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728B1 -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728B1
KR100351728B1 KR1020000060293A KR20000060293A KR100351728B1 KR 100351728 B1 KR100351728 B1 KR 100351728B1 KR 1020000060293 A KR1020000060293 A KR 1020000060293A KR 20000060293 A KR20000060293 A KR 20000060293A KR 100351728 B1 KR100351728 B1 KR 100351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peed
selection
revers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078A (ko
Inventor
에즈레요시노부
고야마시게루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541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6778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6Selector shaft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elector or shift shafts; Special details thereof

Abstract

자동차용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시프트 선택축에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한 제1스톱퍼면 및 제2스톱퍼면 사이에 제1스프링시트 및 제2스프링시트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제1, 제2스프링시트의 축방향 내면을 선택 스프링으로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제2스톱퍼면에 각각 당접시키기고, 또 제1, 제2스프링시트의 축방향 외면을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설치한 제1, 제2지지면에 각각 지지하고, 이것에 의하여 시프트 선택축을 중앙의 선택위치에 유지하는 선택스프링의 개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시프트 선택축의 전체길이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TRANSMISSION GEAR SHIFT SYSTEM}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지지된 시프트 선택축을 축방향의 3개의 선택위치중 중앙의 선택위치에 선택스프링을 탄발적으로 유지하는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는 일본국 특허 제2629871호 공보에 의하여 공지이다. 이 변속장치의 시프트 선택축은,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변속레버와 복수의 변속단을 선택적으로 확립하는 시프트포크 사이에 개재하는 것으로서, 변속레버의 선택조작에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변속레버의 시프트조작에 따라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시프트 선택축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3개의 선택위치에 정지가능하며,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중앙의 선택위치에 유지하도록 2개의 선택스프링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시프트 선택축이 중앙의 선택위치로부터 한방향으로 이동하면, 한쪽의 선택스프링이 압축되어서 시프트 선택축을 중앙의 선택위치에 복귀시키는 탄발력이 발생하고, 시프트 선택축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 다른쪽의 선택스프링이 압축되어서 시프트 선택축을 중앙의 선택위치에 복귀시키는 탄발력이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것은, 시프트 선택축을 중앙의 선택위치에 유지하는데 2개의 선택스프링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선택스프링을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프트 선택축의 길이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시프트 선택축을 중앙의 선택위치에 유지하는 선택스프링의 개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시프트 선택축의 전체 길이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지지된 시프트 선택축을 변속레버의 선택조작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에 따라서 회동시키므로서, 이 시프트 선택축으로 시프트 포크를 작동시켜서 복수의 변속단을 선택적으로 확립하는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로서, 시프트 선택축을 축방향의 3개의 선택위치중 중앙의 선택위치에 선택스프링으로 탄발적으로 유지하며, 시프트 선택축에 축방향으로 떨어져서 설치한 제1스톱퍼면 및 제2스톱퍼면 사이에 제1스프링시트 및 제2스프링시트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제1, 제2스프링시트의 축방향 내면을 선택스프링으로 서로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제2스톱퍼면에 각각 당접시키고, 제1, 제2스프링 시트의 축방향 외면을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설치한 제1, 제2지지면에 각각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프트 선택축을 중립위치에서 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스톱퍼면에 맞닿은 제1스프링시트가 시프트 선택축과 일체로 이동하여 제1지지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제2지지면에 지지된 시프트 선택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2스프링시트와의 사이에 선택스프링을 압축하기 때문에, 그 선택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시프트 선택축이 중립위치를 향해서 가압시킨다. 또 시프트 선택축을 중립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스톱퍼면에 맞닿은 제2스프링시트가시프트 선택축과 일체로 이동하여 제2지지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제1지지면에 지지되어서 시프트 선택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1스프링시트와의 사이에 선택스프링을 압축하기 때문에 그 선택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시프트 선택축이 중립위치를 향하여 가압된다.
이와 같이 시프트 선택축을 1개의 선택스프링으로 양방향에서 중립위치를 향하여 가압할 수가 있으므로, 선택스프링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선택스프링의 배치공간을 감소시켜서 시프트 선택축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성에 더하여, 트랜스미션케이스에 설치한 브리더 챔버 내부에 제1, 제2스프링시트 및 선택스프링을 수납하여, 이 브리더 챔버의 내벽에 상기 제1, 제2지지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트랜스미션에 설치한 브리더 챔버의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제1, 제2스프링시트 및 선택스프링을 수납하였으므로, 제1, 제2스프링시트 및 선택스프링의 배치공간을 절감할 수가 있다.
그러나, 브리더챔버의 내벽에 제1, 제2스프링시트를 지지하는 제1, 제2지지면을 형성하였으므로, 제1, 제2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한 특별한 부재가 불필요하여 부품점수가 삭감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따라 이하에 기술하는 호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명확하게 된다.
도 1∼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차량용 수동 트랜스미션의 종단면도.
도 2는 변속레버의 변속패턴을 표시한 도면.
도 3은 차량용 수동 트랜스미션의 요부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3속-4속 선택 위치).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대응하는 작용설명도(5속-4속 선택 위치).
도 7은 도 4에 대응하는 작용설명도(1속-2속 선택 위치).
도 8은 도 3의 8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요부 확대도(중립위치).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작용설명도(리버스 위치).
도 12는 도 10에 대응하는 작용설명도(5속 위치).
도 13은 도 10의 13-13선 방향에서 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표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진 5속, 후진 1속의 차량용 수동 트랜스미션(M)의 트랜스미션 케이스(11)는 차체전후 방향으로 뻗은 분할면으로 분할된 좌 케이스반체(12) 및 우 케이스반체(13)로 되었으며, 좌 케이스반체(12)의 엔진(E) 쪽의 측면에 형성된 클러치실(14)에 변속용 클러치(c)가 수납된다. 변속용 클러치(c)를 개재하여 엔진(E)에 접속된 주축(主軸)(Sm)의 좌우양단부는 좌 케이스반체(12) 및 우 케이스반체(13)에 각각 볼베어링(15, 16)으로 지지되고, 또 주축(Sm)과 평행으로 배치된 부축(副軸)(Sc)의 좌우 단부는, 좌 케이스반체(12) 및 우 케이스반체(13)에 각각 롤러베어링(17) 및 볼베어링(18, 18)으로 지지된다. 부축(Sc)의 출력을 좌우의 차축(19, 19)에 배분하는 차동기어(D)가 좌우한쌍의 볼베어링(20, 21)을 개재하여 좌 케이스반체(12) 및 우 케이스반체(13)에 각각 지지된다.
클러치실(14)에 수납된 변속용 클러치(c)는 엔진(E)의 크랭크축의 우단에 접속된 클러치휠(22)과, 주축(Sm)의 좌단에 댐퍼(23)를 개재하여 접속된 클러치 디스크(24)를 구비하였으며, 통상시에는 타이어 프레임 스프링(25)의 탄발력으로 압력판(26)과 클러치휠(22)의 사이에 클러치 디스크(24)의 페이싱(facing)(27)을 누르므로서 맞물리며, 변속시에는 릴리스포크(28)로 릴리스베어링(29)을 좌우 방향으로 가압하므로서 맞물림이 해제된다.
주축(Sm)에는 주 1속기어(主 1速gear)(31) 및 주 2속기어(32)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주 3속기어(33), 주 4속기어(34) 및 주 5속기어(35)가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한편 부축(Sc)에는 상기 주 1속기어(31) 및 주 2속기어(32)에 각각 맞물리는 부(副) 1속기어(36) 및 부 2속기어(37)가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주 3속기어(33), 주 4속기어(34) 및 주 5속기어(35)에 각각 맞물리는 부 3속기어(38), 부 4속기어(39) 및 부 5속기어(4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좌 케이스반체(12) 및 우 케이스반체(13)에 리버스 아이들축(Sr)의 좌우양단부가 지지되어 있으며, 이 리버스 아이들 축(Sr)에 좌우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된 리버스 아이들기어(41)는 주축(Sm)에 고정되게 설치된 주리버스기어(42)에 맞물림이 가능하며, 또 부축(Sc)에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카운터 리버스기어(43)에 맞물림이 가능하다.
1속-2속 시프트포크(44)로 1속-2속 동기기구(Sl)의 슬리브(45)를 좌우 움직이므로서, 부 1속기어(36)가 부축(Sc)에 결합되어서 1속 변속단이 확립되어, 1속-2속 시프트포크(44)로 1속-2속 동기기구(Sl)의 슬리브(45)를 우로 움직이므로서, 부 2속기어(37)가 부축(Sc)에 결합된 2속 변속단이 확립된다. 3속-4속 시프트포크(46)로 3속-4속 동기기구(S2)의 슬리브(47)를 좌로 움직이므로서, 주 3속기어(33)가 주축(Sm)에 결합되어서 3속 변속단이 확립되고, 3속-4속 시프트포크(46)로 3속-4속 동기기구((S2)의 슬리브(47)를 우로 움직이므로서, 주 4속기어(340가 주축(Sm)에 결합되어서 4속 변속단이 확립된다.
5속 시프트포크(48)로 5속 동기기구(S3)의 슬리브(49)를 좌로 움직이므로서,주 5속기어(35)가 주축(Sm)에 결합되어서 5속 변속단이 확립된다. 5속 시프트포크(48)로 5속 동기기구(S3)의 슬리브(49)를 우로 움직이면, 리버스아이들기어(41)를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리버스시프트포크(50)가 상기 5속 시프트포크(48)에 연동하여 좌로 움직이고, 리버스아이들기어(41)가 주리버스기어(42)와, 1속-2속 동기기구(S1)의 슬리브(45)에 설치한 상기 카운터 리버스기어(43)에 맞물리어서 리버스 변속단이 확립된다.
상기 1속-2속 동기기구(S1), 3속-4속 동기기구(S2) 및 5속 동기기구(S3)는 주지된 것으로서, 슬리브(45, 47, 49)의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서 블로킹링 및 싱크로콘의 마찰력에 따라서 동기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1속∼5속 변속단 또는 리버스 변속단이 확립되면, 부축(Sc)의 회전이 최종구동기어(51) 및 최종구동기어(52)를 지나서 차동기어(D)에 전달되어, 좌우 차축(19, 19)이 구동된다.
다음에 1속∼5속 변속단 및 리버스 변속단을 확립하기 위한 변속장치의 구조를 도 2∼도 12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변속장치의 변속레버(L)의 조작패턴을 표시한 것으로서, P1이 1속-2속 선택위치, P2가 3속-4속 선택위치(중립위치), P3이 5속 리버스 선택위치이며, 또 1속-2속 선택위치(P1)의 양쪽에 배치되는 ① 및 ②가 각각 1속 위치-2속 위치, 3속-4속 선택위치(P2)의 양쪽에 배치되는 ③ 및 ④가 각각 3속 위치 및 4속 위치, 5속 리버스 선택위치(P3)의 양쪽에 배치되는 ⑤ 및 R가 각각 5속 위치 및 리버스위치이다. 도중에서 화살표(Se)가 변속레버(L)의 선택조작방향을 표시하고, 도중에서화살표(Sl)가 변속레버(L)의 시프트 조작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도 3∼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 케이스(11)의 우 케이스반체(13)의 상부에 접시형 요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부(13a)의 개구를 덮도록 6개의 볼트(56)…로 커버부재(57)를 결합하므로서, 커버부재(57) 및 요부(13a) 사이의 브리더챔버(58)가 구획된다. 커버부재(57)의 중앙에 형성된 안내구멍(57a) 및 우 케이스반체(13)의 내부에 형성한 안내구멍(13b)에 시프트 선택축(59)이 회전이 자유롭게 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커버부재(57)에서 시일부재(60)를 개재하여 외부로 뻗은 시프트 선택축(59)의 상단에 노치(59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치(59a)에 선택레버(61)가 맞물린다. 이 선택레버(61)는 변속레버(L)의 선택조작(도 2에서의 화살표(SE) 방향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요동하고, 시프트 선택축(59)을 도 4에 표시한 3속-4속 선택위치와, 3속-4속 선택위치에서 상방으로 이동한 5속 리버스 선택위치(도 6 참조)와, 3속-4속 선택위치에서 하방으로 이동한 1속-2속 선택위치(도 7 참조) 사이를 이동가능하다.
시프트 선택축(59)의 노치(59a)의 하방으로 시프트 레버(62)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시프트 레버(62)는 변속레버(L)의 시프트 조작(도 2에서의 화살표(S1) 방향의 조작)에 연동하여 좌우로 회전된다. 변속레버(L)가 1속-2속 선택위치(P1) 3속-4속선택위치(P2) 또는 5속리버스 선택위치(P3)에 있을 때, 시프트 선택축(59)은 중립위치에 있으며, 변속레버(L)가 1속 위치 ①, 3속 위치③ 또는 5속 위치⑤에 조작하면, 시프트 선택축(59)의 중립위치에서 좌방향으로 회전하고, 변속레버(L)가 2속 위치②, 4속위치④ 또는 리버스위치(R)에 조작하면, 시프트 선택축(59)은 중립위치에서 우방향으로 회전한다. 시프트 선택축(59)은 디텐트 기구(63)(도 8 참조)에 따라서 상기 3개의 회전위치에 절도(節度) 있게 정지 가능하다.
우 케이스반체(13)의 내부에 뻗은 시프트 선택축(59)에 시프트 아암(64)이 고정핀(65)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그 시프트아암(64)을 상하에서 끼우도록 인터로크판(66)이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인터로크판(66)은 상하 한쌍의 로크클로(lock claw)(66a, 66b)를 구비하며, 이들 한쌍의 로크클로(66a, 66b)는 상기 시프트아암(64)의 선단에 형성한 구동부(64a)의 상하에 각각 면하여 있다. 또, 인터로크판(66)은 시프트 선택축(59)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안내홈(66c)을 구비하고 있으며, 우 케이스반체(13)에 고정된 회전멈춘핀(67)이 상기 안내홈(66c)에 맞물린다.
따라서, 시프트 선택축(59)이 상하로 움직이면, 시프트아암(64) 및 인터로크판(66)은 일체로 승강하지만, 시프트 선택축(59)이 회전하면 시프트 아암(64)은 이 시프트 선택축(59)과 일체로 회전하는데 대하여, 인터로크판(66)은 안내홈(66c)과 회전멈춤핀(67)과의 맞물림에 따라서 회전을 규제된다.
시프트 선택축(59)은 그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 형성한 단형상의 제1스톱퍼면(59b)을 개재하여 하반부가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으며, 그 시프트 선택축(59)의 작은 지름의 하반부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제1스프링시트(68)의 내주부 상면이 상기 제1스톱퍼면(59b)에 하측으로부터 맞물림과 동시에 제1스프링시트(68)의 외주부상면이 커버부재(57)의 하면의 제1지지면(57b)에 당접한다. 또, 상기 제1스프링시트(68)의 하방에 배치된 시프트 선택축(59)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원판형상의 제2스프링시트(69)는, 그 내주부하면이 상기 인터로크판(66)의 상면에 형성한 제2스톱퍼면(66d)에 맞물린다. 우 케이스반체(13)의 요부(13a)의 저벽에 대략 십(+)자형의 개구(13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13c)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4개소의 단형상의 제2지지면(13d)…에 제2스프링시트(69)의 외주부하면이 지지된다. 그리고, 제1스프링시트(68)의 하면과 제2스프링시트(69)의 상면과의 사이에 선택스프링(70)의 상하 단부가 지지된다.
그리고, 시트 선택축(59)이 도 4에 표시한 3속-4속 선택위치에 있을 때, 시프트 선택축(59)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된 선택스프링(70)으로 상호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제1스프링시트(68)의 내주부 상면 및 제2스프링시트(69)의 내주부하면은, 각각 시프트 선택축(59)의 제1스톱퍼면(59a) 및 인터로크판(66)의 상면에 형성한 제2스톱퍼면(66d)에 탄발적으로 당접하고, 또한 제1스프링시트(68)의 외주부 상면 및 제2스프링시트(69)의 외주부하면은, 각각 커버부재(57)의 제1지지면(57b) 및 요부(13a)의 제2지지면(13d)…에 당접하여 지지되고, 이것에 의하여 시프트 선택축(59)이 상기 3속-4속 선택 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시프트 선택축(59)이 5속 리버스 선택위치(도 6 참조)를 향하여 상하로 움직이면, 시프트 선택축(59)과 일체의 인터로크판(66)의 제2스토퍼면(66d)에 가압된 제2스프링시트(69)는, 커버부재(57)의 제1지지면(57b)에 맞닿은 제1스프링시트(68)를 원위치에 남겨둔채로 상승하기 때문에, 선택스프링(70)이 압축된 시프트 선택축(59)을 3속-4속 선택위치에 복귀시키는 가압력이 발생한다.
반대로, 시프트 선택축(59)이 3속-4속 선택위치에서 1속-2속 선택위치(도 7 참조)를 향하여 아래로 움직이면, 시프트 선택축(59)의 제1스톱퍼면(59b)에 가압된 제1스프링시트(68)는, 개구(13c)의 제2지지면(13d)…에 맞닿은 제2스프링시트(69)를 윈위치에 남겨둔채로 하강하기 때문에 선택스프링(70)이 압축되어서 시프트 선택축(59)을 3속-4속 선택위치에 복귀시키는 가압력이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1개의 선택스프링(70)으로 시프트 선택축(59)을 중립위치인 3속-4속 선택위치에 가압하여 중심맞추기를 할 수 있으므로, 시프트 선택축(59)을 2개의 스프링으로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점수 및 코스트를 삭감할 수가 있다. 그러나, 시프트 선택축(59)에 2개의 스프링을 지지하면, 이 스프트 선택축(59)이 필연적으로 길게 되지만, 그것을 한개로 하므로서, 시프트 선택축(59)의 전체길이를 단축할 수가 있다.
우 케이스반체(13)의 요부(13a)와 커버부재(57)에 따라서 구획된 브리더 챔버(58)의 내부공간은 개구(13c)의 내주와 제2스프링시트(69)의 외주와의 사이에 형성된 4개의 통공(71)…에 따라서 트랜스미션 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 연통함과 동시에, 커버부재(57)와 일체의 브리더 파이프(72)의 선단에 설치한 브리더 챔버(73)를 개재하여 트랜스미션 케이스(11)의 외부공간에 연통된다. 커버부재(57)에 시프트 선택축(59), 제1스프링시트(68), 제2스프링시트(69), 선택스프링(70), 시프트아암(64), 고정핀(65) 및 인터로크판(66)을 미리 조립하여 서브어셈블리(a)를 구성하여 두고, 이 서브어셈블리(a)를 우 케이스반체(13)의 요부(13a)로부터 개구(13c)에 삽입하여 조립하므로서, 조립작업성을 현저히 높일 수가 있다. 또 우케이스반체(13)의 요부(13a)와 커버부재(57)에 따라서 브리더 챔버(58)를 구획하고, 이 브리더 챔버(58) 내부에 제1스프링시트(68), 제2스프링시트(69) 및 선택스프링(70)을 수납하였으므로, 공통의 공간을 브리더챔버(58)를 형성하는 공간과, 제1스프링시트(68), 제2스프링시트(69) 및 선택스프링(70)을 수납하는 공간으로 겸용하여, 트랜스미션 케이스(11)의 대형화나 부품점수의 증가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브리더 챔버(58)와 트랜스미션 케이스(11)의 내부공간이 개구(13c)의 내주와 제2스프링시트(69)의 외주와의 사이에 형성된 4개의 통공(71)…에 따라서 연통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통공(71)…의 하방에는 시프트 아암(64) 및 인터로크판(66)이 인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그 래비린효과로 브리더 챔버(58)에의 오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가 있다.
도 4 및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속-2속 시프트포크(44)를 구비한 1속-2속 시프트로드(76)의 양단부와, 상기 3속-4속 시프트포크(46)를 구비한 3속-4속 시프트로드(77)의 양단부와, 상기 5속 시프트포크(48)를 구비한 5속-리버스시프트로드(78)의 일단부가, 좌 케이스반체(12) 및 우 케이스반체(13)에 각각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1속-2속 시프트로드(76), 3속-4속 시프트로드(77) 및 5속-리버스시프트로드(78)에는, 각각 1속-2속 시프트피이스(79), 3속-4속 시프트피이스(80) 및 5속-리버스시프트피이스(81)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것들 3개의 시프트피이스(79, 80, 81)의 선단부에 각각 형성한 노치(79a, 80a, 81a)는 시프트아암(64)의 선단에 설치된 구동부(64a)에 선택적으로 맞물릴수 있도록 상하로 정열된다.
그리고, 시프트 선택축(59)이 도 4에 표시한 3속-4속 선택위치에 있을 때, 시프트 아암(64)의 구동부(64a)가 3속-4속 시프트피이스(80)의 노치(80a)에 맞물리기 위해 시프트 선택축(59)의 회동에 따라서 3속-4속 시프트피이스(80)와 동시에 3속-4속 시프트로드(77)를 중립위치로부터 3속위치 또는 4속위치로 구동할 수가 있다. 이때, 인터로크판(66)의 하측의 로크클로(66b)가 1속-2속 시프트피이스(79)의 노치(79a)에 맞물리고, 인터로크판(66)의 상측의 로크클로(66a)가 5속-리버스 시프트피이스(81)의 노치(81a)에 맞물리므로서, 1속-2속 시프트피이스(79) 및 5속 리버스시프트피이스(81)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선택축(59)을 상기 3속-4속 선택위치의 하방의 1속-2속 선택위치에 이동시키면, 그 시프트아암(64)의 구동부(64a)가 1속-2속시프트피이스(79)의 노치(79a)에 맞물리기 위해 시프트 선택축(59)의 회동에 따라서 1속-2속 시프트피이스(79)에 동시에 1속-2속 시프트로드(76)를 중립위치로부터 1속위치 또는 2속 위치에 구동할 수가 있다. 이때, 인터로크판(66)의 상측의 로크클로(66a)가 5속 리버스시프트피이스(81)의 노치(81a) 및 3속-4속 시프트피이스(80)의 노치(80a)에 맞물리므로서, 5속-리버스시프트피이스(81) 및 3속-4속 시프트피이스(80)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선택축(59)을 상기 3속-4속 선택위치의 상방의 5속-리버스 선택위치에 이동시키면, 그 시프트 아암(64)의 구동부(64a)가 5속-리버스 시프트피이스(81)의 노치(81a)에 맞물리기 때문에 시프트 선택축(59)의 회동에 따라서 5속-리버스시프트피이스(81)와 동시에 5속-리버스시프트로드(78)를중립위치에서 5속위치 또는 리버스위치로 구동할 수가 있다. 이때, 인터로크판(66)의 하측 로크클로(66b)가 1속-2속 시프트피이스(79)의 노치(79a) 및 3속-4속 시프트피이스(80)의 노치(80a)에 맞물리므로서, 1속-2속 시프트피이스(79) 및 3속-4속시프트(80)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1속-2속 시프트로드(76)를 1속-2속 선택위치와, 1속위치와, 2속위치에 대응하여 절도있게 정지하기 위하여, 디텐트기구(82)가 설치된다. 또 3속-4속 시프트로드(77)를 3속-4속 선택위치와, 3속 위치와, 4속 위치에 대응하여 절도있게 정시키기이 위하여 디텐트기구(83)를 설치한다.
도 8∼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우 케이스반체(13)의 내면에 브래킷(85)이 2개의 볼트(86, 86)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85)에 지점핀(87)을 개재하여 상기 리버스시프트포크(50)가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지점핀(87)을 끼워서 리버스 시프트포크(50)의 일단측에는 상기 리버스 아이들기어(41)의 양측면을 끼운 노치(50a)가 형성되고, 또 타단측에는 리버스시프트용 종동(從動) 캠면(a), 중립복귀용 종동캠면(b) 및 중립유지용 종동캠면(c)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한편, 5속-리버스시프트피이스(81)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캠부(88)의 선단에, 상기 리버스시프트용 종동캠면(a)에 당접가능한 리버스시프트용 캠면(d)과, 상기 중립복귀용캠면(b) 및 중립유지용 종동캠면(c)에 당접가능한 중립복귀용 캠면(e)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리버스시프트포크(50)를 지지하는 브래킷(85)에서 일체로 뻗은 아암부(85a)의 선단에, 5속-리버스시프트로드(78)를 5속-리버스 선택위치와, 5속위치 및 리버스위치에 대응하여 절도있게 대응하여 절도있게 정지시키기 위한 디텐트기구(84)가 설치된다.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디텐트기구(84)는 디텐트 스프링(84a)으로 가압된 디텐트볼(84b)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디텐트볼(84b)은 5속-리버스피이스(81)에 형성한 3개의 요부(81b∼81d)(도 10∼도 12 참조)에 선택적으로 맞물림 가능하다.
그리고,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5속 리버스시프트피이스(81)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5속 리버스시프트피이스(81)의 구동캠부(88)의 리버스시프트용 구동캠면(d) 및 중립복귀용 구동캠면(e)이, 리버스시프트포크(50)의 리버스시프트용 종동캠면(a) 및 중립유지용 종동캠면(c)에 각각 당접하고, 또한 리버스 아이들기어(41)는 리버스아이들축(Sr) 상의 우단의 중립위치로서, 우 케이스반체(13)의 단면(13i)에 당접하고 있다. 따라서, 리버스아이들기어(41)가 우 케이스반체(13)의 단면(13i)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좌방향으로 이동하려 하여도, 구동캠부(88)의 중립복귀용 구동캠면(e)과 리버스시프트포크(50)의 중립유지용 종동캠면(c)의 당접에 따라서 리버스아이들기어(41)의 좌방향에의 이동이 저지된다.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5속 변속단을 확립하기 위해 5속-리버스시프트로드(78)가 중립위치에서 5속 위치를 향해서 좌우 움직이면, 5속-리버스시프트로드(78)에 설치한 5속 시프트포크(48)에 따라서 주 5속기어(35)가 주축(Sm)에 결합되어서 5속 변속단이 확립된다(도 1참조). 이때, 5속-리버스시프트로드(58)와 일체로 작동하는 구동캠부(88)의 중립복귀용 캠면(e)은 리버스시프트포크(50)의 중립유지용 종동캠면(c)에 따라 미끄러지도록 이동하여,리버스시프트포크(50)는 중립위치에 정지한채로 된다. 이 경우에 리버스아이들기어(41)가 우 케이스반체(13)의 단면(13i)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좌방향으로 이동하려고하여도 구동캠부(88)의 중립복귀용 구동캠면(e)과 리버스시프트포크(50)의 중립유지용 종동캠면(c)과의 당접에 따라서 리버스아이들기어(41)의 좌방향에의 이동이 저지된다.
5속 변속단의 확립을 해제하기 위해 5속 리버스로드(78)가 5속 위치(도 11참조)에서 중립위치(도 10 참조)를 향하여 우로 움직여도 구동캠부(88)의 중립복귀용캠면(e)이 리버스 시프트포크(50)의 중립유지용 종동캠면(c)에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리버스시프트포크(50)는 중립위치에 정지한 채로 된다.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리버스 변속단을 확립하기 위해 5속-리버스시프트로드(78)가 중립위치에서 리버스위치를 향하여 우로 움직이면, 5속-리버스시프트로드(78)에 설치한 5속 시프트포크(48)는 우방향으로 헛움직인다(도 1 참조). 이것과 동시에 5속-리버스시프트로드(78)와 일체로 작동하는 구동캠(88)의 리버스시프트용 구동캠면(d)이 리버스시프트포크(50)의 리버스시프트용 종동캠면(a)을 가압하고, 리버스시프트포크(50)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 결과, 리버스시프트포크(50)가 리버스아이들기어(41)를 리버스아이들축(Sr)에 따라 좌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리버스아이들기어(41)가 주리버스기어(42) 및 카운터리버스기어(43)에 맞물리어 리버스 변속단이 확립된다.
이 상태에서, 리버스아이들기어(41)의 좌단변은 좌 케이스반체(12)의 단면(12b)에 당접하여, 그것으로부터 리버스아이들기어(41)가 우방향으로 이동하려고하여도, 구동캠부(88)의 리버스시프트용 구동캠면(d)과 리버스포크(50)의 리버스시프트용 종동캠면(a)과의 당접에 의하여 리버스아이들기어(41)의 우방향에의 이동이 저지된다.
리버스변속단의 확립을 해제하기 위해 5속-리버스시프트로드(78)가 리버스위치(도 12 참조)에서 중립위치(도 10 참조)를 향하여 좌로 움직이면, 구동캠부(88)의 중립복귀용 구동캠면(e)이 리버스시프트포크(50)의 중립복귀용 종동캠면(b)을 가압하기 때문에, 리버스시프트포크(50)가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리버스시프트포크(50)가 리버스아이들기어(41)를 리버스아이들축(Sr)에 따라 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리버스아이들기어(41)가 주리버스기어(42) 및 카운터리버스기어(43)로부터 이반하여 리버스변속단의 확립이 해제된다.
도 10 및 도 13에 의하여 분명한 바와 같이 리버스아이들축(Sr)은 그 좌단이 좌 케이스반체(12)에 형성된 축지지구멍(12a)에 감합하여 유지되고, 이 우단이 우 케이스반체(13)에 형성된 축 지지구멍(13e)에 감합하여 유지된다. 우 케이스반체(13)의 축지지구멍(13e)의 내벽면은 원주방향으로 닫혀 있지 않고, 그 일부가 노치를 개재하여 주축(Sm)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리버스아이들축(Sr)을 지지하는 축지지구멍(13e)의 축지지면(13f)은 약 250°의 원주각을 가진 우호(優弧)로 되었으며, 리버스아이들축(Sr)의 외주부의 일부는 약 110°의 원주각을 가진 열호(劣弧)로 된 개구부(13g)를 통하여 우 케이스반체(13)의 내부공간에 노출한다. 이와 같이 축 지지구멍(13e)의 내벽면의 일부를 잘라내어도, 그 축지지구멍(13e)의 축지지면(13f)이 180°이상의 중심각을 가지고 있으면, 리버스아이들축(Sr)이 축지지구멍(13e)으로 탈락할 우려가 있다.
도 8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지지구멍(13e)을 닫힌 자루형상으로 형성하면, 우 케이스반체(13)의 내벽면(13h)이 트랜스미션케이스(11)의 내측으로 돌출하기 위해 그 내벽면(13h)이 주축(Sm)에 설치한 기어와 간섭할 우려가 있고,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리버스아이들축(Sm)과의 거리를 증가시키면, 트랜스미션케이스(11)가 대형화되게 할 문제가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리버스아이들축(Sr)의 축지지구멍(13e)의 일부를 잘라내므로서 리버스아이들축(Sr)을 지자하기 위한 특별한 부재를 설치하거나, 특별한 가공을 할 필요 없이, 리버스아이들축(Sr)을 주축(Sm)에 될 수 있는 한 근접시켜서 트랜스미션케이스(1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라가지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실시예에서는 수동트랜스미션(M)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시프트·선택조작을 액추에이터로 하는 자동트랜스미션(11)에 대하여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2)

  1. 트랜스미션 케이스(11)에 지지된 시프트 선택축(59)을 변속레버(L)의 선택조작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 변속레버(L)의 시프트 조작에 따라서 회동시키므로서, 이 시프트선택축(59)으로 시프트포크(44, 46, 48, 50)를 작동시켜서 복수의 변속단을 선택적으로 확립하는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로서, 시프트 선택축(59)을 축방향의 3개의 선택위치중의 중앙의 선택위치에 선택스프링(70)을 탄발적으로 유지하고, 시프트 선택축(59)에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한 제1스톱퍼면(59b) 및 제2스톱퍼면(66d) 사이에 제1스프링시트(68) 및 제2스프링시트(69)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제1, 제2스프링시트(68, 69)의 축방향 내면을 선택스프링(70)으로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제2스톱퍼면(59b, 66d)에 각각 당접시키고, 제1, 제2스프링시트(68, 69)의 축방향 외면을 트랜스미션 케이스(11)에 설치한 제1, 제2지지면(57b, 13d)에 각각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트랜스미션 케이스(11)에 설치한 브리더 챔버(58)의 내부에 제1, 제2스프링시트(68, 69) 및 선택스프링(70)을 수납하여, 이 브리더 챔버(58)의 내벽에 상기 제1, 제2지지면(57b, 13d)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
KR1020000060293A 1999-10-18 2000-10-13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 KR100351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541999A JP3706778B2 (ja) 1999-10-18 1999-10-18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装置
JP99-295419 1999-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078A KR20010040078A (ko) 2001-05-15
KR100351728B1 true KR100351728B1 (ko) 2002-09-05

Family

ID=1782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293A KR100351728B1 (ko) 1999-10-18 2000-10-13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51728B1 (ko)
CA (1) CA2323384C (ko)
DE (1) DE60018672T2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8672T2 (de) 2005-08-04
DE60018672D1 (de) 2005-04-21
CA2323384A1 (en) 2001-04-18
KR20010040078A (ko) 2001-05-15
CA2323384C (en) 2004-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341B1 (ko) 트랜스미션의 브리더 장치
KR101682262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변속 장치
US7311015B2 (en) Multi-step manual transmissi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434488B2 (en) Transmission for tractor
EP2053282B1 (en) Manual transmission comprising gear noise prevention system
US8205521B2 (en) Dual clutch transmission with a device for preventing double engagement
EP1271013B1 (en) Gearbox selector mechanism for manual transmission
EP1271014B1 (en) Gear shifting system in manual transmission
JP3689287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装置
JP3706778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装置
JP3715209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100351728B1 (ko) 트랜스미션의 변속장치
RU2291792C1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ключения коробки передач с демультипликатором (два варианта)
US8272287B2 (en) Device for latching and locking shift rockers of a shift device of a transmission, and use of a device of said type
JP2009228745A (ja) 手動変速機
US5016488A (en) Shift mechanism for engaging sliding gear in manual transmission
GB2165324A (en) Select/shift mechanism for change speed gearing
JP4636430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668689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20008082A (ja) 車両用変速機
JP2001116119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リバースアイドルシャフト支持構造
JP4443498B2 (ja) ギヤ式パーキング機構
JP4592564B2 (ja) レバー操作装置
KR0173994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장치
JP3873014B2 (ja) 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