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152B1 -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152B1
KR100345152B1 KR1020000052030A KR20000052030A KR100345152B1 KR 100345152 B1 KR100345152 B1 KR 100345152B1 KR 1020000052030 A KR1020000052030 A KR 1020000052030A KR 20000052030 A KR20000052030 A KR 20000052030A KR 100345152 B1 KR100345152 B1 KR 10034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vehicle
roller
vehicle body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769A (ko
Inventor
서은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1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2Mechanical
    • B60G2204/83022Mechanical using cables, wire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적재 하중에 따른 차고와 연동하는 케이블에 의해 쇽 업소버의 상단부 장착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서 장착각을 가변하여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차량의 차체와 차축 사이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가 차량의 적재 하중에 따라 그 장착각을 가변하여 감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에서,
상기 쇽 업소버의 하단은 쇽 업소버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며, 상기 쇽 업소버의 상단이 장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롯을 형성하여 차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에 설치되는 쇽 업소버의 상단과 상기 차축에 고정 설치되는 리프 스프링의 중앙부 일측을 연결하며, 차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부재에 의해 그 설치각을 가변하는 작동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Description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AUTOMOTIVE SHOCK ABSORBER-MOUNTING ANGLE-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차량의 액슬을 지지하는 쇽 업소버의 장착 포인트를 가변시켜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노면과 접하는 바퀴에서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바퀴와 차체 사이에 쇽 업소버가 설치되어 피스턴이 튜브 내에서 작동실과 저장실 상호간에 흐르는 작동 유체를 풋 밸브에 의해 제어하여 바퀴에서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쇽 업소버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 하중을 고려하여 쇽 업소버(51)의 장착각을 가변시켜 감쇄력을 조절함으로서, 최적의 서스펜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를 적용하였다.
상기한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화물의 적재량에 따른 하중의 변화를 감지하는 적재량 감지센서(53)와, 상기 적재량 감지센서(53)의 신호를 판단한 전자제어장치(55)의 전기적인 신호로 제어되는 액츄에이터(57)와, 상기 액츄에이터(57)에 의해 쇽 업소버(51)의 장착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절레일(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는 전자제어 시스템과 액츄에이터 및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에어 컴프레서 등 많은 장치들을 수반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장착 및 정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 하중에 따른 차고와 연동하는 케이블에 의해 쇽 업소버의 상단부 장착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서 장착각을 가변하여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의 제1작동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의 제2작동 설명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가 적용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는 차량의 차체와 차축 사이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가 차량의 적재 하중에 따라 그 장착각을 가변하여 감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에서,
상기 쇽 업소버의 하단은 쇽 업소버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며, 상기 쇽 업소버의 상단이 장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롯을 형성하여 차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에 설치되는 쇽 업소버의 상단과 상기 차축에 고정 설치되는 리프 스프링의 중앙부 일측을 연결하며, 차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부재에 의해 그 설치각을 가변하는 작동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슬롯에 상기 쇽 업소버의 상단이 장착되도록, 내부에는 상기 슬롯과 연결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하부면은 개구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의 중공부 내에서 가이드 블록의 후단부와 상기 쇽 업소버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쇽 업소버의 상단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여 주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수개의 롤러부재는 상기 가이드 수단의 축성상의 후단부 차체 일측에 설치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수직상단의 차체 일측에 설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와 수평선상에서 상기 리프 스프링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차체 일측에 설치되는 제3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현가장치는 차체의 리어측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서로 다른 스프링 판을 겹쳐서 이루어지는 리프 스프링(1)이 프레임(3)과 차축(5)을 구성한 리어액슬(7)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리프 스프링(1)은 프런트측 선단이 스프링 아이(9)에 의해 상기 프레임(3)에 장착되고, 리어측 선단은 샥클(11)에 의해 상기 프레임(3)에 장착되며, 차체 하부로 돌출된 중앙부에는 U볼트(13)에 의해 리어액슬(7)과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프 스프링(1)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3)상에는 헬퍼 스톱퍼(15)가 장착되어 차량의 과도한 바운싱(Bouncing) 및 롤링(Rolling) 발생시 리프 스프링(1)과 접촉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적당한 감쇄력을 갖는 쇽 업소버(17)가 상기 프레임(3)과 리어액슬(7) 사이에 설치되어 노면 조건으로부터 리프 스프링(1)에 발생되는 진동을 약화시키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차량용 현가장치에서, 본 발명은 상기 쇽 업소버(17)의 하단이 쇽 업소버(17)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9)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쇽 업소버(17)의 상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롯(21)을 형성하여 차체 프레임(3)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수단에 장착되고,상기 가이드 수단에 설치되는 쇽 업소버(17)의 상단과 상기 차축(5)에 고정 설치되는 리프 스프링(1)의 중앙부 일측을 연결하는 작동 와이어(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21)이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블록(25)의 내부에는 상기 슬롯(21)과 연결되는 중공부(미도시)를 가지며, 하부면은 개구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블록(25)의 중공부 내에는 가이드 블록(25)의 후단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슬롯(21)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17)의 상단 사이에 코일 스프링(27)을 개재하여 쇽 업소버(17)의 상단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롤러부재는 상기 가이드 수단의 축선 상의 후단부 프레임(3) 일측에 제1롤러(29)가 설치되고, 상기 제1롤러(29)의 수직상단의 차체 프레임(3) 일측에는 제2롤러(31)가 브라켓(33)을 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롤러(31)와 수평선상에서 상기 리프 스프링(1)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차체 프레임(3)의 일측에 제3롤러(35)가 브라켓(37)을 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 와이어(23)는 그 일단이 상기 쇽 업소버(17)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제2,제3롤러(29,31,35)를 차례로 걸친 후, 타단이 상기 차축(5)과 고정되는 리프 스프링(1)의 중앙부 일측에 고정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작동 와이어(23)의 일측에는 댐퍼(39)를 구성하여 작동 와이어(23)의 움직임을 둔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만차 상태인 경우, 적재 하중에 의해 차고가 낮아져 리프 스프링(1)과 차체 프레임(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이에 따라 상기 쇽 업소버(17)의 상단을 당기고 있던 작동 와이어(23)는 느슨하게 되고, 가이드 블록(25) 내부의 코일 스프링(27)이 상기 쇽 업소버(17)의 상단을 전방으로 밀어 쇽 업소버(17)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쇽 업소버(17)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리프 스프링(1)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쇽 업소버(17)의 감쇄력을 크게 하여 전달받게 됨으로, 만차시의 큰 적재 하중에 대하여 리프 스프링(1)의 충격 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공차 상태인 경우, 적재 하중이 미치지 않음에 따라, 차고가 높아져 리프 스프링(1)과 차체 프레임(3)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쇽 업소버(17)의 상단은 가이드 블록(25) 내부의 코일 스프링(27)의 탄성력을 극복하며작동 와이어(23)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쇽 업소버(17)가 후방으로 소정각(??) 기울어져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쇽 업소버(17)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각(??)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리프 스프링(1)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 기울어진 상태로 쇽 업소버(17)의 감쇄력을 작게 하여 전달받게 됨으로, 공차시의 작은 적재 하중에 대하여 리프 스프링(1)의 충격 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와이어(23)의 일측에 구성되는 댐퍼(39)는 노면으로부터의 잔진동에 의하여 상기 작동 와이어(23)에 의해 쇽 업소버(17)에 전달되는 작동력을 다소 흡수하여 쇽 업소버(17) 장착각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해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적재 하중에 따른 차고와 연동하는 작동 케이블에 의해 쇽 업소버의 상단부 장착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서 장착각을 가변하여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리프 스프링의 충격 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고에 연동하는 작동 케이블과 상단을 지지하는 가이드 수단만으로 차량의 적재 하중에 따른 쇽 업소버의 감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장착성 및 정비성이 우수하며, 부품수의 감소로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3)

  1. 차량의 차체와 차축 사이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가 차량의 적재 하중에 따라 그 장착각을 가변하여 감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의 하단은 쇽 업소버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며,
    상기 쇽 업소버의 상단이 장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롯을 형성하여 차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에 설치되는 쇽 업소버의 상단과 상기 차축에 고정 설치되는 리프 스프링의 중앙부 일측을 연결하며, 차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부재에 의해 그 설치각을 가변하는 작동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슬롯에 상기 쇽 업소버의 상단이 장착되도록, 내부에는 상기 슬롯과 연결되는 중공부를 가지며, 하부면은 개구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의 중공부 내에서 가이드 블록의 후단부와 상기 쇽 업소버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쇽 업소버의 상단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여 주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롤러부재는
    상기 가이드 수단의 축성상의 후단부 차체 일측에 설치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수직상단의 차체 일측에 설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와 수평선상에서 상기 리프 스프링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차체 일측에 설치되는 제3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KR1020000052030A 2000-09-04 2000-09-04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KR10034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030A KR100345152B1 (ko) 2000-09-04 2000-09-04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030A KR100345152B1 (ko) 2000-09-04 2000-09-04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769A KR20020018769A (ko) 2002-03-09
KR100345152B1 true KR100345152B1 (ko) 2002-07-24

Family

ID=1968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030A KR100345152B1 (ko) 2000-09-04 2000-09-04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221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세 가변형 쇽업소버를 갖춘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61394B1 (ko) * 2002-08-08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의 현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173A (ko) * 2004-08-10 2006-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토션 빔 액슬 서스펜션
CN112009190B (zh) * 2020-08-14 2021-05-11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板簧吊耳长度可调的钢板弹簧悬架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94B1 (ko) * 2002-08-08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의 현가장치
KR20040023221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세 가변형 쇽업소버를 갖춘 차량용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769A (ko) 200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078B2 (en) Vehicle with a leaf spring element for the spring suspension of the vehicle
KR100293672B1 (ko) 자동차의현가장치
KR100378267B1 (ko) 차량용경사제어장치
CN111746581B (zh) 转向架、单轨车辆和单轨交通系统
US6726229B2 (en) Integral spring damper and cross member
CN105313627A (zh) 带缓冲器的车辆
KR100345152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각도 가변장치
CN111746578A (zh) 转向架、单轨车辆和单轨交通系统
CN111746580B (zh) 转向架、单轨车辆和单轨交通系统
KR20220052646A (ko) 리프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US2792216A (en) Free play stabilizer mounting
KR101283605B1 (ko) 능동형 롤 제어장치
KR100448777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진동흡수장치
JP3011005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482095B1 (ko) 소형트럭의 무게중심 이동장치
KR100192380B1 (ko) 스트러트의 하부스프링시트 자동높이조절장치
KR100369041B1 (ko) 버스의 리어현가장치
KR10091679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테빌라이저 바
KR100401590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100313794B1 (ko) 차량용차고조절장치
JPH0669776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20020055815A (ko) 차량의 안티 롤 제어장치
KR100475913B1 (ko) 상용차의 리프스프링과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0217591B1 (ko) 가변형 보조 리프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의 리어 현가장치
KR0140766Y1 (ko) 유압 부싱을 이용한 자동차용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