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291B1 -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291B1
KR100351291B1 KR1019990047598A KR19990047598A KR100351291B1 KR 100351291 B1 KR100351291 B1 KR 100351291B1 KR 1019990047598 A KR1019990047598 A KR 1019990047598A KR 19990047598 A KR19990047598 A KR 19990047598A KR 100351291 B1 KR100351291 B1 KR 100351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ase
elevator
gauge
load detection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282A (ko
Inventor
유선경
Original Assignee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7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2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39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는 카 프레임(12)의 크로스 헤드(12a) 상면에 모듈 베이스(14)를 설치하고, 그 모듈 베이스(14)의 상면에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16)를 설치하며, 그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16)의 상면에 수개의 스트레인 게이지(17)를 설치하여, 크로스 헤드(12a)에서 발생되는 인장탄성변형을 모듈 베이스(14)에서 1차로 증폭하고, 그 모듈 베이스(14)의 변형을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16)에서 2차로 증폭하여, 그와 같이 최대로 증폭된 변형량을 스트레인 게이지(17)에서 검출하므로 엘리베이터에서 승객의 승차시에 정확한 부하검출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LOAD DETECTING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레인 게이지를 탄성변형량이 가장 큰 곳에 설치하여 정확한 부하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적합한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카에 승착하는 인승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부하검출장치들이 여러가지가 소개되고 있는 바, 그중 일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로프(1)에 의하여 사각 틀체상의 카 프레임(2)이 매달려 있고, 그 카 프레임(2)의 내측에는 승객(3)이 탑승하는 케이지(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케이지(4)의 하측에는 방진고무(5)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 카 프레임(2)의 상면 중앙에는 볼트(6)에 의하여 양단부가 고정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단차부(7a)가 형성되어 있는 모듈 베이스(7)와, 그 모듈 베이스(7)의 단차부(7a)의 저면에 설치되는 수개의 스트레인 게이지(8)들로 구성되는 부하검출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부하검출장치(9)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케이지(4)에 승객(3)이 탑승을 하면 승객(3)에 의하여 발생되는 추가적인 하중이 케이지(4)를 통해 카 프레임(2)에 전달이 되고, 그와 같이 하중이 전달되는 카 프레임(2)의 크로스 헤드(2a)에 모멘트를 발생시켜서, 크로스 헤드(2a)에 인장탄성변형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인장탄성변형을 모듈 베이스(7)가 휨이 발생되면서 증폭을 하고, 그와 같이 증폭된 변형량을 스트레인 게이지(8)에서 검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부하검출장치(9)가 설치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카 프레임(2)에 발생되는 인장탄성변형을 모듈 베이스(7)에서 1차적으로 증폭하고, 그 증폭된 변형량을 스트레인 게이지(8)에서 검출하는 형식이나, 이러한 방식은 모듈 베이스(7)에서 비교적 변형량이 적은 단차부(7a)에 스트레인 게이지(8)가 설치되어 있어서 변형량을 증폭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인장탄성변형을 크게 증폭하여 변형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종래 스트레인 게이지의 설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조에서 최대변형량이 검출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로프 12 : 카 프레임
12a : 크로스 헤드 14 : 모듈 베이스
14a : 몸체부 14b : 탄성변형부
16 :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 17 :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로프에 연결되는 카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고, 그 카 프레임의 내측에 승객이 승차하는 케이지가 구비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 프레임의 크로스 헤드 상면에 고정되어 케이지에 승객이 승착시에 크로스 헤드에 발생되는 인장탄성변형을 1차로 증폭하기 위한 모듈 베이스와, 그 모듈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모듈 베이스에서 증폭된 변형량을 2차로 증폭하기 위한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와, 그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설치되어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에서 2차로 증폭된 변형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구비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는 로프(11)에 매달리는 카 프레임(12)의 크로스 헤드(12a) 상면 중앙에 볼트(13)로 모듈 베이스(14)가 설치되어 있고, 그 모듈 베이스(14)의 상측에는 볼트(15)로 고정되는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16)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16)의 상면에는 변형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개의 스트레인 게이지(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4)는 일정두께와 면적을 갖는 강판인 몸체부(14a)의 일정부분에 몸체부(14a) 보다 두께가 얇은 탄성 변형부(14b)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16)의 두께(t)는 상기 모듈 베이스(14)에 형성되는 탄성 변형부(14b)의 두께(T) 보다 얇게 하여, 모듈 베이스(14)에서 1차적으로 증폭된 탄성변형을 크게 휨이 발생되는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16)에서 2차로 크게 증폭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은 온도 보정용 더미 게이지이다.
상기와 같이 부하검출장치(21)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카는 승객이케이지에 승차하면 하중이 카 프레임(12)에 전달되고, 그 카 프레임(12)의 크로스 헤드(12a)에 전달되면서 인장탄성변형이 발생되며, 그와 같이 발생되는 인장탄성변형을 모듈 베이스(14)에서 1차적으로 증폭하고, 그와 같이 증폭된 변형량을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16)에서 2차적으로 크게 증폭하여, 그 증폭된 변형량을 스트레인 게이지(17)에서 검출한다.
즉, 상기 모듈 베이스(14)의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도 6과 같이 양단부에 힘(F)이 작용하고 탄성변형부(14b)가 상측으로 휨이 발생될때, 탄성변형부(14b) 보다 단차부(14c)의 입구부인 상측(E')이 최대 변형 발생부위가 되며, 그와 같은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모듈 베이스(14)의 단차부(14c) 상측 입구부에 스트레인 게이지(17)가 설치된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16)를 설치하면 엘리베이터에서 승객의 하증 증가에 따른 변형량을 최대한 증폭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는 카 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모듈 베이스를 설치하고, 그 모듈 베이스의 상면에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를 설치하며, 그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설치하여,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의 케이지에 승차하여 하중이 증가하면 카 프레임의 크로스 헤드에 인장탄성변형이 발생되고, 그와 같이 발생되는 변형량을 모듈 베이스에서 1차적으로 증폭한 다음,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에서 2차적으로 크게 증폭하여 그 증폭된 변형량을 스트레인 게이지로 검출함으로써, 엘리베이터에서 부하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로프에 연결되는 카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고, 그 카 프레임의 내측에 승객이 승차하는 케이지가 구비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 프레임의 크로스 헤드 상면에 고정되어 케이지에 승객이 승착시에 크로스 헤드에 발생되는 인장탄성변형을 1차로 증폭하기 위한 모듈 베이스와, 그 모듈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모듈 베이스에서 증폭된 변형량을 2차로 증폭하기 위한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와, 그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에서 2차로 증폭된 변형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구비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베이스는 탄성을 갖는 판상의 몸체부의 일정부분에 몸체부 보다 두께가 얇은 탄성변형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는 모듈 베이스의 탄성 변형부의 두께 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
KR1019990047598A 1999-10-29 1999-10-29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 KR100351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98A KR100351291B1 (ko) 1999-10-29 1999-10-29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98A KR100351291B1 (ko) 1999-10-29 1999-10-29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282A KR20010039282A (ko) 2001-05-15
KR100351291B1 true KR100351291B1 (ko) 2002-09-10

Family

ID=1961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598A KR100351291B1 (ko) 1999-10-29 1999-10-29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458B1 (ko) 2018-11-20 2020-05-0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부하 검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134U (ko) * 1985-12-24 1987-07-07
JPH0769556A (ja) * 1993-09-02 1995-03-1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用荷重検出装置
KR950015109U (ko) * 1993-11-18 1995-06-17 전자렌지용 중량센서의 판스프링구조
US5932853A (en) * 1996-09-27 1999-08-03 Inventio Ag Identification system for a lift instal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134U (ko) * 1985-12-24 1987-07-07
JPH0769556A (ja) * 1993-09-02 1995-03-1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用荷重検出装置
KR950015109U (ko) * 1993-11-18 1995-06-17 전자렌지용 중량센서의 판스프링구조
US5932853A (en) * 1996-09-27 1999-08-03 Inventio Ag Identification system for a lift install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458B1 (ko) 2018-11-20 2020-05-0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부하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282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11301A1 (en) Load carrying means for cable elevators with integrated load measuring equipment
CA2224027C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elevator load
US7399932B2 (en) Seat load measuring apparatus
US20220363515A1 (en)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car, comprising an integrated load measuring device, use thereof in an elevator system, and method
KR100872220B1 (ko) 엘리베이터 하중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US7237656B2 (en) Elevator load weighing device
KR100351291B1 (ko) 엘리베이터 부하검출장치
US7038146B2 (en) Fixing device including a screw arranged with clearance in a fixing hole, and a weight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11171425A (ja) 油圧式エレベータのロープ緩み検出装置
KR100923174B1 (ko) 하중 측정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WO2023021651A1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JP2011042481A (ja) エレベータの荷重検出装置
JP7492610B2 (ja) エレベーター
AU773086B2 (en) Load-measuring device for a load-bearing element of an elevator
US7173198B2 (en) Seat weight measuring apparatus
KR20010011509A (ko) 엘리베이터의 부하검출장치
EP2569240B1 (en) System for load detection in a cabin of an elevator
JPH11222367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2000329611A (ja) 荷重測定装置
JPH0777457A (ja) ロードセルの設置構造
JPS6227288A (ja) エレベ−タの秤装置
JPWO2019012695A1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装置
JPH10291751A (ja) 油圧式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のかご下プーリ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