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127B1 - 소변 집료장치 - Google Patents

소변 집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127B1
KR100344127B1 KR1020000007156A KR20000007156A KR100344127B1 KR 100344127 B1 KR100344127 B1 KR 100344127B1 KR 1020000007156 A KR1020000007156 A KR 1020000007156A KR 20000007156 A KR20000007156 A KR 20000007156A KR 100344127 B1 KR100344127 B1 KR 100344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collecting
unit
case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3144A (ko
Inventor
김성엽
Original Assignee
김성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엽 filed Critical 김성엽
Priority to KR102000000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127B1/ko
Priority to KR2020000004019U priority patent/KR200190892Y1/ko
Publication of KR20010103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소변을 모으는 집료부와 이런 집료부에 모인 소변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하나의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게 보관하고 병실의 미관을 결여시키지 않는 소변 집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소변을 모으는 집료부(110)와, 상기 집료부(110)에 모인 소변을 저장하는 저장부(120) 및, 상기 집료부(110)에 모인 소변을 상기 저장부(120)로 유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130)를 포함하는 소변 집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료부(110)와 구동부(130)는 내장하고 상기 저장부(120)와는 착탈이 가능한 케이스(140)를 포함하며, 소변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집료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140)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저장부(120)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유입구가, 상기 저장부(120)와 케이스(140)의 착탈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소변 집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소변 집료장치{Urine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소변 집료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환자의 성별에 무관하게 주변에 흘리지 않도록 소변을 집료함과 동시에 환자가 편리하게 침대 또는 휠체어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변 집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움직임이 불편하기 때문에 화장실에서 소변을 보지 못하고 병실에서 소변을 보고 있다. 그래서, 이런 환자들에 적합한 소변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래기술의 소변기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6-6580호에 기술된 환자용 소변 집료장치가 있다. 이런 환자용 소변 집료장치에 대한 기술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도 1에 보이듯이, 소변 집료장치는 소변을 모으는 집료수단(10)과, 이런 집료수단(10)에 집료된 소변을 저장하는 저장수단(20) 및, 집료수단(10)에 집료된 소변을 저장수단(20)으로 송료시키는 송료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집료수단(10)은 환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측면이 개방되고 일측 상단부에 장착용 손잡이(11)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저단부에 나사결합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환자의 소변을 포집하는 속이빈 좌대(13)와, 저면의 전후부와 일측부에 각각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개폐용 손잡이(1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좌대(13)의 개방부(15)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뚜껑체(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장수단(20)에는 속이빈 사각통체(21)로 형성되어 상면 일측과 중앙부에 소변의 집료량을 나타내는 눈금(22)과 휴대용 손잡이(23)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상단부에 나사결합부(24)를 구비한 유도관(25)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런 유도관(25)의 외주면에 사각통체(21)를 세워 휴대할 수 있는 운반용 손잡이(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소변기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49844호에 기술된 소변 자동배출기가 있다. 이런 소변 자동배출기에 대한 기술을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도 2에 보이듯이, 소변 자동배출기는 지지판(41)의 상하부에 밴드(42)가 형성되고 그 전면부에 주름부(43)를 갖는 원통형의 안내구(44)가 돌출 형성된 착용대(40)와, 안내구(44)의 선단에 장착된 결합구(51)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52)의 내부에 온도감지센서가 내장된 연결부(50)와, 저장용기(61)의 상부에 모터(71)로 구동되는 원심펌프(70)가 장착된 저장부(60) 및, 연결구(52)와 원심펌프(70)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80)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소변 자동배출기는 착용대(40)가 몸체의 하복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소변을 방사하더라도 소변이 안내구(44)를 통해 연결호스(80)로 배출되면, 연결구(52) 내부의 온도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저장용기(61)의 상부에 장착된 원심펌프(70)의 모터(71)를 작동시킴에 따라 원심펌프(70)의 흡입력이 연결호스(80)로 유입된 소변을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저장용기(61)에 저장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환자용 소변 집료장치 및 소변 자동배출기는 환자의 소변을 모으는 집료부와 이런 집료부에 모인 소변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하나의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지 않아 보관성이 양호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병실의 미관을 결여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환자용 소변 집료장치 및 소변 자동배출기는 환자용 침대 또는 휠체어 등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환자가 편리하게 소변을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소변을 모으는 집료부와 이런 집료부에 모인 소변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하나의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게 보관하고 병실의 미관을 결여시키지 않는 소변 집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 또는 휠체어 등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가 편리하게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소변 집료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환자용 소변 집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소변 자동배출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집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의 내부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소변 저장부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의 여성용 소변 집료부를 여성용 거들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를 환자용 침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를 환자용 휠체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사용 상태도이며,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를 링겔 고정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여성용 소변 집료부 112 : 남성용 소변 집료부
113 : 전극 115 : 유동호스
116 : 밸크로 파스너 120 : 저장부
122 : 결합부 123 : 암나사
124 : 걸림홈 125 : 뚜껑
126 : 공기배출구 131 : 펌프
140 : 케이스 141 : 개폐문
142 : 손잡이홈 143 : ㄱ자형 홈
144 : 연결부 145 : 고정부
146 : 표시부 147 : 연장부
148 : 걸림홈 149 : 수나사
150 : 걸림돌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소변을 모으는 집료부와, 상기 집료부에 모인 소변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집료부에 모인 소변을 상기 저장부로 유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소변 집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료부와 구동부는 내장하고, 상기 저장부와는 착탈이 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며, 소변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집료부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유입구가, 상기 저장부와 케이스의 착탈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소변 집료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집료부는 여성용 소변 집료부와 남성용 소변 집료부로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여성용 소변 집료부의 단부면에는 여성 환자의 거들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밸크로 파스너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소변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집료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극과 -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용 침대 또는 휠체어 등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는 고정부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의 전원은 외부의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기인 것이 양호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변 집료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집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의 내부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소변 저장부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소변 집료장치는 환자의 소변을 모으는 집료부(110)와, 이런 집료부(110)에 모인 소변을 저장하는 저장부(120)와, 집료부(110)에 모인 소변을 저장부(120)로 유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130) 및, 이런 집료부(110)와 저장부(120) 및 구동부(130)를 일체로 고정 및 내장하는 케이스(14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140)는 집료부(110)와 구동부(130)를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전방면에는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개폐문(14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이외의 부분은 밀폐되어 있다. 개폐문(141)은 상부로 올리면 접히면서 케이스(140)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개방되고, 하부로 내리면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40)의 상부에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손잡이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40)의 상부 및 측면의 끝단부에는 상부와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ㄱ'자형 홈(14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ㄱ'자형 홈(143)에는 한 쪽은 구형상이고 다른 쪽은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144)가 끼워져 있는데, 연결부(144)의 구형상 부분은 케이스(14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나사산 부분은 케이스(140)의 외부에 각각 위치하게 끼워져 있다. 즉, 연결부(144)는 'ㄱ'자형 홈(143)의 범위내에서 한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44)에는 케이스(140)를 환자용 침대 또는 휠체어 등의 바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부(145)가 결합되어 있다. 이런, 고정부(145)는 고정하고자 하는 바의 두께에 무관하게 풀거나 조임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런 고정부(145)는 케이스(140)의 측면 하부 끝부분에도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스(140)를 환자용 침대 또는 휠체어 등의 바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40)의 전방 하부에는 구동부(130)가 작동함을 알리는 표시부(146)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 하부에는 저장부(120)가 얹혀지면서 고정되는 연장부(1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40)의 상부의 중앙 끝부분에는 저장부(120)와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걸림홈(148)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의 중앙 상부부위에는 저장부(120)와 관통되게 연결되어 배출구의 역할을 하는 수나사(149)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부(147)의 중앙 끝부분에는 저장부(120)와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걸림돌기(1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일정 용량의 소변을 저장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측면 또는 후방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소변의 저장량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121)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20)의 상부의 중앙 끝부분에는 케이스(140)의 걸림홈(148)과 결합하는 결합부(1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런 결합부(122)에는 탄성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걸림홈(148)과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의 전방의 중앙 상부부위에는 케이스(140)의 수나사(149)와 접속되어 유입구의 역할을 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암나사(123)가 형성되어 있고, 저장부(120)의 하부 중앙 끝부분에는 저장부(120)의 걸림돌기(150)와 결합되는 걸림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120)의 전방 상부부위에는 내부에 저장된 소변을 외부로 배출할 경우 사용되는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뚜껑(125)이 형성되어 있고, 이런 뚜껑(125)에는 소변과 함께 흡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의 후방에는 편리하게 사용 및 휴대할 수 있도록 손잡이(1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케이스(140)에는 저장부(120) 대신 현재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팩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케이스(140)의 수나사(149)에 일회용 팩에 형성된 암나사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140)의 후방에 저장부(120)를 결합하면, 케이스(140)의 걸림홈(148)과 수나사(149) 및 걸림돌기(150)가 저장부(120)의 결합부(122)와 암나사(123) 및 걸림홈(124)에 각각 체결된다.
또한,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집료부(110)와 구동부(130)가 각각 내장되어 있다. 집료부(110)는 여성용 소변 집료부(111) 및 남성용 소변 집료부(112)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런 집료부(111, 112)는 여성 및 남성의 생식구조에 맞게 각각 제작되어 있다. 즉, 여성 및 남성이 소변을 배출할 경우, 소변이 주변에 흘리지 않고 모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여성용 소변 집료부(11)의 단부면에는 여성 환자가 거들을 착용할 경우, 그 거들에 부착될 수 있는 밸크로 파스너(116)가 부착되어 있다.
이런 집료부(111, 112)의 내부에는 +전극/-전극(11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집료부(111, 112)의 하부에는 내부에 모여지는 소변을 배출하는 배출구(114)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 때, 여성용 소변 집료부(111)와 남성용 소변 집료부(112)의 배출구(114)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배출구(114)에는 소변을 저장부(120)로 유동시키는 유동호스(115)가 결합되는데, 이 때, 유동호스(115)는 배출구(114)에 원터치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 유동호스(115)는 사용하는 환자에 따라 여성용 소변 집료부(111) 또는 남성용 소변 집료부(11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된다. 이런 유동호스(115)는 이것을 자동으로 감고 힘을 가하면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된 권취부(도시생략)에 감겨 있다. 즉, 권취부는 힘을 연속적으로 가하면 풀리다가 힘을 제거하면 그 상태에서 고정되고, 힘을 조금 가했다가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하여 감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런 권취부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권취부에 감겨 있는 유동호스(115)의 끝단부에는 구동부(130)의 펌프(131)에 연결되어 있고, 이런 펌프(131)의 다른 쪽은 케이스(140)의 수나사(149)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131)는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이런 축전지는 외부전원, 즉, 변압기에 의해 12V 또는 24V로 다운된 전원이 공급되어 축전되는데, 이런 축전지는 릴레이 또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집료부(111, 112)의 내부에 설치된 전극(113)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전극(113)이 도통되면 릴레이 또는 트랜지스터가 폐회로를 형성하여 축전지의 전원으로 펌프(131)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런 축전지는 케이스(140)의 전방에형성된 표시부(146)에 연결되어 있어, 전원이 공급되어 펌프(131)가 작동하면 그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축전지의 접속단자(132)가 케이스(1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소변 집료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에 보이듯이, 여성 환자 또는 남성 환자가 여성용 소변 집료부(111) 또는 남성용 소변 집료부(112)에 소변을 배출하여 집료부(111, 112)에 일정량의 소변이 모여 +전극/-전극(113)이 도통, 즉, 소변에 존재하는 +이온 및 -이온에 의해 +전극/-전극(113)이 도통되어 릴레이 또는 트랜지스터를 작동시켜 폐회로를 형성하면 축전지의 전원을 통해 펌프(131)가 구동된다. 그러면, 집료부(111,112)에 모인 소변이 유동호스(115)를 따라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케이스(140)의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부(146)에서는 펌프(131)가 작동중임을 LED 램프가 점등되어 알리게 된다. 그러다가, 집료부(111, 112)에 모인 소변이 모두 배출되어 +전극/-전극(113)이 도통되지 않으면 릴레이 또는 트랜지스터가 개회로를 형성하여 축전지에서 더이상의 전원을 펌프(131)에 공급하지 않아 더이상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면, 케이스(140)의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부(146)에서는 펌프(131)가 작동하지 않음을 LED 램프가 소등되어 알리게 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소변 집료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의 여성용 소변 집료부를 여성용 거들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를 환자용 침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를 환자용 휠체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소변 집료장치를 링겔 고정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에 보이듯이, 하반신이 마비된 여성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여성 환자 중 거들을 착용한 환자의 경우에 있어서, 이런 환자들은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소변 집료장치를 항상 부착하고 있어야 한다. 이럴 경우, 여성용 소변 집료부(111)의 테두리에 부착된 밸크로 파스너(116)를 거들에 부착함으로써, 움직이지 않고 편리하게 소변을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보이듯이, 소변 집료장치를 환자용 침대에 고정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이 가능한 어느 부위나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추락 보호대에 고정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케이스(140)의 측면에 고정부(145)가 각각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부(145)를 보호대의 바에 각각 결합하면 된다.
그리고, 도 10에 보이듯이, 소변 집료장치를 휠체어에 고정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발판이 위치하는 안쪽부위에 고정하는데, 이 때에는 고정부(145)의 한 쪽을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위 쪽에 위치하는 바에 고정하고, 다른 고정부(145)는 측면에 위치하는 바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도 11에 보이듯이, 소변 집료장치를 링겔 고정대에 고정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대의 둘레에 고정부(145)를 고정하면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변 집료장치는 환자의 소변을 모으는 집료부와 이런 집료부에 모인 소변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하나의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으므로 보관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병실의 미관을 결여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변 집료장치는 환자용 침대 또는 휠체어 등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편리하게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변 집료장치는 전극을 통해 소변배출을 감지하고 소변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소변 집료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소변을 모으는 집료부와, 상기 집료부에 모인 소변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집료부에 모인 소변을 상기 저장부로 유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소변 집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료부와 구동부는 내장하고, 상기 저장부와는 착탈이 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며,
    소변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집료부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유입구가, 상기 저장부와 케이스의 착탈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집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료부는 여성용 소변 집료부와 남성용 소변 집료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집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용 소변 집료부의 단부면에는 여성 환자의 거들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밸크로 파스너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집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소변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집료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극과 -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집료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용 침대 또는 휠체어 등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는 고정부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집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전원은 외부의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집료장치.
KR1020000007156A 2000-02-15 2000-02-15 소변 집료장치 KR100344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156A KR100344127B1 (ko) 2000-02-15 2000-02-15 소변 집료장치
KR2020000004019U KR200190892Y1 (ko) 2000-02-15 2000-02-15 소변 집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156A KR100344127B1 (ko) 2000-02-15 2000-02-15 소변 집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019U Division KR200190892Y1 (ko) 2000-02-15 2000-02-15 소변 집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144A KR20010103144A (ko) 2001-11-23
KR100344127B1 true KR100344127B1 (ko) 2002-07-20

Family

ID=196467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019U KR200190892Y1 (ko) 2000-02-15 2000-02-15 소변 집료장치
KR1020000007156A KR100344127B1 (ko) 2000-02-15 2000-02-15 소변 집료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019U KR200190892Y1 (ko) 2000-02-15 2000-02-15 소변 집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08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531B1 (ko) * 2009-03-03 2012-02-20 김경태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KR20200143178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KR20200143179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시착용형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365B1 (ko) * 2002-02-28 2005-06-13 한메딕스 주식회사 집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732519B2 (ja) * 2006-06-30 2011-07-27 ハンメディックス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体液の収集及び分析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531B1 (ko) * 2009-03-03 2012-02-20 김경태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KR20200143178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KR20200143179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시착용형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KR102252982B1 (ko) * 2019-06-14 2021-05-27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KR102259715B1 (ko) * 2019-06-14 2021-06-02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시착용형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892Y1 (ko) 2000-08-01
KR20010103144A (ko)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3036B1 (en) Pumping breast milk
KR102236558B1 (ko) 자동 집뇨장치
AU755378B2 (en) A urine discharge apparatus for female
US20110130730A1 (en) Apparatus for the provision of topical negative pressure therapy
CA1277103C (en) Self-contained hand-held bidet
WO2007111181A1 (ja) 尿吸引装置
KR20010022169A (ko) 질관주 및/또는 관장장치
JP2000185068A (ja) 排尿処理装置
KR100344127B1 (ko) 소변 집료장치
US6652481B1 (en) Hygienic saliva compensation device with improved handheld and intra-oral collection device
CN114587753B (zh) 适用于虚弱老年造口患者的造口袋
CN211067972U (zh) 一种便携式电动鼻腔冲洗器
CN211157611U (zh) 一种带有压力检测装置的负压球
CN216135869U (zh) 一种家庭亚健康检测仪
CN211674821U (zh) 一种女用集尿器
KR19980053652A (ko) 휴대용 소변기
CN215840459U (zh) 一种便携式高血压智能药盒
WO2019147184A1 (en) Body cavity irrigation device
CN215679611U (zh) 一种规范洗手提醒器
CN220344910U (zh) 多功能氧气面罩
CN218361124U (zh) 一种气管套管的清洗装置
CN215308998U (zh) 一种耳鼻喉科术后护理装置
CN212261955U (zh) 一种便携式消毒瓶
CN213169309U (zh) 一种洗面奶软管包装结构
CN209332437U (zh) 一种假肛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