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711B1 - 멀티형공기조화기의실외팬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형공기조화기의실외팬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711B1
KR100349711B1 KR1019980036128A KR19980036128A KR100349711B1 KR 100349711 B1 KR100349711 B1 KR 100349711B1 KR 1019980036128 A KR1019980036128 A KR 1019980036128A KR 19980036128 A KR19980036128 A KR 19980036128A KR 100349711 B1 KR100349711 B1 KR 100349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fan
capacitor
winding
fan motor
wind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514A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6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7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4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out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외팬모터의 고정자권선이 주권선과 보조권선 및 속도조절권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권선에는 용량가변콘덴서가 직렬로 연결되며,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강풍모드 또는 약풍모드로 제어시 상기 용량가변콘덴서의 콘덴서용량을 가변시키는 콘덴서용량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약풍모드로 제어시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큰 폭으로 감속시켜 난방능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동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
본 발명은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강풍모드 또는 약풍모드로 제어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 사이클도로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11)에 다수의 실내기(13, 15, 17)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11)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21)의 토출구측에는 실외 열교환기(23)가 연결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3)의 냉매 출구측에는 냉매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드라이어(25)가 접속됨과 동시에 실내기의 운전 용량이 작음으로 인한 냉매 과충진을 방지하고 상기 압축기(21)의 내부에 냉매액이 유입하지 않도록 냉매를 팽창시켜 상기 압축기(21)의 냉매 유입구로 바이패스시키는 저압조절밸브(27)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어(25)의 냉매 출구측에는 상기 각 실내기(13, 15, 17)로 유입하는 냉매의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9, 31, 33)가 연결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3)의 일측에는 공기를 강제 대류시켜 열교환 효율을 높이도록 도시하지 않은 실외팬이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실내기(13, 15, 17)는 그 내부에 상기 개폐밸브(29, 31, 33)에 각각 연결되는 실내 열교환기(37, 39, 41)가 배설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37, 39, 41)의 냉매입구측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37, 39, 41)로 유입되는 냉매를 단열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환시키는 팽창밸브(45, 47, 49)가 용착결합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37, 39, 41)의 각 일측에는 공기를 강제 대류시켜 열교환 효율을 높이도록 도시하지 않은 실내팬이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팽창밸브(45, 47, 49)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37, 39, 41)의 냉매 입구측 온도에 따라 그 팽창도를 조절하도록 감온통(53, 55, 57)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에는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는 실외 열교환기(23)내로 유입하여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고, 상기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드라이어(25)를 거치면서 그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 후, 상기 개폐밸브(29, 31, 33)를 통하여 나누어져 각 팽창밸브(45, 47, 49) 내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45, 47, 49) 내에 유입된 고압의 냉매액은 그 단열팽창 효과에 의해 저압의 냉매액으로 변환되어 각 실내 열교환기(37, 39, 41) 내에 유입되고,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37, 39, 41)내에서 냉매액이 증발되면서 실내 공기과 열교환되어 냉매가스로 변환되며, 상기 냉매가스는 다시 모여 압축기(21)내에 유입되어 압축기(21)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는 사이클을 이루면서 각 실내기(13, 15, 17)가 설치된 각 실내 공간을 동시에 냉방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전시 및 저온운전시에 난방능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동결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약풍모드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는, 실외팬모터(20)의 고정자권선이 주권선(L1)과 보조권선(L2) 및 속도조절권선(L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권선(L2)에 콘덴서(C)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외기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단상교류전원을 a, b단자를 통해 인가하여 실외팬모터(20)의 회전속도를 강풍모드로 제어하여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냉방능력을 향상시키며, 외기온도가 낮을 경우(난방운전시 또는 저온운전시)에는 단상교류전원을 a, c단자를 통해 인가하여 실외팬모터(20)의 회전속도를 약풍모드로 제어하여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능력을 저하시킴으로써 난방능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동결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는, 실외팬모터의 콘덴서용량이 일정한 값으로 결정되어 있음에 따라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약풍모드로 제어시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난방능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동결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약풍모드로 제어시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큰 폭으로 감속시켜 난방능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동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는, 실외팬모터의 고정자권선이 주권선과 보조권선 및 속도조절권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권선에는 용량가변콘덴서가 직렬로 연결되며,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강풍모드 또는 약풍모드로 제어시 상기 용량가변콘덴서의 콘덴서용량을 가변시키는 콘덴서용량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 사이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팬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3 : 실외팬모터 80 : 콘덴서용량조절수단
C1 : 주콘덴서 C2 : 보조콘덴서
L1 : 주권선 L2 : 보조권선
L3 : 속도조절권선 RY : 릴레이
RC : 릴레이코일 RS : 릴레이스위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팬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한 대의 실외기에 3대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제어기(60)와, 제 1 실내기 제어기(62), 제 2 실내기 제어기(64), 제 3 실내기 제어기(66), 압추기(71), 사방밸브(72), 실외팬모터(73), 제1 내지 제3밸브(74, 75, 76) 및, 실외온도 감지센서(7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 제어기(6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내기의 제어기(62, 64, 66)로부터 입력된 제 1 내지 제 3 실내기의 운전상태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운전상태신호에 따라 압축기(71)와 사방밸브(72) 및 실외팬모터(73) 및 냉매흐름 제어용 밸브(74, 75, 76)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 제어기(60)는 실외팬모터(73) 구동시에 실외온도감지센서(77)로부터 실외온도를 입력받아 실외온도에 따라 실외팬모터(73)의 회전속도를 강풍모드 또는 약풍모드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의 회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는, 실외팬모터(73)의 고정자권선이 주권선(L1)과 보조권선(L2) 및 속도조절권선(L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권선(L2)에는 용량가변콘덴서(78)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실외기 제어기(60)이 실외팬모터(73)의 회전속도를 강풍모드 또는 약풍모드로 제어시 상기 용량가변콘덴서(78)의 콘덴서용량을 가변시키는 콘덴서용량조절수단(8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콘덴서용량조절수단(80)은, 실외팬모터(73)의 회전속도를 강풍모드로 제어시 상기 보조권선(L2)에 콘덴서용량이 큰 주콘덴서(C1)를 직렬로 연결시키고, 실외팬모터(73)의 회전속도를 약풍모드로 제어시 상기 보조권선(L2)에 콘덴서용량이 작은 보조콘덴서(C2)를 직렬로 연결시키는 릴레이(RY)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외기 제어기(60)는 실외온도감지센서(77)로부터 실외온도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실외온도가 소정치(예를 들어, 26℃) 이상이면 실외팬모터(73)의 회전속도를 강풍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실내팬모터(73)의 회전속도를 강풍모드로 제어시에는 도 4에 도시된 a, b단자를 통해 단상교류전원이 실외팬모터(73)로 공급되어 실외팬모터(20)의 회전속도가 강풍모드로 되고, 이에 따라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능력을 향상되어 냉방능력이 향상된다.
이때, 릴레이코일(RC)의 양단이 a, b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릴레이코일(RC)로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릴레이스위치(RS)가 주콘덴서(C1)를 보조권선(L2)에 직렬로 접속시키는데, 상기 주콘덴서(C1)의 콘덴서용량은 보조콘덴서(C2)의 콘덴서용량에 비하여 크므로 실외팬모터(73)의 회전속도가 더욱 커서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외기 제어기(60)는 실외온도가 소정치(예를 들어, 21℃) 이하이면(난방운전 또는 저온운전) 실외팬모터(73)의 회전속도를 약풍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실내팬모터(73)의 회전속도를 약풍모드로 제어시에는 도 4에 도시된 a, c단자를 통해 단상교류전원이 실외팬모터(73)로 공급되어 실외팬모터(20)의 회전속도가 약풍모드로 되고, 이에 따라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능력을 낮아져 난방능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동결현상을 방지한다.
이때, 릴레이(RY)의 릴레이코일(RC)의 양단이 a, c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릴레이코일(RC)로 전원이 인가되어 릴레이스위치(RS)가 보조콘덴서(C2)를 보조권선(L2)에 직렬로 접속시키는데, 상기 보조콘덴서(C2)의 콘덴서용량은 주콘덴서(C1)의 콘덴서용량에 비하여 작으므로, 실외팬모터(73)의 회전속도가 큰차로 작아져 실외열교환의 열교환능력을 매우 큰차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약풍모드로 제어시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큰 폭으로 감속시켜 난방능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동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실외팬모터의 고정자권선이 주권선과 보조권선 및 속도조절권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권선에는 콘덴서용량이 서로 다른 주콘덴서 및 보조콘덴서가 각각 직렬로 연결되며, 실외팬모터의 회전속도를 강풍모드로 제어시에는 콘덴서용량이 큰 주콘덴서를 상기 보조권선에 접속시키고 약풍모드로 제어시에는 콘덴서용량이 작은 보조콘덴서를 상기 보조권선에 접속시키는 콘덴서용량조절수단이 구비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용량조절수단은, 릴레이코일과 릴레이스위치로 이루어지고 그 릴레이스위치가 강풍모드에서 상기 주콘덴서에 연결되고 약풍모드에서 상기 보조콘덴서에 연결되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
KR1019980036128A 1998-09-02 1998-09-02 멀티형공기조화기의실외팬제어장치 KR100349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128A KR100349711B1 (ko) 1998-09-02 1998-09-02 멀티형공기조화기의실외팬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128A KR100349711B1 (ko) 1998-09-02 1998-09-02 멀티형공기조화기의실외팬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14A KR20000018514A (ko) 2000-04-06
KR100349711B1 true KR100349711B1 (ko) 2002-11-07

Family

ID=1954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128A KR100349711B1 (ko) 1998-09-02 1998-09-02 멀티형공기조화기의실외팬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7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14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4120A (en) Multi-type air-conditioning system with fast hot starting for heating operation
US11927358B2 (en) HVAC unit fa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JPH09310927A (ja) 空気調和機の冷媒制御装置
JP2002372320A (ja) 冷凍装置
KR100712196B1 (ko) 히트펌프 시스템 및 실외기 제상 방법
KR101045451B1 (ko) 멀티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33394B1 (ko) 다실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바이패스 냉매량 제어방법
KR102130437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349711B1 (ko) 멀티형공기조화기의실외팬제어장치
WO1990002300A1 (en) Heat pump for heating or cooling confined spaces, and also for heating tap water
KR950012148B1 (ko) 공기조화장치
JPH022064B2 (ko)
JPH09257333A (ja) 空気調和機
JPH01314840A (ja) 水冷式空気調和機
JPH09196477A (ja) 圧縮式冷凍機及びこの運転制御方法
CN115046288B (zh) 一种不停机除霜的控制方法及相应的空调设备
KR20010048759A (ko) 멀티형 공조기기의 전동팽창밸브의 개도조절방법
JPH09138024A (ja) 空気調和機
JPH04136669A (ja) 多室型空気調和機
KR100300581B1 (ko) 냉난방사이클의 제어방법
JPH11304272A (ja) 圧縮式冷却装置
JP2612864B2 (ja) 多室形空気調和機
KR20240031466A (ko) 공기조화기
JPH02217737A (ja) 空気調和機
JPH08313097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