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590B1 - 정형외과용깁스붕대 - Google Patents

정형외과용깁스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590B1
KR100348590B1 KR1019960020266A KR19960020266A KR100348590B1 KR 100348590 B1 KR100348590 B1 KR 100348590B1 KR 1019960020266 A KR1019960020266 A KR 1019960020266A KR 19960020266 A KR19960020266 A KR 19960020266A KR 100348590 B1 KR100348590 B1 KR 100348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age
orthopedic
fabric
gibbs
c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201A (ko
Inventor
엘. 프리만 호레이스
그린 리차드
브이. 스닙스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존슨 앤 존슨 프로페셔널, 아이엔씨.
캐롤리나 내로우 패브릭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 존슨 프로페셔널, 아이엔씨., 캐롤리나 내로우 패브릭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앤 존슨 프로페셔널,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97000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8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4Stiffening bandages, e.g. with plaster of Par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에 관한 것으로서, 경화된 깁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붕대의 형태를 형성 및 경화할 수 있는 경화 가능한 액상 수지, 바람직하게는 물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수지로 코팅된 성기 망상 섬유상 붕대를 포함한다. 연속적인 붕대는 편성 붕대로서 대부분 또는 모든 부분이 벌크처리되지 않은 연속적인 폴리머 필라멘트 및 탄성 필라멘트로 형성된다. 복수의 연속적인 필라멘트 단은 복수의 웨일을 가로질러서 연장되어 있으며, 이완된 상태에서 측정하였을 때 섬유상 붕대의 내에서 붕대의 길이 인치당 최소한 15개가 존재한다. 섬유상 붕대 내의 웨일은 평방 인치당 최소한 약 275개의 오프닝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만큼 존재한다. 깁스 붕대는 최소한 약 5%의 신장율을 가진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미세한 망을 포함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신속하게 경화되는데, 일반적으로 적용한 후 3-5분이 경과하면 경화된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로부터 형성된 5개의 층을 가지는 경화된 깁스는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 깁스 붕대로부터 제조된 깁스의 강도와 동일하거나 보다 우수한 24시간 파단 강도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Description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본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성능이 향상된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orthopedic casting tape) 및 정형외과용 깁스(cast)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리 섬유 기재를 사용하는 종래의 합성 깁스 물질과 대등하거나 보다 우수한 강도를 가지는 편성(knit) 합성 섬유 기재의 정형외과용 합성 깁스 물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고분자 또는 합성 깁스 물질은 지난 수 십년 동안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합성 깁스 물질은 종래의 소석고(Plaster of Paris) 깁스와 비교할 경우 보다 가볍고, 강하며 사용되는 물질이 다공성이므로 공기 유통이 잘되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형외과용 합성 깁스는 경화 가능한 수지가 함침된 내로우 패브릭(narrow fabric) 또는 유리 섬유로 형성되는 깁스 붕대 및/또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올레핀 등과 같은 합성 섬유로 형성된다.
미국에서는 연속 필라멘트 유리 섬유로 된 편물이 완전히 경화된 후의 강도가 뛰어나므로 합성 깁스 기재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선호되어 왔다. 합성 깁스에 사용하기 위한 기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비록 여러 가지 형태의 저 탄성계수(low modulus)의 합성 및 천연 비유리 섬유로 이루어진 편직물이 제시되어 왔고, 시험 및/또는 상업적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러한 깁스의 강도는 깁스의 두께 및 중량을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유리 기재 깁스에 비교하여 두드러지게 열등하다. 그러므로, 저 탄성계수의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깁스를 제조할 경우에 있어서, 보다 많은 깁스 붕대를 사용하고, 패브릭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및/또는 패브릭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운 붕대를 사용할 경우에만 종래의 다섯 층으로 이루어진 유리 섬유 깁스의 강도와 동일한 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리라고 보편적으로 생각되고 있다. 예를 들어 Garwood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502,479호에는 적당한 강도 및 경직성을 가지는 깁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유리 섬유와 같은 높은 탄성계수를 가진 섬유를 사용할 필요가 있음이 기재되어 있다.
실제적으로, 합성 섬유를 사용한 깁스는 강도가 약하므로 환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및/또는 깁스 제품의 최종 가격을 상승시킨다. 그러므로, 깁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층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환자에게 깁스를 적용하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결국은 숙련된 의료 인력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와 유사하게 추가된 깁스의 층은 깁스의 포함되는 패브릭 및 수지의 양을 증가시켜서, 원료 및 생산 단가를 상승시킨다. 깁스의 중량 및/또는 두께가 증가되면 이로 인하여 환자는 불편을 느끼게 되고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그러나, 합성 섬유를 사용하는 깁스의 강도가 약한 문제점 및 기타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의료 및 정형외과용 깁스 업계에서는 유리 섬유를 사용한 캐스팅 물질과 동일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합성 섬유를 사용한 캐스팅 물질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는데, 이는 유리 섬유가 여러 가지 다른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X-선의 통과를 간섭하여 유리 섬유로 만들어진 깁스는 뼈의 고정 여부에 대한 X-선 관찰을 방해한다. 반면에 여러 가지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깁스는 X-선을 상당히 잘 투과한다. 이와 유사하게 유리 섬유의 경직성은, 비록 상당 부분이 경화된 깁스에 기인하지만, 편성(knitting)과 같은 패브릭의 제조 공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생산 단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유리 섬유의 경직성은 절단 단계에서 편성 패브릭을 풀리게 하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일부 병원에서 유리 섬유를 사용한 깁스를 환자로부터 제거할 경우 발생하는 유리 가루에 대한 우려를 표명해 왔다. 유리 가루는 환자 또는 병원에서 자주 깁스를 제거하는 종사자들에게 잠재적으로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현재 많은 병원에서, 특히 유럽의 병원에서, 유리 섬유를 사용한 깁스 붕대의 사용을 금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보다 최근에는 표면 도안이 형성된 깁스 물질이 개발되어 왔으며, 사용이 점차 확대되어서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Freeman 등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 5,088,484호에 개시되어 있듯이 합성 및/또는 유리 섬유로 형성된 깁스 붕대에 다양한 표면 도안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유리 표면의 특성으로 인하여 깁스 붕대에 적용되는 가시적인 표면 도안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조 단가가 상승한다.
상기 및 기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리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유리 섬유를 사용한 깁스와 동일한 강도 및 기타의 기능적인 특징을 가지는 깁스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이 행하여졌다. 합성 섬유를 사용한 깁스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탄성계수가 높은 유리 섬유를 폴리아미드, 카본 또는 이와 유사한 강화 섬유로 대체한 방법이 있다. 깁스 붕대에 이러한 물질을 도입하면 강도가 상당히 향상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깁스 붕대는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합성 섬유를 사용한 깁스 붕대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패브릭의 흡수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고안된 패브릭의 구조에 관한 것인데 이러한 패브릭으로 수지의 피크업(pickup)을 향상시킨다. 9차 국제 바이오 물질 연례 심포지움(1983)에서 발표된 M. J. Lysaght 및 T. R. Rich의 "Development of a Water-activated Plastic Cast"에 개시되어 있듯이 일반적으로 깁스의 강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수지의 침투 및 흡수 정도를 어느 정도 변화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수지의 피크업을 강화함으로써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합성 섬유의 강도 결핍을 부분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의 흡수를 강화하는 패브릭 구조는 상업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종류의 깁스 물질을 제조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유리 섬유를 사용하지 않은 대부분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합성 깁스 붕대는 직조되거나 벌크(bulk) 합성 필라멘트, 및/또는 울(wool) 면 또는 합성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단위 면적당의, 즉 붕대의 평방 인치(inch)당의, 수지 피크업을 상승시킨다. 합성 깁스 붕대에서 벌크형 또는 스테이플 합성 섬유를 사용하는 기술은 예를 들어, Richter 등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949,047호, Von Bonin 등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 4,411,262호, Wegner 등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572,171호 및 Sekine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984,566호 등의 전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기타의 패브릭의 특성들 역시 깁스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려져 있다. 더군다나 망(mesh)의 크기 즉, 패브릭의 평방 2인치당 홀의 수는 경화된 깁스를 통한 공기의 순환 및 깁스 밑부분에서의 수분의 증발뿐만 아니라 경화된 깁스 붕대의 강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Forsyth 등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5,027,804호는 패브릭의 평방 인치당 120 내지 250개의 홀이 존재하는 망 크기를 가지는 패브릭 구조를 기술하고 있으며, Garwood 등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 4,502,479호는 평방 인치당 20 내지 200개의 홀이 존재하는 망 크기를 가지는 패브릭을 개시하고 있다. 후자에 있어서는 망 크기가 너무 미세할 경우 수지의 경화가 불규칙하므로 초기 깁스의 강도가 약해져서 강도가 강한 경화된 깁스를 얻을 수 없음을 밝히고 있다.
유리계 물질에 필적할만한 합성 섬유 깁스 물질을 얻기 위한 연구는 강도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강도 이외의 특성으로서 중요한 것은 패브릭의 순응성(fabric conformability)과 신장성, 패브릭의 부드러움, 통기성 및 흡수성 등이다. 순응성은 인체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으므로 깁스 붕대의 일정 부분이 인체를 압박하지 않아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중요하다. 만약 깁스 붕대가 늘어나지 않는다면 깁스 붕대를 적용할 때 깁스에 주름(tuck)을 잡아야 하며, 이 부분은 환자를 압박하여 불편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Buese 등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668,563호에는 편안한 편성 유리 섬유 기재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의 합성 깁스가 기재되어 있다. 부드러움은 깁스가 경화되어 딱딱해질 경우 매우 중요한데, 깁스의 표면 특징이 상당 부분 기재에 의하여 결정된다. 만약 깁스 기재가 거칠 경우 제조되는 깁스도 거친 표면을 가지게 되고 이것은 인접한 피부 및/또는 의류를 마찰로 인하여 손상되게 한다. 흡수도 역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생산되는 깁스의 강도는 생산되는 동안 패브릭에 의한 수지의 피크업에 상당 부분 의존하기 때문이다.
합성 섬유를 사용한 캐스팅 물질에 유리를 사용한 캐스팅 물질에 필적할만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수많은 요구 조건은 유리 섬유와 비교할 경우 합성 섬유의 강도가 약하므로 이를 극복하기에는 제한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수년 동안의 노력 및 시장성에도 불구하고 합성 캐스팅 물질에 사용되는 고강도의 합성 섬유는 상업적으로 생산되지 않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깁스로 경화되면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깁스의 강도와 대등하거나 더 우수한 강도를 가지는 합성 섬유를 사용한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를 제공하며, 이러한 붕대로 제조되는 깁스는 붕대와 폭이 동일하며 깁스 붕대는 경화된 깁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여러 층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합성 섬유를 사용하는 정형 외과용 깁스 붕대는 현재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리 섬유를 사용한 깁스 붕대가 가지는 특성 예를 들어, 순응성, 통기성, 적용의 용이성과 대등하거나 더 우수한 특성 역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합성 섬유를 사용하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는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깁스 붕대 및 현재 이용 가능하거나 사용중인 합성 깁스 붕대와 비교할 경우 일반적으로 부드러우며 망의 홀 밀도가 더 높다. 깁스 붕대가 부드러우며 홀 수가 많기 때문에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강도가 더 강할 뿐만 아니라 가시적인 표면 도안이 형성된 깁스 붕대에 보다 적합한데 왜냐하면 가시적인 표면 도안은 종래의 깁스 붕대보다 선명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는 주로 직물 등급의 낮은 탄성계수(low modulus)를 가진 연속사를 포함하는 성긴 망상(mesh) 붕대(14), 및 상기 붕대(14)에 도포된 경화성 액상 수지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로서, 상기 붕대(14)는 상기 붕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웨일(36)에 의해 정의되는 편물 붕대이고, 상기 웨일(36)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붕대(14)가 상기 수지로 도포되기 전에 40% 내지 85%의 길이방향 신장율을 가지기에 충분한 양의 탄성고분자 필라멘트사(38)를 포함하며, 또, 상기 붕대(14)는 상기 복수의 웨일(36)에 대해 폭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코오스(course: 34)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코오스는 주로 직물 등급의 연속사를 포함하며, 상기 붕대의 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상기 웨일(36)의 적어도 50%는 상기 탄성사를 포함하고, 이완 상태(relaxed state)에서 상기 붕대(14)에는 인치당 적어도 15개의 코오스가 존재하며, 상기 웨일(36)은 이완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최소 325개 이상의 구멍이 존재하는 망의 크기를 가지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주로 직물 등급의 연속 필라멘트사를 복수의 웨일(36) 및 상기 복수의 웨일(36)에 대해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복수의 코오스(34)로 편성하여 주로 직물 등급의 낮은 탄성계수를 가진 연속사를 포함하는 섬유상 붕대(14)를 형성하는 제 1 편성 단계; 40% 내지 85%의 범위의 길이방향 신장율의 편물 붕대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상기 웨일(36)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고분자의 필라멘트사(38)를 편성하는 제2 편성 단계; 상기 섬유상 붕대(14)를 경화시킬 수 있는 경화성 액상 수지에 상기 붕대(14)를 함침시켜 경화된 정형외과용 가소성 지지체(1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상 붕대(14)를 밀폐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편성 단계는 상기 코오스(34)가 이완 상태에서 인치당 적어도 15개 존재하고, 상기 웨일(36)이 이완상태에서 평방인치당 약 325개의 구멍의 망상 편물 붕대(14)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도록 주로 직물 등급의 낮은 탄성계수를 가진 연속사를 편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붕대의 폭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상기 웨일(36)의 적어도 약 50%가 탄성의 신축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는 형태를 만들어서 경화되어 깁스가 되도록 하는 경화 가능한 액상 수지, 바람직하게는 물에 의하여 활성화가 가능한 수지으로 코팅된 망를 가진 섬유상 붕대를 포함한다. 섬유상 붕대는 주요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이 벌크 처리되지 않은, 연속 폴리머 필라멘트 또는 탄성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편물 붕대이다. 복수개의 연속 필라멘트 웨일(wales)은 섬유상 붕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웨일의 최소한 한 부분은 탄성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연속적인 필라멘트 코오스(course)는 복수개의 웨일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완 상태에서 측정할 경우 붕대의 길이 인치당 최소한 15개의 코오스가 존재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붕대의 인치당 약 17 내지 22개의 코오스가 존재한다. 웨일은 평방 인치당 약 275개의 망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섬유상 붕대에 존재한다. 깁스 붕대는 최소한 약 5%의 신장율(extensibility),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5% 이상의 신장율을 가지는데, 이러한 신장율은 웨일 근처의 탄성 필라멘트가 편성 공정에서 장력이 주어질 경우 웨일에 도입된다. 편성 공정 이후에 탄성 필라멘트 역시 단을 서로 밀접하게 끌어당겨서 망의 개수(mesh count) 및 깁스 붕대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연속 필라멘트 코오스 및 웨일은 전체 데니어(denier)가 약 150데니어 또는 그 이상인 연속 다중 필라멘트 폴리에스터 직물사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는 낮은 탄성계수의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유리 섬유를 사용한 정형외과용 깁스와 동일하거나 보다 우수한 파단 강도(crush strength)를 가지는 깁스 붕대를 제공하며, 이와 같은 것은 그 전례를 찾아볼 수 없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깁스의 두께/중량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도 않으며,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도 있고, 투과성이 우수하며, 작업성이 용이하고, 유리 섬유를 사용한 깁스 붕대와 경화 특성이 동일하거나 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는 망의 구조가 미세한 밀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환자에게 적용한 후 2-5분이 경과하면 경화가 진행되므로 경화가 신속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통상적으로 우수한 강도인 85 파운드의 강도를 가지는 유리 섬유 깁스보다 우수한 24시간 파단 강도를 가지며, 폭이 3인치인 붕대로 이루어진 5층의 경화 깁스를 용이하게 제공하며, 깁스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며, 편안함, 통기성, 적용의 용이성 등과 같은 기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강도가 낮은 깁스 붕대는 상태가 심하지 않은 환자에게 적용할 경우에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의 깁스 붕대로부터 형성된 5층으로 이루어진 경화된 깁스는 일반적으로 깁스 붕대의 인치당 20파운드 이상의 24시간 파단 강도를 가지며, 약 22-23파운드 이상의 파단 강도를 가지는 것이 더욱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1인치당 약 25파운드의 24시간 파단 강도를 가지는 5층으로 이루어진 깁스를 제공하며, 심지어는 파단 강도가 50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현재 사용되는 우수한 품질의 유리 섬유 깁스 붕대의 두배 이상의 강도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캐스팅 물질에 있어서의 강도가 향상되는 메카니즘은 정확하게 알수 없고, 어떤 특별한 이론에 얽매이는 것도 피해야 하겠지만 코오스 및 웨일의 배치 그리고 망의 개수의 증가, 패브릭의 두께가 상호 작용하여 깁스 붕대에 흡수되는 수지 및 붕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속적인 필라멘트 섬유로부터 향상된 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웨일에 존재하는 탄성 필라멘트는 붕대를 길이 방향으로 수축시켜서 붕대를 "Z" 방향으로 두껍게 하여 경화된 가소성 깁스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붕대에 있어서의 부드러움의 증가, 최종 편성 깁스 붕대에 있어서의 실-실의 거리의 감소 및 두꺼워진 패브릭의 삼차원적인 구조는 수지으로 하여금 최종 깁스에 있어서의 실-실 및 층-층간의 결합 강도를 강하게 하는 것으로 믿어지며 이것은 코오스 및 웨일을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필라멘트사에서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지 강도를 보다 불충분하게 사용하는 것과는 반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여러 가지 상이한 연속적인 필라멘트 합성 섬유가 본 발명의 깁스 붕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의 붕대는 모노 또는 다중 필라멘트 탄성 연속사(elastomeric yarn)와 조합한 전체적으로 직물로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성사로서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또는 고무상의 탄성체를 가지는 감기거나 또는 감기지 않은 실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고무 또는 고무상의 탄성고분자(elastomer)로서는 동적 가황되고(dynamically vulcanized), 블렌드된 폴리프로필렌 및 EDPM,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서는 Santoprene®, 실리콘 탄성체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등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고분자 등이 있다. 이러한 탄성사는 최소한 약 1/4의 웨일,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1/3의 웨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브릭의 횡방향으로 상당히 균일하게, 즉 4개의 웨일마다, 3개의 웨일마다, 2개의 웨일마다 또는 각각의 웨일마다 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깁스의 강도 및 부드러움을 향상시키는 것 외에도, 탄성사는 깁스 붕대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고, 적용 가능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킨다. 게다가, 패브릭의 밀착성 또는 광학적 밀도는 가시적인 표면 도안을 형성하거나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점으로서, 탄성 필라멘트 물질은 액상 수지에 상당히 안정하며, 이는 깁스 붕대가 액상 수지로 경화되기 이전에 바람직한 신장율을 가지게하며,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액상 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polyurethane prepolymer)가 바람직하다. 깁스 붕대는 밀봉되고, 물이 차단된 용기에 보관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세한 설명
하기한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재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하였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하기 위하여 특별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지만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이들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 및 하기의 기재를 고려함으로써 본 발명의 많은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할 경우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가 제조 가능하다. 도면에 있어서는 도면 부호는 유사한 요소 전체를 대표한다.
제1도에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용 깁스(10)를 도시하였다. 깁스(10)는 가시적으로 표면 도안이 형성된 영역(12)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형성할 수도 있고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 표면 도안이 형성되어 있으면 환자들로 하여금 정신적인 안정을 줄 수 있다. 가시적인 표면 도안이 형성된 영역(12)은 섬유상 붕대(14) 위에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가시적으로 분산시켜서 형성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반적으로 제1도의 깁스는 복수개의 층(20, 22, 24, 26 및 28)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록 제2도에는 5개의 깁스 층이 도시되어 있지만, 일반적인 정형외과용 깁스에 있어서 층의 수는 여러 가지 조건 및 강도 등을 고려하여 5개 이상 또는 그 이하도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5개의 층을 가지는 깁스는 통기성 및 중량을 고려해 볼 경우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각 층(20-28)을 직접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것은 경화된 폴리머 매트릭스 물질(30)이다. 섬유상 층(20-28)은 다공성이므로 제2도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최종적인 깁스(10)는 다공성이며, 공기 유통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전체 경화된 깁스(10)의 경화된 폴리머 매트릭스(30)에는 수많은 구멍이 존재한다.
제3도,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긴 망상의 섬유상 깁스 붕대(14)는 복수의 코오스(34) 및 웨일(36)로 정의되는 편성 패브릭 구조를 포함한다. 웨일(36)은 깁스 붕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코오스(34)는 일반적으로 웨일(36)의 횡방향에 형성된다. 즉, 코오스(34)는 깁스 붕대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코오스(34) 및 웨일(36)은 습기에 대한 친화성이 낮으며, 폴리에스터계(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올레핀계(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로 형성된 실을 가지는 합성 다중 필라멘트 연속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오스(34) 및 웨일(36)은 나일론 6 및 나이론 6,6과 같은 폴리아미드계, 아크릴릭계, 아세테이트계 등과 같은 습기에 대한 친화성이 매우 높은 합성 다중 필라멘트 연속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에 흡수되는 습기는 물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폴리머가 사용될 경우 폴리머 코팅 공정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포장 제품의 보존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연속사는 코오스(34) 및 웨일(36)을 형성하기에 적당하다.
코오스(34) 및 웨일(36)을 형성하기 위하여 직물 및 산업용 연속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직물용 고유 점도 및 강도, 즉 1데니어당 약 8그램 이하, 바람직하게는 7그램 이하의 강도를 가지는 연속사는 최종 깁스 붕대의 편안함 및 부드러움을 증가시킨다. 놀랍게도, 전체적으로 150데니어 이하의 직물용 연속사는 코오스 및 웨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붕대 폭 1 인치당 약 15파운드 이상의 파단 강도, 바람직하게는 약 20파운드 이상의 파단 강도(즉, 붕대 폭 3인치 당 60파운드의 파단 강도)를 가지는 최종적으로 5개의 층을 가지는 경화된 깁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본 명세서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된 용어 "파단 강도(crush strength)"는 표준 압축 시험 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파단 강도를 의미한다. 이 장치는 실린더형 시편의 원주형 표면에 대향하여 주어지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압축 부하(compression load)를 측정하는 장치로써, 시편의 길이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부하가 가해지며, 1cm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부하를 파운드 단위로 측정한다. 사용되는 시편은 24시간 동안 경화시킨 것이며, 시편의 내경은 2.75인치이고, 실린더 길이는 약 3인치이다.
연속적인 다중 필라멘트사는 플렛 얀(flat yarn)으로서 직조 공정 또는 부피가 상당히 증가되더라도 기타의 공정으로부터 상당히 자유롭다. 에어 젯(air jet) "태킹(tacking)" 및/또는 단순히 실의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입되는 소량의 꼬임(twist)이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이지만 실은 상당한 량의 꼬임에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코오스(34) 및 웨일(36)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실의 전체 데니어는 약 500데니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본 발명의 최종적인 깁스 붕대의 부드러움 및 단일성(uniformity)을 강화하기 위해서이다.
웨일(36)의 일부 및 모든 웨일은 탄성을 가지며 확장 가능한 실을 포함한다. 탄성사는 탄성 물질 즉, 인장력 및 회복력을 가지는 물질로부터 형성된 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을 가지며 확장 가능한 실은 산처리된 천연 고무 또는 합성 열가소성 탄성고분자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고분자는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 이소프렌 또는 KRATONTM 탄성고분자와 같은 포화되거나 포화되지 않은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블럭과 함께 사용된 스티렌의 디- 및 트리-블럭 코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 및 디엔의 코폴리머; 폴리클로로프렌; 폴리클로로프렌 및 기타 모노머의 코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터폴리머 탄성고분자를 포함하는 에틸렌-프로필렌 열가소성 탄성고분자 및 에틸렌 및 부텐, 헥센, 옥텐, 데센 또는 4-메틸펜텐의 블럭 코폴리머; ExactTM 수지와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지; HytrelTM 수지와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폴리에스터-폴리에테르 탄성고분자;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및 PellathaneTM과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에 근거한 탄성고분자; 분자량이 큰 선상 디비닐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이들 폴리머에 가교 결합된 실리콘 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실리콘 탄성고분자; PebaxTM과 같은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탄성고분자; 등이다. 올레핀 고무 및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130,53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열가소성 올레핀의 동적 가황 블렌드로부터 형성되거나,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Santoprene®과 같은 EDPM 고무의 동적 가황 블렌드로 형성되는 실은 이들이 물에 의하여 활성화 가능한 수지로 밝혀짐으로써 현재로서 바람직한 실이다. 왜냐하면 물에 의한 활성화가 가능함으로써 약 70%의 회복 가능한 연신성을 유지하면서 2 내지 3년간의 보존 기간을 가지는 깁스 붕대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탄성사(38)는 최소한 약 1/4의 웨일,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1/3의 웨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브릭의 횡방향으로 상당히 균일하게, 즉 4개의 웨일마다, 3개의 웨일마다, 2개의 웨일마다 또는 각각의 웨일마다 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탄성사(38)는 최소한 약 1/2의 웨일을 포함하며, 패브릭의 폭의 방향으로 상당히 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깁스 붕대 패브릭(14)은 바람직하게 대향하는 양 모서리에 식서 가장자리(selvage edge: 제1도의 40 및 42)를 포함하는 성긴 망을 가진 편물이다. 성긴 망사 섬유상 붕대(14)는 패브릭의 전체 구조에 망의 구멍(46)을 포함하며, 이것은 경화가 가능한 액상 폴리머를 패브릭에 완전히 침투 가능하게 하며, 경화된 깁스에 다공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14)에 있어서 망의 구멍(46)의 양은 매우 많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에 있어서의 망의 구멍(46)의 개수는 평방 인치당 약 275개를 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망의 구멍의 개수는 깁스 붕대의 일정 길이당 단의 개수와 깁스 붕대의 일정 폭당 웨일의 개수를 곱하여 단위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다. 여기에서 깁스 붕대의 길이 및 폭은 수지를 사용하여 붕대를 코팅하기 전에 붕대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에 있어서 망의 구멍(46)의 개수는 평방 인치당 약 300개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방 인치당 약 325 내지 약 350을 초과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깁스 붕대는 최소한 약 5%의 신장율,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5% 이상의 신장율을 가지는데, 이러한 신장율은 탄성 필라멘트가 편성 공정에서 장력이 주어질 경우 웨일에 도입된다. 편성 공정 이후에 탄성 필라멘트 역시 코오스를 서로 밀접하게 끌어 당겨서 망의 개수(mesh count) 및 깁스 붕대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연속적인 필라멘트 코오스 및 웨일은 전체 데니어(denier)가 약 150 데니어 또는 그 이상인 연속적인 다중 필라멘트 폴리에스터 직물사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14)는 다양하고 수많은 편성기에 의하여 편성될 수 있다. 그러나, 러셀 워프 편성기(Raschel Warp Knitting)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 및 제4도에 본 발명의 깁스 붕대(14)에 사용된 바람직한 경 편성(warp knit)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편성기는 실의 데니어 및 인치당의 단의 수에 따라서 인치당 니들(niddle)의 수가 약 10-12를 초과해야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4 내지 약 28을 초과해야 한다(예를 들면 인치당 18개의 니들). 실제적으로 편물은 일부 또는 모든 웨일에 탄성사를 포함하기 때문에 패브릭의 길이 방향(머신 방향) 및 폭 방향(크로스-머신 방향)으로 상당히 수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지막 단계에서, 깁스 붕대는 약 2인치(5센티미터) 내지 약 5인치(약 13센티미터)의 폭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러나 편성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편성 붕대는 통상 보다 큰 폭과 긴 길이를 지닌다.
이완된 상태에서 측정하였을 때, 단일하며 밀접한 간격으로 위치한 연속적인 필라멘트 코오스가 붕대의 길이 인치당 최소한 약 15개의 코오스를 제공된 상태에서 편성 공정이 진행된다. 섬유상 붕대에 붕대의 길이 인치당 최소한 약 16개의 코오스가 존재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붕대의 길이 인치당 약 17 내지 22단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오스의 개수에 근거하여 섬유상 붕대에 제공되는 웨일의 수는 평방 인치당 최소한 약 275개의 오프닝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양으로 제공된다. 코오스 및 웨일의 개수는 실의 데니어 및 강도, 패브릭의 중량, 부드러움, 강도 및 최종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에서의 망의 구멍의 개수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본 발명의 깁스 붕대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경 편성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제3도는 제4도의 패브릭 구조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한 3개의 바아를 가지는 Rachel Warp 편성기 상의 3개의 바아를 가진 편물을 나타낸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1은 복수개의 웨일(36)을 형성하기 위한 단순한 체인 스티치로서, 2 0 0 2형태의 스티치 표면 도안을 사용한다. 바아 2는 제4도의 코오스 얀을 제공하기 위한 래핑 이동을 형성하며, 0 0 6 6형태의 편성 표면 도안을 사용한다. 각각의 바아 1 및 바아 2는 하나의 말단부(얀)에 하나의 니들만을 사용한다. 바아 3은 제4도의 코오스(36)를 제공하기 위한 래핑 이동을 형성하며, 2 2 0 0형태의 편성 표면 도안을 사용한다. 바아 3의 이동 결과, 3개의 웨일(36)로 이루어진 1조 마다 2개의 웨일이 탄성사(38)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또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사(38)는 모든 웨일(36)에 포함되거나 또는 66% 이하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깁스 붕대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 및 편성의 배치는 당해 분야의 전문가라면 폭넓게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예를 들어, 바아 2의 래핑 운동은 제3도에 도시된 것보다 크거나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바아 3에 의한 탄성사의 래핑 운동의 폭 및 표면 도안은 변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2 2 4 4 2 2 0 0형태의 편성 표면 도안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바아 3은 실에서 4개의 니들마다 2개의 인접한 니들로서 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14)는 최소한 약 5%의 신장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15%,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20%의 신장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율은 깁스 붕대의 폭 1인치당 1.5파운드의 중량을 가지는 코팅되지 않은 깁스 붕대 시편, 즉 편성 패브릭을 적용함으로써 측정된다. 이 시편은 신도(elongation)가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에 10인치의 길이를 가진다. 신장율은 최초의 붕대 길이에 대한 증가한 붕대의 길이를 퍼센트로 나타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신장율이란 용어는 가해지는 중량이 제거되면 빠른 시간 내에 신도가 안정되면서 최소한 약 60%,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70% 회복 가능한 신도를 의미한다. 붕대의 신장율은 약 100%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높은 신장율은 붕대를 불규칙적이고, 주름이 생기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붕대는 유리 섬유의 강직성(stiffness)을 가지지 않는 연속적인 필라멘트 구조이므로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주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코팅하기 전의 붕대는 약 40% 내지 약 85%의 신장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60% 내지 약 70%의 신장율을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uese 등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668,56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정형외과용 캐스팅 붕대의 힘(수축력) 역시 중요한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이러한 힘은 붕대가 환자에게 적용된 후 환자를 압박하지 않을 정도로 낮아야 하며, 패브릭의 인장력 30%를 고려했을 경우 폭 인치당 175그램 이하의 범위로 유지되어야 한다.
패브릭의 신장율은 니팅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탄성 필라멘트에 걸리는 장력뿐만 아니라 실의 형태, 탄성 필라멘트의 개수, 필라멘트의 데니어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탄성사는 편성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일정한 장력이 주어진 상태로 유지되는데, 편성 공정이 완료된 후 장력이 제거되면 탄성사는 수축되므로, 패브릭을 수축시키거나, 길이를 따라 압박하고, "Z" 방향으로 두꺼워짐을 야기한다. 따라서, 깁스 붕대(14)는 두껍고, 상대적으로 균일한 3차원적인 메트릭스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망의 구멍의 개수(단위 면적 기준) 및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붕대의 길이 및 폭을 따라서 상당히 균일하고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사가 패브릭의 폭을 가로질러서 상당히 균일하게 분배되면 패브릭의 부드러움을 강화하며, 패브릭이 불균일하게 뭉쳐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드시 피해져야만 한다. 웨일에 사용되는 실의 데니어를 동일한 것으로 선택하고, 탄성사에 가해지는 장력을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균일성을 강화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실도 서로 동일한 데니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웨일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실과 동일하거나 약 150데니어 이하의 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최종적인 정형외과용 제품에 있어서, 패브릭의 균일하고 3차원적인 구조는 패브릭의 길이 방향을 포함한 모든 수직적인 방향, 패브릭을 가로지르는 방향 또는 패브릭 평면상의 "Z" 방향으로 연장된 연속적인 필라멘트의 균일하게 분배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합성 필라멘트 정형외과용 캐스팅 패브릭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유리 섬유를 사용한 패브릭의 두께와 유사하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 섬유를 사용한 깁스 붕대 패브릭이 벌크 가공되거나 스테이플 실에 의존하여 두께를 증가시킨 반면에, 본 발명의 합성 섬유를 사용한 정형외과용 깁스 패브릭의 두께는 코오스 및 웨일을 밀착하여 배치하고, 웨일을 강화하기 위하여 위 및 아래쪽으로 교대로 패브릭의 길이를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된 파상의 탄성사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이다.
제5도 및 제6도에는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붕대가 보다 부드럽고 큰 밀도를 가지는 사실을 실감할 수 있도록 향상된 가시적 표면 도안이 도시되어 있다. 제 5도와 같이 가시적인 표면 도안이 형성된 종래의 깁스 붕대는 최소한의 두께 및 각각의 망의 구멍이 큰 전형적인 종래의 합성 섬유를 사용한 깁스 붕대이다. 표면 도안이 유사한 경우에 있어서, 광학적 밀도 및 모서리의 명료성(edge definition)은 보다 부드럽고 밀도가 큰 본 발명의 깁스 붕대에 적용되면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 경화되지 않거나 경화 가능한 캐스팅 수지 및 경화된 수지의 존재 하에서 안정되는 다양한 가시적인 표면 도안은 본 발명의 깁스 붕대에 있어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염료 인쇄(dye printing), 잉크 인쇄(ink printing) 및 Freeman 등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 5,088,48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방법 등을 통하여 가능하다. 종래의 옵셋 인쇄(offset) 공정은 본 발명의 깁스 붕대에 가시적인 표면 도안을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방법이다. 경화 가능한 수지 및 안료(pigment)의 다양한 혼합물에 근거한 종래의 여러 가지 잉크는 수지로 코팅하기 전에 패브릭 붕대의 표면 도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잉크는 예를 들면 아마인 오일(linseed oil)과 같은 식물성 오일과 같은 공기로 경화 가능한 수지에만 근거한 잉크 또는 페놀계 수지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잉크, 자외선으로 경화가 가능한 여러 가지 수지 및 열에 의한 경화가 가능한 수지에 근거한 잉크 등을 포함한다.
깁스 붕대의 구조를 완성한 후, 붕대는 경화된 가소성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 가능한 액상 수지를 사용하여 코팅된다. 경화 가능한 액상 수지는 물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인데, 이것은 건조 대기 중에서 리버스 롤 코팅(reverse roll coating) 방법 또는 깁스 붕대를 형성하기 위한 기타의 코팅 방법에 의하여 패브릭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프리폴리머의 중량은 평방 미터당 약 60 내지 400그램,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300그램이며, 이 양은 코팅되지 않은 전체 붕대 및 수지의 전체 중량의 약 30 내지 70%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에 의한 경화가 가능한 바람직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Yoon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433,680호에 기재되어 있다. 프리폴리머가 패브릭에 적용된 직후, 대기중의 수분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기와 접촉하지 않는 조건에서, 밀폐 가능하며, 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는 용기에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로부터 형성되는 깁스는 종래의 합성 섬유를 사용한 동일한 중량의 깁스 붕대와 비교할 경우 일반적으로 파단 강도 및 충격 저항(impact resistance)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완전하게 이해된 것은 아닌데, 여러 가지 다른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망의 크기가 강한 캐스팅 물질을 제공할 수 있는 종래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더라도 아주 강하고 경화 가능한 구조의 깁스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Garwood 등의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502,479호는 최종 깁스에 높은 공기 투과율 및 향상된 강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높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섬유로서 제조되며, 평방 인치당 20 내지 200개의 오프닝을 가지는 깁스 붕대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평방 인치당 275개 이상의 오프닝을 포함하는 망의 크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깁스는 종래의 믿음과는 달리 강도(파단 강도 및 충격 강도)가 높으며, 공기 투과성이 우수한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붕대는 평방 인치당 275개 이상의 오프닝, 심지어 350개 이상의 오프닝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는 5개의 층을 가지는 깁스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깁스는 (i) 24시간 동안 경화시키고, 5개의 층의 가지며, 내경이 2.75인치이며, 약 3인치의 실린더 길이를 가지는 시편을 1cm 변형시키는데 요구되는 파운드 부하로서 나타내어지는 파단 강도; 및 (ⅱ) 24 시간 동안 경화된 동일한 시편의 그램 중량으로 표현되는 바람직한 중량에 대한 강도의 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는 5개의 층을 가지며, 중량에 대한 강도의 비는 최소한 약 1.25 대 1,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1.4 대 1,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대 1 또는 그 이상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중량에 대한 강도의 비를 약 2 대 1 또는 그 이상 심지어는 2.5 대 1 이상으로 달성하는 것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는 낮은 탄성계수의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유리 섬유를 사용한 정형외과용 깁스와 동일하거나 보다 우수한 파단 강도(crush strength)를 가지는 깁스 붕대를 제공하며, 이와 같은 것은 그 전례를 찾아볼 수 없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깁스의 두께/중량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도 않으며,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도 있고, 투과성이 우수하며, 작업성이 용이하고, 유리 섬유를 사용한 깁스 붕대와 경화 특성이 동일하거나 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망의 구조가 미세한 밀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신속하게 경화되는 깁스를 용이하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로부터 형성된 5개의 층을 가지는 경화된 깁스는 깁스 붕대 폭 인치당 약 15파운드 이상의 24시간 파단 강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약 20파운드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2-23파운드 이상의 파단 강도를 가진다. 그러나 매우 바람직한 5개의 층을 가지는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깁스 붕대의 폭 인치당 약 25파운드 이상의 24시간 파단 강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깁스의 1시간 파단 강도는 24시간 파단 강도의 약 85-90%이다.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폭이 3인치인 붕대로 이루어진 5층의 경화 깁스를 용이하게 제공하며, 약 85파운드 이상의 24시간 파단 강도를 가지는데, 이것은 현재 상업적으로 널리 유통되는 우수한 유리 섬유 깁스 붕대로 제조된 깁스의 강도와 동일하거나 더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는 유리 패브릭 깁스 붕대와 비교할 경우 더 우수한 충격 강도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충격 강도는 반복적인 충격을 받는 보행용 깁스(walking cast)에 있어서는 파단 강도 보다 더욱 중요한 특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로부터 제조된 깁스의 밴딩 지수(bending index)는 유리 섬유를 사용한 깁스 붕대로부터 제조된 깁스의 밴딩 지수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밴딩 지수는 경화된 깁스 물질의 평면 슬랩(slap)이 지지체의 모서리로부터 10인치 돌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돌출된 말단부에 사전에 결정된 부하가 적용될 경우의 슬랩의 변형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결정된다. 일부의 의학자들은 밴딩 지수가 우수한 깁스는 뼈를 치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미세한 기계적인 자극이 손상된 뼈와 주위의 조직에 전달되어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는 정형외과용 스프린트(splint) 및 이와 유사한 정형외과용 지지체 물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스프린트는 다중층 즉, 5-8층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연신되어 있으며, 두께운 수지 시트로서, 여기에 형태를 이루고, 경화되어서 상처난 부위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캐스팅 패브릭이 코팅되어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패브릭은 바아 1 및 바아 2에 있어서는 하기한 바와 같은 벌크 가공되지 않은 연속 다중 필라멘트 폴리에스터사를 사용하여 러셀 워프 편성기 상에서 편성된 것이다. 바아 3은 Santoprene® 또는 고무 탄성 필라멘트(시료에 존재할 경우)를 적용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모든 웨일에 탄성사를 가지는 패브릭 및 일부의 웨일에만 탄성사를 가지는 패브릭을 비교하기 위하여 패브릭의 구조를 변경하였다. 게다가, 최종 제품에서의 효과적인 실의 데니어 및 전체 패브릭 중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패브릭의 구조를 변경하였다. 하기한 각각의 패브릭에서, 바아 1은 2 0 0 2형태의 스티치 표면 도안을 사용하였고, 바아 2는 0 0 6 6형태, 바아 3은 2 2 0 0형태의 스티치 표면 도안을 사용하였다.
깁스 붕대는 약 40-60%의 코팅 중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사용하여 코팅한 패브릭 붕대로부터 형성되었다. 프리폴리머를 사용하여 코팅하기 전 및 코팅한 후의 패브릭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시편의 깁스 특성은 붕대를 물에 노출한 후 둘레에 2.75인치의 직경을 가지는 금속 다우얼(dowel)이 존재하며, 약 3인치의 폭을 가지는 시편으로 둘러쌈으로써 측정된다. 시료의 길이는 5층 또는 8층의 시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길이이다. 경화되는 시간(set time)은 손톱으로 시편을 눌러서 더 이상 시료가 움푹하게 들어가지 않을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결정한다. 최종적인 깁스 시편은 24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파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파단 강도는 Chatillon 압축 시험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시편은 1cm 변형되었고, 실린더를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부하가 결정되었다. 이것을 파단 강도로 기록하였다.
하기한 표 1에 수지로 코팅하기 전의 패브릭 붕대의 구조 및 특성을 나타내었다. 붕대에 코팅되는 수지 및 이들로부터 제조되는 깁스의 특성은 하기한 표 2에 나타내었다.
모든 경우에서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적용하기 용이하였으며, 편안함 및 통기성이 우수하였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미세한 망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을 적용한 후 3분 이내의 빠른 시간에 경화되었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편으로 제조된 5개의 층을 가지는 깁스의 파단 강도는 종래의 합성 섬유를 사용한 깁스보다 월등히 우수하였는데, 이는 유리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깁스의 파단 강도를 능가할 만큼 우수하였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깁스 붕대는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붕대의 폭 인치당 20-25파운드인 5개의 층을 가지는 정형외과용 깁스의 24시간 파단 강도와 동일하거나 이를 능가하였다. 여러 가지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깁스 붕대의 24시간 파단 강도는 붕대의 폭 인치당 28-29파운드의 파단 강도를 나타내는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5개의 층을 가지는 우수한 정형외과용 깁스를 훨씬 초과하였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구조의 장점은 후자의 경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5개의 층을 가지는 우수한 정형외과용 깁스의 파단 강도를 100% 이상 초과하였다.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복수의 웨일을 가지며,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패브릭과 비교할 경우 본 발명의 깁스는 코팅된 패브릭의 단위 중량당 매우 우수한 파단 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깁스는 K1-027-5B 시편을 제외하고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붕대 폭 인치당 20파운드를 초과하는 파단 강도를 가지는데, K1-027-5B 시편은 패브릭 단을 형성하기 위한 데니어가 큰 실과 함께 사용된 패브릭 웨일을 형성하기 위한 데니어가 작은 실을 포함한다. 그러나 8개의 층을 가지는 시편의 파단 강도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지만 개개의 망의 구멍의 크기가 상당히 큰 구조를 가지는 K2-46-2 시편의 파단 강도보다 훨씬 크다.
탄성 섬유의 효과는 K-11-309-4 시편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데, 이 시편은 탄성사를 포함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인치당 최종 단이 훨씬 작은 K11-309-4 시편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모든 시편과 동일하거나 거의 같은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8개의 층을 가지는 K11-309-4 시편의 파단 강도는 K1-027-5B 시편을 제외한 본 발명의 모든 시편의 파단 강도의 1/2 이하이다.
표 1
* 말단부 없음/덴어 ** 평방 인치당 +++ SantopreneTM
++ 95 Gauge 천연 고무 # A = 인쇄되지 않음 #B = 인쇄됨
표 2
상기한 표 2에 상세하게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실험된 시편의 중량 또한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시편 K1-027-5B의 중량에 대한 강도의 비가 약 1 대 1인 것을 제외하고는 5개의 층을 가지는 시편의 중량에 대한 강도의 비는 1.4 대 1을 초과하였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중량에 대한 강도의 비는 최소한 약 1.5 대 1이상이며, 일부의 시편에 있어서는 2 대 1을 초과하거나, 혹은 2.5 대 1을 초과하였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예 1의 K3-077-5A 및 K3-077-5B 시편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폭이 3인치인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시편으로 5개 및 8개의 층을 가지는 깁스 시편을 제조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실험을 행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파단 강도를 3인치의 폭을 가지며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유리 섬유(시편 B, C, 및 D) 및 합성 섬유(시편 E) 깁스 붕대 시편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한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 실시예 1의 K3-007-5A 및 B와 동일한 구조 및 얀
## 실시예 1의 K12-344-4와 동일한 구조 및 얀
**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상기의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깁스의 강도-중량의 비는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유리 및 합성 섬유를 사용한 깁스 붕대의 강도-중량의 비보다 우수하다. 이러한 결과를 제7도에서 그래프화하여 나타내었다. 제7도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깁스의 파단 강도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5개 및 8개의 층을 가지는 유리 및 합성 섬유 정형외과용 깁스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상세한 설명, 첨부된 도면 및 하기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조된 깁스 붕대로부터 형성된 합성 깁스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을 따라서 절단한 부분 확대 개략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깁스의 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깁스 붕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로서, 세 개의 바아(bar)를 가지는 러셀(Raschel) 편물(a three bar Raschel knit)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바아 1은 간단한 체인 스티치 웨일 (chain stitch wales)을 형성하며, 바아 2는 랩동작(lapping motion)을 실시하여 편물 중에 실(varn)을 배치하여 코오스를 형성하며, 바아 3은 섬유의 횡방향으로 3열의 1조 중에 2째와 3째 열마다 탄성 필라멘트를 배치하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편물에 의해 형성된 편물 구조의 일부의 확대 투시도로서, 섬유의 구조를 나타내기 쉽도록 웨일과 탄성 필라멘트를 잡아당겨 늘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종래의 가시적인 표면 도안이 형성된 깁스 붕대의 평면도로서 인쇄된 표면 도안이 표면에 나타난 경우의 표면 도안의 광학밀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가시적인 표면 도안이 형성된 깁스 붕대의 평면도로서 인쇄된 표면 도안이 표면에 나타난 경우의 광학밀도 및 명료도가 개선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나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시판의 유리섬유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및 시판의 합성 섬유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에 있어서, 깁스 붕대를 형성하는 층의 개수에 대한 파운드 단위의 정형외과용 깁스 파단강도를 비교한 그래프.

Claims (15)

  1. 주로 직물 등급의 낮은 탄성계수(low modulus)를 가진 연속사를 포함하는 성긴 망상(mesh) 붕대(14), 및
    상기 붕대(14)에 도포된 경화성 액상 수지
    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로서,
    상기 붕대(14)는 상기 붕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웨일(36)에 의해 정의되는 편물 붕대이고, 상기 웨일(36)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붕대(14)가 상기 수지로 도포되기 전에 40% 내지 85%의 길이방향 신장율을 가지기에 충분한 양의 탄성고분자 필라멘트사(38)를 포함하며,
    또, 상기 붕대(14)는 상기 복수의 웨일(36)에 대해 폭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코오스(course: 34)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코오스는 주로 직물 등급의 연속사를 포함하며,
    상기 붕대의 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상기 웨일(36)의 적어도 50%는 상기 탄성사를 포함하고,
    이완 상태(relaxed state)에서 상기 붕대(14)에는 인치당 적어도 15개의 코오스가 존재하며,
    상기 웨일(36)은 이완 상태에서 평방 인치당 최소 325개 이상의 구멍이 존재하는 망의 크기를 가지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붕대(14)가 24시간 경화한 경우 상기 붕대의 폭 인치당 최소한 약 20파운드의 5층 파단 강도를 가지는 경화된 가소성 깁스(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경화시킬 수 있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붕대(14)가 24시간 경화한 경우 상기 붕대의 폭 인치당 최소한 약 15파운드의 5층 파단 강도를 가지는 경화된 가소성 깁스(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경화시킬 수 있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편물 붕대(14)를 형성하는 상기 직물 등급의 연속사는 폴리에스터,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아크릴산 및 아세테이트를 형성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동일 또는 상이한 물질인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편물 붕대(14)는 평방 인치당 최소 약 350개 이상의 구멍이 존재하는 망의 크기를 가지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의 필라멘트 물질(38)은 상기한 액상 수지에 대하여 실질적인 불활성을 가지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 필라멘트 물질(38)은 올레핀 고무 및 열가소성 올레핀 수지의 동적 가황 블렌드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편물 붕대(14)는 러셀(Raschel) 편물이고 상기한 탄성고분자 필라멘트사(38)는 상기 편물의 체인 스티치에 포함된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직물 등급의 연속사는 최소한 약 150의 평균 데니어를 가지는 다중 필라멘트사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액상 수지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편물 붕대(14)를 형성하는 상기 직물 등급의 연속 필라멘트사는 데니어당 약 7그램 이하의 강도(tenacity)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붕대는,
    (i) 내경이 2.75인치이고, 길이가 약 3인치이며 24시간 동안 경화된 5개 층의 실린더형 시편을 1cm 변형시키는 데 필요한 파운드 부하로 나타낸 파단 강도(crush strength)의 (ii) 상기와 동일한 24 시간 동안 경화처리된 시편의 그램 중량에 대한 비가 적어도 1.25 : 1인 경화된 가소성 5층 깁스 붕대를 형성할 수 있는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
  13. 제1항 또는 제2항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로 이루어진 정형외과용 깁스.
  14. 제1항 또는 제2항의 정형외과용 깁스 붕대로 이루어진 정형외과용 부목(splint).
  15. 주로 직물 등급의 연속 필라멘트사를 복수의 웨일(36) 및 상기 복수의 웨일(36)에 대해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복수의 코오스(34)로 편성하여 주로 직물 등급의 낮은 탄성계수를 가진 연속사를 포함하는 섬유상 붕대(14)를 형성하는 제 1 편성 단계,
    40% 내지 85%의 범위의 길이방향 신장율의 편물 붕대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상기 웨일(36)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고분자의 필라멘트사(38)를 편성하는 제2 편성 단계,
    상기 섬유상 붕대(14)를 경화시킬 수 있는 경화성 액상 수지에 상기 붕대(14)를 함침시켜 경화된 정형외과용 가소성 지지체(1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상 붕대(14)를 밀폐용기에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편성 단계는 상기 코오스(34)가 이완 상태에서 인치당 적어도 15개 존재하고, 상기 웨일(36)이 이완 상태에서 평방인치당 약 325개의 구멍의 망상 편물 붕대(14)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도록 주로 직물 등급의 낮은 탄성계수를 가진 연속사를 편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붕대의 폭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상기 웨일(36)의 적어도 약 50%가 탄성의 신축사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지지체의 제조방법.
KR1019960020266A 1995-06-07 1996-06-07 정형외과용깁스붕대 KR100348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81912 1995-06-07
US08/481.912 1995-06-07
US08/481,912 US5725487A (en) 1995-06-07 1995-06-07 Orthopedic casting t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201A KR970000201A (ko) 1997-01-21
KR100348590B1 true KR100348590B1 (ko) 2005-04-06

Family

ID=2391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266A KR100348590B1 (ko) 1995-06-07 1996-06-07 정형외과용깁스붕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25487A (ko)
EP (1) EP0747028B1 (ko)
JP (1) JPH0999003A (ko)
KR (1) KR100348590B1 (ko)
AU (1) AU695330B2 (ko)
CA (1) CA2176609C (ko)
DE (1) DE69623393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680B1 (ko) 2015-02-10 2018-08-08 윤성호 정형외과용 부목
KR20210063729A (ko) * 2019-11-25 2021-06-02 윤상진 3차원 수직 구조를 갖는 환부 지지용 부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032A (en) * 1997-05-20 1999-04-13 Green; Richar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rinted orthopedic casting tape
US6478229B1 (en) * 2000-03-14 2002-11-12 Harvey Epstein Packaging tape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WO2002053073A1 (de) * 2001-01-07 2002-07-11 Erik Berndt Wundauflage, handschuh und verfahren zum erstellen einer wundauflage
US8142382B2 (en) * 2001-08-27 2012-03-27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Vibration dampen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30184102A1 (en) * 2002-03-28 2003-10-02 Feeney Robert D. Material for protecting a surface and an associated method of protecting a surface
US6881486B2 (en) * 2002-06-24 2005-04-19 Troy Polymers, Inc. Water curable casting tape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US11690746B2 (en) 2004-04-02 2023-07-04 Applied Biokinetics Llc Pre-cut adhesive supports for anatomical support, pain reduction, or therapeutic treatment
US8163029B2 (en) * 2004-06-30 2012-04-24 Depuy Products, Inc. Extended radius prosthesis and associated method
JP2008522682A (ja) * 2004-12-13 2008-07-03 ローマン ウント ラウシェ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支持包帯を製造するための材料
WO2011112794A1 (en) * 2010-03-10 2011-09-15 Bsn Medical, Inc. Water resistant medical bandaging product
WO2013001083A1 (en) * 2011-06-30 2013-01-03 Tomtec Nv Thermoplastic sheet material provided with a support layer and use thereof
DE202013006459U1 (de) * 2013-07-18 2014-07-21 Otto Weber Band-GmbH Elastisches Bandmaterial
US11266761B2 (en) 2016-12-05 2022-03-08 Cast21, Inc. System for forming a rigid support
RU2674497C1 (ru) * 2018-02-22 2018-12-11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Резвов Бинт эластичный компрессионный перфорированный
EP3663450A4 (en) * 2017-07-31 2021-04-07 Rezvov, Andrei Vladimirovich CHAIN-KNITTED ELASTIC PERFORATED FABRIC AND ELASTIC PERFORATED COMPRESSION BAND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6285A2 (en) * 1988-01-23 1989-08-02 Smith & Nephew P.L.C. Bandag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535A (en) * 1975-07-21 1978-12-19 Monsanto Company Thermoplastic vulcanizates of olefin rubber and polyolefin resin
DE2651089C3 (de) * 1976-11-09 1980-06-12 Bayer Ag, 5090 Leverkusen Selbsthältendes Material für Stutzverbände
US4411262A (en) * 1978-04-21 1983-10-25 Bayer Aktiengesellschaft Constructional material
US4502479A (en) * 1979-09-04 1985-03-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ater-activated casting material
DE3211634A1 (de) * 1982-03-30 1983-10-13 Bayer Ag, 5090 Leverkusen Feuchtigkeitshaertende polyurethanstuetzverbaende
US4668563A (en) * 1986-06-12 1987-05-26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Conformable fiberglass casting tape
GB8708721D0 (en) * 1987-04-11 1987-05-20 Smith & Nephew Ass Bandages
DE3726268A1 (de) * 1987-06-24 1989-01-05 Bayer Ag Textiles flaechengebilde mit reaktivharz
JP2606803B2 (ja) * 1988-09-07 1997-05-07 アルケア株式会社 整形外科用キヤステイングテープ
CA1334640C (en) * 1988-09-09 1995-03-07 Smith And Nephew Plc Conformable bandage
US5272246A (en) * 1990-08-28 1993-12-21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Polyester copolymer fiber having enhanced strength and dyeability properties
US5088484A (en) * 1990-10-05 1992-02-18 Carolina Narrow Fabric Company Orthopedic casting bandage
JP3269830B2 (ja) * 1991-07-08 2002-04-02 アルケア株式会社 整形外科用硬化性樹脂組成物保持用基材
GB9303200D0 (en) * 1993-02-17 1993-03-31 Smith & Nephew Orthopaedic casting bandage
US5931798A (en) * 1993-05-07 1999-08-03 Carolina Narrow Fabric Company Orthopedic casting tape having alternating thick and thin portions
US5445599A (en) * 1993-07-28 1995-08-29 Carapace, Inc. Warp-knit casting bandage fabric, warp-knit casting bandage and method for making bandage
US5505692A (en) * 1994-06-27 1996-04-09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Conformable polyurethane casting tape
US5522241A (en) * 1995-05-31 1996-06-04 Medical Textiles, Inc. Ventilated elastic textile b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6285A2 (en) * 1988-01-23 1989-08-02 Smith & Nephew P.L.C. Bandag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680B1 (ko) 2015-02-10 2018-08-08 윤성호 정형외과용 부목
KR20210063729A (ko) * 2019-11-25 2021-06-02 윤상진 3차원 수직 구조를 갖는 환부 지지용 부목
KR102322267B1 (ko) 2019-11-25 2021-11-04 윤상진 3차원 수직 구조를 갖는 환부 지지용 부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76609A1 (en) 1996-12-08
EP0747028A2 (en) 1996-12-11
AU5243996A (en) 1996-12-19
KR970000201A (ko) 1997-01-21
DE69623393T2 (de) 2003-05-22
DE69623393D1 (de) 2002-10-10
US5725487A (en) 1998-03-10
AU695330B2 (en) 1998-08-13
JPH0999003A (ja) 1997-04-15
EP0747028A3 (en) 1997-01-15
CA2176609C (en) 2001-10-23
EP0747028B1 (en) 200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590B1 (ko) 정형외과용깁스붕대
US5403267A (en) Orthopedic bandages with low modulus filaments
CA1334640C (en) Conformable bandage
KR100331252B1 (ko) 정형외과용깁스테이프에사용되는직물의마이크로크레핑
US4984566A (en) Orthopedic casting tape
JP3013199B2 (ja) 整形外科ギプステープ
CA2112782A1 (en) Mechanically compacted fabrics for orthopedic casting tapes
AU2003304315A1 (en) Weft-inserted elastic adhesive bandage and method
CA2493222A1 (en) Knitted substrate with high and low tenacity yarns for use in bandaging product, bandaging product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3954131B2 (ja) スクリムで補強した整形外科用キャスティングテープ
WO1999065433A1 (en) Orthopaedic casting tap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100297803B1 (ko)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H0140502Y2 (ko)
AU744267B2 (en) Fabric backing for orthopedic support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