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011B1 -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011B1
KR100348011B1 KR1019990057782A KR19990057782A KR100348011B1 KR 100348011 B1 KR100348011 B1 KR 100348011B1 KR 1019990057782 A KR1019990057782 A KR 1019990057782A KR 19990057782 A KR19990057782 A KR 19990057782A KR 100348011 B1 KR100348011 B1 KR 10034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d concrete
concrete structure
laminate
mold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622A (ko
Inventor
위광수
이규대
Original Assignee
정훈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건설(주) filed Critical 정훈건설(주)
Priority to KR1019990057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0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6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corrosion by soil o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이 외부의 충격이나 동파, 부식 등에 의해 훼손되지 않도록 한 새로운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하고자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에 대응되는 형태로 예비형틀(10)을 제작하는 예비형틀 제작단계와, 제작된 예비형틀(10)의 내벽면에 수지층(12)과 매트층(13)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다수개의 앵커부재(14)가 소정깊이 매입되도록 하는 적층체 형성단계와, 상기 적층체(17)로부터 예비형틀(10)을 분리해내는 예비형틀 분리단계와, 상기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에 대응되는 형태의 메인형틀(20) 내벽면에 상기 적층체(17)가 고정되도록 하는 적층체 고정단계와, 상기 적층체(17)의 내측에 철근콘크리트(3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메인형틀(20)을 분리해내는 탈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 {Method of constructing steel-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이 외부의 충격이나 동파, 부식 등에 의해 훼손되지 않도록 한 새로운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하부의 교각이나 방파제, 댐 등의 수중 구조물은 주로 철근콘크리트로 타설되어 부유물의 충격에 의한 세굴현상 및 물과 접촉된 부위의 동파현상, 수질오염에 따른 부식 등에 의해 자주 훼손되므로, 이러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보수 및 보강작업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수 및 보강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어야 하고, 막대한 유지 관리비가 소모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보수 및 보강작업을 하더라도 콘크리트로 타설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은 홍수나 해일 등과 같이 외부에서 강한 충격력이 가해지면 쉽게 훼손되어 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이 외부에서 작용되는 충격력에 의해 쉽게 훼손되지 않고, 동파나 부식 등에 강한 특성을 갖도록 한 새로운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에 의해 타설된 교각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근콘크리트구조물 10 : 예비형틀
11 : 이형재 12 : 수지층
13 : 매트층 14,15 : 앵커부재
16 : 플랜지 17 : 적층체
20 : 메인형틀 30 : 철근콘크리트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하고자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에 대응되는 형태로 예비형틀(10)을 제작하는 예비형틀 제작단계와, 제작된 예비형틀(10)의 내벽면에 수지층(12)과 매트층(13)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다수개의 앵커부재(14)가 소정깊이 매입되도록 하는 적층체 형성단계와, 상기 적층체(17)로부터 예비형틀(10)을 분리해내는 예비형틀 분리단계와, 상기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에 대응되는 형태의 메인형틀(20) 내벽면에 상기 적층체(17)가 고정되도록 하는 적층체 고정단계와, 상기 적층체(17)의 내측에 철근콘크리트(3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메인형틀(20)을 분리해내는 탈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의 공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에 의해 타설된 교각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은 다수개의 예비형틀(10)을 제작하여 그 내벽면에 수지층(12)과 매트층(13)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면서 다수개의 앵커부재(14,15)가 그 내부에 매입되도록 하여 F,R,P적층체(17)를 형성하고, F,R,P적층체(17)로부터 예비형틀(10)을 분리해 낸다. 이어서, 상기 F,R,P적층체(17)를 메인형틀(20)에 고정하고 이를 철근콘크리트구조물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한 후 그 내측에 철근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 경화시킨 후 상기 메인형틀(20)을 분리해내면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이 완성된다.
상기 예비형틀 제작단계는 시공하고자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예비형틀(10)을 제작하는 단계로서, 상기 예비형틀(10)은 목형을 이용한 몰드물로 제작되기도 하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철판으로 보강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예비형틀(10)은 현장제작도 가능하며, 시공하고자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의 사이즈에 따라 4등분, 6등분, 또는 원형일 경우에는 일체로도 가능하다.
상기 적층체 형성단계는 제작된 예비형틀(10)의 내벽면에 겔코트 등의 이형제(11)를 도포하고, 이형재(11) 위에 수지층(12)과 매트층(13)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면서 다수개의 앵커부재(14,15)가 그 내부에 소정깊이 매입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예비형틀(10) 내벽면에 이형재(11) 즉, 겔코트를 0.3㎜~0.5㎜의 두께로 매끄럽게 칠하여 이후 예비형틀(10)이 쉽게 분리되도록 하며, 이러한 이형재(11)가 경화되면, 그 위에 용융된 수지(12)를 도포하고, 매트(13)를 부착시키는 과정을 약 2회 반복한다. 이때, 상기 수지층(12)과 매트층(13)에는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어서, 상기 수지층(12)이 경화되기 전에 그 내벽면에 앵커부재(14)를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하고, 다시 그 위에 매트(13)를 부착시키고 수지(12)를 도포하는 과정을 약 4회정도 반복하여 상기 앵커부재(14)가 그 내부에 일정깊이 매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앵커부재(14)는 철판(14a)의 중앙부에 나사형상의 봉(14b)이 일체로 용접되거나, 철판 중앙에 T자형 봉을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이후 공정인 콘크리트 타설단계에서 콘크리트(30) 내부에 일정깊이 매입되도록 하여 F,R,P적층체(17)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면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F,R,P적층체(17)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6)를 형성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이 완성되었을 때 F,R,P적층체(17)와 콘크리트(30) 사이의 갭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며, F,R,P적층체(17)와 콘크리트(30)의 접촉면적을 넓혀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F,R,P적층체(17)가 경화되기 전에 깬자갈(10㎜~15㎜)(15)이나 돌가루 등을 F,R,P적층체(17) 내벽면에 부착시켜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이후 공정인 콘크리트 타설단계에서 콘크리트(30) 내부에 일정깊이 매입되도록 하여 F,R,P적층체(17)가 그 외벽면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F,R,P적층체(17)가 완성되면, 예비형틀(10)을 분리해내고 F,R,P적층체(17)의 측면을 연마하여 다수개의 F,R,P적층체(17)가 서로 밀착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적층체 고정단계는 다수개의 F,R,P적층체(17)를 메인형틀(20)의 내벽면에 서로 연접되게 고정하고, 이를 철근콘크리트구조물(1)과 대응되는 형태로 조립하거나, 철근콘크리트구조물(1)과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된 메인형틀(20) 내벽면에 다수개의 F,R,P적층체(17)를 서로 연접되게 고정하는 단계로서, 스테인레스 재질의 조립볼트(21)와 너트(22)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너트(22)는 한쪽이 막힌 제품을 사용하고 너트(22)와 F,R,P적층체(17) 사이에는 실링부재(23)를 개제시켜 추후 메인형틀(20) 해체시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F,R,P적층체(17)가 메인형틀(20) 내벽면에 고정되면 그 내부에 철근콘크리트(30)를 타설하고, 콘크리트(30)가 경화되면 메인형틀(20)을 분리해내어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을 완성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시공된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은 그 외벽면에 강도와 내구성, 내산성, 내식성, 내열성이 우수하며, 이온 용출이 없고, 자유로운 착색이 가능한 F,R,P적층체(17)가 일체로 부착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은 외부로부터 충격력이 가해져도 세굴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동파나 수질오염에 따른 부식 등에 의해 쉽게 훼손되지 않기 때문에 보수 및 보강에 따른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자유로운 착색에 의해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고, 그 강도가 보강되어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주로 수중에 위치된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도 물 밖으로 노출되거나 지상에 축조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에 적용되어 그 강도를 보강하고 미려한 외관을 장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공법에 의해 시공된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은 그 외벽면에 F,R,P적층체(17)가 일체로 부착되어 충격이나 동파, 부식 등에 의해 쉽게 훼손되지 않기 때문에 보수 및 보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

  1. 시공하고자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에 대응되는 형태로 예비형틀(10)을 제작하는 예비형틀 제작단계와, 제작된 예비형틀(10)의 내벽면에 수지층(12)과 매트층(13)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다수개의 앵커부재(14)가 소정깊이 매입되도록 하는 적층체 형성단계와, 상기 적층체(17)로부터 예비형틀(10)을 분리해내는 예비형틀 분리단계와, 상기 철근콘크리트구조물(1)에 대응되는 형태의 메인형틀(20) 내벽면에 상기 적층체(17)가 고정되도록 하는 적층체 고정단계와, 상기 적층체(17)의 내측에 철근콘크리트(3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메인형틀(20)을 분리해내는 탈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
KR1019990057782A 1999-12-15 1999-12-15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 KR100348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782A KR100348011B1 (ko) 1999-12-15 1999-12-15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782A KR100348011B1 (ko) 1999-12-15 1999-12-15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22A KR20000012622A (ko) 2000-03-06
KR100348011B1 true KR100348011B1 (ko) 2002-08-09

Family

ID=1962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782A KR100348011B1 (ko) 1999-12-15 1999-12-15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0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22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4825B2 (en) Prefabricated lightweight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columns
KR100843974B1 (ko) 콘크리트 표면을 라이닝 하는 거푸집과 이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 및 콘크리트 표면 라이닝 방법
CN106223544A (zh) 一种超高性能混凝土柱永久模板及其制备方法
CN111851400A (zh) 基于海砂海水trc预制外壳的约束混凝土柱及制备方法
CN108824230B (zh) 一种frp管加固桥梁水下桥墩的方法
KR100348011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시공법
KR200227269Y1 (ko) 교각 보수 섬유강화 플라스틱 합성 거푸집틀 구조
KR200221904Y1 (ko) 도로, 철도 교량 기초 우물통
JP2002061320A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嵩上げ工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型枠板の型枠固定金具
KR100350721B1 (ko) 강화플라스틱 구조물
KR100402646B1 (ko) 도로, 철도 교량의 기초 우물통 및 그 신설공법
CN214143331U (zh) 一种浇筑混凝土桥墩用的uhpc免拆模模板
JP3595160B2 (ja) 残存型枠
CN217703871U (zh) U型纤维增强复合材料梁永久模板预制模具
KR200253526Y1 (ko) 교량 기초 우물통 보수용 구조물
KR20000012647A (ko) 교량 기초 우물통 보수 공법 및 그 구조물
CN114851361B (zh) U型纤维增强复合材料梁永久模板预制模具及其制备方法
JP2002322656A (ja) 壁面用の化粧材
JPH02113905A (ja) Pc版製造用型枠の製造方法
US12005607B2 (en) Airforming constructive system
JPH05280127A (ja) 永久型枠用堰板及びそれを用いた捨て型枠工法
JP3079016B2 (ja) 溝模様付コンクリート部材の成形方法及び溝模様形成具
KR200261320Y1 (ko) 교량 건식 기초 우물통 중간부위까지의 보수용 frp 특수틀
JPH0742133A (ja) 埋設型枠
JPH0753965B2 (ja) コンクリート浮棧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