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377B1 -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 Google Patents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377B1
KR100344377B1 KR1020000036440A KR20000036440A KR100344377B1 KR 100344377 B1 KR100344377 B1 KR 100344377B1 KR 1020000036440 A KR1020000036440 A KR 1020000036440A KR 20000036440 A KR20000036440 A KR 20000036440A KR 100344377 B1 KR100344377 B1 KR 10034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sh
value
correlation energy
symbol
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039A (ko
Inventor
후루다떼히데끼
이와마쯔다까노리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41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 H03M13/4107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implementing add, compare, select [ACS] oper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41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 H03M13/4138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soft-output Viterbi algorithm based decoding, i.e. Viterbi decoding with weighted decis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45Soft decoding, i.e. using symbol reliabil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04J13/0048Wal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에서, 싱글 맥시멈 판정 방법 및 듀얼 맥시멈 판정 방법을 이용하여 상관 에너지치의 최대치를 계산할 때에, 간결한 계산에 의해, 회로 규모의 삭감, 소비 전력의 저감 및 발열의 감소를 행할 수 있고, 또한 회로의 동작 속도의 고속화 및 채널 다중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최대치 선택부(26)로써, 전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치에 기초하여 상위 8개의 월쉬 심볼을 기억부(40)에 기입하는 재배열부(31), 선두 월쉬 심볼 내의 특정 위치의 비트를 2번째 이후의 월쉬 심볼 내의 동일 비트와 순차 비교하여 그 비트치가 선두 월쉬 심볼의 특정 비트치와 처음으로 다른 부호 변화점을 검출함으로써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여 판정 매트릭을 월쉬 심볼 내의 6 비트 전부에 대해 생성하여 연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SOFT DECISION METRIC GENERATING CIRCUI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협대역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름 회선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CDMA 방식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실용화되고, 미국에서는 IS-95 규격으로 하여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IS-95 규격은, 미국의 퀄컴(Qualcomm)사가 제안한 규격으로서, 내림 회선에는, 파일럿 외삽 신호를 이용한 동기 검파 방식이 이용되고, 또한 리버스 링크(오름 회선)에는, 비동기 검파 방식인 M 계열 직교 변조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 M 계열 직교 변조 방식은, 6 비트로 이루어지는 송신해야 할 월쉬 심볼(Walsh Symbol)을 서로 다른 64 종류의 월쉬 코드(Walsh Code)로 변환하는 변조 방식이다. 또한, 이 M 계열 직교 변조 방식은, 수신측에서, 진폭 성분이 전력 성분으로 변환되므로, 페이징에 의한 위상 오차가 제거되어, 신호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변조 방식이고, 그 개략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도 20은, 리버스 링크의 기능 블록도이다. 여기서, 입력 신호는, 이 도 20에 도시된 송신 장치 내의 변조부(90)에 있어서 변조되어, 변조된 무선 신호는, 무선 전파로(91)를 통해, 수신 장치내의 복조부(92)에 있어서 복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신호는, 변조부(90) 내의 비터비 부호화부(90a)에서, 오류 정정 처리되고, 인터리버(90b)에 있어서, 버스트적인 에러에 대해 강고해지도록 인터리브가 행해진다. 그리고, 인터리브된 신호는, M 계열 직교 변조부(M-array 직교 변조부 : 90c)에서 변조된다. 또한, 그곳에서 출력되는 I 채널, Q 채널의 변조 신호의 각각은, OQPSK(Offset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변조기(90d)에서 2차 변조되어, RF 송신부(90e)로부터 안테나(90f)를 통해 무선 전파로(91)로 송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M 계열 직교 변조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변조 방식은, 송신하는 6 비트를 1개의 부호화 심볼로서, 1개의 부호화 심볼을 64 비트 길이의 월쉬 코드로 변환하는 것으로써, 이 변환은 특히, 아다마르 변환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심볼 000000이 64 비트 길이의 월쉬 코드로 변환되는 것이다.
또한, 이 64 비트 길이의 월쉬 코드란, 서로 다른 64종류의 직교 부호로서, 각각이 월쉬 인덱스(Walsh Index) 라고 하는 식별자를 갖는다. 예를 들면, 월쉬 심볼 000000은 월쉬 인덱스 0에 할당되고, 월쉬 심볼 000001은 월쉬 인덱스 1에 할당되고, 마찬가지로, 월쉬 심볼 111111은 월쉬 인덱스 63에 할당되므로, 이들 64 종류의 부호로 신호가 확산되고, 이 때문에 가입자의 수용 능력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 이 월쉬 코드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을 위해, 용어의 정의를 나타낸다. 월쉬 심볼(6 부호화 심볼)은 6 비트의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010010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이 월쉬 심볼 010010의 6 비트의 각각을, 편의상 좌측으로부터, 제0 심볼, 제1 심볼, 제2 심볼, 제3 심볼, 제4 심볼, 제5 심볼이라고 칭한다. 즉, 제0 심볼은 0, 제1 심볼은 1, 제2 심볼은 0, 제3 심볼은 0, 제4 심볼은 1, 제5 심볼은 0이 된다.
이에 따라, 송신 심볼 000000이 월쉬 인덱스 0이라고 하는 64 비트 길이의 월쉬 코드로 변환되고, 송신 심볼 000001이 월쉬 인덱스 1이라고 하는 64 비트 길이의 월쉬 코드로 변환되고, 마찬가지로 송신 심볼 111111이 월쉬 인덱스 63이라고 하는 64 비트 길이의 월쉬 코드로 변환되어 송신된다.
이어서, 송신계의 데이터 포맷에 대해, 도 21(a)∼(f)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a)는 입력 신호의 데이터 포맷도이고, 입력 신호는 9.6kbps(Kilo Bit Per Second) 의 데이터 속도를 갖는다. 그리고, 도 21(b)은 비터비 부호화된 신호의 데이터 포맷도이고, 이 데이터는 입력 신호가 비터비 부호화부(90a)에서 오류 정정 처리되어, 9.6kbps의 3배의 데이터 속도와 동일한 28.8kbps의 속도를 갖는다.
또한, 도 21(c)은 1심볼(Symbol)의 데이터 포맷도이고, 이 포맷은 M 계열 직교 부호부(90c)로 입력되기 직전의 것이다. 또한, 도 21(d)은 아다마르 변환된 데이터 포맷도이고, 이 포맷은 6비트로부터 64비트로 변환된 것이다. 그리고, 도 21(e)는 64비트로 변환된 데이터 포맷도이고, 307.2kbps의 데이터 포맷이 된다. 또한, 도 21(f)은 PN(Pseudo Noise) 부호를 승산된 후의 데이터 포맷도이고, M 계열 직교 부호부(90c)로부터 출력된 비트 열에 PN 부호가 승산되어 칩레이트가 1.2288Mcps(Mega Chip Per Second)이다.
즉, 입력 부호는, 이 도 21(c) 및 도 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6 비트마다 64 비트 길이의 월쉬 코드로 아다마르 변환되고나서 확산되어 송신되고 있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복조부(92)에 있어서, 무선 신호는, 안테나(92a)에서 수신되고, RF 수신부(92b)에서 주파수 변환이나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에, OQPSK 복조기(92c)에 입력되어 복조되고, 그리고 복조된 신호는, I 채널, Q 채널로 분리되어, 상관치 연산부(93)로써, M 계열 직교 복조가 이루어진다.
이 상관치 연산부(93)는, 수신되는 복수의 지연 신호의 각각의 위상을 조정하여 그 위상 조정된 신호를 전부 합성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핑거 복조기(93a, 93b, 93c, 93d)와, 가산기(93e, 93f, 93e)를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송신 장치는, 변조 계통이 1계통임에도 불구하고, 수신 장치에서는, 복조 계통이 4계통의 복수로 되어 있다. 이 이유는, 멀티 패스페이징 등에 의한 복수의 지연파가 수신 장치로써, 수신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송신된 무선 신호는, 다른 경로를 통해, 수신 장치에 도래하기 때문에, 복수의 지연한 무선 신호가, 시간을 두고, 복조부(92)로 수신된다.
여기서, 핑거란, 소정의 지연 시간을 갖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장치 내의 회로를 의미하고, 이 무선 신호란, 복수의 지연한 무선 신호 중에서 서쳐(도시하지 않음)를 선택한 것을 말한다. 그리고, 복조부(92)가, 상기한 핑거에 상당하는 복수의 핑거 복조기를 설치함에 따라, 복조의 정밀도가 향상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관치 연산부(93)는, 4개의 핑거 복조기(93a, 93b, 93c, 93d)를 지니고, 적어도 4 방향으로부터 도래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수신 방법은, RAKE 수신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들 4개의 핑거 복조기(93a, 93b, 93c, 93d)에서, 각각 상관치(I2+Q2)의 계산이 이루어지고, 이들 핑거 복조기(93a, 93b, 93c, 93d)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가산기(93e, 93f, 93g)에서, 각각 다른 핑거 복조기로부터의 핑거 성분을 가산한다. 또한, 그 가산된 출력은, 최대치 선택부(MAXSEL 부 : 94)에 입력되어,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의 전부에 대해 계산되고, 그 중에서 최대치를 갖는 것이, 디인터리버(92d)로 입력되고, 이 디인터리버(92d)에서, 인터리브된 신호가 원래대로 복귀되고, 비터비 복호부(92e)에서 오류 정정되고나서, 복조 신호가 출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최대치 선택부(94)는, 상관치 연산부(93)로부터의 출력에 대해,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를 각각 계산하여, 상관 에너지치가 높은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재배열을 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최대치 선택부(94)에 있어서는, 상관치 연산부(93)로부터 출력되는 64 종류의 상관치(I2+Q2)로부터, 최대의 상관 에너지를 갖는 월쉬 인덱스 번호가 검출되고, 그리고 이 월쉬 인덱스 번호로부터 2진수 6심볼이 역감산되어가 되어, 복조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송신된 월쉬 심볼을 결정하는 방법은, 싱글 맥시멈(싱글 맥시멈) 판정 방법과 듀얼 맥시멈(Dual Maximum) 판정 방법이 있다. 이 싱글 맥시멈 판정 방법은, 1월쉬 심볼을 한번 통합하여 복조하는 방법으로서,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 중에서 최대치를 갖는 것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법이다. 즉, 싱글 맥시멈 판정 방법은, 판정의 척도로서, 상관 에너지라는 1개의 파라미터만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듀얼 맥시멈 판정 방법이란, 1월쉬 심볼(6 비트)을 통합하지 않고, 1심볼(1 비트)씩 복조하는 방법으로서, 2 종류의 최대치 정보를 판정 매트릭 산출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또, 이 듀얼 맥시멈 판정 방법의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면 United States Patent 5,442,627 Viterbi, et al. August 15, 1995에 개시되어 있다.
이어서, 이 듀얼 맥시멈 판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듀얼 맥시멈 판정 방법은, 쌍수 우도 판정(노이먼-피어슨 판정)을 근사한 판정 방법이고, 예를 들면 1월쉬 심볼 내의 제0 심볼에 대해, 수학식 1에서 정해지는 판정 매트릭 Λ(0)을 구한다.
여기서, ln은 자연쌍수를 나타내고, P0 0(E), P0 1(E)는 각각, 제0 심볼에 대해 수신측에서 상관 에너지 E가 관측되었을 때에, 송신된 제0 심볼이 “0”, “1”인 확률을 나타낸다. 또한, k는 자연수이다. 그리고, MaxEk 31 k=0은, 월쉬 인덱스 0∼월쉬 인덱스 31에 있어서 제0 심볼이 전부 0(000000∼011111)인 것에 주목하여, 상관치 (I2+Q2) 중 최대치를 선택하는 조작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MaxEk 63 k=32는, 월쉬 인덱스 32∼월쉬 인덱스 63에 있어서 제0 심볼이 전부 1(100000∼111111)인 것에 주목하여, 상관치(I2+Q2) 중 최대치를 선택하는 조작에 상당한다.
그리고, 이 듀얼 맥시멈 판정 방법은, 수학식 1에서 얻을 수 있는 Λ(0)의 정부의 결과에 따라, 제0 심볼을 “0” 또는 “1”이라고 판정하는 것이다. 또한, 물론이고, 후단에 접속된 비터비 복호부(92e)로 입력되는 신호는, 하드 판정 결과가 아니고, 극성과 진폭이 수비트에 양자화 스케일링된 값의 연판정 결과이다. 또한, 이 양자의 차의 정부에 따라, 우선 제0 심볼이 “0”, “1” 중 어느 쪽이 보다 확실할 것인지 결정되고, 또한 그 차의 크기에 따라, 그 판정의 신뢰도 정보(연판정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이 남은 제1 심볼∼제5 심볼까지 반복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된 설명으로부터, 제i 심볼(i=0∼5)의 연판정 정보인 판정 매트릭Λ(i)은, 수학식 2로 나타낸다.
또한, 싱글 맥시멈 판정 방법, 듀얼 맥시멈 판정 방법 중 모두, 연판정 비터비 복호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회선 품질이 향상한다. 또한, 싱글 맥시멈 판정 방법과 듀얼 맥시멈 판정 방법을 비교하면, 후자는 1심볼씩 복조하므로, 전자보다도, 회선 품질이 향상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듀얼 맥시멈 판정 방법은, 1월쉬 심볼마다, 그 제0 심볼의 값(0또는 1)에 따라, 상관 출력을 각각, 32개의 그룹으로 나눌 필요가 있다. 또한, 제0 심볼이 0의 32개의 그룹과 제0 심볼이 1의 32개의 그룹에 대해, 각각 상관 에너지 출력의 최대치를 선출해야하고, 많은 계산량이 필요하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그에 따른 회로 규모의 증대, 소비 전력의 증대 및 발열의 증대를 초래한다는과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싱글 맥시멈 판정 방법 및 듀얼 맥시멈 판정 방법을 이용하여 상관 에너지치의 최대치를 계산할 때에, 간결한 계산에 따라, 회로 규모의 삭감, 소비 전력의 저감 및 발열의 감소를 행할 수 있고, 또한 회로의 동작 속도의 고속화 및 채널의 다중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는, 소정수 비트로 이루어지는 송신해야 할 월쉬 심볼을 서로 다른 복수의 월쉬 코드로 변환하고나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를 계산하여 최대의 상관 에너지를 갖는 월쉬 코드를 판정하고, 그 월쉬 코드에 대응하는 소정수 비트를 복조 비트로서 출력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로서, 모든 월쉬 코드를 역변환하여 얻어진 월쉬 심볼을 유지할 수 있는 기억 수단과,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의 값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을 갖는 월쉬 심볼을 기억 수단에 기입하는 재배열 수단과, 재배열 수단에 의해 기억 수단에 기입된 월쉬 심볼 중 선두에 위치하는 제1 월쉬 심볼 내의 특정 위치의 비트를 2번째 이후에 위치하는 월쉬 심볼 내의 동일 위치에 있는 비트와 순차 비교하고, 그 비트치가 제1 월쉬 심볼의 특정 위치의 비트치와 처음으로 다른 부호 변화점을 검출함으로써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고, 그 판정 매트릭을 월쉬 심볼 내의 소정수 비트의 전부에 대해 생성하여 연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을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1).
또한, 그 재배열 수단은,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치를 큰 순서대로 재배열하여 그 상위로부터 소정의 순위 내에 기입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청구항2).
그리고,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은, 부호 변화점이 있는 경우에는, 부호 변화점에서의 월쉬 심볼인 제2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기초하여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도록 포함되어도 좋고(청구항3), 또한 제2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수로서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도록 포함되어도 좋고(청구항4), 제2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재배열 수단에 의해 첨부된 재배열 순위의 차분치를 승산하여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도록 포함되어도 좋고(청구항5), 또한 제2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재배열 수단에 의해 첨부된 재배열 순위의 차분치를 가산하여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도록 포함되어도 좋다(청구항6).
또한,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은, 부호 변화점이 없는 경우에는, 소정의 상관 에너지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기초하여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도록 포함할 수 있고(청구항7), 그 소정의 상관 에너지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라도 좋고(청구항 8),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웨이팅 계수를 승산한 것이라도(청구항9), 0이라도 좋다(청구항10).
또한, 월쉬 심볼에 대해, 월쉬 심볼 내의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0인 제1 그룹과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1인 제2 그룹으로 나누는 분리 수단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대해 가산하여 제1 총합치를 출력함과 함께, 제2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대해 가산하여 제2 총합치를 출력하는 가산 수단을 갖추고,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이, 가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총합치 및 제2 총합치를 사용하고, 제1 총합치로부터 제2 총합치를 감산한 값을 판정 매트릭으로서 생성하도록 포함되어도 좋다(청구항11).
그리고, 그 가산 수단은, 제1 총합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단순 가산한 값으로서 출력함과 함께, 제2 총합치를,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단순 가산한 값으로서 출력하도록 포함되어도 좋고(청구항12), 또한 제1 총합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재배열 수단에 의해 재배열된 순위값을 가산하여 그 가산된 것을 제1 그룹에 속하는 것 전부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제2 총합치를,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재배열된 순위값을 가산하여 그 가산된 것을 제2 그룹에 속하는 것 전부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되어도 좋다(청구항13).
또한, 그 가산 수단은, 제1 총합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재배열 수단에 의해 재배열된 순위값을 승산하여 그 승산된 것을 제1 그룹에 속하는 것 전부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제2 총합치를,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재배열 순위값을 승산하여 그 승산된 것을 제2 그룹에 속하는 것 전부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되어도 좋고(청구항14), 또한 제1 총합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 갯수를 가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제2 총합치를,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값에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 갯수를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되어도 좋다(청구항15). 또한, 그 가산 수단은, 제1 총합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 갯수를 승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제2 총합치를,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 갯수를 승산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되어도 좋다(청구항16).
그리고, 상기한 재배열 수단이, 직전의 판정 매트릭의 정부의 부호치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 표시 수단을 설치하고, 재배열 수단이, 상위로부터 소정의 순위에 속하는 것 중 상태 표시 수단이 표시하는 부호치에 기초하여 선택된 선택 범위에 기입하도록 구성되어도 좋고(청구항17), 그 선택 범위가, 월쉬 심볼의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직전에 수신된 부호치와 동일한 월쉬 심볼의 범위라도 좋다(청구항18).
또한, 상기한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의 후단에, 판정 매트릭과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판정 매트릭을 출력하는 판정 매트릭치 비교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청구항19).
그리고, 그 판정 매트릭치 비교 수단이, 판정 매트릭을, 판정 매트릭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때에는 하드 판정 결과로서 출력함과 함께, 판정 매트릭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을 때는 연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도록 포함되어도 좋고(청구항20), 판정 매트릭을, 판정 매트릭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때는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로서 출력함과 함께, 판정 매트릭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을 때는 연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도록 포함되어도 좋다(청구항21).
또한, 그 판정 매트릭치 비교 수단이, 판정 매트릭을,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소정의 제2 임계치 이상일 때에는 하드 판정 결과로서 출력함과 함께,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제2 임계치보다 작을 때는 연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도록 포함되어도 좋고(청구항22), 판정 매트릭을,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소정의 제2 임계치 이상일 때는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로서 출력함과 함께,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소정의 제2 임계치보다 작을 때는 연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도록 포함되어도 좋다(청구항23).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핑거 복조기와 최대치 선택부와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최대치 선택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배열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의 구성도.
도 7은 월쉬 인덱스와 월쉬 심볼과의 대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위 8개의 월쉬 심볼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스트 8개 재배열 및 추출의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제2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제3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0은 리버스 링크의 기능 블록도.
도 21은 (a)는 입력 신호의 데이터 포맷도이고, (b)는 비터비 부호화된 신호의 데이터 포맷도이고, (c)는 1심볼의 데이터 포맷도이고, (d)는 아다마르 변환된 데이터 포맷도이고, (e)는 64 비트로 변환된 데이터 포맷도이고, (f)는 PN 부호를승산된 후의 데이터 포맷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 : 수신 장치
20, 21, 22 : 수신 전단부
20a, 21a, 22a, 50f : 안테나
20b, 21b, 22b : RF 수신부
20c, 21c, 22c : OQPSK 복조기
23 : 상관치 연산부
23a : 신호 선택부
23b : 서쳐
24a, 24b, 24c, 24d : 핑거 복조기
25a, 25b, 25c : 가산기
26 : 최대치 선택부
27 : 디인터리버
28 : 비터비 복호부
30a : 역 확산부
30b : FHT부
30c, 30d, 30e : 상관 에너지 계산부
31 : 재배열부
31a : 입력 에너지 메모리
31b : 에너지 비교부
31c, 31d : 보유부
31e : 순위 메모리
31f : 출력 에너지 메모리
31g : 월쉬 인덱스 메모리
32 :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
32a : 연판정 매트릭 계산부
32b : 연판정 매트릭 메모리
40, 40′: 기억부
50 : 송신 장치
50a : 비터비 부호화부
50b : 인터리버
50c : M 계열 직교 변조부
50d : OQPSK 변조부
50e : RF 송신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A)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도 1에 도시된 송신 장치(50)는, 6 비트로 이루어지는 송신해야 할 월쉬 심볼을 서로 다른 64 종류의 월쉬 코드로 변환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서, 비터비 부호화부(50a), 인터리버(50b), M 계열 직교 변조부(M-array 직교 변조부)(50c), OQPSK 변조부(50d), RF 송신부(50e), 안테나(50f)를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비터비 부호화부(50a)는 입력되는 신호를 비터비 부호화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입력되는 신호를 컨볼루션 처리하여 패리티를 부가하는 것이다. 또한, 인터리버(50b)는 비터비 부호화부(50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버스트적인 에러에 대해 강고하게 하기 위해 인터리브 처리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M 계열 직교 변조부(50c)는, 인터리버(50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M 계열 직교 변조하는 것으로서, 6 비트로 이루어지는 월쉬 심볼을 64 비트 길이의 월쉬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즉, 송신해야 할 데이터는, 6 비트마다 통합되어 1월쉬 심볼로서 변조되고, 또한 이 변환에 의해 채널 다중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또한, OQPSK 변조부(50d)는, M 계열 직교 변조부(50c)로부터 출력되는 64 비트 길이의 월쉬 코드를 OQPSK 변조하는 것이고, RF 송신부(50e)는, OQPSK 변조부(50d)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대역 제한하여 증폭하는 것이고, 또한 안테나(50f)는, RF 송신부(50e)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또, 비터비 부호, 인터리브, OQPSK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따라, 입력 신호는, 비터비 부호화부(50a)에서, 비터비 부호화되고, 인터리버(50b)에서, 인터리브 처리되고, M 계열 직교 변조부(50c)에서, 그 인터리브된 신호는, 직교 변조되고, 또한 그 출력은, OQPSK 변조부(50d)에서 OQPSK 변조되어, 무선 신호는, RF 송신부(50e)로부터 안테나(50f)를 통해 무선 전파로에 송출된다.
그리고, 송신된 무선 신호는, 멀티 패스페이징 등에 의해, 다른 경로를 통해 전파하고, 수신측에서는 복수의 지연한 무선 신호가, 시간을 두고 수신된다. 또, 이 도 1에 도시된 송신 장치(50)는, 후술된 제1 실시예의 각 변형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도, 동일 구성이다. 또한, 이하, 내림 회선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월쉬 인덱스와 월쉬 심볼과의 대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 7에 도시된 표의 우단의 열에, 월쉬 인덱스(Walsh Index)가 첨부되고, 0∼63의 월쉬 인덱스에 대응하는 월쉬 심볼(6 부호화 심볼)이, 6th Symbol과 첨부된 열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0 심볼이 0인 것은, 1st Symbol이라고 첨부된 열에 있어서, 0xxxxx라고 표시되어 그룹으로 분류되고, 또한 제0 심볼이 1의 것은, 1st Symbol과 첨부된 열에 있어서, 1xxxxx라고 표시되어 그룹으로 분류된다. 또, 여기서, x는 0 또는 1로서, don’t care를 나타내고, 2nd Symbol, 3rd Symbol, 4th Symbol, 5th Symbol과 첨부된 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도 2에 도시된 수신 장치(19)는, 6 비트로 이루어지는 송신해야 할 월쉬 심볼을 서로 다른 복수의 월쉬 코드로 변환하고나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직교 복조하는 것으로서, 수신 전단부(20, 21, 22)와, 상관치 연산부(23)와, 최대치 선택부(26)와, 디인터리버(27)와, 비터비 복호부(28)를 포함되어 있다. 또, 이 도 2에 도시된 수신 장치(19)는, 후술된 제1 실시예의 각 변형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구성이다.
여기서, 수신 전단부(20)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변환이나 필터링을 행하고나서 OQPSK 복조된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0a)와, 안테나(20a)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하는 RF 수신부(20b)와, RF 수신부(20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OQPSK 복조하여 복조를 출력하는 OQPSK 복조기(20c)를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신호는 이 수신 전단부(20)의 안테나(20a)로 수신되고, 그 안테나(20a)로부터의 출력은, RF 수신부(20b)에서 수신 처리되고나서, OQPS 복조기(20c)에서, OQPSK 복조된다. 그리고, 복조된 신호가, I채널, Q채널로 각각 분리되어, 상관치 연산부(23)로 입력된다.
또한, 수신 전단부(21), 수신 전단부(22)는, 각각 수신 전단부(20)와 동일한 것이므로, 그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그것보다 많은 수신 전단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수신 전단부(21, 22) 각각으로부터, 복조된 신호가, 상관치 연산부(23)로 입력된다.
이어서, 상관치 연산부(23)는, 수신 전단부(20, 21, 22)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복수의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수신 신호의 위상을 동일 위상이 되도록 조정하고, 이들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신호 선택부(23a)와, 서쳐(23b)와, 핑거 복조기(핑거 복조부 : 24a, 24b, 24c, 24d)와, 가산기(25a, 25b, 25c)를 포함되어 있다.
이 신호 선택부(23a)는, 수신 전단부(20, 21, 22)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복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후단의 핑거 복조기(24a, 24b, 24c, 24d) 각각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서쳐(23b)는, 신호 선택부(23a)와, 핑거 복조기(24a, 24b, 24c, 24d)의 각각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4개의 핑거 복조기(24a, 24b, 24c, 24d)는 각각, 신호 선택부(23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상관 에너지치의 계산을 행하는 것이고, 또한 가산기(25a, 25b, 25c)는, 각각 핑거 복조기(24a, 24b,24c, 24d)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각각 다른 핑거 복조기로부터의 핑거 성분을 가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멀티 패스페이징 등에 의해, 송신된 무선 신호는,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이 수신 장치(19)에 도래한다. 그리고, 수신 전단부(20, 21, 22) 각각에 있어서, 각 지연 신호가 수신 처리되어, 상관치 연산부(23)로 입력된다.
또한, 이들 핑거 복조기(24a, 24b, 24c, 24d)에 의해, 적어도 4 방향의 지연 신호가, 위상 조정되어 합성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정밀도가 좋은 복조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수신 신호의 조정은, 신호 선택부(23a), 서쳐(23b)가 협동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어서, 상관치 연산부(23)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최대치 선택부(MAXSEL부 : 26)로 입력된다. 이 최대치 선택부(26)는, 상관치 연산부(23)로부터의 출력에 대해, 64 종류의 월쉬 심볼의 각각에 대해 상관 에너지를 계산하고, 그 상관 에너지치가 큰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재배열을 행하여, 그 중에서 최대의 값을 갖는 것을 선출하는 것이다.
즉, 이 최대치 선택부(26)는, 상관치 연산부(23)로부터 출력되는 64 종류의 상관치(I2+Q2)로부터, 최대의 상관 에너지를 갖는 월쉬 인덱스 번호를 검출하고, 이 월쉬 인덱스 번호로부터 2진수 6심볼을 역감산하여, 복조 결과를 얻게 되어 있다. 이 최대치 선택부(26)는, 재배열부(31)와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로 이루어지고, 이들 재배열부(31)와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그리고, 디인터리버(27)는, 이 최대치 선택부(26)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신호를, 디인터리버하는 것으로서, 인터리브된 신호를 원래대로 복귀하는 것이다. 또한, 비터비 복호부(28)는, 디인터리버(27)로부터의 신호에 대해, 오류 정정을 행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핑거 복조기(24a)와 최대치 선택부(26)와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 도 3에 도시된 핑거 복조기(24a)는, 역 확산부(30a)와, FHT(Fast Hadamard Transform)부(30b)와, 상관 에너지 계산부(30c, 30d, 30e)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후술된 제1 실시예의 각 변형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여기서, 역 확산부(30a)는, OQPSK 복조된 I 채널과 Q 채널의 각각에 대해, 송신되었을 때에 사용된 PN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승산하는 것이다. 또, 이 역 확산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FHT부(30b)는 역 확산부(30a)로부터 출력되는 I 채널과 Q 채널에 대해, 아다마르 역 변환을 행하여, 64 종류의 월쉬 인덱스 Wj마다의 상관 전력(Eich(j), Eqch(j))을 계산하는 것이다. 여기서, j는, 0으로부터 63까지의 정수를 나타내는 인덱스 카운터이다.
또한, 상관 에너지 계산부(30c)는, FHT 부(30b)로부터 출력되는 I 채널과 Q 채널에 대한 상관 전력(Eich(0), Eqch(0))으로부터, 입력 신호의 위상 성분을 제거한 상관 에너지 E(0)를 출력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관 에너지 계산부(30d)는,FHT부(30b)로부터 출력되는 I 채널과 Q 채널에 대한 상관 전력(Eich(1), Eqch(1))로부터, 입력 신호의 위상 성분을 제거한 상관 에너지 E(1)를 출력하는 것이고, 또한 마찬가지로 상관 에너지 계산부(30e)는, FHT부(30b)로부터 출력되는 I 채널과 Q 채널에 대한 상관 전력(Eich(63), Eqch(63))으로부터, 입력 신호의 위상 성분을 제거한 상관 에너지 E(63)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 핑거 복조기(24b, 24c, 24d)(도 2 참조)도, 이 핑거 복조기(24a)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가산기(25a)는, 핑거 복조기(24a)외의 다른 핑거 복조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상관 에너지 E(0)를 가산하여, 합성 상관 에너지 Ei(0)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가산기(25b)는, 핑거 복조기(24a)외의 다른 핑거 복조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상관 에너지 E(1)를 가산하여, 합성 상관 에너지 Ei(1)를 출력하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가산기(25c)는, 핑거 복조기(24a) 이외의 다른 핑거 복조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상관 에너지 E(63)를 가산하여, 합성 상관 에너지 Ei(63)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FHT 부(30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월쉬 인덱스의 전부에 대해, 다른 핑거 복조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관 에너지가 가산되므로, 정밀도가 높은 복조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합성 상관 에너지 Ei(0), …, Ei(63)는, 도 3에 도시된 최대치 선택부(26)에 입력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최대치 선택부(26)의 구성도이다. 이 도 4에 도시된 최대치 선택부(26)는, 6 비트로 이루어지는 송신해야 할 월쉬 심볼을 서로 다른 64 종류의 월쉬 코드로 변환하고나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를 계산하여 최대의 상관 에너지를 갖는 월쉬 코드를 판정하고, 그 월쉬 코드에 대응하는 6 비트를 복조 비트로서 출력하는 것으로서,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이 최대치 선택부(26)는, 재배열부(Best n 재배열 추출부 : 31)와,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를 포함되어 있다. 또한, 재배열부(31)와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는 각각, 기억부(40, 40′)를 갖는다.
여기서, 재배열부(31)는,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의 값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을 갖는 월쉬 심볼을 기억부(40)에 기입하는 것이다. 이 소정의 조건이란, 재배열부(31)가,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치를 큰 순서대로 재배열하여 그 상위로부터, 예를 들면 8위 이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위 8위에 있는 것이 기억부(40)에 기입된다고 하지만, 추출하는 갯수는, 상위 8위로는 한정되지 않고, 64차의 월쉬 계열(Walsh 계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출하는 갯수는, 1∼64의 어느 한 수를 선택해도 연판정 매트릭의 계산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그 갯수는, 2승 외에, 그 이외의 1∼64의 갯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최대의 상관 에너지를 갖는 심볼을, 제1 월쉬 심볼, 최상단에 위치하는 월쉬 심볼, 혹은 선두에 위치하는 월쉬 심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 : 32)는, 재배열부(31)에 의해 기억부(40)에 기입된 월쉬 심볼 중 선두에 위치하는 제1 월쉬 심볼 내의 특정 위치의 비트를 2번째 이후에 위치하는 월쉬 심볼 내의 동일 위치에 있는 비트와 순차 비교하고, 그 비트치가 제1 월쉬 심볼의 특정 위치의 비트치와 처음으로 다른 부호 변화점을 검출함으로써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고, 그 판정 매트릭을 월쉬 심볼 내의 6 비트의 전부에 대해 생성하여 연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 이 도 4에 도시된 n은 n=0∼7되는 정수이고, 또한 이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후술된 제1 실시예의 각 변형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이 최대치 선택부(26)에는, 64 종류의 월쉬 인덱스 Wj와 이들의 월쉬 인덱스 Wj에 수반하는 상관 에너지 Ei(j)가 입력된다. 또, j=0∼63되는 정수로서, 상기된 인덱스 카운터에 상당한다. 그리고, 재배열부(31)로써, 64 종류의 월쉬 심볼 중에서, 상관 에너지 Ei(j)의 크기 순으로, 상위 8위(이후의 설명 중에서 베스트 8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이내에 들어가는 월쉬 심볼이 출력된다.
또한, 이들 베스트 8개의 월쉬 인덱스 W0∼W7과 이들의 월쉬 인덱스 W0∼W7에 수반하는 상관 에너지 EO(0)∼EO(7)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정보가, 각각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에 입력되고, 판정 매트릭이 계산되는 것이다. 또, 여기서, 첨자 i는, 입력을 나타내는 i이고, 첨자 o는, 아웃풋을 나타내는 o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배열부(31)의 구성도이다. 이 도 5에 도시된 재배열부(31)는, 입력 에너지 메모리(31a)와, 에너지 비교부(31b)와, 보유부(31c, 31d)와, 순위 메모리(31e)와,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와, 월쉬 인덱스 메모리(Walsh No 메모리 : 31g)를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들 입력 에너지 메모리(31a), 보유부(31c, 31d), 순위 메모리(31e),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 월쉬 인덱스 메모리(31g)는, 모든 월쉬 코드를 역 변환하여 얻어진 월쉬 심볼을 유지할 수 있는 기억부(40)로서 기능하고 있고, 또한 이 기능은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에너지 비교부(31b)는 가령,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RAM이 각각 협동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된다. 또, 이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후술된 제1 실시예의 각 변형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입력 에너지 메모리(31a)는, 64 종류의 입력된 상관 에너지 Ei(0) ∼Ei(63)의 값을 유지하는 것이고, 또한 에너지 비교부(31b)는, 입력 에너지 메모리(31a)에 기입된 상관 에너지 Ei(0)∼Ei(63)의 값을, 상위 8위 내의 월쉬 심볼의 값과 비교하여, 입력된 상관 에너지의 값이, 상위 8위 내의 월쉬 심볼의 값보다도 크면, 새롭게 그 입력된 월쉬 심볼을 상위 8위 내에 기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유부(31c)는, 일시적(템포러리)인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를 유지해 두기 위한 것으로, 이하의 설명 중에서, 보유부 FF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보유부(31d)는, 현재 계산하고 있는 월쉬 심볼 내의 제0∼제5 심볼 중 어느한 값에 대해, 0 또는 1을 유지해 두기 위한 것으로, 이하의 설명 중에서, 보유부 FF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 보유부 FF1은, 후술된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 가산 연산 등의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보유부 FF2는, 일시적으로 월쉬 인덱스의 값이나, 가산 연산 등의 연산 결과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순위 메모리(31e)는, 예를 들면 8 종류의 값에 대해, 그 순위를 월쉬 인덱스에 의해 유지하는 것이고, R(0)∼R(7)에, 각각 월쉬 인덱스가 기입된다. 또한,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는, 예를 들면 선택된 8 종류의 월쉬 심볼에 대해 계산된 상관 에너지 EO(0)∼EO(7)의 값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월쉬 인덱스 메모리(31g)는, 선택된 8 종류의 월쉬 심볼에 대해, 그 월쉬 인덱스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관 에너지 Ei(0), Ei(1), …, Ei(63)와 그 상관 에너지에 대응하는 월쉬 인덱스 W0, W1, …, W63의 쌍이, 입력 에너지 메모리(31a)에, 기입된다. 그리고, 에너지 비교부(31b)는, 보유부(31c)에 템포러리의 상관 에너지의 최대치를 기입하고, 또한 보유부(31d)에 최대의 상관 에너지의 월쉬 심볼의 제0 심볼이 기입된다.
이어서, 에너지 비교부(31b)는, 상관 에너지치의 상위 8개를 선출하고, 순위 메모리(31e)에, 그 베스트 8개의 월쉬 인덱스를 기입하고, 또한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에, 그 베스트 8개의 상관 에너지치를 기입하고, 또한 월쉬 인덱스메모리(31g)에, 베스트 8개의 월쉬 인덱스를 기입한다.
그리고, 에너지 비교부(31b)는, 예를 들면 상관 에너지 Ei(0)를,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에 기입되어 있는 각 값과 순차 비교하여, Ei(0)가 베스트 8개보다도 작으면, Ei(0)의 다음의 Ei(1)의 비교를 행한다. 또한, 에너지 비교부(31b)는, Ei(0)가 베스트 8개 중에 들어가는 값을 갖으면,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 내에 기입되어 있는 순서를 어긋나게 하여, Ei(0)를 새롭게 기입하고, 또한 순위 메모리(31e) 내에 기입되어 있는 순서도 어긋나게 하여, 새로운 순서를 표시한다.
계속하여, Ei(1)∼Ei(63)의 처리가 마찬가지로 행해지고, 상관 에너지가 큰 순서대로 월쉬 인덱스가 재배열되어, 베스트 8개의 상관 에너지 E0(0), E0(1), …, E0(7)와 그 상관 에너지에 대응하는 월쉬 인덱스 W0, W1,…, W7의 쌍이, 각각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와 순위 메모리(31e)에 기입되고, 각 메모리의 내용이 갱신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조작을 1루프로 하여, 1월쉬 심볼 내의 남은 5 비트에 대해, 마찬가지로 판정 매트릭이 계산된다.
또, 이 조작은, 상관 에너지치가 큰 쪽이 정확한 월쉬 심볼을 포함한다고 하고, 또한 베스트 8개외의 것을 판정 매트릭 선택의 계산 대상밖으로 하여, 수학식 3에 상당하고 있다. 여기서, Λ(0)는, 제0 심볼의 연판정 정보인 판정 매트릭을 나타낸다.
여기서, ln은 자연쌍수를 나타내고, P0 0(E), P0 1(E)은 각각, 제0 심볼에 대해 수신측에서 상관 에너지 E가 관측되었을 때에, 송신된 제0 심볼이 “0”, “1”인 확률을 나타낸다. 또한, k는 자연수이다. 그리고, MaxEk 31 k=0은, 상관치 (I2+Q2) 중 최대치를 선택하는 조작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MaxEk 63 k=32는, 상관치(I2+Q2) 중 최대치를 선택하는 조작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재배열부(31)는, 기억 내용을 분산시켜,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치 등에 대해, 개별로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판정 매트릭의 계산에 있어서, 대폭으로 계산량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의 구성도이다. 이 도 6에 도시된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는, 순위 메모리(31e)와,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와, 월쉬 인덱스 메모리(31g)와, 보유부(31c, 31d)를 갖추는 것 외에, 연판정 매트릭 계산부(32a)와, 연판정 매트릭 메모리(32b)를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순위 메모리(31e)와,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와, 월쉬 인덱스 메모리(31g)와, 보유부(31c, 31d)에 대해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므로, 또 다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연판정 매트릭 계산부(32a)는, 판정 매트릭으로서, 연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것으로, 이 기능은 예를 들면 CPU와 RAM이 각각 협동함으로써 그 기능이 발휘된다. 그리고, 연판정 매트릭 메모리(32b)는, 1월쉬 심볼 내의 6 종류의 제0 심볼∼제5 심볼에 대한 판정 매트릭 Λ(i)을 유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RAM으로 이루어진다. 또, i는 i=0∼5되는 정수인 비트 카운터이다. 또한, 이 도 6에 도시된 구성은, 후술된 제1 실시예의 각 변형예 및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다.
이어서,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에서의 계산 방법을 도 6 및 도 8의 2 종류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위 8개의 월쉬 심볼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 8에는, 상관 에너지 Ek가 큰 순서대로, 8개의 월쉬 심볼(6 부호화 심볼)이 도시되어 있고, 가장 우단에 월쉬 인덱스가 나타내어져 있다. 즉, 월쉬 인덱스 10은 0, 0, 1, 0, 1, 0이고, 월쉬 인덱스 2는 0, 0, 0, 0, 1, 0이고, 월쉬 인덱스 19는 0, 1, 0, 0, 1, 1이고, 월쉬 인덱스 35는 1, 0, 0, 0, 1, 1이고, 월쉬 인덱스 42는 1, 0, 1, 0, 1, 0이고, 월쉬 인덱스 18은 0, 1, 0, 0, 1, 0이고, 월쉬 인덱스 46은 1, 0, 1, 1, 1, 0이고, 월쉬 인덱스 27은 0, 1, 1, 0, 1, 1이고, 각각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k는, 순위값을 나타내는 순위 카운터이고, k=0∼7되는 정수이다. 또한, W0 k∼W5 k는, 각각 1월쉬 심볼내의 제0 심볼∼제5 심볼을 나타낸다. 이 도 8에 도시된 Ek의 값으로부터, 가장 값이 큰 것은, 월쉬 인덱스(10) 및 월쉬 인덱스 2의 2 종류이다. 또, 후술된 제1 실시예의 각 변형예 및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도, 이 도 8에 나타낸 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는, (i) 부호 변화점이 있을 때와, (ii) 부호 변화점이 없을 때, 처리 방법이 다르고, 다음과 같이 함으로써 행해진다.
(i) 부호 변화점이 있을 때의 처리 방법
우선, 부호 변화점이 있는 경우에는, 부호 변화점에서의 월쉬 심볼인 제2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기초하여 판정 매트릭을 생성한다.
이 도 8에 도시된 최상단의 월쉬 심볼 001010 중, 제0 심볼에 대해, a라고 붙인 열 중에서 W0 k(k=0∼7)의 부호 변화점을 탐색한다. 예를 들면 k=0으로부터 k=2에서는 0이고, k=2로부터 k=3이 될 때에 1로 변화하고, 부호 변화점의 순위값은 k=3이 된다.
그리고, W0 0이 0일 때에는,
Λ(0) = E0-Ek
로 한다. 여기서, k′는 부호 변화시의 순위값이다. 예를 들면,
Λ(0) = E0-E3=751-210= 541
또한, W0 0이 1일 때에는,
Λ(0) = Ek′-E0
으로 계산하여, 이 Λ(0)가, 연판정 매트릭 메모리(32b)에 기입되고, 이Λ(0)가 제0 심볼의 판정 매트릭으로서 출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0 심볼이 많아도 7개의 심볼과 비교될 뿐으로, 연판정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회로 규모를 대폭 간략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조작이, 남은 제1∼제5 심볼로 반복하여 적용됨으로써, 1월쉬 심볼 모든 연판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대치 선택부(26)는, 한번 상관 에너지순으로 월쉬 심볼을 재배열하고, 그 재배열된 각 월쉬 심볼에 대한 특정한 심볼의 부호 변화점을 찾을 뿐으로 판정 매트릭을 구하므로, 계산량이 감소한다. 또한, 부호 변화점이 빠르게 나타나면, 그 만큼 계산량이 감소하고, 32개 모두를 검색하여 최대치를 골라낼 필요가 없게 되므로, 계산량의 감소가 한층 용이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k=0의 상관 에너지와 부호 변화점의 상관 에너지가 동일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즉, 제2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수로서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는 것이다.
도 8의 표 중에서 c를 붙인 열에 있어서, 부호 변화점은, k=1이지만, 이 k=1의 상관 에너지는, k=0의 상관 에너지와 동일한 751이다. 이 경우의 처리는 다음의 ①, ②와 같다.
① 통상의 처리와 동일한 계산을 한다.
즉 0을 출력한다. Λ(2) = 0
② 웨이팅 계수 A를 출력한다.
최상단의 월쉬 심볼 내의 심볼이 0일 때에는, 예를 들면 Λ(2) = A로 하고, 또한 최상단의 월쉬 심볼내의 심볼이 1일 때에는, 예를 들면 Λ(2) = -A로 한다.또한, A=1이면, Λ(2)=-A=-1로 한다.
(ii) 부호 변화점이 없는 경우의 처리 방법
도 8에 나타낸 표의 e라고 표시된 열과같이, 8개의 심볼치가 전부 동일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즉,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는, 부호 변화점이 없는 경우에는, 소정의 상관 에너지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기초하여 판정 매트릭을 생성한다. 이 소정의 상관 에너지의 설정 방법은, 다음의 ①로부터 ③에 도시된 3 종류 방법으로부터 선택된다.
① k=0의 상관 에너지 E0를 그대로 출력하는 처리 방법
② k=0의 상관 에너지 E0에 웨이팅 계수를 승산한 것을 출력하는 처리 방법
③ 0을 출력하는 처리 방법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① k=0의 상관 에너지 E0을 그대로 출력하는 처리 방법
소정의 상관 에너지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인 방법이다. W0 0이 0일 때에는, Λ(5)=E0=751이 출력되고, 또한 W0 0이 1일 때에는, Λ(5)=-E0=-751이 출력된다.
② k=0의 상관 에너지 E0에 웨이팅 계수를 승산한 것을 출력하는 처리 방법
소정의 상관 에너지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웨이팅 계수를 승산한 방법이다. W0 0이 0일 때에는, Λ(5) = A×E0이 출력되고, W0 0이 1일 때에는, Λ(5) =-A×E0이 출력된다. 또한, W0 0이 1일 때에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A는 웨이팅 계수이다.
A = 1/2일 때에는, Λ(5)= -A×E0=-1/2×751≒-376
A = 2일 때에는, Λ(5) = -A×E0=-2×751=-1502
③ 0을 출력하는 처리 방법
소정의 상관 에너지가, 0이라는 방법으로서, ②에 있어서, A=0인 경우에, Λ(0) = 0으로 하는 것이다.
또,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가 행하는 상기된 제0 심볼에 대한 연산은, 수학식 4에 나타낸 계산에 상당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베스트 8개를 이용한 판정 매트릭의 계산이 이루어진다. 우선,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의 값이,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에 저장되어 있는 값의 전부보다도 큰 경우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스트 8개 재배열 및 추출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9에 도시된 기호 j, k는, 각각 상기한 인덱스 카운터 j, 순위값 k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프로그램의 루프 횟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우선, 스텝 A1에서, 메모리 초기화(1)가 행해지고, 순위 메모리(31e)의 값이 R(0)=0, R(1)=1, R(2)=2, …, R(7) = 7로 설정됨과 함께,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의 값 Eo(0), Eo(1), …, Eo(7)의 모두가 0이 되고, 0으로부터 63까지의 루프 횟수를 나타내는 j가 0이 된다. 그리고, 스텝 A2에서, 메모리 초기화(2)가 이루어지고, k=7로 설정된다. 여기서, k는 0으로부터 7의 값을 취하고, 베스트 8개의 값에 상당한다.
그리고, 스텝 A3에서,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 Ei(0)와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 내의 상관 에너지 Eo(k)의 비교가 행해져,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가 상위 8개의 상관 에너지보다도 큰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A5에서, k=6이 되고, 스텝 A6에서, 8개 전부에 대해 비교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이루어진 후에, NO 루트를 취하고, 재차 스텝 A3에서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텝 A3, A5, A6의 처리가 반복되어,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가 가장 큰 경우에는, 스텝 A6에서,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A4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스텝 A4에서, 프로그램 상 k=-1이 되어 있으므로,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A7에서, 보유부 FF1이 -1로 되고, 또한 보유부 FF2가 7이 된다. 또한, 스텝 A8에서, 순위 메모리(31e) 내의 순서의 재배열이 행해진다. 즉, 순위 메모리의 내용의 R(7)∼R(-1+1)이 큰 쪽으로 어긋나게 되고, 그리고 스텝 A9에서,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의 최대치에,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의 값이 기입됨과 함께, 월쉬 인덱스 메모리(31g)에 월쉬 인덱스(0)가 기입된다.
또한, 스텝 A10에서, R(0)에 7이 저장되고, 스텝 A11에서, 64 종류의 전부가 검색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되어,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A12에서, j가 인크리먼트되어, 재차 스텝 A2로부터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어서,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의 값이,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에 저장되어 있는 값의, 예를 들면 제7위가 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현재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에 저장되어 있는 값 중, 제7위와 제8위와 비교되었을 때에, 이들과 교체하게 된다.
즉, k=7, 6에 대해, 스텝 A3, A5, A6의 루프가 반복되고, 스텝 A3에서, k=5에서 조건이 매치하여, YES 루트가 취해진다. 그리고, 스텝 A4에서, k=5이므로,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A7에서, 보유부 FF1이 5가 되고, 또한 보유부 FF2가 7이 된다. 또한, 스텝 A8에서, 순위 메모리(31e) 내의 순서의 재배열이 행해지고, 순위 메모리 R(7)∼R(5+1)이 큰 쪽으로 어긋나게 되고, 스텝 A9에서,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의 제7위에,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의 값이 기입됨과 함께, 월쉬 심볼에,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의 월쉬 인덱스가 기입되고, 스텝 A10에서, 순위 메모리(31e)의 R(5+1)에, 제7위의 월쉬 인덱스가 저장된다.
이어서,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의 값이,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에 저장되어 있는 값의 전부보다도 작은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스텝 A3, A5, A6의 루프는 한번도 실행되지 않으므로, k=7인 상태이다. 그리고, 스텝 A3에서,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A4에서, 이 k가 7이므로,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A11이 실행된다. 즉,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 내에 기입되는 값은, 입력되는 상관 에너지 이하의 것이 없게 된다.
이후, j에 대해, j=63까지 반복하여 동일한 처리가 행해져, j가 최후의 63이 되었을 때에, 스텝 A11에서,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A11y에서, 다음의 베스트 8개의 추출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와, 월쉬 인덱스 메모리(31g)와, 순위 메모리(31e)가 설치되어, 64개의 월쉬 심볼 전부에 대해, 베스트 8개에 들어가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관 에너지가 큰 것으로부터, 베스트 8개가 선출되고, 그 중에서만 계산이 행해지므로, 계산량이 대폭 삭감되어, 회로 규모의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동작 속도의 고속화가 도모되어, 채널 다중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추출 갯수를 8개로 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 추출 갯수를 16로 하면, 64 종류의 모두에 대해 계산을 행한 경우와 거의 동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제1 실시예의 각 변형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 있어서, i, j, k는, 각각 상기한 비트 카운터 i, 인덱스 카운터 j, 순위값 k에 상당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프로그램의 루프 횟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 도 10에 도시된 스텝 B1에서, 메모리 초기화(1)가 이루어지고, i(i = 0∼5)가 0이 되어, 제0 심볼에 대해, 베스트 8개가 기억되는 월쉬 심볼 내의 동일한 월쉬 심볼 위치의 비트와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우선, 스텝 B2에서, k(k=0∼7)가 0이 되고, 스텝 B3에서, 최대의 상관 에너지가 기억된다. 즉, 보유부 FF1에 템포러리의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저장되고, 보유부 FF2에 그 월쉬 심볼이 저장된다. 이어서, 스텝 B4에서, i=0에 대한 부호 변화점이 검색되어, 부호 변화점이 있는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B5에서, 월쉬 심볼의 비트치가 판정된다.
이 스텝 B5에서, 그 비트치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B6에서, Λ(0)가 최대의 상관 에너지로부터 부호 변화점에서의 에너지를 감산됨으로써 계산되고, 스텝 B7에서, 그 Λ(0)가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여기서 Λ(0)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B8에서, Λ(0)에 웨이팅 계수 A가 설정되지만, 스텝 B7에서, 0이 아니면, NO 루트를 취하고, 모두 스텝 B12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스텝 B5에서, 월쉬 심볼의 비트치가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B9에 있어서, Λ(0)가 부호 변화점에서의 에너지로부터 최대의 상관 에너지를 감산함으로써 계산되고, 스텝 B10에서, 그 Λ(0)가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Λ(0)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B11에서 Λ(0)에 웨이팅 계수 -A가 설정되지만, 스텝 B10에서 0이 아니면, NO 루트를 취하고, 모두 스텝 B12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스텝 B12에서, 1월쉬 심볼에 대해, 6개의 심볼의 모두가 판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여기서 전부 판정되면,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B12y에서,다음의 월쉬 심볼에 대한 판정 매트릭의 생성이 이루어지지만, 아직 판정하는 심볼이 남아 있는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B12z에서, i=0인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i=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A라고 표시된 처리가 행해진다. 또, 이 A라고 표시된 처리는, 계산된 판정 매트릭의 값을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그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모든 월쉬 심볼에 대해, 하드 판정을 행하는 처리이고, 이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그리고, i=0이 아니면,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B13에서, i는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B2로부터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 스텝 B4에서, 부호 변화점이 없는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B14에서, k가 인크리먼트되고, 스텝 B15에서, k=7에 달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k=7이 되지 않은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재차 스텝 B4에서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스텝 B15에서, k=7에 달한 경우에는, 부호 변화점이 전혀 없으므로,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B16에서, 월쉬 심볼의 비트치가 판정된다. 그리고, 그 비트치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B17에서, Λ(0)가 최대의 상관 에너지에 웨이팅 계수 A를 승산한 것에 따라 계산되고, 또한 스텝 B16에서, 비트치가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B18에서, Λ(0)가 최대의 상관 에너지에 웨이팅 계수 -A를 승산한 것에 따라, 계산되고, 모두, 그 후에 스텝 B12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계산하지 않고, 상관 에너지가 큰 것으로부터, 베스트 8개가 선출되고, 그 중에서만 판정 매트릭의 계산이 행해져, 계산량이 대폭 삭감되므로, 회로 규모의 삭감이 가능해지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고,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속도의 고속화가 도모되어, 채널 다중이 용이해진다.
(A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설명
상기된 판정 매트릭의 계산에 있어서, 에너지 차분치에 웨이티드를 한 것을 출력하도록,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도, 수신 장치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구성이므로,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 웨이티드 방법은, 다음의 ① 및 ②에 도시된 바와 같다.
① 제2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재배열부(31)에 의해 첨부된 재배열 순위의 차분치를 승산하여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는 방법.
② 제2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 제1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재배열부(31)에 의해 붙여진 재배열 순위의 차분치를 가산하여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는 방법.
(i) ①에 대해
도 8에 도시된 표에서, 최상단의 월쉬 심볼의 제0 심볼에 대해, a라고 표시된 열 중에서 W0 k(k= 0∼7)의 부호 변화점을 검색한다. 즉, k=2로부터 k=3이 될 때에 비트치가 0으로부터 1로 변화하고, 부호 변화점은 k=3이 된다. 그리고, W0 0이 0일 때에는,
Λ(0) = A×k×(E0-Ek′)
로 한다. 여기서, k′는 부호 변화시의 순위값이고, A는 웨이팅 계수이다. 또한, W0 0이 1일 때에는,
Λ(0) = A×k×(Ek′-E0)
라고 한다. 예를 들면, W0 0이 0으로서, A=10일 때에는,
Λ(0) = A×k×(E0-E4)
= 10×3×(751-210) = 16230
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이 Λ(0)가 제0 심볼의 판정 매트릭으로서 출력되는 것이다. 이것을 마찬가지로, 남은 제1∼제5 심볼로 반복하여 적용함으로써, 1월쉬 심볼 모든 연판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부호 변화점이 없는 경우의 처리와, k=0의 상관 에너지와 부호 변화점의 상관 에너지가 동일한 경우의 처리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ii) ②에 대해
마찬가지로 함으로써, W0 0이 0일 때에는,
Λ(0) = A×k+(E0-Ek′)
로 하고, W0 0이 1일 때에는,
Λ(0) = A×k+(Ek′-E0)
로 한다. 예를 들면, W0 0이 0이고, A=10일 때에는,
Λ(0) = A×k+(E0-E4)
= 10×3+(751-210) = 571
로 계산한다. 그리고, 이 Λ(0)를 제0 심볼의 판정 매트릭으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이것을 마찬가지로, 남은 제1∼제5 심볼로 반복하여 적용함으로써, 1월쉬 심볼 모든 연판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부호 변화점이 없는 경우의 처리, k=0의 상관 에너지와 부호 변화점의 상관 에너지가 동일한 경우의 처리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술된 구성에 따라, 베스트 8개를 이용한 판정 매트릭의 계산이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이 도 11에 도시된 FL2라고 표시된 개소는, 도 10에 도시된 FLI라고 표시된 개소와 다를 뿐이고, 기타는 마찬가지다.
이 도 11에 도시된 스텝 C1에서, 메모리 초기화(1)에 의해 i=0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스텝 C2에서, 메모리 초기화(2)에 의해 k=0이 된다. 또한, 스텝 C3에서, 최대의 상관 에너지가 기억된다. 즉, 보유부 FF1에 일시적인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저장되고, 보유부 FF2에 제0 심볼의 비트치가 저장된다. 이어서, 스텝 C4에서, i=0에 대한 부호 변화점이 검색되어, 부호 변화점이 있는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C5에서, 월쉬 심볼의 비트치가 판정된다.
그리고, 이 스텝 C5에서, 그 비트치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C6에서, Λ(0)가 최대의 상관 에너지로부터 부호 변화점에서의 에너지를 감산하여 얻어진 값에 k와 웨이팅 계수 A를 승산됨으로써 계산되고, 스텝 C7에서, 그 Λ(0)가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여기서 Λ(0)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C8에서, Λ(0)으로서 k에 웨이팅 계수 A를 승산시킨 것을 얻을 수 있고, 스텝 C7에서, 0이 아니면, NO 루트를 취하고, 모두 스텝 C9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스텝 C5에서, 월쉬 심볼의 비트치가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C10에서, Λ(0)가 부호 변화점에서의 에너지로부터 최대의 상관 에너지를 감산하여 얻어진 값에 k와 웨이팅 계수 A를 승산시킴으로써 계산되고, 스텝 C11에서, 그Λ(0)가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Λ(0)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C12에서, Λ(0)으로 하여 k에 웨이팅 계수 -A를 승산시킨 것을 얻을 수 있고, 스텝 C9로 진행하고, 또한 스텝 C11에서, 0이 아니면,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C9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스텝 C9에서, 6개의 심볼의 모두가 판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전부 판정되면,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C19에서, 다음의 월쉬 심볼에 대한 판정 매트릭의 생성이 이루어지지만, 아직 판정하는 심볼이 남아 있는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C18에서, i가 인크리먼트되고, 스텝 C2로부터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 스텝 C4에서, 부호 변화점이 없는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C13에서, k가 인크리먼트되고, 스텝 C14에서, k=7에 달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k=7로 되지 않은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재차 스텝 C4에서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스텝 C14에서, k=7에 달한 경우에는, 부호 변화점이 전혀 없으므로,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C15에서, 월쉬 심볼의 비트치가 판정된다. 그리고, 그 비트치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C16에서, Λ(0)가 최대의 상관 에너지에 웨이팅 계수 A를 승산한 것에 따라 계산되고, 또한 스텝 C15에서, 비트치가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C17에서, Λ(0)가 최대의 상관 에너지에 상수 -A를 승산한 것에 따라 계산되고, 모두 그 후에, 스텝 C9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한번 상관 에너지순으로 월쉬 인덱스를 재배열하여, 그 재배열된 각 월쉬 심볼에 대해 부호 변화점을 찾는 것만으로도 되므로, 계산량이 감소한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계산하지 않고, 상관 에너지가 큰 것으로부터, 베스트 8개가 선출되고, 그 중에서만 계산이 행해지고, 계산량이 대폭 삭감되므로, 회로 규모의 삭감이 가능해지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고,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속도의 고속화가 도모되어, 채널 다중이 용이해진다.
(A2)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변형예의 설명
상기된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서의 연판정 매트릭생성부(32)에, 또한 다른 수단을 설치하여, 다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변형예에서도, 그 밖의 수신 장치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구성이므로, 또 다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연판정 매트릭 계산부(32a)가, 분리부(도시하지 않음)와, 가산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분리부는, 월쉬 심볼에 대해 월쉬 심볼 내의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0인 제1 그룹과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1인 제2 그룹으로 나누는 것이다. 또한, 가산부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대해 가산하여 제1 총합치를 출력함과 함께,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대해 가산하여 제2 총합치를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총합치는 제1 그룹에 대한 총합치이고, 제2 총합치란 제2 그룹에 대한 총합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연판정 매트릭 생성부(32)가,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총합치 및 제2 총합치를 사용하여, 제1 총합치로부터 제2 총합치를 감산한 값을 판정 매트릭으로서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베스트 8개 중에서 월쉬 심볼마다 Wi k(i = 0∼5, k = 0∼7)가 0의 그룹과 1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상관 에너지의 총합의 차분이 출력되는 것이다. 이 가산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에 나타낸 ①∼⑤의 5종류가 있다.
① 제1 총합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단순 가산한 값으로 하여 출력함과 함께, 제2 총합치를,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단순 가산한 값으로 하여 출력하는 방법
즉, 도 8에서 a라고 표시된 열에 대해, W0 k(k=0∼7)가 0의 그룹과 1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면, 0의 그룹은 k=0, 1, 2, 5, 7이고, 1의 그룹은 k=3, 4, 6이다. 그리고, 각각의 그룹에 대해, 상관 에너지의 총합이 계산된다. 즉, 0의 그룹에 대한 총합(ΣEk{W0 k=0의 그룹}으로 나타냄)이 계산되고, 이 결과가 보유부 FF1에 저장된다.
ΣEk{W0 k=0의 그룹}
=E0+E1+E2+E5+E7
=751+751+248+108+59=1917
또, 1의 그룹에 대한 총합(ΣEk{W0 k=1의 그룹}으로 나타냄)이 계산되고, 이 결과가 보유부 FF2에 저장된다.
ΣEk{W0 k=1의 그룹}
= E3+E4+E6
=210+164+96=470
그리고, Wi k가 0의 그룹의 총합으로부터 1의 그룹의 총합이 감산되어, 제0 심볼의 판정 매트릭으로서 출력되는 것이다. 즉,
Λ(0)
=ΣEk{W0 k= 0의 그룹}-ΣEk{W0 k= 1의 그룹}
=1917-470=1447
또한, 이것을 마찬가지로 남은 제1∼제5 심볼에 반복함에 따라, 1월쉬 심볼 모든 연판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② 제1 총합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재배열부(31)에 의해 재배열된 순위값을 가산하여 그 가산된 것을 제1 그룹에 속하는 것 전부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제2 총합치를,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재배열된 순위값을 가산하고 그 가산된 것을 제2 그룹에 속하는 것 모두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하는 방법
이 방법은, 순위값 k가 상관 에너지차에 무게로 하여 가산되는 방법이다. 즉, 0의 그룹에 대한 총합에 순위값 k와 웨이팅 계수 A를 승산한 것이 가산되고, 총합(Σ0Group{(A×k)+Ek}로 나타냄)으로 하여 출력되는 한편, 1의 그룹에 대한 총합(Σ1Group{(A×k)+Ek}으로 나타냄)도 마찬가지로 계산된다. 그리고, 판정 매트릭이, 수학식 5에 의해 계산된다. 또한, 그 후의 처리는, ①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③ 제1 총합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재배열부(31)에 의해 재배열된 순위값을 승산하여 그 승산된 것을 제1 그룹에 속하는 전부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제2 총합치를,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에 재배열된 순위값을 승산하여 그 승산된 것을 제2 그룹에 속하는 전부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하는 방법
마찬가지로, 0의 그룹에 대한 총합에 순위값 k와 웨이팅 계수 A를 승산한 것이 승산되고, 총합(Σ0Group{(A×k)×Ek}로 나타냄)으로 하여 출력되는 한편, 1의 그룹에 대한 총합(Σ1Group{(A×k)×Ek}로 나타냄)도 마찬가지로 계산된다. 그리고, 판정 매트릭이, 수학식 6에 의해 계산된다. 또한, 그 후의 처리는, ①의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④ 제1 총합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 갯수를 가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제2 총합치를,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 갯수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방법
즉, ① 방법으로 각각의 그룹의 총합이 얻어진 후에, 총합을 취한 갯수가 총합에 웨이팅하는 방법이다. 즉, 0의 그룹에 대한 총합(Σ0GroupEk로 나타냄)에, 총합을 취한 갯수를 A배한 것이 승산되는 한편, 1의 그룹에 대한 총합(Σ1GroupEk로 나타냄)에, 총합을 취한 갯수를 A배한 것이 승산되는 것이다. 즉, 수학식 7로 계산된다.
그리고, 이 Wi k=0의 그룹의 갯수는, 보유부 FF1, FF2와 동일한 것인 FF3(도시하지 않음)에 기입되고, 또한 Wi k=1의 그룹의 갯수는, 보유부 FF4(도시하지 않음)에 기입된다. 또, 이 FF3은, 후술된 제3 실시예에서, 직전의 판정 매트릭의 정부의 부호치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 표시부로 해도 기능한다.
⑤ 제1 총합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제1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 갯수를 승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제2 총합치를,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제2 그룹에 속하는 월쉬 심볼 갯수를 승산하여 출력하는 방법
이 방법은, ④와 마찬가지로, 0의 그룹에 대한 총합(Σ0GroupEk로 나타냄)에,총합을 취한 갯수가 승산되고, 1의 그룹에 대한 총합(Σ1GroupEk로 나타냄)에, 총합을 취한 갯수가 승산되는 것이다. 즉, 수학식 8로 계산된다.
또, 여기서, 웨이팅 계수 A도 승산되고 있다. 또한, 이 Wi k=0의 그룹의 갯수는, 보유부 FF3에 기입되고, 또한 Wi k=1의 그룹의 갯수는, 보유부 FF4에 기입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베스트 8개를 이용한 판정 매트릭의 계산이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12에 도시된 스텝 D1에서, 메모리 초기화(1)에 의해 i=0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스텝 D2에서, 메모리 초기화(2)에 의해 보유부 FF1, FF2 및 루프 횟수를 나타내는 k의 모두가 0이 된다. 또한, 스텝 D3에 있어서, 제0∼제5 심볼의 각각의 비트치에 따라, 그룹 분리가 행해지고, 비트치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D4에서, 초기화된 보유부 FF1에 상관 에너지가 가산되는 한편, 스텝 D3에서 비트치가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D5에서, 초기화된 보유부 FF2에 상관 에너지가 가산된다.
그리고, 이 스텝 D6에서, 모든 k에 대해 그룹 분리가 행해졌는지의 여부가판정되어, 모든 k에 대해 행해지지 않은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D7에서, k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D3으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D6에서, 모든 k에 대해 행해진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D8에서, 보유부 FF1과 FF2의 에너지 차분이 계산되어, Λ(0)가 구해진다.
또한, 스텝 D9에서, 6개의 심볼의 모두가 판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전부 판정되면,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D11에서, 다음의 월쉬 심볼에 대한 판정 매트릭의 생성이 이루어지지만, 아직 판정하는 심볼이 남아 있는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D10에서, i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D2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와 같이, 월쉬 심볼이 0의 그룹과 1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값의 차가 계산되므로, 보다 정확한 연판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Eb/No가 낮은 경우나, 보다 강한 페이징 환경화에서도 정확한 복조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웨이티드를 행한 경우의 처리 플로우는, 도 13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제2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1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 내의 FL4라고 표시된 개소가, 도 1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 내의 FL3이라고 표시된 개소에서, 치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도 13에 나타낸 스텝 E1에서, 메모리 초기화(1)에 의해 i=0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스텝 E2에서, 메모리 초기화(2)에 의해 보유부 FF1, FF2 및 루프 횟수를 나타내는 k의 모두가 0으로 된다. 또한, 스텝 E3에서, 월쉬 심볼의 비트치에의해, 그룹 분리가 행해지고, 비트치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E4에서, 초기화된 보유부 FF1에 상관 에너지 및 A×k가 가산되는 한편, 스텝 E3에서, 비트치가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E5에서, 초기화된 보유부 FF2에 상관 에너지 및 A×k가 가산된다.
그리고, 스텝 E6에서, 모든 k 에 대해 그룹 분리가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모든 k에 대해 행해지지 않은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E7에서, k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E3으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E6에서, 모든 k 에 대해 행해진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E8에서, 보유부 FF1과 보유부 FF2와의 에너지 차분이 계산되어, Λ(0)가 구해진다.
또한, 스텝 E9에서, 6개의 심볼의 모두가 판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전부 판정되면,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E11에서, 다음의 월쉬 심볼에 대한 판정 매트릭의 생성이 이루어지지만, 아직 판정하는 심볼이 남아 있는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E10에서, i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E2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와 같이, 월쉬 심볼이 0의 그룹과 1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값의 차를 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연판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Eb/No가 낮은 경우나, 보다 강한 페이징 환경화에서도 복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그룹의 총합을 취하는 갯수에 웨이팅 계수 A를 승산한 것을 웨이티드하는 처리 플로우는, 도 14와 같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제3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14에 도시된 스텝 F1에서, 메모리 초기화(1)에 의해 i=0(으)로 설정되rh, 그리고, 스텝 F2에서, 메모리 초기화(2)에 의해 보유부 FF1, FF2, FF3, FF4 및 루프 횟수를 나타내는 k의 모두 0이 된다. 또한, 스텝 F3에서, 월쉬 심볼의 비트치에 의해, 그룹 분리가 행해지고, 비트치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F4에 있어서, 초기화된 보유부 FF1에 상관 에너지가 가산되고, 스텝 F5에서, 보유부 FF3이 인크리먼트되고, 스텝 F8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스텝 F3에서, 비트치가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F6에서, 초기화된 보유부 FF2에 상관 에너지가 가산되고, 스텝 F7에서 보유부 FF4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F8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스텝 F8에서, 모든 k에 대해 그룹 분리가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모든 k에 대해 행해지지 않은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F9에서, k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F3으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F8에서, 모든 k에 대해 행해진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F10에서, (A×FF3+FF1)과 (A×FF4+FF2)와의 에너지 차분이 계산되어, Λ(0)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스텝 F11에서, 6개의 심볼의 모두가 판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전부 판정되면,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F13에서, 다음의 월쉬 심볼에 대한 판정 매트릭의 생성이 이루어지지만, 아직 판정하는 심볼이 남아 있는 동안,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F12에서, i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F2로부터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한번, 상관 에너지순으로 월쉬 인덱스를 재배열하여, 그 재배열된 각 월쉬 심볼에 대해 부호 변화점을 찾는 것만으로도 좋고, 계산량이 감소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계산하지 않고, 상관 에너지가 큰 것이기 때문에, 베스트 8개가 선출되고, 그 중에서만 계산이 행해지고, 계산량이 대폭 삭감되므로, 회로 규모의 삭감이 가능해지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고,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속도의 고속화가 도모되어, 채널 다중이 용이해진다.
(B)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설명
상기된 제1 실시예 및 각 변형예로, 최상단의 월쉬 심볼을 계산했을 때에, 그 판정 매트릭의 값이, 임계치 Eth이상의 경우에는, 모든 월쉬 심볼에 대해 하드 판정 결과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연판정 매트릭 계산부(32a)의 후단에, 판정 매트릭과 임계치 Eth를 비교하여 판정 매트릭을 출력하는 판정 매트릭치 비교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 판정 매트릭치 비교부가, 판정 매트릭을, 판정 매트릭이 임계치 Eth이상일 때에는 하드 판정 결과로서 출력함과 함께, 판정 매트릭이 임계치 Eth보다 작을 때는 연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임계치 Eth의 결정 방법은, 회선 설계에 따라 설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수신 장치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구성이므로,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제1 실시예 및 각 변형예에서, 판정 매트릭 Λ(0)가,계산되었을 때에, Λ(0)≥Eth일 때, 판정 매트릭으로서 하드 판정치가 출력되는 것이다. 또한, 그 때에, 제0 심볼 W0 0이 0일 때에는, 하드 판정치로서 1이 출력되고, 또한 제0 심볼 W0 0이 1일 때에는, 하드 판정치로서 -1이 출력된다. 한편, Λ(0)<Eth일 때에는, 상기한 제1 실시예 방법으로 판정 매트릭이 출력된다.
상술된 구성에 의해, 연판정 매트릭 생성(도 10 참조)이 이루어짐과 함께, 판정 매트릭의 값이, 임계치 Eth이상일 때에는 모든 월쉬 심볼에 대해 하드 판정 결과가 출력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이 도 15에 도시된 프레임 A가, 도 10의 프레임 A에 대응한다. 즉, 도 10의 스텝 B12z에서, YES 루트를 취하고, 프레임 A라고 첨부된 처리가 행해지고, i=0의 처리가 완료한다(도 15의 스텝 G1).
그리고, 스텝 G2에서, 판정 매트릭 Λ(0)가 임계치 Eth보다 클지의 여부가 판정됨으로써, 하드 판정을 행할지 또는, 연판정을 행할지가 판정된다. 여기서, Λ(0)가 Eth보다 작을 때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G9에서 연판정 매트릭 생성 플로우차트(도 10 참조)의 스텝 B2로 복귀된다.
한편, 스텝 G2에서, Λ(0)가 Eth이상일 때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G3에서, 메모리 초기화가 이루어져, i=0이 되고, 스텝 G4에서, 월쉬 심볼의 값이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G5에서, Λ(0) 가 1로 설정되고, 또한 스텝 G4에서,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G6에서, Λ(0)가 0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각각의 처리가 행해진 후에, 스텝 G7에서, 모든 i에 대해 처리가 행해지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모든 i에 대해 행해지지 않은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G8에서, i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G4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G7에서, 모든 i에 대해 행해진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G10에서, 다음의 월쉬 심볼에 대한 판정 매트릭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연판정과 하드 판정을 조합하여, 임계치 Eth를 기초하여, 판정 매트릭의 계산 방법을, 연판정으로 할지 또는 하드 판정으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계산하지 않고, 상관 에너지가 큰 것으로부터, 베스트 8개가 선출되고, 그 중에서만 계산이 행해지고, 계산량이 대폭 삭감되므로, 회로 규모의 삭감이 가능해지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고,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속도의 고속화가 도모되어, 채널 다중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선 회선의 상황 등에 따라, 판정 방법을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짐과 함께,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B1)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설명
제2 실시예에서, 출력하는 판정 매트릭의 내용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처음의 월쉬 심볼을 계산했을 때에, 판정 매트릭의 값이, 임계치 Eth이상일 때에는, 모든 월쉬 심볼에 대해 싱글 맥시멈의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수신 장치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구성이므로,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 매트릭Λ(0)가, Λ(0)≥Eth일 때는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싱글 맥시멈치 E0)를 출력함과 함께, 판정 매트릭Λ(0)가, Λ(0)<Eth일 때는, 연판정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W0 0이 0일 때에는 E0이 출력되고, 또한 W0 0이 1일 때에는 -E0이 출력된다.
상술된 구성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판정 매트릭 생성이 이루어짐과 함께, 판정 매트릭의 값이, 임계치 Eth이상일 때에는, 모든 월쉬 심볼에 대해 하드 판정 결과가 출력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FL7로 붙인 개소가, 도 15의 FL6이라고 표시된 개소와 다를 뿐이고, 그 밖의 처리는 마찬가지다. 즉, 이 도 16에 도시된 프레임 A는, 도 10의 프레임 A에 대응하고, 도 10의 스텝 B12z에서, YES 루트를 취하고, 프레임 A라고붙인 처리가 행해지고, i=0의 처리가 완료된다(도 16의 스텝 H1).
그리고, 스텝 H2에서, 판정 매트릭Λ(0)가 임계치 Eth보다 큰지의 여부가 판정됨으로써, 하드 판정을 행할지 또는, 연판정을 행할지가 판정된다. 여기서, Λ(0)가 Eth보다 작을 때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H9에서, 연판정 매트릭 생성 플로우차트(도 10 참조)의 스텝 B2로 복귀된다.
한편, 스텝 H2에서, Λ(0)가 Eth이상일 때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H3에 있어서, 메모리 초기화가 이루어져, i=0이 되고, 스텝 H4에서, 월쉬 심볼의 값이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H5에서, Λ(0)로서 상관 에너지의 최대치가 설정되고, 또한 스텝 H4에서,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H6에서 Λ(0)에는, 상관 에너지의 최대치에 -1을 승산한 것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각각의 처리가 행해진 후에, 스텝 H7에서, 모든 i에 대해 처리가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모든 i에 대해 행해지지 않은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H8에서, i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H4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H7에서, 모든 i에 대해 행해진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H10에서, 다음의 월쉬 심볼에 대한 판정 매트릭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임계치 Eth를 기초하여, 판정 매트릭의 계산 방법을, 연판정으로 할지 혹은 싱글 맥시멈 판정 방법으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싱글 맥시멈 판정 방법을 이용한 판정 매트릭이 계산되어 출력되므로,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계산하지 않고, 상관 에너지가 큰 것으로부터, 베스트 8개가 선출되고, 그 중에서만 계산이 행해져, 계산량이 대폭 삭감되므로, 회로 규모의 삭감이 가능해지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고,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속도의 고속화가 도모되어, 채널 다중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선 회선의 상황 등에 따라, 판정 방법을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짐과 함께,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용이 행할 수 있게 된다.
(B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의 설명
제2 실시예에서, 출력하는 판정 매트릭의 내용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처음의 월쉬 심볼을 계산했을 때에, 판정 매트릭을,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제2 임계치 Eth2이상일 때에는 하드 판정 결과로서 출력함과 함께,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제2 임계치 Eth2보다 작을 때는 연판정 결과로서 출력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수신 장치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최상단의 월쉬 심볼이 계산될 때에, 베스트 8개의 상관 에너지의 최대치 E0이, 제2 임계 Eth2이상일 때에는, 모든 월쉬 심볼에 대해 하드 판정 결과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판정 매트릭은, E0≥Eth2일 때, 하드 판정치로 하여 출력되고, W0 0이 0일 때에는, 1을 출력하고, 또한 W0 0이 1일 때에는 -1이 출력된다. 한편, E0<Eth2일 때는, 제1 실시예 방법으로 판정 매트릭이 출력된다.
상술된 구성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판정 매트릭 생성이 이루어짐과 함께, 계산된 상관 에너지의 값이, 제2 임계치 Eth2이상일 때에는 모든 월쉬 심볼에 대해 하드 판정 결과가 출력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이 도 17에 도시된 프레임 B는, 도 10의 프레임 B에 대응하고, 도 10의 스텝 B3에서, 상관 에너지의 값이 계산되면, 그 EO의 판독이 완료한다(도 17의 스텝 J1).
그리고, 스텝 J2에서, 최대의 상관 에너지 EO가 제2 임계치 Eth2보다 클지의 여부가 판정됨으로써, 하드 판정을 행할지 또는, 연판정을 행할지가 판정된다. 여기서, Eo가 Eth2보다 작을 때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J9에서, 연판정 매트릭 생성 플로우차트(도 10 참조)의 스텝 B2로 복귀된다.
한편, 스텝 J2에서, Eo가 Eth2이상일 때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J3에서, 메모리 초기화가 이루어져, i=0이 되고, 스텝 J4에서, 월쉬 심볼의 값이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J5에서, Λ(0) 로 하여 1이 설정되고, 또한 스텝 J4에서,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J6에서, Λ(0)로 하여 0이 설정된다. 그리고, 각각의 처리가 행해진 후에, 스텝 J7에서, 모든 i에 대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모든 i에 대해 행해지지 않은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J8에서, i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J4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J7에서, 모든 i 에 대해 행해진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J10에서, 다음의 월쉬 심볼에 대한 판정 매트릭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연판정과 하드 판정을 조합하여, 제2 임계치 Eth2를 기초하여, 판정 매트릭의 계산 방법을, 연판정으로 할지 또는 하드 판정으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하드 판정을 이용한 판정 매트릭이 계산되어 출력되므로,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계산하지 않고, 상관 에너지가 큰 것에서, 베스트 8개가 선출되고, 그 중에서만 계산이 행해지고, 계산량이 대폭으로 삭감되므로, 회로 규모의 삭감이 가능해지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고,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속도의 고속화가 도모되어, 채널 다중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선 회선의 상황 등에 따라, 판정 방법을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짐과 함께,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B3)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의 설명
마찬가지로 함으로써, Λ(0)의 값을 최대의 상관 에너지의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판정 매트릭은,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제2 임계치 Eth2이상일 때는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로서 출력됨과 함께,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제2 임계치 Eth2보다 작을 때는 연판정 결과로서 출력되는 바와 같이 할 수도 있다.
즉, 최상단의 월쉬 심볼을 계산했을 때에, 상관 에너지 E0이, 제2 임계 Eth2이상일 때에는, 모든 월쉬 심볼에 대해 싱글 맥시멈의 결과가 출력된다.
예를 들면, E0≥Eth2일 때, 판정 매트릭으로서 싱글 맥시멈치 E0로서, W0 0이 0일 때에는 E0이 출력됨과 함께, W0 0이 1일 때에는 -E0이 출력된다. 또한, E0<Eth2일 때, 제1 실시예 방법으로 판정 매트릭이 출력되는 바와 같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이 도 18에 도시된 프레임 B는, 도 17의 프레임 B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 도 18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는, FL9라고 붙인 개소가, 도 17의 플로우차트의 FL8이라고 표시된 개소와 다를 뿐으로, 기타는 마찬가지다.
즉, 스텝 K2에서, 최대의 상관 에너지 Eo이 제2 임계치 Eth2보다 클지의 여부가 판정됨으로써, 하드 판정을 행할지 또는, 연판정을 행할지가 판정되고, 여기서 Eo가 Eth2보다 작을 때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K9에서, 연판정 매트릭 생성 플로우차트(도 10 참조)의 스텝 B2로 복귀된다.
한편, 스텝 K2에서, Eo가 Eth2이상일 때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K3에서, 메모리 초기화가 이루어져, i=0이 되고, 스텝 K4에서, 월쉬 심볼의 값이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K5에서, Λ(0) 로서 상관 에너지의 중 최대치가 설정되고, 또한 스텝 K4에서,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K6에서, Λ(0)로서 상관 에너지 내의 최대치에 -1을 승산한 것이 설정된다.
그리고, 각각의 처리가 행해진 후에, 스텝 K7에서, 모든 i에 대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모든 i에 대해 행해지지 않은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K8에서, i가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K4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K7에서, 모든 i에 대해 행해진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K10에서, 다음의 월쉬 심볼에 대한 판정 매트릭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연판정과 하드 판정을 조합하고, 제2 임계치 Eth2에 기초하여, 판정 매트릭의 계산 방법을, 연판정으로 할지 또는 하드 판정을 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게 되고, 또한 싱글 맥시멈 판정 방법을 이용한 판정 매트릭이 계산되어 출력되므로,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계산하지 않고, 상관 에너지가 큰 것으로부터, 베스트 8개가 선출되고, 그 중에서만 계산이 행해지고, 계산량이 대폭으로 삭감되므로, 회로 규모의 삭감이 가능해지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시켜,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속도의 고속화가 도모되어,채널 다중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임계치 Eth2를 설정함으로써, Eb/No가 커지고, 에러가 충분히 적고, 특성의 개선이 적어 하드 판정 또는 싱글 맥시멈에 처리를 전환하고, 계산량을 줄일 수 있게 되고,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C)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설명
상기된 제1 실시예의 판정 매트릭의 계산에서, 0 또는 1의 심볼 판정의 계산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방법은, 직전의 월쉬 심볼의 부호에, 다음 계산하는 상관 에너지 E와 월쉬 인덱스 Wi k를 한정하여 계산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수신 장치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구성이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상기된 재배열부(31)가, 직전의 판정 매트릭의 정부의 부호치를 표시할 수 있는 보유부(상태 표시부) FF3을 설치하고, 재배열부(31)가, 상위로부터 8위에 속하는 것 중 보유부 FF3이 표시하는 부호치(0 또는 1)에 기초하여 선택된 선택 범위에 기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선택 범위란, 월쉬 심볼의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직전에 수신된 부호치와 동일한 월쉬 심볼의 범위로 취한다. 여기서, 보유부 FF3은, 유지 기능외, 상태 표시부해도 기능하고 있다.
우선, 제0 심볼이 계산되고, 그 계산 결과가 0 이상인 경우, 즉 W0 0=0의 경우에는, 제1 심볼 이후의 각 심볼에 대한 계산을, 베스트 8개로 추출한 것으로부터, 또한 "0xxxxx"의 그룹(선택 범위)에 있는 것에 한정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이 방법은, 월쉬 인덱스가 2진수 표시로 "0xxxxx"의 그룹의 우도가, "1xxxxx"의 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1 심볼 W1 0=1의 경우에는, 제2 심볼의 계산을 "01xxxx"의 그룹에 상당하는 것 중에서 행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심볼 W2 0=1의 경우에는, 제3 심볼의 계산이 "011xxx"의 그룹에 한정되고, 그리고, 또한 제3 심볼 W3 0=0의 경우에는, 제4 심볼의 계산이 "01100xx"의 그룹에 한정되어 행해진다. 또한, 제4 심볼 W4 0=0의 경우에는, 제5 심볼의 계산을 "01100x"의 그룹에 상당하는 것에 한정하여 행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판정 매트릭 생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19에 도시된 스텝 L1에서, 메모리 초기화(1)가 이루어지고, 보유부 FF3(0), FF3(1), …, FF3(5)이 전부 0이 되고, i도 0이 된다.
그리고, 스텝 L2에서, i가 0일 때의 메모리 초기화(2)가 이루어지고, 보유부 FF1, FF2가 모두 0이 되고, 또한 루프 횟수를 나타내는 k가 0이 된다. 그리고, 스텝 L3에서, i가 판정되고, i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4에서, 최대의 상관 에너지와 월쉬 심볼이 기록되고, 보유부 FF1에 최대의 상관 에너지 Eo가 기억되고, 또한 보유부 FF2에 월쉬 심볼이 기억된다. 또한, 스텝 L5에서, 보유부FF2에 대해 부호 변화점의 검색이 행해지고, 부호 변화점이 없는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L23에서, k가 인크리먼트되고, 스텝 L24에서, k=7인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k=7이 아닌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L17로부터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k=7이 되면,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25로부터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 스텝 L25에서, 월쉬 심볼의 비트치가 판정되고, 그 비트치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26에서, Λ(0)가 최대의 상관 에너지에 웨이팅 계수 A를 승산하여 얻을 수 있고, 스텝 L27에서, 보유부 FF3이 0이 된다. 또한, 스텝 L26에서, 비트치가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L28에서, Λ(0)가 최대의 상관 에너지에 상수 -A를 승산하여 얻을 수 있고, 스텝 L29에서, 보유부 FF3이 1이 된다. 그리고, 스텝 L27, 스텝 L29 후에, 스텝 L11이 실행된다.
이 스텝 L11에서, 모든 i에 대해 계산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또한 모두가 완료하지 않은 동안에는, 스텝 L12에서, i가 인크리먼트되고, 스텝 L2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어서, i가 0의 처리가 끝나, i=1의 처리가 되면, 우선 스텝 L17에서, 메모리 초기화(3)가 이루어져, j=0이 되고, 그리고 스텝 L18에서, 계산 대상의 판별이 행해진다. 즉, 월쉬 심볼의 제0 심볼이 초기화된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0이면,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19에서, j=i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j가 i에 달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i=1이므로,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L20에서, j가 인크리먼트되어, 재차 스텝 L18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스텝 L18에서, 제1 심볼이 초기화된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여기서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19에서, 계산 대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나서,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21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최대의 상관 에너지의 값이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22에서, 계산 대상 중에서 최대이지만 상관 에너지와 월쉬 심볼과의 값이 가설정된다. 또, 스텝 L21에서, 최대의 상관 에너지의 값이 0이 아니면,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L5 이후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스텝 L18에서, 1인 경우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L23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L6에서는, 템포러리의 최대의 상관 에너지의 값이 저장되어 있는 보유부 FF2의 값에 대해, 그것이 0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7에서, 에너지 차분의 계산이 행해지고, Λ(0)이 구해지고, 그리고 스텝 L8에서, 직전의 심볼치로 하여, 보유부 FF3에 0이 저장되고, 스텝 L9에서, Λ(0)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10에서, Λ(0)로서 A로 설정된다.
한편, 스텝 L6에서, 보유부 FF2가 0이 아니면,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L13에서, 에너지 차분의 계산이 행해지고, 스텝 L7에서의 처리와는 역 부호의 Λ(0)가 구해지고, 그리고 스텝 L14에서, 직전의 심볼치로 하여, 보유부 FF3에 1이 저장되고, 스텝 L15에서, Λ(0)가 0인 경우에는,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16에서, Λ(0)가 무게-A로 설정된다. 또한, 스텝 L9 및 스텝 L15에서, Λ(0)가 0이 아니면, 모두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L11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L11에서, i=5에 달하여, 6심볼 전부에 대해, 판정이 종료하지 않은 동안에는, NO 루트를 취하고, 스텝 L12를 취하고, i 에 대해 인크리먼트되어, 스텝 L2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L11에서, i=5가 되면, YES 루트를 취하고, 스텝 L30에서 프로그램이 종료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된 예에서는, 제0 심볼로부터 순서대로 계산이 행해지지만, 어떤 월쉬 심볼로부터 처음에도 좋고, 또한 어떤 순서로 행해도 좋다. 또한, 이 방법은, 듀얼 맥시멈과 싱글 맥시멈을 조합하고, 특성, 계산량 모두 양자의 중간이 된다.
이와 같이, 직전에 수신된 부호치가 기억되므로,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계산하지 않고, 계산량이 대폭 삭감된다. 따라서, 회로 규모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고,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속도의 고속화가 도모되어, 채널 다중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다 Eb/No이 낮은 경우나, 보다 강한 페이징 환경화에서도 복조할 수 있고,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D)기타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리버스 링크에서, 송신 장치(50)와 수신 장치(19)를 더불어 포함한 송수신 장치로 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된 설명 중의 월쉬 인덱스와 월쉬 심볼과의 대응 관계는, 상술된 것에 일의로 대응할 만한 것이 아니고, 그 관계를 교체한 것이라도, 완전히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된 각 실시예에서는, 임계치와의 비교를 행하는 대상으로 하여, 월쉬 심볼 중, 주로 제0 심볼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심볼 (i=1, 2, 3, 4, 5)라도 가능하다.
상기된 각 실시예 및 각 변형예에서, 상위의 몇번째까지를 추출할지에 대해서는, 8번째까지 한하지 않고, 16번째나 32번째 등, 여러가지 설계 방침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 FF3은, 보유부 FF3과 공용하고 있지만, 이들을 따로따로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된 설명 중에서, E0∼E5는 각각 순위값 k가 0∼5일 때의 상관 에너지치이고, Ek′는 부호 변화시의 순위값에서의 상관 에너지치를 나타내고, Λ(0)는 제0 심볼의 판정 매트릭을 나타낸다. 또한, Eb/No는, 1 비트당의 신호 에너지대 잡음 전력 밀도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에서는, 월쉬 인덱스를 Walsh Index라고 표기하지만, 동일한 의미이고, 마찬가지로, 도면에서, Walsh Symbol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은 월쉬 심볼을 의미한다.
또한, 도 2에서, 서쳐(23b)는, 핑거 복조기(24a, 24b, 24c, 24d) 중에서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또한 재배열 수단(31)은, Best n 재배열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도 4에서, 상관 에너지 Ei(0), …, Ei(63)는, 도 3의 합성 상관 에너지에 상당한다. 또한, 도 6에서, 순위 메모리(31e), 출력 에너지 메모리(31f), 월쉬 인덱스 메모리(31g), 보유부(31c, 31d) 및 연판정 매트릭 메모리(32b)는, 협동하여 기억부(40′)로서 기능하고, 또한 이 기능은, 예를 들면 RAM에 의해 실현된다. 그리고, 상술된 설명 중 및 도 9∼도 19에서, 2중 괄호 및 3중 괄호의 표기는, 편의상, 소괄호( )만을 이용하고 있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에 따르면, 모든 월쉬 코드를 역 변환하여 얻어진 월쉬 심볼을 보유할 수 있는 기억 수단과,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의 값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을 갖는 월쉬 심볼을 기억 수단에 기입하는 재배열 수단과, 재배열 수단에 의해 기억 수단에 기입된 월쉬 심볼 중 선두에 위치하는 제1 월쉬 심볼 내의 특정 위치의 비트를 2번째 이후에 위치하는 월쉬 심볼내의 동일 위치에 있는 비트와 순차 비교하고, 그 비트치가 제1 월쉬 심볼의 특정 위치의 비트치와 처음으로 다른 변화점을 검출함으로써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고, 그 판정 매트릭을 월쉬 심볼 내의 소정수 비트의 전부에 대해 생성하여 연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을 포함되기 때문에, 그 재배열된 각 월쉬 심볼에 대해 부호 변화점을 찾는 것만으로도 되므로,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계산량이 대폭으로 삭감되므로, 회로 규모의 삭감이 가능해지고, 소비 전력이 저감하여, 발열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음과 함께,동작 속도의 고속화를 꾀할 수 있어, 채널 다중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청구항1).
또한, 그 재배열 수단은,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치를 큰 순서대로 재배열하여 그 상위로부터 소정의 순위 내에 기입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이와 같이 하면, 역시 64 종류 모두를 검색하여 최대치를 선출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계산량을 감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청구항2∼10).
또한, 월쉬 심볼에 대해,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0인 제1 그룹과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1인 제2 그룹으로 나누는 분리 수단과, 제1 총합치와 제2 총합치가 출력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고,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이, 제1 총합치로부터 제2 총합치를 감산한 값을 판정 매트릭으로 하여 생성하도록 포함되어도 되고, 이와 같이 하면, 보다 정확한 연판정 정보가 출력되므로, Eb/No가 낮은 경우나, 보다 강한 페이징 환경화에서도 복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청구항11∼16).
그리고, 상기한 재배열 수단이, 직전의 판정 매트릭의 정부의 부호치를 표시하는 부호치에 기초하여 선택된 선택 범위에 기입하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이와 같이 하면, 64 종류의 상관 에너지를 전부 계산하지 않으므로, 계산량이 대폭 삭감되어, 회로 규모가 삭감되는 이점이 있다(청구항17, 18).
또한, 상기된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의 후단에, 판정 매트릭과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판정 매트릭이 출력되는 판정 매트릭치 비교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하면, 무선 회선의 상황 등에 따라, 판정 방법을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짐과 함께,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용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청구항19∼23).

Claims (23)

  1. 소정수 비트로 이루어지는 송신해야 할 월쉬 심볼을 서로 다른 복수의 월쉬 코드로 변환하고나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를 계산하여 최대의 상관 에너지를 갖는 월쉬 코드를 판정하고, 그 월쉬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수 비트를 복조 비트로서 출력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로서,
    상기 모든 월쉬 코드를 역 변환하여 얻어진 상기 월쉬 심볼을 보유할 수 있는 기억 수단과,
    상기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관 에너지의 값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을 갖는 상기 월쉬 심볼을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하는 재배열 수단과,
    상기 재배열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입된 상기 월쉬 심볼 중 선두에 위치하는 제1 월쉬 심볼 내의 특정 위치의 비트를 2번째 이후에 위치하는 월쉬 심볼 내의 동일 위치에 있는 비트와 순차 비교하고, 그 비트치가 상기 제1 월쉬 심볼의 특정 위치의 비트치와 처음으로 다른 부호 변화점을 검출함으로써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고, 상기 판정 매트릭을 상기 월쉬 심볼 내의 소정수 비트의 전부에 대해 생성하여 연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을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수단이,
    상기 모든 월쉬 코드에 대한 상기 상관 에너지치를 큰 순서대로 재배열하여 그 상위로부터 소정의 순위 내에 기입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이,
    상기 부호 변화점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부호 변화점에 있어서의 월쉬 심볼인 제2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와 상기 제1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이,
    상기 제2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와 상기 제1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판정 매트릭을 상수로 하여 생성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이,
    상기 제2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와 상기 제1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상기 재배열 수단에 의해 첨부된 재배열 순위의 차분치를 승산하여 상기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이,
    상기 제2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와 상기 제1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상기 재배열 수단에 의해 붙여진 재배열 순위의 차분치를 가산하여 상기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이,
    상기 부호 변화점이 없는 경우에는, 소정의 상관 에너지와 상기 제1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와의 차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 매트릭을 생성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관 에너지가,
    상기 제1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관 에너지가,
    상기 제1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에 웨이팅 계수를 승산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관 에너지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쉬 심볼에 대해, 상기 월쉬 심볼 내의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0인 제1 그룹과 상기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1인 제2 그룹으로 나누는 분리 수단과,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에 대해 가산하여 제1 총합치를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에 대해 가산하여 제2 총합치를 출력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이, 상기 가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총합치 및 상기 제2 총합치를 사용하고, 상기 제1 총합치로부터 상기 제2 총합치를감산한 값을 상기 판정 매트릭으로 하여 생성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수단이,
    상기 제1 총합치를,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를 단순 가산한 값으로 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총합치를,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를 단순 가산한 값으로 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수단이,
    상기 제1 총합치를,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에 상기 재배열 수단에 의해 재배열된 순위값을 가산하고 그 가산된 것을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것 전부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총합치를,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에 상기 재배열된 순위값을 가산하고 그 가산된 것을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것 전부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수단이,
    상기 제1 총합치를,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에 상기 재배열 수단에 의해 재배열된 순위값을 승산하여 그 승산된 것을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것 모두에 대해 전 가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총합치를,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에 상기 재배열된 순위값을 승산하고 그 승산된 것을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것 전부에 대해 모두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수단이,
    상기 제1 총합치를,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 갯수를 가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총합치를,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 갯수를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수단이,
    상기 제1 총합치를,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 갯수를 승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총합치를,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의 상기 상관 에너지를 전부 가산하고, 그 값에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월쉬 심볼 갯수를 승산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수단이, 직전의 상기 판정 매트릭의 정부의 부호치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 표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재배열 수단이, 상위로부터 소정의 순위에 속하는 것 중 상기 상태 표시 수단이 표시하는 상기 부호치에 기초하여 선택된 선택 범위에 기입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범위가,
    상기 월쉬 심볼의 특정 위치의 비트치가 직전에 수신된 상기 부호치와 동일한 월쉬 심볼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19. 제1항∼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매트릭 생성 수단의 후단에,
    상기 판정 매트릭과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판정 매트릭을 출력하는 판정 매트릭치 비교 수단을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매트릭치 비교 수단이,
    상기 판정 매트릭을, 상기 판정 매트릭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때에는 하드 판정 결과로서 출력함과 함께, 상기 판정 매트릭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을 때는 상기 연판정 결과로 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매트릭치 비교 수단이,
    상기 판정 매트릭을, 상기 판정 매트릭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때는 최대의 상기 상관 에너지치로 해서 출력함과 함께, 상기 판정 매트릭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을 때는 상기 연판정 결과로 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매트릭치 비교 수단이,
    상기 판정 매트릭을,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소정의 제2 임계치 이상일 때에는 하드 판정 결과로서 출력함과 함께, 상기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상기 제2 임계치보다 작을 때는 상기 연판정 결과로 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매트릭치 비교 수단이,
    상기 판정 매트릭을,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소정의 제2 임계치 이상일 때는 상기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로 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최대의 상관 에너지치가 상기 소정의 제2 임계치보다 작을 때는 상기 연판정 결과로 하여 출력하도록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KR1020000036440A 1999-08-20 2000-06-29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KR100344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34132 1999-08-20
JP23413299A JP2001060890A (ja) 1999-08-20 1999-08-20 軟判定メトリック生成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039A KR20010021039A (ko) 2001-03-15
KR100344377B1 true KR100344377B1 (ko) 2002-07-24

Family

ID=1696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440A KR100344377B1 (ko) 1999-08-20 2000-06-29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060890A (ko)
KR (1) KR100344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5943B2 (ja) * 2002-02-27 2004-08-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変調方式判定方法および符号化方式判定方法
US7586991B2 (en) * 2006-03-16 2009-09-08 Posdat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likelihood metric of a received signal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CN111447161B (zh) * 2020-04-03 2023-03-28 杭州易百德微电子有限公司 判决方法和判决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039A (ko) 2001-03-15
JP2001060890A (ja) 2001-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469B1 (ko) 직교형으로 인코딩된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방법및장치
TW384581B (en) Coherent demodulation with decision-directed channel estimation for digital communication
KR100450789B1 (ko) 유사 잡음 코드 획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직접 시퀀스 코드분할 다중 접속 수신기
KR100552076B1 (ko) Cdma통신시스템에있어서의신호수신장치
KR100294173B1 (ko) 통신시스템의코히런트채널추정용장치및그방법
JP3569288B2 (ja) 符号化された信号をデコー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366606B1 (en) Programmable correlator coprocessor device and method
US6173008B1 (en) Rake receiver for reducing hardware consumption and improving search performance
KR20000070386A (ko) 통신 시스템에서 코딩된 시퀀스를 디스프레딩하는 방법 및 장치
RU98101502A (ru) Многоканальный приемник rake-типа системы связи с расширенным спектром
CN100550663C (zh) 用于多速率物理信道接收的方法和设备
KR100344377B1 (ko) 연판정 매트릭 생성 회로
US89584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pread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809089A (en) Receiving unit, soft information data processor and decoding method thereof used for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RU2006116891A (ru) Демодуляция данных для системы связи cdma
JPWO2004021598A1 (ja) 送信信号形成方法、通信方法、及び送信信号のデータ構造
JP3862236B2 (ja) 通信方法、送信信号形成方法、及び送信信号のデータ構造
US7012951B2 (en) Symbol combining method for reducing the number of FIFO registers of finger, rake receiv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rake receiver
JP3247038B2 (ja) レイク受信装置及び復調データ合成装置
CN100349394C (zh) 用于异步码分多址系统的分组单次干扰抵消方法
US2002006105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ircular group-wise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multi-rate DS-CDMA system
US7333530B1 (en) Despread signal recovery in digital signal processors
KR100442427B1 (ko) Cdma 복조기 시스템 및 핑거신호의 처리방법
JP3247037B2 (ja) レイク受信装置
JP2001144649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