이 클램프부재와 체결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이 이동플레이트의 양단에 결합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클램프와, 이 하부클램프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유로부로 상하이동하도록 된 피스톤로드와, 이 피스톤로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유로부로 액체를 유입하거나 가압하여 배출하도록 한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의 액정량충전장치.
KR1020000039206A 2000-07-10 2000-07-10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 KR100352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206A KR100352725B1 (ko) 2000-07-10 2000-07-10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206A KR100352725B1 (ko) 2000-07-10 2000-07-10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797A KR20020005797A (ko) 2002-01-18
KR100352725B1 true KR100352725B1 (ko) 2002-09-16

Family

ID=1967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206A KR100352725B1 (ko) 2000-07-10 2000-07-10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367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솔팩 서보모터의 제어에 의한 정량 충진장치
KR20210009807A (ko) 2019-07-18 2021-01-27 (주)정동산업 파우치 성형기의 용액 주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367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솔팩 서보모터의 제어에 의한 정량 충진장치
KR102084295B1 (ko) * 2017-11-23 2020-03-03 주식회사 솔팩 서보모터의 제어에 의한 정량 충진장치
KR20210009807A (ko) 2019-07-18 2021-01-27 (주)정동산업 파우치 성형기의 용액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797A (ko) 200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381B1 (ko) 세제 투입 제어기
US5193593A (en) Package filling method and apparatus
US4405061A (en) Filling machine
JP4933561B2 (ja) 液体製品を容器にパッケージングするための設備
JP2010514632A (ja) 流体を搬送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CA2048950A1 (en) Package filling method and apparatus
CA2457428A1 (en) Self-cleaning fluid dispenser
KR20100125133A (ko) 정량토출 실러 건 및 그를 포함하는 실러 도포 장치
JPH0663489A (ja) 材料再循環付バルク溶融器
KR100352725B1 (ko) 포장기의 액정량충진장치
JP4121804B2 (ja) 塗料供給用シリンジポンプ
KR100452842B1 (ko) 충전기 내의 역류방법과 이러한 방법 실행을 위한 충전기
JPS6352234B2 (ko)
JPS5837857B2 (ja) 塗剤の塗布装置
JP7232989B2 (ja) 洗濯機
JPH10307051A (ja) 液体定量吐出装置
KR102645767B1 (ko) 액상물 공급 및 세척장치
FI97217C (fi) Annostelijalaite
JPH07224764A (ja) チューブの内容物を定量ずつ垂直方向に吐出せしむる内容物の吐出方法及びチューブポンプ
KR200395252Y1 (ko) 질소충진장치
KR101671915B1 (ko) 실리콘 사출성형기용 도징기
EP4310462A1 (en) Dosing device for a fluid
IT202100001445A1 (it) Metodo di gestione di un liquido e dispositivo per l’erogazione e/o dosaggio di tale liquido
NL1026118C2 (nl) Inrichting voor het dempen van een vloeistofstroom.
RU1817832C (ru) Сифонный доз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