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829B1 -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829B1
KR100347829B1 KR1020000044957A KR20000044957A KR100347829B1 KR 100347829 B1 KR100347829 B1 KR 100347829B1 KR 1020000044957 A KR1020000044957 A KR 1020000044957A KR 20000044957 A KR20000044957 A KR 20000044957A KR 100347829 B1 KR100347829 B1 KR 100347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orm
metal tube
guide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776A (ko
Inventor
조청조
Original Assignee
조청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청조 filed Critical 조청조
Priority to KR102000004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829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8Seam welding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 B23K11/087Seam welding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for rectilinear seams
    • B23K11/0873Seam welding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for rectilinear seams of the longitudinal seam of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관기에서 다수의 성형롤을 거치면서 성형 제조되는 금속관의 심(seam) 부분에 대한 용접시 금속관의 상면을 자연스럽게 가압하는 것에 의해 심부분을 이루는 양 단면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심부분에 대한 용접성을 좋게 하여 심부분에 대한 정밀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된 심부분에 대한 후가공을 위한 소요작업 공수(工手) 및 자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금속관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금속관(1)의 심부분(11)에 대한 가이드를 위해 조관기의 용접부측 프레임(f)에 설치되는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심용접가이드장치(A)에 의해 수평 이동되며 내부에는 관통공(4a)을 형성한 수평이동구(4)(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수평이동구(4)(4) 외측에는 이송나사(51)에 의해 수직 이동되며 내측에는 지지링(52)(52)을 회전가능하게 끼워 설치한 수직이동구(5)(5)가 내부에서 이동되는 제 2 가이드 라이너(3')(3')를 부착 설치하며, 상기 지지링(52)(52)에는 상부에 웜기어(61)가 치합되는 웜(6)(6)을 각각 부착 고정 설치하되,
상기 양 웜(6)중 일측의 웜(6)에는 내부에 부싱(71)이 설치되는 가이드구(7)를 부착 설치하고, 타측의 웜(6)에는 심정렬수단(8)(9)을 부착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이다.

Description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Seam welding guide Device of Metal}
본 발명은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에 과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관기에서 다수의 성형롤을 거치면서 성형 제조되는 금속관의 심(seam) 부분에 대한 용접시 금속관의 상면을 자연스럽게 가압하는 것에 의해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면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심부분에 대한 용접성을 좋게하여 심부분에 대한 정밀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된 심부분에 대한 후가공을 위한 소요작업 공수(工手) 및 자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금속관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관의 제조공정을 보면, 일정 폭으로 절단된 띠형 강재를 조관기내의 다수의 성형롤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하여 일정크기의 직경을 갖는 금속관으로서 제조되게 하는 것인데, 이때 상기 제조되는 금속관은 다수의 성형롤을 거치면서 강재가 파이프형태를 갖추게 됨과 동시에 완전한 관형태로 유지되게 하기 위해 이음부인 심부분에 대한 용접공정을 반드시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조관기를 거치면서 일정크기의 직경형태를 갖춘 파이프의 심부분에 대한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최종 성형롤을 거쳐 이송되는 금속관의 양측으로 금속관의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면이 서로 정확하게 맞대지도록 하기위해 별도의 가압장치가 설치되어 심부분에 대한 용접의 편의성과 함께 정밀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성형롤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관의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면을 정확하게 맞대도록 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심용접가이드장치는, 제조되어 취출되는 금속관의 양측에 가압롤을 서로 밀접된 상태로 대향 설치한 상태에서 금속관의 양측을 가압하여 이 가압력에 의해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부가 서로 맞대지도록 하여 심부분에 대한 용접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이와는 달리 나사봉의 작동에 의해 그 높이 및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직경크기로 제조되는 금속관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역시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부가 서로 맞대지도록 하여 심부분에 대한 정밀한 용접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종래의 심용접가이드장치들은 이미 원형태를 이룬 금속관의 양측에서 그 중심축선 방향으로 금속관을 가압하여 심부분의 양단부로 하여금 서로 접근 방향측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양단부가 접촉된 상태로 금속관이 이송되게 하는 상태에서 심부분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단순히 금속관의 양측에서 금속관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부가 서로 맞대지도록 하는 종래 장치들에 의하면, 서로 맞대지는 양단부가 정확하게 그 두께 대 두께로서 접촉되는 것이 아니고 위 아래로 일부 어긋나는 형태로 맞대지는 것이어서 이 상태에서 용접공정을 거치면서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부가 일부 어긋난 상태에서 그대로 심부분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어서 이렇게 제조 완료된 금속관은 심부분에 대한 정밀한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는데 따른 용접강도가 현저히 약화되어 이후 수압테스트 등의 금속관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고 불량품으로 전락한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부분을 매끄럽게 가공하기 위한 후공정인 마무리 공정에서의 작업공수의 증가 및 샌드페이퍼 등의 자재 소모가 증가되게 되어 그만큼 금속관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금속관의 내부에 있어서도 용접면의 단면이 서로 불일치되게 되는데 따라 틈(간극)이 발생되어 그 틈사이로 녹이나 이물질이 생성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조관기에 있어 다수의 성형롤에 의해 성형 제작되는 금속관의 이음매인 심부분에 대한 용접을 위해 양단부가 맞대지도록 하는 종래 심용접가이드장치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형 단면형태로 성형되어 이송되어오는 금속관의 심부분을 이루는 양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고 단차가 형성되는 일없이 정확히 두께 대 두께로서 서로 맞대지도록 한 상태에서 후공정인 용접공정으로 금속관이 이송되게 하여 형성부가 접촉되어 형성되는 심부분에 대한 용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금속관의 심부분에 대한 용접강도를 높여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관의 심부분 외면에 형성되는 비드의 양도 적게 형성되게 하여 후 고정인 마무리작업 역시 간편히 이루어지는 동시에 금속관 내면의 심부분에도 단차가 형성되지 않음에 따른 녹 등의 이물질 생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한 가이드 장치의 심정렬수단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설치되는 심정렬수단의 일부 측단면도.
도 5는 발명의 다른 예로 설치되는 심정렬수단의 일부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프레임 1 : 금속관 2 : 본체
3 : 제1가이드라이너 3´: 제2가이드라이너 5 : 수직이동구
6 : 웜 7 : 가이드구 8 : 심정렬수단
9 : 심정렬수단 11 : 심부분 41, 51 : 이송나사
52 : 지지링 61 : 웜기어 71 : 부싱
81, 91 : 지지판 82 : 지지축 82a, 82b : 조정나사
83, 83-1 : 가이드롤 83a : 호형요입부 83b : 돌출턱
84 : 플랜지 92 : 이송작동수단 93 : 작동구
94 : 이송나사 95 : 승강구 96 : 지지봉
97 : 가이드록 97a : ¼원호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는,
금속관(1)의 심부분(11)에 대한 가이드를 위해 조관기의 용접부측 프레임(f)에 설치되는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심용접가이드장치(A)는 상기 프레임(f)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본체(2)양측으로 제1가이드라이너(3)(3)를 각각 설치하고, 이 가이드라이너(3)(3) 내측으로는, 이송나사(41)에 의해 수평 이동되며 내부에는 관통공(4a)을 형성한 수평이동구(4)(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수평이동구(4)(4)외측에는 이송나사(51)에 의해 수직 이동되며 내측에는 지지링(52)(52)을 회전가능하게 끼워 설치한 수직이동구(5)(5)가 내부에서 이동되는 제2가이드라이너(3´)(3´)를 부착설치하며, 상기 지지링(52)(52)에는 상부에 웜기어(61)가 치합되는 웜(6)(6)을 각각 부착 고정설치 하되, 상기 양 웜(6)중 일측의 웜(6)에는 내부에 부싱(71)이 설치되는 가이드구(7)를 부착설치하고, 타측의 웜(6)에는 심정렬수단(8)(9)을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정렬수단(8)은 타측의 웜(6)에 설치되는 플랜지(84)일측 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직립 설치되는 지지판(81)에 조정나사(82a)(82b)에 의해 그 설치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지지축(82)을 상하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설치하고, 상기지지축(82)(82)에는 외면에 반원형 호형요입부(83a)(83a)를 형성한 가이드롤(83)(83-1)을 각각 설치하되, 그 중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롤(83)의 호형요입부(83a) 중앙부에는 띠 형상의 돌출턱(83b)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정렬수단(9)은 대략 L 자형의 지지판(91)을 타측의 웜(6)에 부착 설치한 상태에서, 이 지지판(91)상면에 이송작동봉(92)에 의해 서로 대칭 작동되는 작동구(93)(93)를 설치하고, 이 작동구(93)(93)에는 각각 이송나사(94)(94)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승강구(95)(95)가 외면에 설치된 지지봉(96)(96)을 설치하고 상기지지봉(96)(96)에는 외면에 ¼원호부(97a)를 형성한 가이드롤(97)(97)을 각각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의한 가이드 장치의 심정렬수단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에 다른 예로서 설치되는 심정렬수단의 일부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에 다른 예로서 설치되는 심정렬수단의 일부정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본체(2)와, 수평이동구(4)와, 수직이동구(5)와, 웜(6)과, 가이드구(7)와, 심정렬수단(8)(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체(2)는 그 중앙에 관통공(22)을 형성한 채 조관기의 용접부측 프레임(f)에 이송나사(21)에 의해 장치의 축선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측으로 각각 수평이동구(4)와, 수직이동구(5)와, 웜(6)이 대칭형태로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수평이동구(4)는 상기 본체(2)의 관통공(22)과 동일크기의 관통공(42)을 형성한 채 상기 프레임(f)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31)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제1가이드라이너(3)내에서 이송나사(41)의 회전동작에 의해 수평 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수직이동구(5)는, 일측외면에 웜(6)이 부착 설치된 지지링(52)을 끼워 설치한 상태에서 수평이동구(4)(4)에 부착 설치되는 제2가이드라이너(3´)(3´)내에서 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는 이송나사(51)의 작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웜(6)은 그 중앙부에 관통공(63)을 형성한 채 볼트 등의 고정수단(62)에 의해 상기 수직이동구(5) 중앙부에 끼워져 설치된 지지링(52)에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측에는 지지블록(64)에 의해지지되는 웜기어(61)가 치합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웜기어(6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웜(6)이 상기한 가이드구(7)는 상기 웜(6)중 일측의 웜(6), 즉 금속관(1) 배출측에 설치되는 웜(6)의 외면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72)에 의해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 그 중앙 관통공 내부에는 상기 웜(6)의 관통공(63)내경과 동일크기의 내경부(71a)를 갖는 부싱(71)을 끼워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심정렬수단(8)은 상기 웜(6)중 타측의 웜(6), 즉 금속관(1)이 인입되는 설치되어 인입되는 금속관(1)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막아 금속관(1)의 심부분(11)이 항상 원의 정점에 위치되는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해 타측의 웜(6) 외면에 플랜지(84)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직립 설치되는 지지판(81)에 위 아래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축(82)(82)을 끼워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81)의 지지축(82)(82)이 양단에는 승강홈(81a)을 설치하여 이 승강홈(81a)내에 각각 조정나사(82a)(82b)의 끝단과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지지축(82)(82)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지지블록(82c)(82d)이 설치되어 조정나사(82a)(82b)의 조정에 따라 지지판(81)의 승강홈(81a)내에서 지지블록(82c)(82d)이 이동되도록 하여 지지축(82)(82)의 위치를 가변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지지축(82)(82)에는 외면을 반원형의 호형요입부(83a)(83a)를 형성한 가이드롤(83)(83-1)을 각각 설치하고 있으며, 사익 가이드롤(83)(83-1)중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롤(83)에 형성된 호형요입부(83a)의 중앙부에는 띠형상의 돌출턱(83b)을 돌출 형성하여 이 돌출턱(83b)으로 하여금 인입되는 금속관의 심부분(11)에 끼워지도록 하여 금속관(1)이 인입되어 심정렬수단(8)을 거쳐 용접부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금속관(1)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심정렬수단(9)은, 상기 타측의 웜(6)에 상기 심정렬수단(8)과 함께 선택적으로 교체 설치되는 것으로, 인입되는 금속관(1)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심부분(1)을 모아줄 수 필요성으로 인해 상기 심정렬수단(9)을 설치하려 하는 경우, 심용접가이드장치(A)의 타측에 설치된 웜(6)에 부착 설치된 심정렬수단(8)의 플랜지(84)를 타측의 웜(6)으로부터 분리해낸 후, 대략 L자형의 지지판(91)의 수평면 일측에 가이드구(93a)를 타고 대칭 이동되는 작동구(93)(93)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구(93)(93)내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이송작동봉(92)의 회전에 의해 작동구(93)(93)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이송작동봉(92)의 일측에는 그 외면에 조정스크루(92a)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91)의 수평면에는 상기 조정스크루(92a)가 체결되는 너트구(91a)를 설치함으로써 이송작동봉(92)외면에 밀접된 조정스크루(92a)의 회전에 의해 이송작동봉(92)전체가 일부 이동되게 하여 상기 작동구(93)(93)사이의 센터(중심)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서로 대칭으로 이동되는 상기 작동구(93)(93)에는 각각 일정길이의 지지봉(96)(96)을 체결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각 지지봉(96)(96)의 외면에는 상단 내주연에 나사부(95a)를 형성한 승강구(95)(95)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나사부(95a)에는 도중에 너트(94a)를 체결하여 상기 승강구(95)(95)상단에 밀접 되게 한 이송나사를 각각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승강구(95)(95)의 외면에는 외면을 ¼원호부(97a)로 형성한 가이드롤(97)(97)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각각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고 본 발명에 의한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의 실시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관기를 거치면서 제조되는 금속관(1)의 심부분(11)에 대한 용접을 위해 상기 금속관(1)의 선단부가 먼저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A)를 이루는 심정렬수단(8)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심정렬수단(8)의 양 가이드롤(83)(83-1) 사이로 진입되는 금속관(1)은 항상 심부분(11)이 그 정상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금속관(1)의 이송과정에서 금속관(1)이 임의 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롤(83)의 호형요입부(83a)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턱(83b)에 금속관의 심부분(11)이 끼워진 채 이송되게 함으로써 금속관(1)의 심부분(11)으로 하여금 상기 돌출턱(83b)의 안내를 받는 상태로 이송되게 되어 금속관(1)의 심부분(11)은 항상 금속관(1)의 최정상부에 위치되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심정렬수단(8)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심정렬수단(8)을 통과하면서 심부분(11)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항상 원의 최정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상태가 유지된채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A)내부를 이동하는 금속관(a)은 최종적으로 가이드구(7)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구(7) 내부에 끼워져 설치된 부싱(71)의 상측내면에 상기 금속관(1)의 심부분(11)이 접촉되게 되는데, 이때 금속관(1)의 심부분(11)이 부싱(71)의 내면에 접촉되게 됨과 동시에 본체(2)에 부착 설치되는 이송나사(51)를 하향 동작되도록 작동시키게 되면, 이 이중나사(51)의 선단이 부착연결된 수직이동구(5)가 하강하게 되고, 이 수직이동구(5)와 웜(6)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 가이드구(7)역시 하강하면서 그 내부에 끼워 설치된 채 금속관(1)의 심부분(11)이 접촉된 상태인 부싱(71)이 함께 하강하게 됨에 따라 부싱(71)내면에 접촉된 금속관(1)은 순간적으로 약간 하강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심부분(11)을 가압하게 됨에 따라 원형단면을 갖는 금속관(1)의 심부분(11) 외면을 단차없이 일치된 외면을 갖도록 양단부가 서로 어긋남 없이 두께 대 두께로서 정확하게 면접촉되는 상태로 유지되면서 후공정인 용접공정으로 이송되게 되어 심부분(11)에 대한 정밀하고도 신속한 용접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심부분(11)에 대한 용접을 모두 마친 금속관(1)을 심부분(11)을 용접함에 따라 형성되는 비드의 크기가 그리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은 상태로 단차없이 정확히 일치된 단면을 갖도록 접촉된 채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완료된 금속관(1)에 대한 용접강도를 현저히 향상 시킬 수 있게 되며 용접부분에 대한 마무리 공정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이드구(7)에 끼워 설치된 부싱(71)내부의 특정부분이 금속관(1)의 심부분(11)과 지속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부분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가이드구(7) 자체를 필요에 따라 조금씩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인바, 이는 가이드구(7)가 부착설치되는 웜(6)상부에 지지블록(64)에 의해 치합되도록 설치되는 웜기어(61)를 필요에 따라 조금씩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웜(6)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A)는 금속관(1)의 이송축선을 전후 상하 좌우방향으로 일정부분 조정할 수 있게 하여 다수의 성형롤을 거쳐 용접부로 이송되어오는 금속관(1)의 심부분(11)에 대한 용접성 및 용접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는 것인바,
이 경우 먼저 좌·우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이송축선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본체(2)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31)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제1가이드라이너(3)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구(4)를 이송나사(41)의 회전작동에 의해 좌우 이동시키게 되면, 수평이동구(4)를 비롯하여 수직이동구(5), 웜(6) 및 가이드구(7)는 상기 이송나사(41)의 회전량에 따라 좌·우 이동되게 되어 금속관의 좌·우 이송축선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하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이송축선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수평이동구(4)(4)에 부착설치되는 제2가이드라이너(3´)(3´)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이동구(5)를 이송나사(51)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시키게 되면, 수직이동구(5)를 비롯하여 웜(6) 및 가이드구(7)는 상기 이송나사(51)의 회전량에 따라 상·하 이동되게 되어 금속관의 상·하이송축선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성형 제조된 금속관(1)의 심부분(11)이 항상 금속관의 최정상부에 위치되는 상태로 심용접가이드장치(A)내부로 인입되도록 하기위한 상기 타측의 웜(6)에 설치된 심정렬수단(8) 분리, 제거하고 다른 심정렬수단으로서 심정렬수단(9)을 부착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 경우는 성형 제조된 금속관(1)의 심부분(11)에 대한 정렬을 위해,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외면을 ¼원호부(97a)(97a)가 금속관(1)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를 양측에서 가압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심용접가이드장치(A)내부로 인입되는 금속관(1)의 심부분(1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협지력이 작용하게 하여 역시 심부분(11)에 대한 가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후 가이드구(7)내측의 부싱(71)에 의한 심부분(11)의 최종정렬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A)는 띠 형태의 강재가 다수의 성형롤을 거치면서 관형태로 형성되는 금속관의 심부분을 보다 정밀하고 간편하고 용접하기 위해 그 이송축선을 다양한 방향으로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또한 금속관(1) 인입측의 심정렬수단(8)에 의해서 이송되는 금속관(1)의 심부분이 항상 최정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배출측이 가이드구(7)의 부싱(71)내면에 심부분(11)이 밀접된 채 가이드구(7)가 하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심부분(11)을 이루는 양단부가 어긋남 없이 두께 대 두께로서 정확하게 맞대진 상태에서 후공정인 용접공정으로 보내져 심부분(11)에 대한 완벽하고 정밀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금속관(1)의 심부분(11)에 대한 용접성을 좋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효과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에 의하면, 강재를 다수의 성형롤에 의해 금속관으로 제조하되, 심부분에 대해서는 가이드구의 부싱내면에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가이드구를 일부 하강시켜 부싱내면에 접촉된 심부분으로 하여금 그 양단부가 매우 정확하게 어긋남 없이 맞대진 상태로 심부분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항상 정밀한 용접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된 금속관의 제반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만큼 제품 생산성도 높여 제품의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금속관(1)의 심부분(11)에 대한 가이드를 위해 조관기의 용접부측 프레임(f)에 설치되는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심용접가이드장치(A)에 의해 수평 이동되며 내부에는 관통공(4a)을 형성한 수평이동구(4)(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수평이동구(4)(4) 외측에는 이송나사(51)에 의해 수직 이동되며 내측에는 지지링(52)(52)을 회전 가능하게 끼워 설치한 수직이동구(5)(5)가 내부에서 이동되는 제 2 가이드 라이너(3')(3')를 부착 설치하며, 상기 지지링(52)(52)에는 상부에 웜기어(61)가 치합되는 웜(6)(6)을 각각 부착 고정 설치하되,
    상기 양 웜(6)중 일측의 웜(6)에는 내부에 부싱(71)이 설치되는 가이드구(7)를 부착 설치하고, 타측의 웜(6)에는 금속관(1)이 인입되는 설치되어 인입되는 금속관(1)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막아 금속관(1)의 심부분(11)이 항상 원의 정점에 위치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심정렬수단(8)(9)을 부착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정렬수단(8)은, 타측의 웜(6)에 설치되는 플랜지(84)일측 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직립 설치되는 지지판(81)에 조정나사(82a)(82b)에 의해 그 설치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지지축(82)을 상하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설치하고, 상기지지축(82)(82)에는 외면에 반원형 호형요입부(83a)(83a)를 형성한 가이드롤(83)(83-1)을 각각 설치하되, 그 중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롤(83)의 호형요입부(83a) 중앙부에는 띠 형상의 돌출턱(83b)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정렬수단(9)은 대략 L 자형의 지지판(91)을 타측의 웜(6)에 부착 설치한 상태에서, 이 지지판(91)상면에 이송작동봉(92)에 의해 서로 대칭 작동되는 작동구(93)(93)를 설치하고, 이 작동구(93)(93)에는 각각 이송나사(94)(94)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승강구(95)(95)가 외면에 설치된 지지봉(96)(96)을 설치하고 상기지지봉(96)(96)에는 외면에 ¼원호부(97a)를 형성한 가이드롤(97)(97)을 각각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
KR1020000044957A 2000-08-03 2000-08-03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 KR100347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957A KR100347829B1 (ko) 2000-08-03 2000-08-03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957A KR100347829B1 (ko) 2000-08-03 2000-08-03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776A KR20000063776A (ko) 2000-11-06
KR100347829B1 true KR100347829B1 (ko) 2002-08-07

Family

ID=1968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957A KR100347829B1 (ko) 2000-08-03 2000-08-03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002B1 (ko) 2009-06-12 2011-11-23 (주)우성기계공업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금속파이프의 심용접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3601A (zh) * 2019-06-20 2019-08-23 中国核工业第二二建设有限公司 一种后安装不可达的单面焊焊缝垫板安装结构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002B1 (ko) 2009-06-12 2011-11-23 (주)우성기계공업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금속파이프의 심용접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776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537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 со стыковым швом из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истов
EP2928636B1 (de) Vorrichtung zum einspannen und ausrichten von segmentartig ausgebildeten, dünnwandigen und hohlprofilierten bauteilen sowie deren verwendung
JP2022513235A (ja) 縮径率の大きい多可変中空軸のコアレススピニング加工方法
JP5523579B2 (ja) 成形方法と成形装置
KR101555968B1 (ko) 파이프 밴딩장치
CN101965260A (zh) 成形装置、该成形装置的模板以及成形方法
JPH04228226A (ja) 板を筒状に曲げるための成形機及びこの成形機を有する成形設備
KR101086002B1 (ko)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금속파이프의 심용접 가이드 장치
KR100347829B1 (ko) 금속관의 심용접가이드장치
US11529761B2 (en) Micro-casting and rolling additive manufacture for large special-shaped pipes
CN104438462A (zh) 一种翼缘板焊接角变形的反变形预制方法
CN108705023B (zh) 一体化接管段锻件仿形锻造工艺
JPH0531534A (ja) 管成形プレス装置
CA1134650A (en) Up-set shrinker for producing thick wall steel pipe
RU2340422C2 (ru) Способ окончательной формовки труб большого диаметра из u-образной заготов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1614037U (zh) 一种多类型金属型材的弯曲工装组件
KR102472969B1 (ko) 플랜지 일체형 무용접 고압 이송관 제조방법
JPH0224613B2 (ko)
KR101430919B1 (ko) 벨로우즈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N110548809A (zh) 一种多类型金属型材的弯曲工装组件及弯曲加工方法
KR20200059088A (ko) 금속용접관용 외면 및 내면비드 제거롤 스탠드
CN113732148B (zh) 一种厚壁金属直缝焊管板边全液压预弯装置及方法
KR102162180B1 (ko) 연속 성형용 링 압연 장치
KR102062758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롤링기
CN209792346U (zh) 一种波纹管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