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550B1 -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550B1
KR100351550B1 KR1019990045252A KR19990045252A KR100351550B1 KR 100351550 B1 KR100351550 B1 KR 100351550B1 KR 1019990045252 A KR1019990045252 A KR 1019990045252A KR 19990045252 A KR19990045252 A KR 19990045252A KR 100351550 B1 KR100351550 B1 KR 10035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crew
reinforcing
round
lower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620A (ko
Inventor
이화찬
유병택
Original Assignee
(주)휴먼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휴먼텍코리아
Priority to KR101999004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5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21H3/02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combined with rolling splines, ribs, grooves or the like, e.g. using compound d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의 단부에 상,하압연롤러를 이용하여 단면적의 축소없이 둥근나사를 형성한 다음, 그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슬리브에 두 철근의 단부를 나사체결하므로서 철근 단부의 나사제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철근과 철근연결구의 결합을 매우 용이하게 한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호 일치하여 나사형상이 되는 상,하압연롤러에 철근의 단부를 소정길이 직진시켜 철근의 길이방향 리브 및 원주방향 리브를 압연하는 동시에 둥근나사를 형성한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은 또 본체(1)에 정역회전이 가능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2)와; 상기 구동모터(2)와 다수의 기어군(5)들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호 일치하여 나사형상이 되는 나사홈(3b)(4b)을 구비한 상,하압연롤러 (3)(4); 등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철근을 상호 결합시키는 철근연결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철근(6)의 둥근나사(6b)와 대응되는 암나사(11a)가 구비된 소정길이의 슬리브(11)와; 상기 철근(6)의 나사(6b)에 체결되어 슬리브 (11)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너트(12); 등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The screw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of a reinforcing rod}
본 발명은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의 단부에 상,하압연롤러를 이용하여 단면적의 축소없이 둥근나사를 형성한 다음, 그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슬리브에 두 철근의 단부를 나사체결하므로서 철근 단부의 나사제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철근과 철근연결구의 결합을 매우 용이하게 한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설 및 토목현장에서는 철근을 이용하여 기본 골격을 세운 후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키는 과정으로 시공물을 건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은 제조업체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시공물의 높이에 따라 절단된 철근을 상호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호 연결된 두 철근의 결합력에 따라 시공물의 부실이 결정될 만큼 철근의 연결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근자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999-01216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철근 연결구를 사용하여 철근을 상호 연결하게 되는데, 이의 구성을 도 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부에 둘레턱(8)을 두고 그 양측 외경부에 나사부 (10)(12)가 형성되며, 내경부(14)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확개되는 형태의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중간부재(2)와; 원통형 부재로서 축방향으로 분할되어 2개 1조로 이루어져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4)(6)의 선단부에 링상의 탄성부재 (42)(44)를 이용하여 가압고정되어 그의 선단부가 중간부재(2)의 양측 테이프면에의하여 가압되는 제1,2잭(18)(20)과; 상기 제1,2잭(18)(20)의 일측 외주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그의 전단부분이 중간부재(2)의 양측 나사부(10)(12)에 체결되는 제 1,2커플러(46)(4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잭(18)(20)은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 형성한 형태로서 형성되며, 이들의 내경부는 철근(4)(6) 외주면의 길이방향 리브(22)(24)와 원주방향 리브(26)(28)를 수용할 수 있는 리브홈(30)(32)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의 외경부는 중앙부분을 기점으로 양단부가 소경부로 이루어지는 테이퍼면(34)(36)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두 철근(4)(6)을 상호 연결시키게 위하여 외주면의 길이방향 리브(22)(24) 및 원주방향 리브(26)(28)와 결합되도록 중간부재(2)와, 두개의 잭(18)(20)과, 역시 두개의 커플러(46)(48)를 이용한 철근연결구가 사용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복잡다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철근(4)(6)의 원주방향 리브( 26)(28)의 간격이 철근생산업체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다양한 철근연결구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이 소요되며, 또한 상기 잭(18)(24)의 리브홈(30)( 32)내에서 철근(4)(6) 외주면의 원주방향 리브(26)(28)가 다소 유동되기 때문에 철근(4)(6) 끼리의 결합력이 크게 약화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먼저 철근의 단부에 상,하압연롤러를 이용하여 소정길이의 둥근나사를 형성한 다음, 그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철근연결구의 슬리브에 두 철근의 단부를 나사체결하는 동시에 슬리브의 일측에서 고정너트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므로서 철근 단부의 나사제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철근과 철근연결구의 결합을 매우 용이하게 함은 물론, 철근과 철근의 결합력을 크게 강화시킨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철근과 철근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제조장치의 압연롤러를 발췌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철근의 나사부와 철근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4의 (a)(b)는 도 3의 체결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구동모터
3:상부압연롤러 3a:철근삽입홈
3b:나사홈 4:하부압연롤러
4a:철근삽입홈 4b:나사홈
5:기어군 6:철근
6a:리브 6b:둥근나사
10:철근연결구 11:슬리브
11a:암나사 12:고정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일치하여 나사형상이 되는 상,하압연롤러에 철근의 단부를 소정길이 직진시켜 철근의 길이방향 리브 및 원주방향 리브를 없애는 동시에 둥근나사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또, 본체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다수의 기어군들에 의해 연동되면서 상호 일치하여 나사형상이 되는 나사홈을 구비한 상,하압연롤러; 등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을 상호 결합시키는 철근연결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철근의 둥근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구비된 소정길이의 슬리브와; 상기 철근의 둥근나사에 체결되어 슬리브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너트; 등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상호 일치하여 나사형상이 되는나사제조장치의 상,하압연롤러에 철근의 단부를 직진시켜 철근의 길이방향 리브 및 원주방향 리브를 압연하는 동시에 철근의 단부에 소정길이 예컨대, 10㎜∼15㎜정도의 둥근나사를 단면적의 축소없이 형성한다.
즉, 나사제조장치의 상,하압연롤러에 철근이 선접촉을 하면서 진행하여 철근 외주연의 각 리브를 압축시켜 철근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두 롤러 사이에서 밀려난 철근의 일부가 롤러의 나사홈에 진입하여 둥근나사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둥근나사는 상기 철근의 직경과 나사골의 직경이 동일하다.
이때, 상,하압연롤러와 철근이 선접촉을 하면서 둥근나사가 형성되기 때문에 10㎜∼15㎜정도의 둥근나사를 다소 적은 힘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철근의 단부에 둥근나사를 제조하기 위한 나사제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에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구동모터(2)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에 철근(6)을 상,하부에서 철근(6)의 리브(6a)를 압연하는 동시에 둥근나사(6b)를 형성하여 주는 상,하압연롤러(3)(4)가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모터(2)와 상,하압연롤러(3)(4)는 다수의 기어군(5)들에 의해 연동되며, 상기 상,하압연롤러 (3)(4)의 외주연으로 형성된 철근삽입홈(3a)(4a)에는 상호 일치하여 나사형상이 되도록 나사홈(3b)(4b)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어군(5)은 구동모터(2)와 결합된 구동기어(5a)가 상,하압연롤러(3)(4)에 상호 대응되도록 치합된 종동기어(5b)(5c)와 치합되며, 특히 종동기어 (5b)(5c)는 직경 및 기어치가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여야 상,하압연롤러(3)(4)의 나사홈(3b)(4b)이 일치하여 철근(6)에 일정한 둥근나사(6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구동모터(2)에 감속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장치의 기어부에 상,하압연롤러(3) (4)와 연동되도록 치합된 종동기어(5b)(5c)와 연결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철근(6)에 둥근나사(6b)가 형성되어지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형성되어진 철근연결구(10)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철근연결구(1 0)는 상기 철근(6)의 둥근나사(6b)와 대응되는 암나사(11a)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슬리브(11)와; 상기 철근(6)의 둥근나사(6b)에 체결되어 슬리브(11)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너트(12); 등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철근(6)의 둥근나사(6b) 제조방법을 도 2의 나사제조장치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나사제조장치의 구동모터(2)를 구동시켜 상,하압연롤러(3)(4)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킨 다음, 상기 상,하압연롤러(3)(4)에 철근(6)의 단부를 약 10㎜∼15㎜정도 진입시키게 되는데, 상기 상,하압연롤러(3)(4)의 철근삽입홈(3a)( 4a)으로 삽입,진행되는 철근(6) 단부의 리브(6a)가 압연됨과 동시에 상,하압연롤러 (3)(4)의 나사홈(3b)(4b)에 의해 둥근나사(6b)가 형성된다.
이때, 상,하압연롤러(3)(4)에 철근(6)이 선접촉을 하면서 둥근나사(6b)가 제조되기 때문에 나사제조장치의 상,하압연롤러(3)(4)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철근(6) 외주연의 각 리브(6a)를 압축시켜 철근(6)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두 롤러(3)(4)의 압연에 의해 밀려난 리브(6a)의 일부가 롤러(3)(4)의 나사홈(3b)(4b)에 진입하여 둥근나사(6b)가 형성되며, 이렇게형성된 둥근나사(6b)의 나사골과 철근(6)의 직경이 동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철근(6)에 둥근나사(6b)가 형성되어지면, 도 4의 (a)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두 철근(6) 중 어느 하나의 둥근나사(6b)에 철근연결구(10)의 고정너트(12)를 먼저 체결한 상태에서 슬리브(11)를 결합한 다음,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슬리브(11)의 또 다른 일단에 나머지 하나의 철근(6)을 대응시킨 상태에서 슬리브(11)를 회전시켜 두 철근이 상호 접하도록 하는 한편, 철근(6) 일측의 고정너트 (12)를 회전하여 슬리브(11)에 단단히 결합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근(6)의 단부에 상,하압연롤러(3)(4)를 이용하여 소정길이의 둥근나사(6b)를 형성한 다음, 그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철근연결구(10)의 슬리브(11)에 두 철근(6)의 단부를 나사체결하는 동시에 슬리브(11)의 일측에서 고정너트(12)를 이용하여 슬리브(11)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므로서 철근(6) 단부의 둥근나사(6b)제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철근(6)과 철근연결구(10)의 결합을 매우 용이하게 함은 물론, 철근과 철근의 결합력을 크게 강화시킨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호 일치하여 나사형상이 되는 상,하압연롤러에 철근의 단부를 소정길이 직진시켜 철근의 길이방향 리브 및 원주방향 리브를 압연하는 동시에 둥근나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19990045252A 1999-10-19 1999-10-19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 KR10035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252A KR100351550B1 (ko) 1999-10-19 1999-10-19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252A KR100351550B1 (ko) 1999-10-19 1999-10-19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620A KR20010037620A (ko) 2001-05-15
KR100351550B1 true KR100351550B1 (ko) 2002-09-12

Family

ID=1961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252A KR100351550B1 (ko) 1999-10-19 1999-10-19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2717C1 (ru) * 2019-07-18 2020-09-22 Тихонов Георгий Игоревич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арматурных стержней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профил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7435A (zh) * 2017-02-28 2017-05-17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自锁卡管式钢筋直插接头
CN108723266A (zh) * 2018-06-29 2018-11-02 中民筑友有限公司 一种螺纹钢筋加工及套筒安装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2717C1 (ru) * 2019-07-18 2020-09-22 Тихонов Георгий Игоревич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арматурных стержней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профиля
RU2732717C9 (ru) * 2019-07-18 2020-10-20 Игорь Николаевич Тихонов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арматурных стержней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профил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620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307084T2 (de) Kupplungsvorrichtung
KR100240099B1 (ko) 철근 연결 구조
KR100351550B1 (ko) 철근의 둥근나사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철근연결구
KR100309611B1 (ko) 철근 연결구
EP1235022B1 (de) Rohr-Bausatz
DE3541896A1 (de) Verfahren zur zug- und druckfesten stoss-verbindung von betonrippenstahl mit hilfe einer rohrmuffe
DE20012524U1 (de) Gestängekupplung
KR10027274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연결구
EP3936670A1 (de) Betonpfahlelement sowie verfahren zum zusammenkuppeln zweier betonpfahlelemente
KR100445527B1 (ko) 암나사형 철관슬리브 압착식 철근연결구
GB2163194A (en) Concrete reinforcement bars
KR100603754B1 (ko)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CN113089935A (zh) 钢筋对接连接用组合套筒
KR200351043Y1 (ko)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CN111910840A (zh) 装配式钢筋连接组件及装配方法
KR200186134Y1 (ko) 소일 네일의 철근 설치 구조
KR200265990Y1 (ko) 철근 이음장치
KR200286102Y1 (ko) 철근 연결장치
CA2140196A1 (en)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device for placing this mechanical connection and process for fix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CN213509230U (zh) 一种拉结筋埋置装置
KR200227284Y1 (ko) 교량 및 구조물 철근 연결구
JP3678358B2 (ja) 鉄筋の継手構造
KR100436386B1 (ko) 거푸집 조립용 타이볼트 및 간격유지구
CN113928405B (zh) 一种可碰撞压缩的转向管状总成
KR100449977B1 (ko) 철근콘크리트용 이형봉강 이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