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531B1 -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531B1
KR101116531B1 KR1020090017826A KR20090017826A KR101116531B1 KR 101116531 B1 KR101116531 B1 KR 101116531B1 KR 1020090017826 A KR1020090017826 A KR 1020090017826A KR 20090017826 A KR20090017826 A KR 20090017826A KR 101116531 B1 KR101116531 B1 KR 10111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valve
suction
discharge
urinary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371A (ko
Inventor
김경태
김성원
최성진
민혜정
Original Assignee
김경태
민혜정
최성진
김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민혜정, 최성진, 김성원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09001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5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형화를 통해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고 간소화된 탈부착 방식을 통해 전문 기술이 없이도 간단하게 도뇨관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방광에 저류된 소변을 도뇨관의 소변배출통로를 통해 체외로 배출시에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의 뇨 흡입구를 상기 도뇨관의 뇨 배출구에 결합하여 상기 도뇨관과 펌프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을 통해 도뇨관에서 소변을 자동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흡입/배출부;를 포함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여, 배뇨가 필요한 경우 환자가 원하는 시간에 간편하게 배뇨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뇨관을 통한 출혈 및 그에 의한 2차 세균 감염 등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고, 배뇨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밸브를 잠근 후 배뇨장치를 제거하여 휴대 및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자동 배뇨, 도뇨관, 개폐식 밸브

Description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Automatic Urine s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환자의 방광에 삽입된 도뇨관으로부터 소변을 강제 흡입하여 자동 배뇨시킬 수 있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뇨관 또는 도뇨관의 뇨 배출구에 연결된 밸브에 착탈식으로 조립/분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원하는 시간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한 자동 배뇨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배뇨 이외의 시간에는 상기 도뇨관 또는 밸브로부터 분리시켜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가 배뇨가 불가능한 환자의 일부는 방광 내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치골상부 도뇨관(catheter)을 삽입하게 되며, 이러한 도뇨관은 주로 수술환자나 의식불명환자, 방광기능이 현저하게 약화된 환자 또는 그 외의 특별한 목적으로 방광을 비워야 할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도뇨관은 방광의 내부로 뇨 흡입구가 삽입되고 환자의 몸체 외부로 뇨 배출구가 노출되며, 상기 뇨 배출구에 소변팩이 연결되어, 도뇨관을 통해 배뇨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뇨관에 소변팩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배뇨 장치는 소변팩 등이 도뇨관에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환자 본인이나 간병인의 움직임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변팩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소변팩을 주기적으로 자주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뇨장치에서는 소변이 고임에 따라 소변팩의 중량이 가중되는 경우 휴대가 불편하여 환자들이 이동에 제약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형화를 통해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고 간소화된 탈부착 방식을 통해 전문 기술이 없이도 간단하게 도뇨관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뇨를 필요로 하는 경우 별도의 배뇨장소로의 이동 없이 방광 저부의 소변까지도 확실하게 배뇨할 수 있으며, 배뇨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밸브를 폐쇄한 후 도뇨관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자의 방광에 저류된 소변을 도뇨관의 소변배출통로를 통해 체외 배출하는 배뇨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의 뇨 흡입구를 상기 도뇨관의 뇨 배출구에 결합하여 상기 도뇨관과 펌프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을 통해 도뇨관에서 소변을 자동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흡입/배출부;를 포함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자의 방광에 저류된 소변을 도뇨관의 소변배출통로를 통해 체외 배출하는 배뇨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로가 도뇨관의 소변배출통로와 이어지도록 상기 도뇨관의 뇨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유로 상에 밸브실을 구비하여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식 밸브; 사용자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의 뇨 흡입구를 상기 개폐식 밸브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도뇨관과 개폐식 밸브 및 펌프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을 통해 상기 도뇨관과 개폐식 밸브로 이어지는 유로에서 소변을 자동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흡입/배출부;를 포함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도뇨관은, 말레콧(malecot)형 도뇨관 또는 폴리(foley)형 도뇨관의 길이가 단축된 형태로 소변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소변 배출통로의 양단부에, 방광 내의 소변 흡입을 위한 뇨 흡입구와 소변의 체외 배출을 위한 뇨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자동 흡입/배출부는, 상기 도뇨관의 뇨 배출구로 연결되는 뇨 흡입구와 상기 뇨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소변을 배출하는 뇨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뇨 흡/배출구와 연통하는 내부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서 편심 회전되는 회전자와 베인, 및 상기 뇨 배출구에 배기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자와 베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뇨 흡입구로부터 소변을 흡입하여 상기 뇨 배출구로 내보내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부와 전원 공급부 및 펌프 구동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동 흡입/배출부는, 상기 펌프의 뇨 흡입구 측 단부에, 상기 도뇨관 또는 밸브를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도뇨관/밸브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의 뇨 배출구 측 단부에, 소변팩 또는 배뇨 탱크를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소변팩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개폐식 밸브는, 내부에 밸브실이 구비되고 상기 밸브실의 양단부에 소변 유/출입을 위한 소변 유입구와 소변 배출구가 형성되어 제1유체통로를 형성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실에 내장되어 밸브실과 소변 유/출입구로 이어지는 제1 유체통로를 개폐하며, 외부 조작이 가능한 개폐 조절레버와 일체로 형성되어 레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유체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디스크 부재; 상기 디스크 부재가 밸브 몸체의 밸브실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크 부재를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끼워 조립하는 디스크 조립부재;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식 밸브는 소변 유/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출입구와 연통되는 통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접이식 밸브 몸체;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접이식 밸브 몸체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연신 가능한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그 신축성에 의해 상기 두 밸브 몸체가 나란하게 겹치도록 접거나 펴는 동작으로 소변 또는 증류수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탄성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식 밸브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형 몸체의 측면에 소변 또는 증류수 유출입이 가능한 연결통로를 연설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내부에 승강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며,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통로에 대응하는 크기의 유체 또는 공기의 유출입구를 측면에 형성한 상부 캡;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부 캡과 하부 몸체의 내부에서 회전과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개재되는 승강 부재;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 통로와 상부 캡의 유출입구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개재되는 탄성 튜브; 상기 하부 몸체와 탄성 튜브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 튜브의 개폐 및 상부 캡과 승강 부재의 승강 운동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는 방광에 삽입된 도뇨관 또는 그 도뇨관에 연결된 밸브에 착탈식으로 간단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되므로, 전문 기술이 없이도 간단하게 도뇨관에 연결하거나 분리가능하여 환자 본인이나 간병인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간편한 휴대 및 자유로운 배뇨가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는 배뇨가 필요한 경우 도뇨관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한 후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해 배뇨가 이루어질 수 있고, 배뇨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단지 밸브를 폐쇄하는 동작만으로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와 도뇨관으로 연결된 소변 배출 통로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즉, 배뇨를 필요로 하는 경우 별도의 배뇨장소로의 이동 없이 방광 저부의 소변까지도 확실하게 배뇨할 수 있어, 상행성 세균 감염 등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도뇨관(10) 또는 개폐식 밸브(100)에 펌프의 뇨 흡입구(6410,6420)를 통해 연결되고, 소변팩 또는 배뇨 탱크에 펌프의 뇨 배출구(6430)를 통해 연결되는 자동 흡입/배출부(600)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의 뇨 흡입구를 도뇨관의 뇨 배출구에 결합하여 도뇨관과 펌프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을 통해 도뇨관에서 소변을 자동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흡입/배출부(600)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로가 도뇨관(10)의 소변배출통로와 이어지도록 도뇨관의 뇨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유로 상에 밸브실을 구비하여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식 밸브(100)와, 사용자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의 뇨 흡입구를 상기 개폐식 밸브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도뇨관과 개폐식 밸브 및 펌프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을 통해 상기 도뇨관과 개폐식 밸브로 이어지는 유로에서 소변을 자동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흡입/배출부(600)를 포함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도뇨관(10)은 말레콧(malecot)형 도뇨관 또는 폴리(foley)형 도뇨관의 길이가 단축된 형태로 소변 배출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도뇨관(10)은 상기 소변 배출통로의 양단부에 방광 내의 소변 흡입을 위한 뇨 흡입구와 소변의 체외 배출을 위한 뇨 배출구를 각각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폐식 밸브는 밸브 몸체(110)와 디스크 부재(120)와 디스크 조립부재(130)로 이루어지는 제1 개폐식 밸브(100), 또는 한 쌍의 접이식 밸브 몸체(210,220)와 탄성 개폐부재(230)로 이루어지는 제2 개폐식 밸브(200), 또는 밸브몸체(310)와 출입통로(311)와 밸브 조절레버(320)로 이루어지는 제3 개폐식 밸브(300), 또는 하부 몸체(410)와 상부 캡(422)과 승강 부재(411)와 탄성 튜브(430)와 탄성 부재(440)로 이루어지는 제4 개폐식 밸브(400), 또는 하부몸체(510)와 상부캡(520)과 탄성부재(530)와 탄성튜브(540)와 연결통로(511,512)로 이루어지는 제5 개폐식 밸브(50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개폐식 밸브에 대한 상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자동 흡입/배출부(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부(610)와 전원 공급부(620)와 펌프 구동부(630) 및 펌프(64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의 자동 흡입/배출부(600)는 펌프(640)를 통해 도뇨관(10) 또는 개폐식 밸브(100)와 연결되고, 소변팩 또는 배뇨탱크와 연결된다.
스위치 조작부(610)는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구비되며, 이들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펌프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전원 공급부(620)는 펌프 구동을 위해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조작부(610)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펌프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펌프 구동부(630)는 상기 전원 공급부(62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동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전동기에 회전축에 펌프의 회전자가 축결합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640)는 뇨 흡입구(6410,6420)와 뇨 배출구(6430)를 형성하고, 상기 뇨 흡/배출구와 연통하는 내부 실린더와, 그 실린더 내부에서 편심 회전되는 회전자와 베인, 및 상기 뇨 배출구에 배기밸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펌프(640)는 뇨 흡입구(6410,6420)를 통해 도뇨관(10) 또는 개폐식 밸브(100)와 연결되고 뇨 배출구(6430)를 통해 소변팩 또는 배뇨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와 베인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뇨 흡입구로부터 소변을 흡입하여 상기 뇨 배출구로 내보낸다.
이러한 자동 흡입/배출부(600)는 상기 펌프(640)의 뇨 흡입구(6410,6420) 측 단부에, 상기 도뇨관(10) 또는 개폐식 밸브(100)를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6411,6412,6421,6422)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도 2의 (a)와 (b)는 도뇨관(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도뇨 관/밸브 결합부(6411,6412)를 각각 상세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a는 나사부(6411a)를 형성한 제1 도뇨관/밸브 결합부(6411)가 도뇨관(10)과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며, 도 3b는 돌기부(6412a)를 형성한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6412)가 도뇨관(10)과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로서, 상기 제1 및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6411,6412)는 각각 펌프의 뇨 흡입구(6410)의 몸체 부분보다 그 단부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서, 상기 뇨 흡입구와 다른 몸체로 이루어지며, 경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1 도뇨관/밸브 결합부(6411)는 그 몸체 외주면에, 도뇨관(10)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부(6411a)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6412)는 그 몸체 외주면에, 도뇨관과의 압입식 밀착 결합을 위한 돌기부(6412a)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이 몸체의 선단부에는 도뇨관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테이퍼부(641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6412)는 그 몸체를 도 2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가 볼록한 항아리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2의 (a)에 예시된 제1 도뇨관/밸브 결합부(6411)에 도뇨관(1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뇨관(10)의 단부에 그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서 경성 재질의 제1 펌프/밸브 결합부(11)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펌프/밸브 결합부(11)는 도뇨관(10)과는 다른 몸체로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도뇨관/밸브 결합부(6411)의 나사부(6411a)에 대응하는 나사부(11a)를 형성하여, 두 나사부(6411a,11a)를 서로 대응시켜 나사 결합한다.
도 2의 (b)에 예시된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6412)에 도뇨관(1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뇨관(10)의 단부에 그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서 유연성 재질의 제2 펌프/밸브 결합부(12)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2 펌프/밸브 결합부(12)는 도뇨관(10)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6412)의 돌기부(6412a)에 대응하는 돌기 걸림홈(12a)를 형성한다. 이로써 직경이 확장된 유연성 재질의 제2 펌프/밸브 결합부(12)의 내부에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6412)의 테이퍼부(6413)를 삽입하게 되면, 펌프의 뇨 흡입구(6410)에 연설된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6412)를 도뇨관(10)에 삽입할 수 있게 되며, 이후 상기 돌기 걸림홈(12a)에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6412)의 돌기부(6412a)가 걸릴 때까지 밀어 넣게 되면, 도뇨관(10)과 펌프의 뇨 흡입구(6410)와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 4의 (a)와 (b)는 개폐식 밸브(1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 및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6421,6422)를 각각 상세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a는 나사부(6421a)를 형성한 제3 도뇨관/밸브 결합부(6421)가 개폐식 밸브(100)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며, 도 5b는 돌기 걸림홈(6422a)를 형성한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6422)가 개폐식 밸브(100)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로서, 상기 제3 및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6421,6422)는 각각 펌프의 뇨 흡입구(6420)의 몸체 부분보다 그 단부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서, 제3 도뇨관/밸브 결합부(6421)는 경성 재질로서 상기 뇨 흡입구와 다른 몸체로 이루어지고,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6422)는 유연성 재질로서 뇨 흡입구와 일체로 이루어 진다.
특히 제3 도뇨관/밸브 결합부(6421)는 그 몸체 외주면에, 개폐식 밸브(10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부(6421a)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6422)는 그 몸체 내주면에, 개폐식 밸브(100)와의 압입식 밀착 결합을 위한 돌기 걸림홈(6422a)를 형성한다.
도 4의 (a)에 예시된 제3 도뇨관/밸브 결합부(6421)에 개폐식 밸브(10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식 밸브(100)의 단부에 경성 재질의 제1 펌프 결합부(114)를 형성한다. 이 제1 펌프 결합부(114)는 개폐식 밸브(100)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3 도뇨관/밸브 결합부(6421)의 나사부(6421a)에 대응하는 나사부(114a)를 형성하여, 두 나사부(6421a,114a)를 서로 대응시켜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3 도뇨관/밸브 결합부(6421)와 개폐식 밸브(1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4의 (b)에 예시된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6422)에 개폐식 밸브(10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식 밸브(100)의 단부에 경성 재질의 제2 펌프 결합부(114-1)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 제2 펌프 결합부(114-1)는 상기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6422)의 돌기 걸림홈(6422a)에 대응하는 돌기부(114c)를 형성하고, 몸체의 선단부에는 펌프의 뇨 흡입구(6420) 내부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테이퍼부(114b)를 형성한다. 이로써 직경이 확장된 유연성 재질의 뇨 흡입구(6420)의 내부에 제2 펌프 결합부(114-1)의 테이퍼부(114b)를 삽입할 수 있게 되며, 이후 상기 돌기 걸림홈(6422a)에 제2 펌프 결합부(114-1)의 돌기부(114a)가 걸릴 때까지 밀어 넣게 되면, 개폐식 밸브(100)와 펌프의 뇨 흡입구(6420)와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도 5a 및 도 5b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흡입/배출부(600)가 제1 개폐식 밸브(100)에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동 흡입/배출부(600)는 한 쌍의 접이식 밸브 몸체(210,220)와 탄성 개폐부재(230)로 이루어지는 제2 개폐식 밸브(200), 또는 밸브몸체(310)와 출입통로(311)와 밸브 조절레버(320)로 이루어지는 제3 개폐식 밸브(300), 또는 하부 몸체(410)와 상부 캡(422)과 승강 부재(411)와 탄성 튜브(430)와 탄성 부재(440)로 이루어지는 제4 개폐식 밸브(400), 또는 하부몸체(510)와 상부캡(520)과 탄성부재(530)와 탄성튜브(540)와 연결통로(511,512)로 이루어지는 제5 개폐식 밸브(500)의 단부에도 결합 가능함은 물론이다. 물론 이 경우 제2 내지 제5 개폐식 밸브의 각 단부에도 상기 제1 개폐식 밸브의 각 펌프 결합부와 같은 형태로의 변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도 6a는 도 3의 제1 개폐식 밸브(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와 도 6c는 제1 개폐식 밸브가 닫힌 상태를 예시한 확대 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6d와 도 6e는 제1 개폐식 밸브가 열린 상태를 예시한 확대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식 밸브(100)는 밸브 몸체(110)와 디스크 부재(120) 및 디스크 부재를 밸브 몸체에 조립 또는 분리하는 디스크 조립부재(130)로 이루어지며, 마개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밸브 몸체(110)는 내부에 밸브실이 구비되고 그 밸브실의 양단부에 소변 유/출입을 위해 소변 유입구와 소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소변 유입구 및 배출구 와 연통되는 제1 유체통로(11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밸브실을 형성하는 몸체의 양측면에는 제1 유체통로(111)와 수직하는 디스크 조립홈(112)을 형성하여 그 조립홈의 내부에서 디스크 조립부재(130)에 의해 디스크 부재(120)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밸브 몸체(11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도뇨관(10)의 뇨 배출구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도뇨관 결합부(113)를 구비한다.
상기 도뇨관 결합부(113)는 도 6a의 A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도뇨관을 안정되게 결합할 수 있는 돌기부(113b)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뇨관 결합부(113)와 도뇨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도뇨관 결합부의 단부에 테이퍼부(113a)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뇨관 결합부(113)는 도 6a의 B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도뇨관을 안정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113c)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도뇨관(10)의 펌프/밸브 결합부(11,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뇨관의 뇨 배출구 측 개방 단부로부터 소정 깊이까지 나사홈을 형성하여 나사부(113c)과의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사결합을 위한 경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도뇨관 결합부(113)가 형성된 밸브 몸체(110)의 다른측 단부에는 외부의 소변팩 또는 소변 펌프를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펌프 결합부(114,114-1)를 구비한다.
상기 펌프 결합부(114-1)는 도 6a의 C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를 안정되게 결합할 수 있는 돌기부(114c)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펌프 결합부(114-1)와 펌프의 결합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 결합부의 단부에 테이퍼부(114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펌프 결합부(114)는 도 6a의 D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를 안정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밸브 몸체의 내주면에 나사부(114a)를 형성한다.
디스크 부재(120)는 상기 디스크 조립홈(112)을 통해 밸브 몸체(110)의 밸브실에 수직하게 조립되어 밸브실에 내장될 수 있는 구조의 몸체를 가지며, 일측 단부에 나사결합을 위한 볼트부(124)를 형성하여 디스크 조립부재(130)와 조립되거나 분해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 부재(120)에는 밸브실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몸체를 관통하는 내부 유체홈(121)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유체홈(121)의 위치 지정 및 회전 방향의 제한을 위한 돌기(122), 및 디스크 부재를 외부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 조절레버(12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디스크 부재(120)는 개폐조절 레버(123)의 위치에 따라 내부 유체홈(121)이 제1유체통로(111)와 평행하게 위치되거나 또는 수직하게 위치되어 밸브실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밸브 몸체(110)의 제1유체통로(111)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디스크 조립부재(130)는 밸브 몸체(110)와 디스크 부재(120) 간의 조립을 위한 부가 조립수단으로서, 상기 디스크 부재의 볼트부(124)가 끼워져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 홈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도 7a와 도 7b는 도 3의 제1 개폐식 밸브(100)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한 실시 형태인 제2 개폐식 밸브(200)의 예시도이다.
도 7a와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개폐식 밸브(200)는 한 쌍의 접이식 밸브 몸체(210,220)와, 탄성 개폐부재(230)로 구성된다.
한 쌍의 접이식 밸브 몸체(210,220)는 유체 또는 공기 유/출입을 위한 출입구(211,221)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출입구와 연통되는 유체 또는 공기의 통로를 내부에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접이식 밸브 몸체(210,220)는, 상기 두 밸브 몸체를 겹치도록 접는 경우 서로 대향하여 겹치는 밸브 몸체의 각 외측에 각각의 밸브 몸체를 구속하기 위한 한 쌍의 잠금부재(2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탄성 개폐부재(230)는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두 개의 접이식 밸브 몸체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연신 가능한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그 신축성에 의해 상기 두 밸브 몸체(210,220)가 나란하게 겹치도록 접거나 펴는 동작으로 유체 또는 공기의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3의 제1 개폐식 밸브(100)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형태인 제3 개폐식 밸브(300)의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3 개폐식 밸브(300)는 구형 밸브실을 갖는 밸브 몸체(310)와, 밸브실의 양측에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출입통로(311)와, 밸브실 내부에 삽입되어 밸브실을 개폐하는 디스크 부재(321)로 구성된다.
밸브 몸체(310)는 소변 유/출입을 위한 출입통로(311)가 몸체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몸체의 중앙부분에 구형의 밸브실이 구비된다. 이러한 밸브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출입통로와 밸브실로 연통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이 밸브 몸체(310)에는 밸브 조절레버(320)의 노출 및 슬라이드를 위한 구멍(310a)을 형성한다.
디스크 부재(321)는 구형 밸브실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며,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밸브 조절레버(320)를 연설하여 상기 구멍(310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유체홈(321a)을 형성하여 그 유체홈(321a)이 출입통로(311)와 나란하게 위치될 때 소변 출입이 이루어지고 그 이외의 경우는 소변 출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밸브 조절레버(320)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하게 되면 디스크 부재(321)가 밸브실 내부에서 회전되어 유체홈(321a)이 출입통로(311)와 나란하게 되어, 출입통로(311)가 개방되는 것이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하게 되면 디스크 부재(321)가 밸브실을 차단하여 출입통로(311)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 의한 각각의 개폐식 밸브(100,200,300)는 공통적으로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일측 단부가 도뇨관(10)의 뇨 배출구 측의 제1 결합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소변 배출통로와 연통되며, 몸체의 내부에 밸브실을 구비하여 그 밸브실의 개폐에 따라 도뇨관(10)에서의 소변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형성한다.
도 9a와 도 9b는 도 3의 제1 개폐식 밸브(100)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 른 실시 형태인 제4 개폐식 밸브(400)의 예시도이다.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개폐식 밸브(400)는 몸체의 저부 양측에 연결 통로(412)를 형성하고 속이 빈 중공형 몸체로 이루어지는 하부 몸체(410)와, 하부 몸체의 내부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캡(422)와, 상기 상부 캡과 하부 몸체 사이에 회전과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개재되며 승강높이 제한을 위한 상부 돌기(411a)를 형성한 승강부재(411)와,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 통로(412) 및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통로에 연이어 삽입되는 탄성 튜브(430)와, 하부 몸체의 저부와 탄성 튜브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 튜브를 승강시키는 탄성 부재(4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의 하부와 상기 탄성 부재의 상부가 접촉되는 중간 부분에는, 탄성 튜브의 승강 동작을 안정되게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탄성 튜브(430)가 몸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블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몸체(4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저부가 막힌 중공형 몸체로 이루어져 탄성 부재(440)와, 탄성 튜브(430)가 관통되는 탄성블록, 및 승강 부재(411)가 차례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캡(422)은 상기 하부 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며, 그 상부에는 조절 버튼(42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 캡(422)에는 하부쪽으로 개방되고 깊이가 다른, 다수의 홈(422a,422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깊이의 홈을 구비한 상부 캡(422)은 상기 승강부재(411)가 회전과 동시에 승강동작을 반복할 때마다 서로 다른 깊이의 홈에 상기 승강 부재의 돌기(411a)가 번갈아 위치 되도록 하여, 승강 부재의 최종 승강 높이가 달라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승강 부재(411)는 상부 캡(422)이 한번 눌러질 때마다 지정된 각도 만큼 회전되면서 동시에 지정된 높이 만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411a)를 형성하여 상부 캡과 하부 몸체 사이에서 회전과 승강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개재된다.
탄성 튜브(430)는 탄성 부재(440)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태로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 통로(412)에 삽입된다.
탄성 부재(440)는 상기 하부 몸체(410)의 저부에 놓이게 되며, 탄성 튜브(430)의 하부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운동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튜브(430)는 유연성 재질의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상부 캡(422) 및 승강 부재(411)의 승강 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 통로와 상부 캡의 유출입구로 이어지는 통로를 개폐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부 캡(422)은, 원터치 방식에 의한 승강 운동으로 탄성 부재를 압축 또는 복원시켜, 탄성 튜브(43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3의 제1 개폐식 밸브(100)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의 형태인 제5 개폐식 밸브(500)의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개폐식 밸브(500)는 하부 몸체(510)와, 상부 캡(520)과, 탄성 부재(530)와, 탄성 튜브(540)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몸체(51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형 몸 체의 측면에 소변 또는 증류수의 유출입이 가능한 연결통로(511,512)를 연설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 몸체의 일측면에는 상부 캡(520)의 위치고정용 돌기(520a)를 삽입시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돌기 삽입홈(510a)을 형성한다.
상부 캡(520)은 상기 하부 몸체의 내부에 승강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며,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통로에 대응하는 크기의 소변 또는 증류수의 유출입구(522)를 측면에 형성한다. 이러한 상부 캡(520)은 투터치 방식에 의한 승강 운동으로 탄성 부재를 압축 또는 복원시켜, 탄성 튜브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캡의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압축에 따른 상부 캡의 하강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위치고정용 돌기(520a)를 형성한다.
탄성 부재(530)는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캡의 승강 운동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 튜브(540)는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 통로와 상부 캡의 유출입구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튜브(540)는 유연성 재질의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상부 캡의 승강 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 통로와 상부 캡의 유출입구로 이어지는 통로를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튜브(540)는 유연성 재질의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상부 캡의 승강 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 통로와 상부 캡의 유출입구로 이어지는 통로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 예가 가능 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의 (a)와 (b)는 도 1의 도뇨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를 각각 상세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2의 나사부를 형성한 제1 도뇨관/밸브 결합부가 도뇨관과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3b는 도 2의 돌기부를 형성한 제2 도뇨관/밸브 결합부가 도뇨관과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4의 (a)와 (b)는 도 1의 개폐식 밸브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 및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를 각각 상세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나사부를 형성한 제3 도뇨관/밸브 결합부가 개폐식 밸브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5b는 도 4의 돌기 걸림홈을 형성한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가 개폐식 밸브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6a는 도 3의 제1 개폐식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와 도 6c는 제1 개폐식 밸브가 닫힌 상태를 예시한 확대 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6d와 도 6e는 제1 개폐식 밸브가 열린 상태를 예시한 확대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3의 제1 개폐식 밸브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한 실시예의 형태인 제2 개폐식 밸브의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3의 제1 개폐식 밸브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형태인 제3 개폐식 밸브의 예시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도 3의 제1 개폐식 밸브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의 형태인 제4 개폐식 밸브의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3의 제1 개폐식 밸브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의 형태인 제5 개폐식 밸브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뇨관 11,12 : 펌프/밸브 결합부
11a,113c,114a,6411a,6421a : 나사부 12a, 6422a : 돌기 걸림홈
100,200,300,400,500 : 개폐식 밸브
110 : 밸브몸체 111 : 유체통로
112 : 디스크 조립홈 113a,114b,6413 : 테이퍼부
113b,114c,6412a : 돌기부 114,114-1 : 펌프 결합부
120,321 : 디스크부재 121 : 내부 유체홈
122,411a : 돌기 123 : 개폐 조절레버
124 : 볼트부 130 : 디스크조립부재
210,220 : 접이식밸브몸체 230 : 탄성 개폐부재
240 : 잠금부재 310 : 밸브몸체
311 : 출입통로 320 : 밸브 조절레버
410,510 : 하부몸체 411 : 승강부재
421 : 조절버튼 422,520 : 상부캡
422a,422b : 홈 430,540 : 탄성튜브
440,530 : 탄성부재 510a : 돌기 삽입홈
511,512 : 연결통로 520a : 위치고정용돌기
522 : 유출입구 600 : 자동 흡입/배출부
610 : 스위치 조작부 620 : 전원 공급부
630 : 펌프 구동부 640 : 펌프
6410,6420 : 뇨 흡입구 6430 : 뇨 배출구
6411,6412,6421,6422 : 제1 내지 제4 도뇨관/밸브 결합부

Claims (20)

  1. 환자의 방광에 저류된 소변을 도뇨관의 소변배출통로를 통해 체외로 자동 배출시키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에 있어서,
    도뇨관; 사용자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의 뇨 흡입구를 상기 도뇨관의 뇨 배출구에 결합하여 상기 도뇨관과 펌프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을 통해 도뇨관에서 소변을 자동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흡입/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 흡입/배출부는,
    상기 도뇨관의 뇨 배출구로 연결되는 뇨 흡입구와 상기 뇨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소변을 배출하는 뇨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뇨 흡/배출구와 연통하는 내부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서 편심 회전되는 회전자와 베인, 및 상기 뇨 배출구에 배기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자와 베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뇨 흡입구로부터 소변을 흡입하여 상기 뇨 배출구로 내보내는 펌프;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부와 전원 공급부 및 펌프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2. 소변배출통로를 구비하여, 환자의 방광에 저류된 소변을 소변배출통로를 통해 배출하는 도뇨관;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로가 도뇨관의 소변배출통로와 이어지도록 상기 도뇨관의 뇨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유로 상에 밸브실을 구비하여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식 밸브;
    사용자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의 뇨 흡입구를 상기 개폐식 밸브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도뇨관과 개폐식 밸브 및 펌프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을 통해 상기 도뇨관과 개폐식 밸브로 이어지는 유로에서 소변을 자동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자동 흡입/배출부;를 포함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도뇨관의 뇨 배출구로 연결되는 뇨 흡입구와 상기 뇨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소변을 배출하는 뇨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뇨 흡/배출구와 연통하는 내부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서 편심 회전되는 회전자와 베인, 및 상기 뇨 배출구에 배기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자와 베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뇨 흡입구로부터 소변을 흡입하여 상기 뇨 배출구로 내보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뇨관은 말레콧(malecot)형 도뇨관 또는 폴리(foley)형 도뇨관의 길이가 단축된 형태로 소변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소변 배출통로의 양단부에, 방광 내의 소변 흡입을 위한 뇨 흡입구와 소변의 체외 배출을 위한 뇨 배출구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흡입/배출부는,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부와 전원 공급부 및 펌프 구동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흡입/배출부는,
    상기 펌프의 뇨 흡입구 측 단부에, 상기 도뇨관 또는 밸브를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도뇨관/밸브 결합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뇨관/밸브 결합부는 뇨 흡입구의 몸체 부분보다 그 단부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서, 상기 뇨 흡입구와 다른 몸체의 경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뇨관/밸브 결합부의 몸체 외주면에, 도뇨관 또는 개폐식 밸브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뇨관/밸브 결합부의 몸체 외주면에, 도뇨관 또는 개폐식 밸브와의 압입식 밀착 결합을 위한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뇨관/밸브 결합부의 몸체 선단부에, 도뇨관 또는 개폐식 밸브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테이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흡입/배출부는,
    상기 펌프의 뇨 배출구 측 단부에, 소변팩 또는 배뇨 탱크를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소변팩 결합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뇨관/밸브 결합부는 뇨 흡입구의 몸체 부분보다 그 단부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서, 상기 뇨 흡입구와 일체의 유연성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흡입/배출부는,
    상기 펌프의 뇨 흡입구 측 단부에, 상기 도뇨관 또는 밸브를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도뇨관/밸브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뇨관/밸브 결합부의 튜브 내주면에, 상기 개폐식 밸브와 안정된 결합을 안내하는 돌기 걸림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밸브는,
    내부에 밸브실이 구비되고 상기 밸브실의 양단부에 소변 유/출입을 위한 소변 유입구와 소변 배출구가 형성되어 제1유체통로를 형성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실에 내장되어 밸브실과 소변 유/출입구로 이어지는 제1 유체통로를 개폐하며, 외부 조작이 가능한 개폐 조절레버와 일체로 형성되어 레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유체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디스크 부재;
    상기 디스크 부재가 밸브 몸체의 밸브실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크 부재를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끼워 조립하는 디스크 조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밸브는,
    소변 유/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출입구와 연통되는 통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한 쌍의 접이식 밸브 몸체;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접이식 밸브 몸체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연신 가능한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그 신축성에 의해 상기 두 밸브 몸체가 나란하게 겹치도록 접거나 펴는 동작으로 소변 또는 증류수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탄성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이식 밸브 몸체는,
    상기 두 밸브 몸체를 겹치도록 접는 경우 서로 대향하여 겹치는 밸브 몸체의 각 외측에 각각의 밸브 몸체를 구속하기 위한 한 쌍의 잠금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밸브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형 몸체의 측면에 소변 또는 증류수 유출입이 가능한 연결통로를 연설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내부에 승강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며,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통로에 대응하는 크기의 유체 또는 공기의 유출입구를 측면에 형성한 상부 캡;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부 캡과 하부 몸체의 내부에서 회전과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개재되는 승강 부재;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 통로와 상부 캡의 유출입구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개재되는 탄성 튜브;
    상기 하부 몸체와 탄성 튜브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 튜브의 개폐 및 상부 캡과 승강 부재의 승강 운동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튜브는,
    유연성 재질의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상부 캡의 승강 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연결 통로와 상부 캡의 유출입구로 이어지는 통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은,
    원터치 방식에 의한 승강 운동으로 탄성 부재를 압축 또는 복원시켜, 상기 탄성 튜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은,
    투터치 방식에 의한 승강 운동으로 탄성 부재를 압축 또는 복원시켜, 탄성 튜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의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압축에 따른 상부 캡의 하강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위치고정용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위치고정용 돌기를 삽입시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돌기 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KR1020090017826A 2009-03-03 2009-03-03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KR101116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26A KR101116531B1 (ko) 2009-03-03 2009-03-03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26A KR101116531B1 (ko) 2009-03-03 2009-03-03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371A KR20100099371A (ko) 2010-09-13
KR101116531B1 true KR101116531B1 (ko) 2012-02-20

Family

ID=4300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26A KR101116531B1 (ko) 2009-03-03 2009-03-03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886A (ko) 2019-12-18 2021-06-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상 환자용 자동 배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4290B (zh) * 2018-02-24 2024-03-29 江西益康医疗器械集团有限公司 改进型导尿管与导尿袋的中间连接件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974U (ko) * 1978-07-26 1980-02-07
KR100344127B1 (ko) * 2000-02-15 2002-07-20 김성엽 소변 집료장치
KR20030046583A (ko) * 2001-12-05 2003-06-18 (주)엠디케어 자동 소변 배출기
KR200426911Y1 (ko) * 2006-07-10 2006-09-18 서휘덕 유체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974U (ko) * 1978-07-26 1980-02-07
KR100344127B1 (ko) * 2000-02-15 2002-07-20 김성엽 소변 집료장치
KR20030046583A (ko) * 2001-12-05 2003-06-18 (주)엠디케어 자동 소변 배출기
KR200426911Y1 (ko) * 2006-07-10 2006-09-18 서휘덕 유체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886A (ko) 2019-12-18 2021-06-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상 환자용 자동 배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371A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9728B2 (en) Irrigation and aspiration device and method
US10617500B2 (en) Oral irrigator
US11027055B2 (en) Irrigation system comprising dual pumps
US8231589B2 (en) Irrigation system
ES2621790T3 (es) Sistemas para extraer material ingerido del estómago
ES2564822T3 (es) Extractor de leche manual con un medio de estimulación
US6958058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umping fluid and performing surgical procedures
US7666171B2 (en) Portable instil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876650B1 (ko) 혈관 접근장치
KR101116531B1 (ko)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 및 배출장치
JP2019098007A (ja) 補助人工心臓システム及び血液ポンプ用コントローラ
KR101279583B1 (ko) 치골 상부 도뇨관
US7867196B1 (en) Pump and method having reduced pressure and friction for providing fluid, especially for surgical procedures
CN107185101A (zh) 体液持续负压吸引管
KR102251873B1 (ko) 식도 이물질 제거장치
CN101920058A (zh) 医疗用吸引集液器
EP4007619B1 (en) Spool valve for trans-anal irrigation device
KR20080005352U (ko) 음경발기보조기구용 흡입펌프
KR200209772Y1 (ko)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CN117281967A (zh) 一种用于重症医学病人用气道通畅器
CN117617882A (zh) 腹腔内窥镜冲洗装置
CN115700122A (zh) 手术盒
KR20020014335A (ko)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CA2488296A1 (en) Urine colle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