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862B1 -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 Google Patents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862B1
KR100351862B1 KR1020000064332A KR20000064332A KR100351862B1 KR 100351862 B1 KR100351862 B1 KR 100351862B1 KR 1020000064332 A KR1020000064332 A KR 1020000064332A KR 20000064332 A KR20000064332 A KR 20000064332A KR 100351862 B1 KR100351862 B1 KR 100351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cathode ray
heat transfer
electron
color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245A (ko
Inventor
조윤래
김상문
김영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862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77Coatings
    • H01J2229/0783Coatings improving thermal radiation properti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표면에 열전달이 우수한 물질을 도포하여 새도우마스크에 발생되는 열을 신속히 프레임과 스프링 등에 전달시켜 새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 감소로 고품질의 칼라음극선관을 얻는데 적함한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구성은 전자반사막이 코팅되어 구성된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 고열전달 재료가 상기 전자반사막 재료에 포함되어 형성되거나, 고열전달재료가 별도로 코팅된 고열전달막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도우마스크에 고열전달막을 형성하여 새도우마스크의 열변형 및 도밍현상을 감소시키고,스크린 상에서 전자빔과의 미스랜딩을 방지하여 색순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칼라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면에 형광막(3)이 형성된 패널(1)과 내측면에 전도성을 갖는 흑연이 도포된 펀넬(2)이 융착 글라스로 봉합되어 있고, 펀넬(2)의 네크부(4)에는 3색의 화소에 대응하는 3본의 전자빔(5)을 발생시키는 전자총(6)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형광막(3)에 근접 대향하는 위치에는 다수의 슬롯(Slot) 혹은 도트 (Dot)형상의 홀(Hole)이 배열된 색선별 전극인 새도우마스크(7)가 프레임(8)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펀넬의 외주면에는 전자빔을 좌우로 편향시켜 주는 편향요크(9)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빔이 새도우마스크의 홀(Hole)을 통과하여 형광막에 도달되는데 있어서 지자기의 영향으로 전자빔의 편향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쪽에서 볼때 프레임 뒤쪽에 지자기 차폐를 하는 인너쉴드(Inner Shield)(10)가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음극선관은 전자총(6)에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전자총의 캐소드로 부터 열전자가 방출되며 방출된 전자는 전자총의 각 전극에서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패널쪽으로 가속 및 집속과정을 거치면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전자는 패널의 네크부에 장착된 마그네트의 자계에 의하여 전자빔(5)의 진행 경로가 조정되며 조정된 전자빔은 편향요크(9)에 의하여 패널의 내면에 주사되어지는데 ,편향된 전자빔은 새도우마스크(7)의 홀을 통과하여 형광막에 도달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실제로 전자빔은 새도우마스크의 구멍을 모두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약 30% 정도만이 새도우마스크(7)의 구멍을 통과하며 나머지 70% 정도는 새도우마스크 표면에 충돌하여 열로 변환되어진다. 변환되어진 열은 새도우마스크 표면의 온도를 상승시켜 새도우마스크의 열팽창을 유발시켜 최초의 새도우마스크 구멍 위치와 다른 구멍의 위치 이동이 발생하게되며 , 이에 따라 새도우마스크 구멍을 통과하여 형광막에 도달되는 전자빔의 위치가 변하여 원래 전자빔이 도달하게 되어 스크린을 구현할 경우 색번짐을 유발시키는 도밍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도밍 현상이 칼라음극선관에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하여 발생되는지를 살펴보면, 새도우마스크 팽창단계로서,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새도우마스크의 구멍을 통하여 형광막이 형성된 스크린에 가격하는 양은 30% 정도이고 나머지 약 70%는 새도우마스크에 총돌하여 열을 발생시켜 새도우마스크의 팽창을 야기시킨다.
이때 새도우마스크는 스크린 방향으로 팽창하며, 특히 입사각이 큰 스크린의 가장자리 부근의 미스랜딩(miss landing: 형광막과 전자빔이 일치하지 못하는 정도 )이 증가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 초기 새도우마스크가 열로 인해 ⓑ의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전자빔의 위치도 ①에서②로 이동하여 미스랜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8) 팽창단계로서, 새도우마스크에서 발생된 열이 프레임(8)에 전달되어 프레임(8)의 열팽창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프레임(8)에 고정된 새도우마스크의 팽창된 변위는 다소 감소하여 미스랜딩도 감소하게 된다.
이때 새도우마스크에서 발생된 열이 프레임쪽으로 전달되는 현상은 열전달 기구중 전도(conduction)현상, 즉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새도우마스크와 프레임중 온도가 높은 새도우마스크에서 온도가 낮은 프레임쪽으로 열의 흐름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스프링 안정화 단계로서,새도우마스크와 프레임 구조체를 글래스 패널에 고정시키는 스프링의 열변형을 통해 미스랜딩이 최종 보정되고 최종적으로 안정된 평형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즉 도 2의 ⓒ가 안정화된 새도우마스크의 위치이며, 이로 인해 전자빔의 위치 또한 ③의 위치로 안정화 되어 도밍이 어느 정도 보상된다.
실제로 새도우마스크의 구멍위치와 스크린의 위치는 상기 최종 안정화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계가 이루어지나, 새도우마스크의 최대 팽창 위치인 ⓑ 에서 음극선관의 품질상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새도우마스크 최대 팽창단계에서 새도우마스크의 팽창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고도 어려운 기술이라 하겠다.
상기와 같은 도밍 현상은 화이트 유니포머티, 브라이트 유니포머티, 색순도, 콘트라스트, 휘도 등 여러가지 칼라음극선관의 광학적 특성에 치명적인 불량을 야기시키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도밍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들은, 프레임(8)과 패널(1)을 연결지지하는 스프링의 길이와 용접점 등을 변화시켜 새도우마스크의 위치를 형광막쪽으로 이동시키거나 멀게하여 형광막과 새도우마스크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새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을 보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는 새도우마스크가 열팽창되어 도밍현상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초기 도밍에 따른 해상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새도우마스크 재질을 철과 니켈의 합금인 인바(Invar)강으로 제작한 것이 미국특허 제647,934호, 제4,528,246호 및 일본공개특허 소59-1586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새도우마스크의 재질을 인바강으로 제작하는 것은 새도우마스크의 열팽창을 줄일수 있다는 장점을 있으나, 가격이 높아 경제적이지 못하며, 기계적인 가공성이 매우 좋지 않으므로 어닐링 공정 온도가 900℃ 이상으로 매우높으며, 새도우마스크의 포밍시 금형을 가열하여야 하는 등 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음극선관 제조 업체에서는 제작 경비 절감과 공정상 가공성의 증가를 위해 인바강을 사용하지 않고 , 대신에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AK(Aluminium Killed)강을 사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시도를 진행 중에 있다.
필립스사에 의하여 국내 출원된 국내특허 제86-1598호에 의하면, 전자총 표면에 전자반사물질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을 도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도밍을 저감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며, 새도우마스크에 전자반사물질과 같은 도밍 저감 물질들을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 방법과 스퍼터링 방법을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스프레이 공정이 정교하게 조절되었다고 하더라도 새도우마스크 구멍의 일부가 막히는 경우가 많고, 코팅면이 균일하지 않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스퍼터링 방법에 의한 것은 피복층의 두께가 얇고 , 증착장비가 고가이며, 생산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97-29973과 97-63326, 98-66424, 98-66425, 98-71999와 유럽특허 WO97-29504에서는 전자반사재료로서 WO3또는 Bi2O3를 30-78% 사용하고 기타 물질로서 카본, 망간산화물, 알루미늄산화물을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용 조성물을 개발하여 새도우마스크에 스크린 인쇄하는 방법으로 도밍을 저감하고 균일한 막의 형성이 가능하며 구멍 막힘 현상을 개선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스크린 인쇄막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도 3과 같이 사각형의 프레임(11)에 고정시킨 스크린 메쉬(12)에 텅스텐, 비스무스 또는 그들 산화물로 조성된 인쇄용 페이스트(13)를 스크래퍼(14)를 이용하여 골고루 도포하고 난 후 인쇄기판 (15)상부에 인쇄하고자 하는 새도우마스크(7)를 올려놓고 스퀴지(16)로 균일한 압력을 가하면서 페이스트(13)를 이동시켜 원하는 형태로 인쇄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경우 스프레이 코팅법을 적용할 경우보다 두께가 두껍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막두께의 도밍저감 막의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전자반사물질을 새도우마스크 상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흑화 공정을 거치면서 용융 접착할 수 있도록 유리접착제를 이용한다. 유리는 절연체이면서 가열하면 서서히 점성이 내려가 유동 상태로 된다. 따라서 금속재료와도 잘 융합하여 그들 재료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씰(seal)공정에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재료라 할 수 있다. 상기의 유리 접착제는 주로 음극선관의 패널과 펀넬의 봉착시에 이용하는 프리트글라스(Frit Glass)가 이용된다(500℃ 이내에서 씰 작업이 가능한 일련의 Glass분말을 Frit라 칭한다). 이때 프리트글라스는 주로 PbO-ZnO-B2O3계통의 결정형 프리트가 이용된다.
상기에 언급한 텅스텐, 비스무스 또는 그 산화물은 전자총에서 발생하여 전자빔중 새도우마스크 표면에 도달하게 되는 전자를 미리 되반사시키는 전자반사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의 프리트글라스는 상기의 전자반사물질을 새도우마스크상에 부착하는 바인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AK강에 도밍 저감 물질을 코팅하여 인바강을 대체하려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지고 있으나, AK재는 통상 열팽창계수가 10 x 10-6/K 로서 인바강의 1∼2 x 10-6/K에 비해 약5∼10배 정도의 열팽창을 가진다.
따라서 AK 재 새도우마스크로 제작한 음극선관의 도밍량은 인바(Invar)강 새도우마스크로 제작한 음극선관의 도밍량에 비해 거의 10배 가까운 도밍량을 보인다 . 하기 (표 1)은 인바(Invar)강과 AK 재로 새도우마스크를 이용하여 만든 동일한 모델의 음극선관(21")의 도밍량을 비교하였다.
(표 1)
2/3지점 도밍량 끝단부 도밍량
인바강 사용 음극선관 11㎛ 9㎛
AK 재 사용 음극선관 125㎛ 96㎛
도 4에서 그 측정지점인 끝단부(1)와 2/3지점(2)을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AK 재로 인바(Invar)강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도밍량의 대폭적인 저감이 필요하지만 AK 재에 상기 전자반사막만을 코팅할 경우 도밍 저감량이 너무 작은 문제점이 있다.
하기 (표 2)에 여러 종류의 전자반사물질에 대한 전자반사 계수를 나타내었다.
(표 2)
전자 반사 물질 전자 반사 계수(η)
Pb 0.50
Bi 0.50
PbO 0.47
Bi2O3 0.48
PbS 0.45
WC 0.45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전자반사물질의 전자 반사계수는 0.50을 넘지 않는다. 따라서 AK 재에 전자 반사물질을 코팅할 경우 도밍량의 저감은 50%를 넘지 않으며 상기 (표 1)과 같은 도밍 특성을 보이는 AK 재 적용 음극선관에 전자 반사물질만을 적용할 경우, 도밍량이 2/3 지점에서 60㎛, 끝단부 지점에서 45㎛ 수준으로서 이를 제품에 적용시 높은 도밍량으로 인해 화이트유니포머티, 브라이트 유니포머티 등의 특성 저하로 제품에 치명적인 불량을 야기하게 되므로 제품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의 경우 도밍량이 전 지점에서 50㎛ 이하일 경우 제품으로 적용할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전자 반사물질을 음극선관에 코팅 적용하여 도밍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으며, 측정방법은 상기한 AK 재와 인바(Invar)강 적용 음극선관의 측정과 동일하다.
(표 3)
2/3 지점 끝단부
AK 재에 전자 반사물질 코팅시 도밍량 69㎛ 52㎛
따라서 AK 재에 상기한 전자 반사물질만의 도포로는 원하는 도밍 특성을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AK 재 새도우마스크 표면에 열전달이 우수한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새도우마스크에 발생되는 열을 신속히 프레임과 스프링 등에 전달시켜 새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 억제로 고품질의 칼라음극선관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칼라음극선관의 구조도
도 2는 도밍현상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스크린 인쇄공정도
도 4는 도밍측정 지점을 나타낸 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의 고열전달막이 형성된 실시예 1을 나타낸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의 고열전달막이 형성된 실시예 2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7 : 새도우마스크 17 : 전자반사막 18 : 고열전달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반사막이 코팅되어 구성된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전자반사막 재료에 고열전달 재료가 포함되어 전자반사막이 형성되거나, 고열전달재료가 코팅되어 이루진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은 전자반사막이 코팅된 기존의 새도우마스크상에 고열전달 재료층을 별도로 코팅하여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존의 전자반사막 재료에 고열전달 재료를 첨가하여 코팅한 전자반사막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열전달재료 코팅층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그 층이 새도우마스크와 전자반사막 사이에 형성되거나(도 5b), 전자반사막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전자반사막이 형성되지 않은 새도우마스크상(도 5a)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열전달 재료 코팅의 형성 위치는 어느 하나에 국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 있는 전자 반사물질은 새도우마스크에 전자가 입사되기 전에 전자 반사물질에 먼저 가격되면서 후방으로 산란되는 후방 산란 전자의 양을 증가시키는 물질이며, 일반적으로 원자번호가 큰 중금속들로써 기존의 전자반사 물질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 반사물질은 납(Pb), 납산화물(PbO), 납황화물(PbS), 비스무스(Bi), 비스무스산화물(Bi2O3), 텅스텐(W), 텅스텐탄화물 (WC), 텅스텐산화물(WO3) 중에서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열방사물질, 고열전달 물질을 혼합하여 조성할 수 있다.
상기한 전자 반사물질에 첨가되어 사용되는 고열전달 물질(열전도가 빨리 일어나는 물질)은 새도우마스크에서 발생하는 열을 프레임 쪽으로 빠르게 전달하여 초기의 새도우마스트의 팽창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고열전달 물질로써는 금속질화물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질화물(AlN), 붕소질화물(BN)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AlN과 BN의 열전도계수는 160∼220W/mK로서 매우 높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한 조성에 열방사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열방사 물질은 주로 복사에 의해 새도우마스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에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완전 열복사체로 알려진 흑체(Black Body)에 가까운 것이 좋으므로 가능하면 검게 막을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은 열방사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물질은 알루미늄산화물(Al2O3), 탄소(C), 망간(Mn), 망간산화물 중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로된 페이스트는 실제 프린팅을 실시하기 전에 롤링(Rolling)등의 조작을 통해 충분히 교반시켜 주어야 한다.
상기한 스크린 인쇄용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크게 비히클(Vehicle), 용융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상기의 비히클은 크게 유기바인더와 유기솔벤트로 구성된다. 유기바인더는 셀룰로오즈계, 아크릴계, 비닐계, 에폭시계 수지가 주로 이용되며, 아크릴계는 소성 후 잘 쪼개지고, 비닐계는 저점도에 주로 이용되므로 셀룰로오즈 계통의 바인더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어떤 공정을 거치느냐에 따라 바인더의 선택은 변할 수 있다.
유기솔벤트로는 저비점, 중비점, 고비점을 가지는 솔벤트가 있는데, 작업성과 함께 상기의 유기바인더를 잘 용해시키는 특성을 가지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비히클을 조합하는 예를 들면, 먼저 유기솔벤트인 n-Butyl Carbitol, n-Butyl Carbitol Acetate를 섞은 후 교반기에서 300∼1,000rpm 정도의 교반 날개 회전속도하에서 에틸셀룰로즈를 가해 30분∼2시간 정도 교반한다. 그 후 교반시 발생한 기포를 없애기 위해 상온에서 4시간∼12시간 정도 안정화 시킨다.
그리고 비히클 조합시 사용된 약품은 에틸셀루로즈 5∼50%, n-Butyl Carbitol 5∼30% , n-Butyl Carbitol Acetate 40∼90%의 무게 비율을 가진다.
상기 비히클의 조합시 SiO2가 주성분인 소포제 등이 소량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의 비히클 조합시 30∼60℃의 온도로 비히클을 가열하면 유기바인더가 유기솔벤트에 잘 녹는다. 이러한 조작으로 제작된 비히클은 전자반사물질인 WO3분말과 프리트글라스와 함께 혼합되며, 혼합조작을 위해서 Kneeder, Plattery Mixer, 3본(本)밀 등의 교반기를 이용한다.
다음은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밍 저감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21" 칼라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에 적용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전자반사물질로는 WO3를 이용하였고, 고열전달물질로는 AlN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과 비교를 위한 종래는 전자반사막만을 단순 코팅한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 4는 도밍량 측정시 도밍측정 지점을 나타낸 위치도이다.
실시예 1
도 5a는 실시예 1를 나타난 것으로, 새도우마스크상의 외면 즉, 스크린측의 새도우마스크면에 상기한 고열전달 물질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고열전달막(18)을 형성하고, 새도우마스크의 내면 즉, 전자총 측의 새도우마스크면에는 상기한 전자 반사물질 페이스트로 전자반사막(17)을 형성한다. 이 경우는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가 내면에 코팅된 전자반사막(17)을 통하여 일부가 반사되고,일부 새도우마스크와 충돌한 전자가 새도우마스크에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발생된 열은 외부에 도포한 고열전달물질을 통해 신속히 프레임(8)에 그 열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밍현상의 발생 원리에 있어서 새도우마스크 팽창 단계에서 프레임 팽창단계로 이동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에 따라 새도우마스크의 팽창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열에 의한 새도우마스크의 초기 열팽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b는 실시예 2를 나타낸 것으로, 새도우마스크의 내면 즉 ,전자총측의 새도우마스크면에 먼저 고열전달물질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고열전달막(18)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전자반사물질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전자반사막(17)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를 적용한 제품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원리로 도밍현상이 감소하게 된다.
하기 (표 1)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도밍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반사막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에 고열전달 물질을 전자반사막 재료에 혼합하여 전자반사막을 형성하거나, 전자반사막 위에 고열전달막을 도포하여 형성시킴으로써, 초기에 전자 충돌로 인한 새도우마스크에 발생되는 열을 신속히 프레임과 스프링 등에 전달시켜 새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 감소로 고품질의 칼라음극선관을 얻게 된다.

Claims (8)

  1. 전자반사막이 코팅되어 구성된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 고열전달 재료가 상기 전자반사막 재료에 포함되어 형성되거나, 고열전달재료가 별도로 코팅된 고열전달막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고열전달막이 패널쪽의 새도우마스크면에 형성되고, 전자반사막이 전자총쪽의 새도우마스크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고열전달막이 패널쪽의 새도우마스크면에 이미 형성된 전자반사막 상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고열전달막이 전자총쪽의 새도우마스크면에 이미 형성된 전자반사막 상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고열전달막이 새도우마스크와 전자반사막과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열전도 물질이 알루미늄질화물(AlN), 붕소질화물(BN)중 적어도 1종 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전자반사물질이 비스무스(Bi), 비스무스산화물(Bi2O3), 텅스텐(W), 텅스텐탄화물 (WC), 텅스텐산화물(WO3), 납(Pb), 납산화물(PbO), 납황화물(PbS)중에서 적어도 1종 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에 열방사물질로서 알루미늄산화물, 탄소(C), 망간(Mn), 망간산화물 중 적어도 1종을 첨가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20000064332A 2000-10-31 2000-10-31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35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332A KR100351862B1 (ko) 2000-10-31 2000-10-31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332A KR100351862B1 (ko) 2000-10-31 2000-10-31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245A KR20020034245A (ko) 2002-05-09
KR100351862B1 true KR100351862B1 (ko) 2002-09-11

Family

ID=1969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332A KR100351862B1 (ko) 2000-10-31 2000-10-31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8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245A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5338A (en) Front end elements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JPH0287445A (ja) カラー陰極管とその色選択電極に対する熱消散及び電子反射性被膜形成方法
KR100351862B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331537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0205137B1 (ko) 칼라브라운관 새도우마스크 인쇄용 페이스트 조성물
KR100319322B1 (ko) 음극선관 섀도우마스크의 스크린인쇄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스크린 인쇄방법
US6717342B2 (en) Shadow mask in color CRT
KR20010084244A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950003514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10077781A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100370081B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207569B1 (ko) 음극선관 섀도우마스크 인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방법
JP3159579B2 (ja) 受像管
KR100705844B1 (ko)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칼라 음극선관
KR100213772B1 (ko) 칼라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구조
KR20020053448A (ko) 칼라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KR20010106553A (ko) 칼라 브라운관의 새도우 마스크
KR10021377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940005266Y1 (ko) 음극선관 내의 마스크프레임
KR20000010137A (ko)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제작방법
KR100213790B1 (ko) 칼라브라운관용 스프링
KR20050067352A (ko) 칼라음극선관의 색선택구조물 인쇄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이를 사용한 칼라음극선관의 색선택구조물
JP3029663B2 (ja) カラー受像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17574A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9990042526A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