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657B1 -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657B1
KR100352657B1 KR1020000074614A KR20000074614A KR100352657B1 KR 100352657 B1 KR100352657 B1 KR 100352657B1 KR 1020000074614 A KR1020000074614 A KR 1020000074614A KR 20000074614 A KR20000074614 A KR 20000074614A KR 100352657 B1 KR100352657 B1 KR 10035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am
tilt adjustment
pick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234A (ko
Inventor
권창민
Original Assignee
레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6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5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는 별도 부품으로 사출 성형되어 베이스(30)의 소정위치에 후크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는 상기 베이스(30)에 형성된 관통홀(30b)에 삽입 안착되어 그 상단이 베이스(30)의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베이스(30)의 하부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캠축(82)과,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측에서 상기 캠축(82)을 감싸줌과 동시에 베이스(30)의 관통홀(30b)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30c)에 대응되게 걸려 조립되는 캠커버(84)와, 상기 캠축(82)과 캠커버(84)가 서로 대응되게 결합될때 캠커버(84)의 일측에 수납되어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을 누르는 코일스프링(8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베이스(30)에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를 아웃서트(outsert)방식에 의해 작업할때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베이스(30)의 휨변형에 따른 작업불량을 없앨 수 있고, 베이스(30)의 평면도에 대한 교정지그 및 측정지그의 사용을 없애어 작업공정을 줄임에 따라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A ALIGNMENT APPARATUS FOR TILT OF PHOTO PICK-UP}
본 발명은 CD롬 드라이브(CD ROM DRIVE), CD플레이어(CD PLAYER), DVD롬 드라이브(DIGITAL VERSATILE DISC ROM DRIVE), DVD플레이어(DIGITAL VERSATILE DISC PLAYER)등에 적용되는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장치에서 DVD를 읽어내는 픽업의 대물렌즈가 자체적으로 디스크에 대해 일정각도 만큼 틀어진 상태로 조립되어 있는바, 이는 턴테이블면에 안착된 디스크의 기록된 면과 픽업의 대물렌즈가 이상적인 수직상태가 벗어나 있는데, 이를 인위적으로 픽업을 고정하는 피딩유니트에서 광픽업의 수직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10)와, 상기 데크(10)의 상면에 요철형상으로 결합되어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후술하는 광픽업 유니트까지 디스크(D)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트레이(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데크(10)의 전단 중앙 하면에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로딩모터(12)와, 상기 데크(10)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로딩모터(12)의 상부에 설치되어 로딩모터(12)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시 회전되도록 끝단에 제1풀리(14)가 고정된 모터축(16)과, 상기 테크(10)의 전단 일측(좌측) 상면에 회전자유롭게 힌지되어 상기 제1풀리(14)와 벨트(18)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면에 직경이 작은 제1기어면(20a)이 일체로 형성된 제2풀리(20)와, 상기 데크(10)의 전단 일측(좌측) 상면에 회전자유롭게 힌지되어 상기 제1기어면(20a)과 하단이 기어접촉되도록 상,중,하부측 기어면(22a)(22b)(22c)이 동심되게 일체로 형성된 로딩기어(22)와, 상기 데크(10)의 전단 상면에 대하여 상기 로딩기어(22)의 후방에 좌우슬라이딩가능케 지지되어 로딩기어(22)의 하측 기어면(22c)과 기어접촉 또는 분리되는 슬라이드부재(24)와, 상기 데크(10)의 상면 좌우측 중앙에 일측단이 힌지됨과 동시에 타측단에 형성된 2개의 보스(26a)가 상기 슬라이드부재(24)의 후면에 형성된 2개의 보스홀(24a)에 안내되어 승하강될때 동시 승하강되면서 수평 또는 경사지게 유지되는 레버(26)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재(24)는 그 일측단(좌측단) 전측면에 상기 로딩기어(22)의 하측 기어면(22c)과 기어접촉되어 슬라이드부재(24)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도록 슬라이드랙(24b)이 형성되고, 그 상면 중앙에는 상기 트레이(미도시)의 전단 하면측 트레이캠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트레이의 개방을 제어하도록캠보스(24c)가 상향되게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데크(10)의 후단 상면 1곳과 레버(26)의 전단 상면 2곳에는 복수의 체결나사(28)를 매개로 금속재질의 베이스(3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30)의 중앙에는 일정면적 및 형상으로 개구부(30a)가 뚫여져 있으며, 상기 베이스(30)의 상면 전단 중앙에는 상기 디스크(D)를 안착시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3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30)의 하면 일측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피딩모터(34)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3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피딩모터(34)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기어(36)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30)의 상면 일측에는 제1기어(3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상부 및 하부 기어면(38a)(38b)을 가진 제2기어(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측 상기 개구부(30a)의 가장자리 4곳에 대하여 1곳에는 아웃서트(outsert)방식에 의해 고정부재(40)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측 상기 개구부(30a)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나머지 3곳에는 아웃서트(outsert)방식과 체결방식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제1 내지 제3틸트조정캠 어세이(42a)(42b)(42c)가 결합되며, 상기 제1틸트조정캠 어세이(42a)와 제2틸트조정캠 어세이(42b)와의 사이 또는 고정부재(40)와 제3틸트조정캠 어세이(42c)와의 사이에는 제1 내지 제3틸트조정캠 어세이(42a)(42b)(42c)에 의해 탄젼셜방향 및 레디얼방향으로 틸트조정되도록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픽업축(44a)과 제2픽업축(44b)에는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안내를 받아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광픽업유니트(46)가 설치되고, 상기 광픽업유니트(46)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제2기어(38)의 하부측 기어면(38b)과 기어접촉되는 랙부재(48)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틸트조정캠 어세이(42a)(42b)(42c)는 상기 베이스(30)의 3곳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나, 이들 조립구조 및 형상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도시한 바와 같이 제3틸트조정캠 어세이(42c)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상기 제3틸트조정캠 어세이(42c)는 상기 금속재질의 베이스(30)의 일측 두께면을 사이에 두고 상면과 하면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도록 아웃서트방식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캠축(50)과,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측에서 상기 캠축(50)의 상단에 안착되어 체결나사(52)에 의해 고정되도록 별도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재질의 캠커버(5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캠축(50)은 그 상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예를 들어 0°에서 360°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경사진 편심면(50a)이 형성되고, 그 상면 중앙에는 상기 캠커버(54)가 안착되어 상기 체결나사(52)에 의해 고정되도록 소정높이로 돌출면(50b)이 형성되며, 그 하면 중앙에는 상기 캠축(50)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육각렌치(6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삽입홈(5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는 베이스(30)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정면적 및 형상으로 제작하고, 이 베이스(30)의 소정위치에 제1 내지 제3틸트조정캠 어세이(42a)(42b)(42c)의 캠축(50)을 아웃서트방식(사출 금형속에 프레스부품을 넣고 사출하는 방식)에 의해 일체로 제작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아웃서트방식은 작업자가 전공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염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3틸트조정캠 어세이(42a)(42b)(42c)의 인서트작업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베이스(30)와 함께 제1 내지 제3틸트조정캠 어세이(42a)(42b)(42c)를 통째로 불량처리하여야 하는 손실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베이스(30)에 제1 내지 제3틸트조정캠 어세이(42a)(42b)(42c)가 인서트방식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때 높은 사출압력에 의해 베이스(30)의 평면도 불량이 발생되기 때문에 평면도 교정지그를 사용하여 가공정도를 교정한 다음 그 양을 또 다른 교정량 측정지그에 의해 전수검사를 하여야 하는 복잡함과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이 길어져 제조코스트가 상승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를 베이스의 일측에 각각 후크(hook)방식으로 간단히 조립되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베이스에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를 아웃서트(outsert)방식에 의해 작업할때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불량을 최소화시키고, 베이스의 평면도에 대한 교정지그 및 측정지그의 사용을 없애어 작업공정을 줄임에 따라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도록한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는 베이스의 소정위치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와, 상기 고정부재 및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에 의해 탄젼셜방향 및 레디얼방향으로 틸트조정되는 제1 및 제2픽업축과,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수평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픽업축의 수평도에 의해 대물렌즈의 광축을 디스크 면과 수직으로 맞추는 광픽업유니트를 구비한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는 별도 부품으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베이스의 소정위치에 후크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안착되어 그 상단이 베이스의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베이스의 하부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캠축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측에서 상기 캠축을 감싸줌과 동시에 베이스의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에 대응되게 걸려 조립되는 캠커버와, 상기 캠축과 캠커버가 서로 대응되게 결합될때 캠커버의 일측에 수납되어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의 끝단을 누르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가 베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에 의한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픽업 틸트 조정 수단에서 틸트조정캠 어세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에서 틸트조정캠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베이스 30b : 관통홀
30c : 걸림홀 40 : 고정부재
44a,44b : 제1픽업축 46 : 광픽업유니트
60 : 육각렌치 70 : 조립위치선정용 지그
80 : 틸트조정캠 어세이 82 : 캠축
82a : 슬롯홈 82b : 원형보스
82c : 평면구간 82d : 경사구간
82e : 정지돌기 82f : 트랙
82g : 공구삽입홈 82h : 회전보스
82i : 지그삽입홈 84 : 캠커버
84a : 원추홈 84b : 스프링수납홈
84c : 절결홈 84d : 지그삽입홈
86 : 코일스프링 D : 디스크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베이스(30)의 상면측 상기 개구부(30a)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나머지 3곳에 후크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픽업축(44a)의 양측단과 제2픽업축(44b)의 일측단을 각각 지지함과 동시에 탄젼셜방향 및 레디얼방향으로 틸트조정하도록 별도의 금형에 의해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가 사출 성형되어 있다.
즉, 상기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재질의 베이스(30)에 형성된 관통홀(30b)에 삽입 안착되어 그 상단이 베이스(30)의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베이스(30)의 하부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캠축(82)과,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측에서 상기 캠축(82)을 감싸줌과 동시에 베이스(30)의 관통홀(30b)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30c)에 대응되게 걸려 조립되는 캠커버(84)와, 상기 캠축(82)과 캠커버(84)가 서로 대응되게 결합될때 캠커버(84)의 일측에 수납되어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을 누르는 코일스프링(8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캠축(82)은 그 상면 중앙 둘레에 소정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캠커버(84)의 하면 일측과 유동되지 않게 면접촉되도록 상단이 쐐기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의 슬롯홈(82a)을 가진 원형보스(82b)와, 그 상면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이 안착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평면구간(82c), 경사구간(82d) 및 정지돌기(82e)를 가진 트랙(82f)과, 그 하면 중앙 둘레에 돌설되어 상기 베이스(30)의 관통홀(30b)에 삽입됨과 동시에베이스(30)의 하부에서 육각렌치(60)와 결합되어 캠축(82)의 전체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삽입홈(82g)을 가진 회전보스(82h)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홈(82a)은 상기 캠커버(84)의 후술하는 원추홈과 접촉시 상기 원형보스(82b)의 상단 직경이 내측으로 오므러지면서 캠커버(84)와 강하게 면접촉되어 캠축(82)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원형보스(82b)의 상면에서 볼때 십자형상으로 분할되면서 그 상단 개구로부터 소정깊이까지 수직되게 절결되어 있다.
상기 평면구간(82c)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축(82)의 원형보스(82b)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2°-16°의 범위내에 설정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범위내에 설정되어 진다. 즉, 평면구간(82c)은 제1 및 제2픽업축(44a)(44b)과 다수의 캠축(82)의 조립시 기본적인 평면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본높이(예컨대, 초기조립높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틸트조정시 기구적인 평면도를 초기에 맞춘후 디스크(D)의 신호를 보면서 최적조건(교정작업)을 찾을 수 있도록 초기중심점으로 사용된다.
상기 경사구간(82d)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둘레에 대하여 일측에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을 소정높이로 올릴 수 있도록 상기 평면구간(82c)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올림구간부가 형성되고, 그 둘레에 대하여 타측에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을 소정높이로 내릴 수 있도록 상기 평면구간(82c)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내림구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트랙(82f)의 측면둘레에 대하여 상기 평면구간(82c)가 180°로 대향되는 하단 일측에는 조립위치선정용 지그(70)가 삽입되어 캠축(82)의 조립위치를 소정각도로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도록 지그삽입홈(82i)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지돌기(82e)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구간(82d)에서 올림구간부와 내림구간부가 접하는 경계부분에 상향되게 돌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캠커버(8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사각 오면체로 이루어져 그 저면 중앙에 상기 캠축(82)의 원형보스(82b) 상단이 삽입되어 면접촉되도록 원추홈(84a)이 형성되고, 그 저면 일측에는 상기 코일스프링(86)이 수납되도록 캠커버(84)의 상면 외측으로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스프링수납홈(84b)이 형성되며, 그 측벽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이 관통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절결된 절결홈(84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캠커버(84)는 그 측벽 하단에 대하여 상기 절결홈(84c)이 형성된 방향과 180°로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조립위치선정용 지그(70)가 통과되도록 지그삽입홈(84d)이 수직으로 절결 형성되고, 그 하부에 대하여 상기 절결홈(84c) 및 지그삽입홈(84d)과 90°로 대치되는 양측벽 양단에는 상기 베이스(3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30c)과 대향되게 걸리도록 다수의 후크돌기(84e)가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턴테이블(32)에 디스크(D)가 안착되어 클램핑된 상태에서 디스크(D)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하여 턴테이블(32)과 피딩모터(34)를 구동시키면, 이 피딩모터(34)의 구동에 따라 제1기어(36)가 회전되면서 그 외주에 기어접촉된 제2기어(38)를 동시 회전시키게 되고, 이 제2기어(38)는 그 하단부 기어면(38b)과 기어접촉된 랙부재(48)를 직선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랙부재(48)에 연결된 광픽업유니트(46)는 베이스(30)의 상부 4곳에 결합된 고정부재(40)와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에 의해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된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을 안내를 받아 수평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32)에 안착된 디스크(D)의 하부와 일정가리를 두고 수직으로 지남으로써 디스크(D)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시키게 된다.
다음은, 도 5와 같이 분해된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를 베이스(3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캠축(82)의 하부에 돌설된 회전보스(82h)를 베이스(30)에 형성된 관통홀(30b)에 삽입시킨 다음, 이어서 베이스(30)의 상부로 돌출된 캠축(82)의 트랙(82f)측 평면구간(82c)에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을 안착시킴과 동시에 코일스프링(86)이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 상부를 누르도록 개재시킨 후 캠커버(84)의 하단에 돌설된 다수의 후크돌기(84e)를 이용하여 베이스(3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30c)에 결합시킨다.
이때, 초기조립시 코일스프링(86)의 압축력이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 상부에 정확히 전달되게 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이 캠축(82)의 트랙(82f)에 형성된 평면구간(82c)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도록 캠축(82)의 트랙(82f)에 형성된 지그삽입홈(82i)과 캠커버(84)에 형성된 지그삽입홈(84d)을 서로 일치시킨 다음, 이들 지그삽입홈(82i)(84d)을 통해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조립위치선정용 지그(70)를 끼운다.
즉,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픽업축(44a)(44b)과 조립위치선정용 지그(70)가 18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면, 캠축(82)은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이 캠축(82)의 트랙(82f)에 형성된 평면구간(82c)에 자동 일치되어 안착되도록 초기조립위치가 선정되고, 상기 캠커버(84)는 그 측벽에 형성된 절결홈(84c)이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외부로 끼워짐과 동시에 캠커버(84)의 스프링수납홈(84b)에 수납된 코일스프링(86)이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 상부에 정확히 안착되어 압축력을 가하도록 초기조립위치가 선정된다.
또한, 캠축(82)의 상부에 캠커버(84)가 안착될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축(82)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설된 원형보스(82b)의 상단과 캠커버(84)의 하면에 형성된 원추홈(84a)이 자동으로 일치되어 서로 대응되게 면접촉되고, 캠커버(84)의 다수의 후크돌기(84e)가 베이스(30)의 다수의 걸림홀(30c)에 후크방식으로 조립될때 캠커버(84)가 캠축(82)에 정적압력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원추홈(84a)에 끼워진 원형보스(82b)의 상단측 쐐기모양의 직경이 오므러지게 된다.
즉, 캠축(82)의 원형보스(82b)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홈(82a)은 원형보스(82b)가 캠커버(84)의 원추홈(84a)에 접촉되어 소정압력으로 밀착될때 폭이 좁아지면서 원형보스(82b)의 상단측 쐐기모양의 직경을 축소시킴과 동시에 원추홈(84a)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가 광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견고히 잡아주게 된다.
한편, 베이스(30)의 하면으로 돌출된 캠축(82)의 회전보스(82h)에 형성된 공구삽입홈(82g)을 통해 육각렌치(60)를 끼운 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초기조립시 캠축(82)의 트랙(82f)에 형성된 평면구간(82c)에 안착되어 있던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이 캠축(82)의 회전으로 인하여 트랙(82f)의 경사구간(82d)에 안착되면서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높낮이가 조정된다.
즉,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축(82)의 트랙(82f)에 형성된 평면구간(82c)을 기점으로 경사구간(82d)의 올림구간부측으로 안착되면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수평도가 높아지게 조정되고,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이 캠축(82)의 트랙(82f)에 형성된 경사구간(82d)의 내림구간부측으로 안착되면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수평도가 낮아지게 조정된다.
어러한 방법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설치된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중 A와 B의 위치에 있는 틸트조정캠 어세이(80)의 캠축(82)을 회전시키면, 캠축(82)의 트랙(82f)에 형성된 경사구간(82d)의 경사각도(올림구간부 또는 내림구간부)에 따라 제1픽업축(44a)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탄젼셜방향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1픽업축(44a)과 제2픽업축(44b)에 의해 설치된 광픽업유니트(46)의 대물렌즈 광축(α°)을 디스크(D) 면과 수직으로 맞출 수 있다.
또, 베이스(30)의 설치된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중 B와 C의 위치에 있는 틸트조정캠 어세이(80)의 캠축(82)을 회전시키면, 캠축(82)의 트랙(82f)에 형성된 경사구간(82d)의 경사각도(올림구간부 또는 내림구간부)에 따라 제1픽업축(44a)과 제2픽업축(44b)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레디얼방향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1픽업축(44a)과 제2픽업축(44b)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는 광픽업유니트(46)의 대물렌즈 광축(α°)을 디스크(D) 면과 수직으로 맞출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는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를 별도의 금형에 의해 제작하여 베이스의 일측에 각각 후크(hook)방식으로 간단히 조립되게 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베이스에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를 아웃서트(outsert)방식에 의해 작업할때 발생되었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의 휨변형에 따른 작업불량을 없앨 수 있고, 또 베이스의 평면도에 대한 교정지그 및 측정지그의 사용을 없애어 작업공정을 줄임에 따라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베이스(30)의 소정위치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고정부재(40) 및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와, 상기 고정부재(40) 및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에 의해 탄젼셜방향 및 레디얼방향으로 틸트조정되는 제1 및 제2픽업축(44a)(44b)과,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수평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수평도에 의해 대물렌즈의 광축을 디스크(D) 면과 수직으로 맞추는 광픽업유니트(46)를 구비한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는 별도 부품으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베이스(30)의 소정위치에 후크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틸트조정캠 어세이(80)는,
    상기 베이스(30)에 형성된 관통홀(30b)에 삽입 안착되어 그 상단이 베이스(30)의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베이스(30)의 하부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캠축(82)과,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측에서 상기 캠축(82)을 감싸줌과 동시에 베이스(30)의 관통홀(30b)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30c)에 대응되게 걸려 조립되는 캠커버(84)와,
    상기 캠축(82)과 캠커버(84)가 서로 대응되게 결합될때 캠커버(84)의 일측에 수납되어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을 누르는 코일스프링(86)으로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82)은,
    그 상면 중앙 둘레에 소정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캠커버(84)의 하면 일측과 유동되지 않게 면접촉되도록 상단이 쐐기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의 슬롯홈(82a)을 가진 원형보스(82b)와,
    그 상면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이 안착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평면구간(82c), 경사구간(82d) 및 정지돌기(82e)를 가진 트랙(82f)과,
    그 하면 중앙 둘레에 돌설되어 상기 베이스(30)의 관통홀(30b)에 삽입되며 또한 캠축(82)의 전체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삽입홈(82g)을 가진 회전보스(82h)와,
    상기 트랙(82f)의 측면둘레 일측에 형성되어 캠축(82)의 조립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그삽입홈(82i)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홈(82a)은 상기 캠커버(84)의 원형보스(82b)과 접촉시 상기 원형보스(82b)의 상단 직경이 내측으로 오므러지면서 캠커버(84)와 강하게 면접촉되어 캠축(82)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원형보스(82b)의 상면에서 볼때 십자형상으로 분할되면서 그 상단 개구로부터 소정깊이까지 수직되게 절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구간(82c)은 상기 경사구간(82d)의 소정부분에 일정면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간(82d)은,
    그 둘레에 대하여 일측에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을 소정높이로 올릴 수 있도록 상기 평면구간(82c)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올림구간부가 형성되고,
    그 둘레에 대하여 타측에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을 소정높이로 내릴 수 있도록 상기 평면구간(82c)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내림구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커버(84)는,
    그 저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캠축(82)의 원형보스(82b) 상단이 삽입되어면접촉되도록 안내하는 원추홈(84a)과,
    그 저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86)이 수납되도록 안내하는 스프링수납홈(84b)과,
    그 측벽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픽업축(44a)(44b)의 끝단이 관통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절결홈(84c)과,
    그 측벽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캠축(82)의 지그삽입홈(82i)과 대응되게 위치됨과 동시에 조립위치선정용 지그(70)가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지그삽입홈(84d)과,
    그 하부에 돌설되어 상기 베이스(3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30c)과 대향되게 걸리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후크돌기(84e)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KR1020000074614A 2000-12-08 2000-12-08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KR100352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614A KR100352657B1 (ko) 2000-12-08 2000-12-08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614A KR100352657B1 (ko) 2000-12-08 2000-12-08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234A KR20020045234A (ko) 2002-06-19
KR100352657B1 true KR100352657B1 (ko) 2002-09-13

Family

ID=2768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614A KR100352657B1 (ko) 2000-12-08 2000-12-08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759B1 (ko) * 2002-08-13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가이드 샤프트 지지용 캠홀더
KR20040066254A (ko) * 2003-01-17 2004-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234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252B1 (ko) 디스크클램프장치
JP2001101671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213040B1 (ko) 광 기록 재생 장치
KR100352657B1 (ko) 광픽업 틸트 조정 장치
KR940011088B1 (ko) Cd카트리지 샤시의 수평조절장치
KR100468730B1 (ko)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로딩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장치
EP0400949A2 (en) Disc loading apparatus
US20020172137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tical pickup and optical writing and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680882B2 (en) System for reproducing a disc
KR20050109148A (ko) 렌즈 게이트 커팅장치
KR200385598Y1 (ko) 디스크데크의스큐조정장치
KR100839895B1 (ko) 디스크 지지 장치
KR200145861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턴테이블 편심 측정기의 모터 고정장치
JP2557732Y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トレイ位置決め装置
JPH08252754A (ja) レンズ吸着治具
JP3874902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0140000B1 (ko) 광학기기용 턴테이블의 자동압입장치
JPH04286760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組立方法
KR100470290B1 (ko) 가이드샤프트 유지기구 및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
KR0181093B1 (ko) 압입장치
JP2001222823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スキュー調整部材
JP2002269767A (ja) 光学ピックアップのスキュー調整装置
KR100252125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장치
JPH04286761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7320442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