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151B1 -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 Google Patents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151B1
KR100346151B1 KR1019990010326A KR19990010326A KR100346151B1 KR 100346151 B1 KR100346151 B1 KR 100346151B1 KR 1019990010326 A KR1019990010326 A KR 1019990010326A KR 19990010326 A KR19990010326 A KR 19990010326A KR 100346151 B1 KR100346151 B1 KR 100346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power divider
leaky coaxial
space diversity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355A (ko
Inventor
남길련
변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9001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1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8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the near field of leaky cables, e.g. of leaky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3Leaky 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83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coupling circuits
    • H04B2203/5487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coupling circuits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 공간 다이버시티가 가능토록하여 지하철에서도 양질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방사된 전파를 유입받기 위한 다수개의 슬롯을 구비한 누설 동축 케이블의 종단에 설치되어 그 누설 동축 케이블로 유입된 전파를 전력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 전력 분배기의 일측 출력단에 연결되고 공간 다이버시티가 가능토록 상기 전력 분배기에서 분배된 전파를 기지국 안테나 일측 입력단에 입력시키는 제1 동축 케이블, 전력 분배기의 타측 출력단에 연결되고 공간 다이버시티가 가능토록 전력 분배기에서 분배된 전파를 기지국 안테나 타측 입력단에 입력시키는 제2 동축 케이블을 구비 함으로써, 지하철에서도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현함으로써 양질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Apparatus for space diversity using leakage coaxial cabl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디지털 셀룰라 시스템(DCS),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PCS))에서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철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 공간 다이버시티가 가능토록하여 양질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다이버시티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 때문에 저하될 수 있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인터리빙에 의한 버스트 에러의 분산화 및 오류 정정 부호화 등에 의하여 제공되는 시간 다이버시티, 신호 에너지를 넓은 주파수 대역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그리고 복수 안테나를 사용하는 공간 다이버시티가 있다. 이 중 상기 공간 다이버시티는 두 개의 안테나로 수신한, 즉 서로 다른 경로로 전파(Propagation)된 전파(Wave)를 비교하여 양호한 신호를 선택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 및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기(이동국으로도 호칭됨)간의 통신은 무선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무선 통신의 특성으로 인해 유선과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장애물(산, 언덕과 같은 자연적인 지형이나 건물과 같은 인위적인 장애물)에 의해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음영 지역이다. 이러한 음영 지역에서는 전파의 손실이 심각하여 정상적인 통신을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방사하게 되는데 안테나의 높이나 이득 또는 출력값을 조정함으로써 음영지역을 해소하게 된다.
그러나 지하철과 같은 터널 구조에서는 안테나를 매우 제한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터널 구조에서는 전파의 손실이 지상의 자유공간에서보다 훨씬 커지기 때문이다. 더욱이 터널에서는 가시 거리(Line of Sight) 경로를 가지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안테나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지하철과 같은 터널구조에서는 안테나 대신 누설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안테나로서 커버할 수 없는 음영지역까지 전파가 미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할 때 음영 지역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나 지상의 기지국과 같이 두 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효과는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지하철과 같은 터널 구조에서는 한 개의 동축 케이블로 여러 가지 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두 개의 수신 경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위해서 두개의 동축 케이블을 설치할 수도 있으나 누설 동축 케이블은 매우 고가이고 또한 설치가 어려워 공간 다이버시티만을 위하여 누설 동축 케이블을 추가 설치하는 것은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불합리하다.
또한, 현재 지하철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마이크로 기지국은 공간 다이버시티를 위해 수신 입력단이 두개로 설계되었으나 공간 다이버시티는 지상에 설치되어 안테나에 연결될 때에만 가능하고 터널과 같은 구조에서와 같이 누설 동축 케이블에 연결될때는 불가능하다. 즉, 마이크로 기지국이 지하철용으로 이용될 때에는 자원이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 공간 다이버시티가 가능토록하여 양질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는,
단말기로부터 방사된 전파를 유입받기 위한 누설 동축 케이블의 종단에 설치되어 그 누설 동축 케이블로 유입된 전파를 전력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와;
상기 전력 분배기의 일측 출력단에 연결되고 공간 다이버시티를 위해 상기 전력 분배기에서 분배된 전파를 기지국 안테나 일측 입력단에 입력시키는 제1 동축 케이블과;
상기 전력 분배기의 타측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공간 다이버시티를 위해 상기 전력 분배기에서 분배된 전파를 상기 기지국 안테나 타측 입력단에 입력시키는 제2 동축 케이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및 제2 동축 케이블은 유전율이 다른 유전체를 사용하여 전파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누설 동축 케이블의 구조도,
도2는 단말기에서 방사된 전파가 누설 동축 케이블의 슬롯에 입사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누설 동축 케이블
111 ~ 110+n : 슬롯
120: 전력 분배기
130,140 : 제1 및 제2 동축 케이블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파(Wave)는 자유 공간상에서 빛과 같은 속도로 전파(Propagation)한다. 즉 광속(C =3*108)의 속도로 전파된다. 이는 빛의 속도는 전파(Wave)가 전파(Propagation)하는 매질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인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빛의 속도(C) = 1/(ε0μ0)1/2
이때 매질의 성질을 나타내는 인자가 ε0와μ0인데, 여기서 ε0는 자유공간의 유전율을, μ0는 자유공간의 유자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파가 자유공간이 아닌 어떤 매질을 매체로 전파하게 되면 속도는 그 매질의 유전율과 유자율 값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유전율 ε0εr, 유자율 μ0μr을 가지는 매질에서의 빛의 속도(Cr) = 1/(ε0εrμ0μr)1/2가 된다.
일반적으로 상대유전율 εr이 1 이상인 물체를 유전체라 하고, 상대 유자율 μr이 1 이상인 물체를 자성체라고 하는데 자성체는 전파 흡수체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되는 물질이므로 상대유자율을 1이라고 가정하면 상대 유자율 μr을 가지는 매질에서의 전파의 진행 속도는,
유전율 ε0εr, 유자율 μ0μr을 가지는 매질에서의 빛의 속도(Cr) = 1/(ε0εrμ0)1/2로 표현된다.
한편, 누설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11)와 외부도체(12) 사이에 유전체(13)를 포함하고 있는데, 급전된 전파는 이 유전체(13)를 매질로 하여 전파하게 된다. 즉, 누설 동축 케이블(10)을 구성하는 유전체(13)에 의해 케이블 내부에서의 전파 속도가 달라지게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단말기에서 방사한 전파가 유입되는 슬롯이다.
다시 말해 누설 동축 케이블(10)은 도2와 같이 단말기(20)에서 송신한 전파를 여러 슬롯(14)에서 동시에 받게 되는데, 누설 동축 케이블(10)에 의해 수신된 전파는 일정 시간(전파가 슬롯 사이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되어 기지국쪽으로 케이블 내부를 전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철 기지국에서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위해서 전파의 전파속도는 매질의 유전율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점과 누설 동축 케이블 속을 전파하는 전파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케이블 내부의 유전체를 매질로하여 전파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현한다.
즉, 단말기에서 송신한 전파는 누설 동축 케이블의 여러 슬롯을 통하여 동시에 케이블 내부로 흡입되어 일정한 시간(전파가 슬롯 사이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되지만, 같은 정보를 가지고 케이블 내부의 유전체를 매질로 하여 기지국 쪽으로 전파한다. 그리고 기지국에서는 이 전파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때 도3과 같이 누설 동축 케이블(110)의 종단 부근에 전력 분배기(12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제1 및 제2 동축 케이블(130)(140)로 전파를 분리시켜 기지국의 두 수신 입력단으로 전송한다.
상기 전력 분배기(120)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같은 정보를 가진 전파가 연속적으로 도달하게 되는데,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로 만들어진 제1 및 제2 동축 케이블(130)(140)은 상기 전력 분배기(120)에 일정시간 만큼 지연되어 들어오는 전파를 기지국 수신 입력단에 동시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즉, 먼저 들어오는 신호는 유전율이 큰 유전체로 만들어진 동축 케이블로 전송되는데 전송되는 전파의 속도가 느리므로 지연 효과를 가져오고 나중에 들어오는 신호는 유전율이 작은 유전체로 만들어진 동축 케이블에 의해 전송되는데, 이때는 전파의 속도가 빨라져서 결국은 먼저 들어온 신호와 동시에 다른 수신 입력단에 도착하게 된다. 이렇게 두 수신 입력단에는 서로 다른 경로를 가지는 신호가 입력되므로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동축 케이블(130)(140)에서 전파의 진행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대 유전율 값은 슬롯(111 ~ 110+n)간의 간격 및 설치할 동축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므로써 환경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 분배기로 누설 동축 케이블에서전파(Propagation)된 전파(Wave)를 분배하고, 전력 분배기에 각각 연결되는 두개의 동축 케이블에는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를 부설 함으로써 시간 차이를 가지는 두개의 경로 신호를 만들 수 있어 지하철에서도 공간 다이버시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하에서의 공간 다이버시티가 가능하므로 양질의 서비스 제공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방사된 전파를 유입받기 위한 다수개의 슬롯을 구비한 누설 동축 케이블의 종단에 설치되어 그 누설 동축 케이블로 유입된 전파를 전력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와;
    상기 전력 분배기의 일측 출력단에 연결되고 공간 다이버시티를 위해 상기 전력 분배기에서 분배된 전파를 기지국 안테나 일측 입력단에 입력시키는 제1 동축 케이블과;
    상기 전력 분배기의 타측 출력단에 연결되고 공간 다이버시티를 위해 상기 전력 분배기에서 분배된 전파를 상기 기지국 안테나 타측 입력단에 입력시키는 제2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동축 케이블은 유전율이 다른 유전체를 사용하여 전파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동축 케이블은 슬롯간의 간격 조절로 상대 유전율 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동축 케이블은 길이를 달리하여 케이블을 통하여 전파하는 전파의 시간 차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KR1019990010326A 1999-03-25 1999-03-25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KR100346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326A KR100346151B1 (ko) 1999-03-25 1999-03-25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326A KR100346151B1 (ko) 1999-03-25 1999-03-25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355A KR20000061355A (ko) 2000-10-16
KR100346151B1 true KR100346151B1 (ko) 2002-08-01

Family

ID=1957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326A KR100346151B1 (ko) 1999-03-25 1999-03-25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1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00B1 (ko) * 2012-12-14 2014-02-26 서울메트로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지하철 무선설비 안테나 무인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454426A (zh) * 2018-12-20 2021-09-28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检测系统及风力发电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772A (ko) * 1993-07-09 1995-02-18 유채준 지하의 복합 무선중계 시스템
KR950016041A (ko) * 1993-11-12 1995-06-17 정선혁 지하 종합 무선 중계 시스템
KR960039686A (ko) * 1995-04-21 1996-11-25 이재영 선로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중계시스템
KR970013855A (ko) * 1995-08-16 1997-03-29 이돈신 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
KR970060743A (ko) * 1996-01-24 1997-08-12 정태기 무선신호 중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772A (ko) * 1993-07-09 1995-02-18 유채준 지하의 복합 무선중계 시스템
KR950016041A (ko) * 1993-11-12 1995-06-17 정선혁 지하 종합 무선 중계 시스템
KR960039686A (ko) * 1995-04-21 1996-11-25 이재영 선로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중계시스템
KR970013855A (ko) * 1995-08-16 1997-03-29 이돈신 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
KR970060743A (ko) * 1996-01-24 1997-08-12 정태기 무선신호 중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355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4121A (en) Microcell layout having directional and omnidirectional antennas defining a rectilinear layout in a building
US5404570A (en) Radio coverage in closed environments
KR20050098028A (ko) 통신 개선 방법 및 시스템
US11637619B2 (en)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serving as outdoor infrastructure in high frequency cellular networks
US10326496B2 (en)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19373420A1 (en) Integrated leaky feeder and mesh network system
EP1900112B1 (en) A point-to-point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346151B1 (ko)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KR19990029554A (ko) 모듈러, 분산형 무선장치 구조 및 동일한 안테나를 사용하는이중 반송파 접속
US1113391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149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communications with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KR100244197B1 (ko) 고정/이동 셀룰러 시스템에서 공통채널을 이용한 송수신시스템
EP1916780A2 (en) Arrangement plus method to emulate a multi-path environment in a radio network arranged in or extended into an environment that is free of multi-path effects
EP1692785A1 (en) Apparatus for repeating signal using microstrip patch array antenna
AU731614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radio system
JP2011188439A (ja) 対向するmimo送受信機による通信方法
US7098756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mbining electric signals
JPH10242739A (ja) 移動通信用基地局アンテナ装置
CN115995692A (zh) 天线子系统及组网系统
Ogawa Millimeter-wave wireless access systems
JPH05227082A (ja) 移動体通信の信号同期方式
KR100257187B1 (ko) 디지탈 이동통신에 있어서 다중 경로 상호간섭 제거장치
Coraiola et al. Variable leaky feeders for cellular radio systems
KR20040074849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인빌딩 서비스용 중계기
WO1999026357A1 (en) Improvements to above-ground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of design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