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569B1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569B1
KR100344569B1 KR1019990032084A KR19990032084A KR100344569B1 KR 100344569 B1 KR100344569 B1 KR 100344569B1 KR 1019990032084 A KR1019990032084 A KR 1019990032084A KR 19990032084 A KR19990032084 A KR 19990032084A KR 100344569 B1 KR100344569 B1 KR 100344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gricultural products
chamber
microwaves
dry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882A (ko
Inventor
조광환
윤홍선
김유호
정훈
오병기
김기학
오성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1999003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56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내부 가열과 열풍을 이용한 외부 가열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과 이를 채용한 농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출입구를 가지는 가열실 및 제 1,2건조실이 각각 배치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부와, 마이크로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가열실의 내부로 유도하는 도파관과, 도파관에 의해서 유도된 마이크로파로 가열 건조된 농산물을 제 1,2건조실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순환 이송수단과, 순환 이송수단에 의해서 제 1,2건조실의 내부로 이송된 농산물을 일정 간격의 수직상태로 적층시키는 적층수단과, 적층된 농산물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공기 공급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농산물의 건조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건조작업시 에너지가 감축될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품질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DRYING APPARATUS OF AGRICULTURAL PRODUCTS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농산물 건조작업시 마이크로파로 농산물을 1차 건조한 후에 열풍으로 2차 건조함으로써, 농산물의 건조시간 및 건조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농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는 대략 1㎓(파장 30㎝)~300㎓(파장 1㎜)의 전자파이며, 도파관 또는 공동(空洞)공진기가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영역이다.
기존의 농산물 건조기는 대체적으로 농산물에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그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 95-7468호 '농산물 건조장치'에 공고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21)와 콘트롤부(1)가 있고, 그 우측으로 하부의 버너(22)와 내부의 주름절곡관(23)이 마련된 열풍공급기(2)와, 그 열풍공급기의 우측으로 회전 가능한 건조통(3)이 구비되어 있다.
건조통(3)은 외주면 일측에 투입구(31)가 설치된 원통부(30)와, 그 원통부(30)의 상단과 하단부에는 일체로 연장된 각각의 원뿔부(34a)(34b)가 형성된다.
또, 건조통(3)은 그 중앙을 관통한 횡축(4)의 양단이 건조통 양측에 입설한 지지대(5)위에서 베어링(51)으로 축설되어 회전수단(6)에 의해 종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수단(6)은 횡축(4)의 일측단에 축착한 종동체인휠(61)이 모우터(7)측의 원동체인휠(62)과 체인(63)으로 연결되어 모우터의 동력으로 회전된다.
건조통(3)의 하측에는 열풍공급기(2)로부터 공급관(24)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건조통(3)의 하측으로 송풍되도록 송풍덕트(8)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에는 마이크로 스위치(9)가 부착되어 건조통(3)의 외주면에 마련된 돌편(10)이 접촉됨에 따라 회전수단(6)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5'는 연소실(25)을 나타낸 것이고, '24'는 주름절곡관(23)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송풍덕트(8)측으로 가이드하는 유도관(24)을 나타낸 것이며, '21'은 송풍휀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1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투입구(31)를 열어 벼,고추등의 농산물을 건조통(3)의 원통부(30)의 내부에 투입하고 버너(22)를 점화시키면, 연소실(25)내의 온도가 상승되어 주름절곡관(23)이 가열되고, 이 가열된 주름절곡관(23)내의 공기는 열풍으로 바뀌어 유도관(24)을 통해 송풍덕트(8)측으로 유입된다.
이어서, 송풍덕트(8)측으로 유입된 열풍은 건조통(3)의 내부로 유입되고, 건조통(3)의 내부에 투입된 농산물측으로 공급되어 농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한 농산물의 열풍 건조방식은 기존의 농산물 건조장치에 비해 소형화되고 농산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 방식은 열풍이 공급되는 농산물의 외부로부터 내부까지 열이 전달되므로, 열풍에 의해서 농산물이 건조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농산물의 건조작업시 열풍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농산물의 색택, 성분, 맛, 향등의 품질이 저하되며, 특히 황기,당귀 등의 약용 작물과 버섯등의 농산물은 더욱 그러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농산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짧은 시간내에 농산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열풍건조방식의 농산물 건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도 2의 농산물 건조방법을 채용한 농산물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가열실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제 1,2승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로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가열공기 공급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3의 건조상자가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50 : 건조상자
200 : 가열실 210 : 마이크로파 발생부
220 : 도파관 230 : 금속팬
240 : 차단부 300,400 : 제 1,2건조실
510 : 브라켓 520 : 스톱퍼
530 : 지지대 610 : 흡입팬
620 : 히터 630 : 공급덕트
710 : 이송컨베이어 720,730 : 제 1,2승강부
740 : 로더부 900 :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의 건조방법은 농산물을 가열실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투입단계와, 가열실로 투입된 농산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농산물의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제 1건조단계와, 마이크로파가 조사된 농산물을 가열실의 측면에 제공된 건조실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와, 건조실의 내부로 이송된 농산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재가열 건조시키는 제 2건조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는 각각의 출입구를 갖는 가열실과 제 1,2건조실이 구비된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부와, 마이크로파를 농산물이 적재되는 건조상자가 내장된 가열실의 내부로 조사되도록 유도하는 도파관과, 가열실 내에서 마이크로파에 조사되어 농산물이 가열 건조된 건조상자를 상기 제 1건조실과 제 2건조실로 순환 이송시키기 위한 순환 이송수단과, 제 1,2건조실내에 구비되어 순환 이송수단에 의해서 이송되는 건조상자들을 적층시키기 위한 적층수단과, 제 1,2건조실의 적층된 건조상자들측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열공기 공급수단을 구비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풍 건조방식과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의 내부 가열방식을 혼용함으로써, 농산물의 건조 시간 및 에너지를 대폭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의 건조방법은 마이크로파가 조사되는 가열실과 그 가열실의 양측에 열풍이 공급되는 제 1,2건조실내로 농산물이 적재된 건조상자를 순환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이 건조방법은 사용자의 편의 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운전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의 건조방법은 도 2에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실 내에 농산물이 적재된 건조상자를 투입시키는 단계와, 가열실내에서 투입된 건조상자측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농산물의 내부로부터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제 1건조단계와, 제 1건조단계에서 1차 건조된 농산물을 제 1,2건조실내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와, 제 1,2건조실로 이송된 농산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2차 건조시키는 제 2건조단계들로 구성하여서, 각 단계들이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면서 반복적으로 농산물의 건조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송단계는 제 1건조단계에서 마이크로파의 조사시간이 경과된 후에 가열실내의 건조상자를 제 1건조실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제 1건조실로 이송된 건조상자를 상승시켜 적층된 건조상자들의 하단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승된 제 1건조실의 건조상자들중 최상단의 건조상자를 파지하여 제 2건조실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 2건조실의 적층된 건조상자들중 최하단의 건조상자를 다시 가열실내로 이송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사이클이 자동으로 운전되도록 여러 조건들(조사시간, 열풍온도, 건조시간, 사이클반복회수등)을 운전 초기에 설정하여 PLC(;Program Logic Control)제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또, 가열실내에서 마이크로파를 농산물측으로 조사하는 단계에서 마이크로파가 가열실내에서 분산되도록 교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단계들이 하나의 사이클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농산물의 건조방법은 가열실이 시발점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제 1,2건조실중 어느 곳이라도 관계없다.
본 발명의 개념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을 채용한 농산물 건조기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것인바,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된 가열실의 양측으로 제 1,2건조실(300,400)이 각각 배치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부(210)와,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가열실(200)의 내부로 유도하는 도파관(220)과, 도파관(220)에 의해서 유도된 마이크로파로 가열 건조된 농산물을 제 1,2건조실(300,400)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순환 이송수단과, 순환 이송수단에 의해서 제 1,2건조실(300,400)의 내부로 이송된 농산물을 일정 간격의 수직상태로 적층시키는 적층수단과, 적층된 농산물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공기 공급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상기한 각 구성요소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가열실(200)과 제 1,2건조실(300,400)의 건조환경을 설정하고 PLC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0)가 더 마련되어 있다.
가열실(200)과 제 1,2건조실(300,400)은 농산물이 적재된 건조상자들이 출입가능하도록 각각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00)의 외측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배출되도록 흡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마이크로파 발생부(210)는 일정 전압이상이 인가되면 대략 2420~2480㎒의 발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가열실(200)내로 일부 수용된 도파관(220)의 단부에는 마이크로파가 가열실(200)의 내부로 골고루 분산되도록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되어 마이크로파를 교란시키는 금속팬(230)이 설치된다.
그리고, 가열실(200)의 출입구의 외측에는 내부로 공급된 마이크로파가 개방된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부(240)가 설치되며, 그 차단부(240)는 가열실(200)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도록 실린더(242)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차단플레이트(244)가 구비된다.
건조상자(150)는 농산물이 수납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사각 박스형태를 가지며, 저면에는 공기의 순환을 위해 다수개의 통공(150a)이 형성되고, 상면 테두리와 측면의 외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적층수단은 제 1,2건조실(300,400)의 양 측벽에 상호 대향되는 브라켓(510)이 각각 설치되고, 브라켓(5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가능한 스톱퍼(520)와, 그 스톱퍼(520)의 단부에 건조상자(150)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530)가 설치된다.
가열공기 공급수단은 본체(100)의 흡입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흡입팬(610)과,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자체 발열되어 흡입팬(610)에 의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620)와, 히터(6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제 1건조실(300)과 제 2건조실(40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다수개의 열배출공(632)이 형성된 공급덕트(630)를 구비한다.
순환 이송수단은 제 1,2건조실(300,400)과 가열실(200)내로 순환되도록 설치되어 건조상자(15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710)와, 제 1건조실(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710)에 의해 이송된 건조상자(150)를 승강시키는 제 1승강부(720)와, 제 1건조실(300)의 제 1승강부(720)에 의해 적층된 건조상자(150)중 상단에 위치한 건조상자(150)를 파지하여 제 2건조실(400)로 이동시키는 로더부(740)와, 로더부(740)에 의해 제 2건조실(400)로 건조상자(150)가 이동될 때 승강되어 이동된 건조상자(150)를 받아 제 2건조실(400)내에 적층시키며 적층된 건조상자(150)중 최하단의 건조상자(150)를 이송컨베이어(710)에 안착시키는 제 2승강부(730)를 구비한다.
이송컨베이어(710)는 제 1건조실(300)과 제 2건조실(400)에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원동기어(714)와 종동기어(716)가 각각 설치되고, 그 원동/종동기어(714,716)의 외주면에 연동되도록 치차 결합되어 회전되는 체인(712;혹은 벨트)이 설치된다.
제 1승강부(720)와 제 2승강부(730)는 각각 제 1건조실(300)과 제 2건조실(400)의 하부에 동일한 구조로 설치되며, 본체(100)의 바닥면에 고정된 리프터지지대(722,(732))의 외주면을 타고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리프터(724,(734))와, 리프터(724,(734))의 상면에 건조 상자(150)의 하부면 크기에 대응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대(726,(736))와, 리프터(724,(734))의 상.하 승/하강을 위하여 중앙에 구동모터(728,(738))와 그 구동모터(728,(738))의 회전력을 리프터에 전달하기 위한 슬라이더(729,(739))가 설치된다.
로더부(740)는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로더 가이더(742)와, 그 로더 가이더(742)의 상면에 롤러(744)에 의해 구름운동되도록 지지되고 로더 구동모터(745)가 탑재되는 로더 프레임(746)과, 로더 프레임(746)의 사각 테두리에 고정 결합되고 공압(또는 유압)에 의해 건조상자(150)를 파지하는 핑거(748)를 구비한다.
또, 본체(100)와 가열실(200)의 일측에는 농산물의 건조상태를 외측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의 투시창(102,(202))이 설치되고, 제 1,2건조실(300,4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하단부 테두리와 측면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바퀴(170)와 손잡이(160)가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미 설명부호 '800'은 로더부(740)의 핑거(748)와 차단부(240)의 실린더(242)에 각각 공압을 제공하는 컴프레셔(800)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건조기는,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 운전으로 선택 운전이 가능하도록 PLC제어로 구성되므로, 먼저 제어부(900)을 통해서 자동으로 운전 제어할 경우, 농산물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마이크로파의 조사시간 및 사이클 반복회수등을 제어부에서 설정하여 작동시키면, 농산물이 적재된 건조상자(150)가 마이크로파와 열풍이 각각 공급되는 가열실(200)과 제 1,2건조실(300,400)내로 순환 이송되면서 건조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가열실(200)내에 수용된 농산물은 마이크로파 발생부(210)로부터 도파관(220)을 거쳐 유도된 마이크로파에 의해서 내부 가열되어 1차 건조된다.
이때, 도파관(220)의 단부에 설치된 금속팬(230)은 마이크로파 발생부(210)로부터 마이크로파가 조사됨에 따라 회전되어 마이크로파를 교란시켜 가열실(200)내에 골고루 조사되도록 하며, 차단부(240)는 컴프레셔로부터 전달된 공압으로 차단플레이트(244)를 하강시켜 가열실(200)의 출입구를 폐쇄시켜 마이크로파의 외부 누출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이후, 1차 건조된 가열실(200)내의 건조상자(150)는 이송컨베이어(710)에 의해서 좌측의 제 1건조실(300)내로 이송되고, 제 1승강부(720)의 승강동작에 의해서 상측으로 승강된다.
승강된 제 1건조실(300)내의 건조상자(150)는 제 1건조실(300)내에 미리 적층된 건조상자(150)들의 최하단에 위치되면서 제 1건조실(300)의 측벽에 설치된 스톱퍼(520) 및 지지대(53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제 1건조실(300)의 건조상자(150)들은 측면의 플랜지부(152)가 브라켓(510)에 설치된 스톱퍼(520)와 지지대(530)의 단부에 접촉되면서 승강하며, 건조상자(150)들의 플랜지부(152)에 접촉된 지지대(530)와 스톱퍼(520)는 상측으로 힌지운동된 후에 자중에 의해서 서서히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건조상자(150)들의 플랜지부(152)의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한층 상승된 제 1건조실(300)내의 최상단에 위치한 건조상자(150)는 로더부(740)의 핑거(748)의 동작에 의해서 파지되어 제 2건조실(400)내의 상부로 이송되어진다.
제 1건조실(300)로부터 제 2건조실(400)로 이송되는 건조상자(150)는 그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152)를 로더부(740)의 핑거(748)들이 각각 파지한 상태로 로더 가이더(742)의 상측으로 구름운동된다.
이후 제 1건조실(300)의 상부로부터 제 2건조실(400)의 상부에 이송된 건조상자(150)는 로더부(740)의 파지상태가 해제되기전에 먼저 제 2승강부(730)가 승강되어 미리 적층된 건조상자(150)들의 최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 1,2건조실(300,400)내에 수용된 건조상자(150)들의 농산물은 히터(620)에 의해 가열된 열풍이 공급덕트(630)의 열배출공(632)을 통해 제 1,2건조실(300,400)내로 공급되면서 2차로 외부 가열되어 건조된다.
즉, 본 발명은 가열실(200)내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내부 가열된 농산물이 제 1,2건조실(300,400)내로 이송되어 열풍에 의해 외부 가열되어 농산물의 내부와 외부가 같이 가열 건조되므로, 짧은 시간내에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건조기를 운전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 운전자가 직접 임의로 각 부분들의 구동스위치를 온/오프 조작시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의 내부 가열과 열풍을 이용한 외부 가열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농산물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으므로, 기존 열풍건조방식에 비해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아울러, 이에 따른 건조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농산물의 건조작업시 농산물이 열풍에 노출되는 건조시간이 단축됨에따라, 기존 농산물의 열풍건조방식에 비해 농산물의 품질(색택, 성분, 맛,향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각각의 출입구를 갖는 가열실(200)과 제 1,2건조실(300,400)이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부(210)와,
    상기 마이크로파를 농산물이 적재되는 건조상자(150)가 내장된 가열실(200)의 내부로 조사되도록 유도하는 도파관(220)과,
    상기 가열실(200) 내에서 마이크로파에 조사되어 농산물이 가열 건조된 건조상자(150)를 상기 제 1건조실(300)과 제 2건조실(400)로 순환 이송시키기 위한 순환 이송수단과,
    상기 제 1,2건조실(300,400)내에 구비되어 순환 이송수단에 의해서 이송되는 건조상자(150)들을 적층시키기 위한 적층수단과,
    상기 제 1,2건조실(300,400)의 적층된 건조상자(150)들측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열공기 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200)내에 수용된 도파관(220)의 일단부에는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부(210)로부터 조사된 마이크로파를 가열실(200)의 내부로 분산시키기 위한 금속팬(230)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200)의 양측에 건조상자(150)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양 출입구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부(2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상자(150)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 박스형태를 가지며, 그 저면에는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통공(150a)이 형성되고, 상면의 테두리와 측면에 플랜지부(152)가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수단은 제 1,2건조실(300,400)의 양측벽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브라켓(510)과,
    상기 브라켓(510)에 설치되어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스톱퍼(520)와,
    상기 스톱퍼(520)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건조상자(150)들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5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 상기 농산물의 이송, 건조를 자동으로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공기 공급수단은 외부의 공기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흡입팬(610)과,
    상기 흡입팬(610)에 의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620)와,
    상기 히터(6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제 1건조실(300)과 제 2건조실(40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덕트(6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12. 제 5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이송수단은 제 1,2건조실(300,400)과 가열실(200)내로 순환되도록 설치되어 건조상자(15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710)와,
    상기 제 1건조실(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710)에 의해 이송된 건조상자(150)를 승강시키는 제 1승강부(720)와,
    상기 제 1건조실(300)의 제 1승강부(720)에 의해 적층된 건조상자(150)중 상단에 위치한 건조상자(150)를 파지하여 제 2건조실(400)로 이동시키는 로더부(740)와,
    상기 로더부(740)에 의해 제 2건조실(400)로 건조상자(150)가 이동될 때 승강되어 상기 이동된 건조상자(150)를 받아 제 2건조실(400)내에 적층시키며 적층된건조상자(150)중 하단의 건조상자(150)를 상기 이송컨베이어(710)에 안착시키는 제 2승강부(7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KR1019990032084A 1999-08-05 1999-08-0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KR100344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084A KR100344569B1 (ko) 1999-08-05 1999-08-0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084A KR100344569B1 (ko) 1999-08-05 1999-08-0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82A KR20010016882A (ko) 2001-03-05
KR100344569B1 true KR100344569B1 (ko) 2002-08-19

Family

ID=1960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084A KR100344569B1 (ko) 1999-08-05 1999-08-05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5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008A (ko) * 2002-01-22 2003-07-28 이우석 도료 건조기
KR100426738B1 (ko) * 2001-03-12 2004-04-13 강준석 농수산물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659Y1 (ko) * 2016-05-19 2017-07-14 (주)영림에너지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
KR102475925B1 (ko) * 2020-06-08 2022-12-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엔토모 유충 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738B1 (ko) * 2001-03-12 2004-04-13 강준석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30063008A (ko) * 2002-01-22 2003-07-28 이우석 도료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82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5351A (en) Oven humidity reservoir
KR100663842B1 (ko) 열풍건조기
JPS6313091B2 (ko)
KR100613617B1 (ko) 연속식 마이크로파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JP3728294B2 (ja) マイクロ波を均一に分散する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加熱システム
JP4875543B2 (ja) 紙管の乾燥装置及び紙管の乾燥方法
KR100344569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KR20020002432A (ko) 다중 선반식 대류형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JPH03140712A (ja) 電子レンジ
KR100707957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
KR100884786B1 (ko) 밀폐형 다단식(多段式) 건조 장치
KR100818370B1 (ko) 연속식 원적외선 천연 라텍스 경화 건조장치
CN206090122U (zh) 干衣机
CN213963065U (zh) 多功能烧烤炉
KR100395929B1 (ko) 강제 대류식 전자렌지
CA3168505C (en) Dehyd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200663Y1 (ko) 신발접착제의 마이크로 웨이브 건조장치
KR20060039530A (ko) 농수산물 건조방법과 건조장치
KR200434877Y1 (ko) 열풍건조기
KR200369318Y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CN212585333U (zh) 一种连续可循环型粮食烘干机
CN218352835U (zh) 一种pcb加工用烘干冷却装置
KR100465726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35440Y1 (ko) 연속식 원적외선 천연 라텍스 경화 건조장치
KR200335678Y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