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335A -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335A
KR20020014335A KR1020000047554A KR20000047554A KR20020014335A KR 20020014335 A KR20020014335 A KR 20020014335A KR 1020000047554 A KR1020000047554 A KR 1020000047554A KR 20000047554 A KR20000047554 A KR 20000047554A KR 20020014335 A KR20020014335 A KR 20020014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y nose
inhaler
reservoir
runny
sn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주
Original Assignee
서정주
주식회사 지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주, 주식회사 지인텍 filed Critical 서정주
Priority to KR102000004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4335A/ko
Publication of KR2002001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3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콧물흡입기를 사용할 때 콧물과 같은 액체가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는 동력에 의하여 일정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 콧물흡입기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에서 발생된 흡인력으로 콧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콧물저장통으로 이루어진 콧물흡입기에 있어서,
상기 콧물저장통 내부에는 콧물흡입기 사용시 콧물과 같은 액체가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콧물흡입기의 기울임에 따라서 콧물저장통에 담긴 콧물이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체유입방지장치가 제공된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A LIQUID INFLOW OF INHALER OF SNIVEL}
본 발명은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콧물흡입기를 사용할 때 콧물과 같은 액체가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저항력이 약하여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고, 스스로 체온을 조절하는 능력이 떨어짐으로, 특히 겨울철에는 감기와 같은 호흡기 계통의 바이러스성 질환에 자주 걸리게 된다.
감기에 걸리면 콧물이 흐르거나 콧물에 의한 코막힘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심한 경우 호흡장애를 일으켜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
성인들의 경우에도 감기나 알레르기성 비염 혹은 축농증 등과 같은 질환에 의하여 콧물이 흐르거나 코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코막힘 현상이 발생하면 콧물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유아들은 콧물을 스스로 풀지 못하므로 휴지나 면봉을 이용하여 제거하게되고, 성인들의 경우는 휴지를 이용하여 콧물을 풀어서 제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휴지나 면봉 등을 사용하여 콧물을 제거할 경우 코 주변과 코 내부의 피부가 휴지나 면봉과 마찰되어 피부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콧속의 콧물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하여 최근에는 동력을 이용하여 콧물을 흡입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콧물흡입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콧물흡입기는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일정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 콧물흡입기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에서 발생된 흡인력으로 콧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콧물저장통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콧물흡입기는 흡입된 콧물이 콧물저장통에 담기지 않고 콧물흡입기 본체의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콧물흡입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콧물저장통에 일정량 이상의 콧물이 흡입된 상태에서 콧물흡입기를 기울이게 되면 콧물저장통의 콧물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콧물흡입기 본체로 콧물이 유입되면 콧물흡입기의 흡입력이 감소하여 콧물이 제대로 흡입되지 않거나, 콧물흡입기의 수명단축은 물론이고 고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콧물흡입기 본체 내부로 콧물과 같은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콧물흡입기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부여된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동력에 의하여 일정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 콧물흡입기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에서 발생된 흡인력으로 콧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콧물저장통으로 이루어진 콧물흡입기에 있어서,
상기 콧물저장통 내부에는 콧물흡입기 사용시 콧물과 같은 액체가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콧물흡입기의 기울임에 따라서 콧물저장통에 담긴 콧물이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체유입방지장치가 제공된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유체유입방지장치는 저장통 뚜껑에 형성된 흡입관로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저장통 뚜껑 내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고 그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유입관로가 형성된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된 확장부 내부에서 탄성부재의 외향 탄발력을 받으며 설치되어 정상적인 콧물흡입시에는 콧물흡입기 본체의 흡입구와 통하도록 이루어진 흡입관로를 개방하고, 콧물이 유입된 경우 콧물흡입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관로를 폐쇄하는 개폐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결합된 밸브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콧물흡입기의 기울임에 따라서 위치 이동하여 저장통 내부에 담긴 콧물이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볼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유입방지장치가 제공된 콧물흡입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유입방지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콧물흡입기 사용시 유체유입방지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4는 콧물흡입기를 기울였을 때 유체유입방지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유입방지장치가 제공된 콧물흡입기의 단면도로서, 콧물흡입기는 콧물흡입기 본체(2)와, 이 본체(2)의 선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흡입되는 콧물이 담겨지는 콧물저장통(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콧물흡입기 본체(2)는 그 내부에 각종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6)를 갖추며, 이 케이스(6) 내부에는 배터리(8)와, 이 배터리(8)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구동원인 모터(10)와, 이 모터(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전달수단(12)과, 이 동력전달수단(12)의 작동으로 외기를 흡입 및 배출하여 일정한 압력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가압수단(14)이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2)은 모터(10)의 회전축(16)에 회전 중심부가 고정 설치되는 편심 캠(18)과, 이 편심 캠(18)과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외측으로 연장된 편심축(20)의 외측에서 회전 자유롭게 결합되어 상기 편심 캠(18)의 편심 회전운동을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전달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22)는 그 일측이 모터(10)의 회전축(16)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다른 쪽은 피스톤(24)으로 이루어지며, 이 피스톤(24)은 가압수단(14)에 연결된다.
상기 가압수단(14)은 피스톤(24)이 내부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실린더(26)와, 이 실린더(26)의 상부에 위치하는 밸브시이트(28)와, 상기 밸브시이트(28)를 사이에 두고 실린더(26)와 조립되는 흡배기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26)는 피스톤(2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부로 형성되며, 상부는 피스톤(24)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실린더(26) 내로 공기가 흡입되거나 배출이 이루어지는 흡입구멍(32a)과 배출구멍(32b)이 뚫려진다.
상기 밸브시이트(28)는 실린더(26)의 상부면과 흡배기부(30) 사이에 밀착 개재되어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체크밸브 역할을 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탄력성을 갖는 얇은 고무로 제작되고 일부분이 절개되어 피스톤(24)의 왕복운동시 실린더(26)에 형성된 흡입구멍(32a)과 배출구멍(32b)을 개폐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밸브시이트(28)를 사이에 두고 실린더(26)와 조립되는 흡배기부(30)는, 가압수단(14) 내부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34a)와, 흡입된 외기가 가압수단(14)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34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압수단(12)은 콧물흡입기를 작동시켰을 때, 예를 들어 실린더(26)의 아래쪽으로 피스톤(24)이 하강하면 공기의 흡입력으로 밸브시이트(28)의 절개된 부분이 흡입구멍(32a)과 배출구멍(32b) 쪽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흡입구멍(32a)은 개방하고 배출구멍(32b)은 폐쇄하여 개방된 흡입구멍(32a)을 통하여 실린더(26) 내부로 외기가 흡입된다.
반대로 하강되었던 피스톤(24)이 상승되면 공기의 배출력으로 밸브시이트(28)의 절개부분이 흡배기부(30) 쪽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흡입구(34a)는 폐쇄하고, 배출구(34b)는 개방하여 실린더(26)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구(34b)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작용을 짧은 시간에 여러 번 반복되도록 함으로서, 가압수단(14)에서 일정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압수단(14)의 흡배기부(30) 쪽에는 이 흡배기부(30)와 케이스(6)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 사이에 소정의 탄력성을 갖는 밀폐부재(36)가 개재되고 그 외측으로는 캡(38)이 케이스(6)에 결합된 상태로 되어있다.
상기 밀폐부재(36)는 콧물흡입기 본체(2)에 콧물저장통(4)을 결합하였을 때, 이들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36)에는 흡배기부(30)의 흡입구(34a)와 배출구(34b)와 통하면서 콧물흡입기 본체(2) 외부로 관통된 구멍(40a)(40b)이 뚫려있다.
상기 캡(38)은 중앙부가 내벽을 갖는 공간부로 이루어지며, 이 공간부의 내벽 원주방향으로는 돌출턱(42)이 형성되어 콧물저장통(4)이 결합되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콧물흡입기 본체(2) 외부에는 모터(10)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스위치(4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콧물흡입기 본체(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콧물저장통(4)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흡입되는 콧물이 담겨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콧물저장통(4)은 저장통 본체(46)와, 이 저장통 본체(46)에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콧물흡입기 본체(2)의 캡(38) 내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를 갖는 콧물저장통 뚜껑(48)과, 상기 저장통 본체(46)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콧물의 흡입이 최초로 이루어지는 콧물 흡입구(50)를 갖는다.
상기 콧물저장통 뚜껑(48)의 삽입부에는 캡(38)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턱(42)과 대응되는 걸림홈(52)이 형성되어 콧물흡입기 본체(2)와 콧물저장통(4)이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콧물저장통 뚜껑(48)에는 콧물흡입기 본체(2)의 흡입구(34a)와 통하도록 이루어진 흡입관로(54a)와, 콧물흡입기 본체(2)의 배출구(34b)와 통하도록 이루어진 배출관로(54b)가 형성되어 콧물흡입기 본체(2)로 외기가 유입되거나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콧물저장통 본체(46)와 뚜껑(48) 사이에는 패킹(56)이 제공되어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콧물저장통 본체(46) 앞부분에는 콧물저장통(4)으로 흡입된 콧물이 콧물 흡입구(50) 쪽으로 역류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밸브(58)가 형성된다.
이 역류 방지밸브(58)는 고무와 같이 자체탄력성을 갖는 것으로 제작되며,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다가 흡입이 이루어질 때는 도 3a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이 열려 콧물이 저장통(4)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콧물저장통(4) 내부에는 콧물흡입기 사용시 콧물과 같은 유체가 콧물흡입기 본체(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콧물흡입기의 기울임에 따라서 콧물저장통(4)에 담긴 콧물이 콧물흡입기 본체(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체유입방지장치(60)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체유입방지장치(60)는 저장통 뚜껑(48)에 형성된 흡입관로(54a)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저장통 뚜껑(48) 내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고 그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유입관로(62)가 형성된 고정부(64)와, 이 고정부(64)의 일측에 결합되는 밸브 하우징(68) 내부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볼 밸브(6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64)의 일측은 내부공간을 갖는 확장부로 형성되는데, 이 확장부의 내부공간에는 저장통 뚜껑(48)에 일측이 지지된 탄성부재(70)의 외향 탄발력을 받으며 개폐부(72)가 설치된다.
이 개폐부(72)는 일측 외주연부가 턱부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가 공간부(74)로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부(72)는 콧물흡입기 작동시 콧물흡입기 본체(2)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도 3a에서와 탄성부재(70)가 흡입관로(54a)를 개방한 상태로 약간 압축되어 정상적인 콧물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공기유입관로(62)에 콧물이 유입되면 도 3b에서와 같이 유입된 콧물의 무게에 의하여 개폐부(72)가 흡입관로(54a)를 폐쇄하여 콧물흡입기 본체(2)로 콧물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콧물흡입기를 작동 정지시키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70)의 탄력으로 개폐부(72)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유입방지장치(60)의 밸브 하우징(68)은 일측이 공기유입관로(74)와 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상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구멍(76)이 뚫려 콧물저장통(4)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유입관로(62)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콧물흡입기를 도 4에서와 같이 기울였을 때 밸브 하우징(68)의 내부에 위치한 볼 밸브(66)가 상기 밸브 하우징(68)의 구멍(76)을 막아 콧물 저장통(4)에 담겨있는 콧물과 같은 유체가 콧물흡입기 본체(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체유입방지장치(60)가 제공된 콧물흡입기를 사용하려면, 먼저 콧물흡입기 본체(2)에 콧물저장통(4)을 결합한 후 스위치(44)를 온 시킨다.
그러면 배터리(8)의 전원이 모터(10)로 전달되어 모터(10)가 구동하게 되고, 이 모터(10)의 회전축(16)에 결합된 편심 캠(18)이 회전하게 되며, 이 편심 캠(18)과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그 외측으로 연장된 편심축(20)의 외측에 회전 자유롭게 결합된 동력전달수단(12)의 동력전달부재(22)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재(22)의 작동에 의하여 이 동력전달부재(22)의 타측에 설치된 피스톤(24)이 실린더(26) 내부에서 왕복운동 하면서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작용을 짧은 시간에 여러 번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가압수단(14)에서 일정한 압력의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콧물저장통(4)의 앞부분에 결합된 콧물 흡입구(50)를 콧물을 제거하려는 사람의 코에 삽입하면 콧물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콧속에 있는 콧물은 콧물 흡입구(50)를 따라서 흡입되며, 흡입된 콧물은 콧물저장통(4)에 고이게 된다.
이러한 작용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유입방지장치(60)에 제공된 개폐부(72)는 저장통 뚜껑(48)의 흡입관로(54a) 측으로 약간 이동하여 흡입관로(54a)를 개방하며, 따라서 콧물과 함께 저장통(4)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밸브 하우징(68)의 구멍(76)을 통하여 공기유입관로(62)와 흡입관로(54a) 및 콧물흡입기 본체(2)의 구멍(40a)과 흡입구(34a)를 통하여 가압수단(14)으로 유입된 후, 배출구(34b)와 구멍(40b)을 따라서 콧물저장통 뚜껑(48)에 형성된 배출관로(54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콧물흡입기의 사용시 흡입되는 콧물이 저장통(4)에 고이지 않고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공기유입관로(62)로 유입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72)에 형성된 공간부(74)에 흡입된 콧물이 고이게 된다.
이렇게 콧물이 개폐부(72)에 일정량 이상 고이게 되면 콧물의 무게로 인한 힘이 그대로 개폐부(72)에 가해지게되고, 이로 인하여 흡입되는 공기압력으로 상기 개폐부(72)가 탄성부재(70)를 더욱 압축하면서 흡입관로(54a)를 폐쇄한다.
따라서 가압수단(14)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한 상태가 되어 흡입력이 발생되지 않아 콧물흡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콧물흡입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려면 스위치(44)를 오프 시키고, 콧물저장통(4)을 콧물흡입기 본체(2)에서 분리한 후 저정통 뚜껑(48) 내측에 결합된 유체유입방지장치(60)를 분리하여 콧물을 제거한 후 이를 재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콧물흡입기를 사용을 잠시 중단하거나 세워서 보관하기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기울였을 때에도 밸브 하우징(68)의 내부에 위치한 볼 밸브(66)가 상기 밸브 하우징(68)에 형성된 구멍(76)을 막아 콧물 저장통(4)에 담겨있는 콧물과 같은 유체가 콧물흡입기 본체(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는, 콧물흡입기 본체 내부로 콧물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콧물흡입기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제공된다.

Claims (5)

  1. 동력에 의하여 일정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 콧물흡입기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에서 발생된 흡인력으로 콧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콧물저장통으로 이루어진 콧물흡입기에 있어서,
    상기 콧물저장통 내부에는 콧물흡입기 사용시 콧물과 같은 액체가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콧물흡입기의 기울임에 따라서 콧물저장통에 담긴 콧물이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체유입방지장치가 제공된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방지장치는 저장통 뚜껑에 형성된 흡입관로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저장통 뚜껑 내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고 그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유입관로가 형성된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된 확장부 내부에서 탄성부재의 외향 탄발력을 받으며 설치되어 정상적인 콧물흡입시에는 콧물흡입기 본체의 흡입구와 통하도록 이루어진 흡입관로를 개방하고, 콧물이 유입된 경우 콧물흡입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관로를 폐쇄하는 개폐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결합된 밸브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콧물흡입기의 기울임에 따라서 위치 이동하여 저장통 내부에 담긴 콧물이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볼 밸브로 이루어진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콧물흡입기 작동시 콧물흡입기 본체의 흡입력에 의하여 탄성부재가 흡입관로를 개방한 상태로 약간 압축되어 정상적인 콧물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공기유입관로에 콧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콧물의 무게에 의하여 개폐부가 탄성부재를 더욱 압축하여 흡입관로를 폐쇄하여 콧물흡입기 본체로 콧물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콧물이 저장통에 고이지 않고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공기유입관로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콧물이 고일 수 있는 공간부로 형성된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 밸브는 콧물흡입기를 사용을 잠시 중단하거나 세워서 보관하기 위하여 기울였을 때 위치 이동하여 밸브 하우징에 형성된 구멍을 막아 콧물 저장통에 담겨있는 콧물과 같은 유체가 콧물흡입기 본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KR1020000047554A 2000-08-17 2000-08-17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KR20020014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554A KR20020014335A (ko) 2000-08-17 2000-08-17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554A KR20020014335A (ko) 2000-08-17 2000-08-17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336U Division KR200209772Y1 (ko) 2000-08-17 2000-08-17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335A true KR20020014335A (ko) 2002-02-25

Family

ID=1968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554A KR20020014335A (ko) 2000-08-17 2000-08-17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43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904A (ko) 2019-11-25 2021-06-02 (주)휴비딕 비강용 체액 흡입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4167A (en) * 1987-01-14 1988-08-16 Tu Ho C Safety newborn mucous suction device
KR200211372Y1 (ko) * 2000-06-27 2001-01-15 한형문 코흡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4167A (en) * 1987-01-14 1988-08-16 Tu Ho C Safety newborn mucous suction device
KR200211372Y1 (ko) * 2000-06-27 2001-01-15 한형문 코흡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904A (ko) 2019-11-25 2021-06-02 (주)휴비딕 비강용 체액 흡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605B1 (ko) 의료기기
KR200188585Y1 (ko) 휴대용 콧물 흡입기
KR100611875B1 (ko) 피부 관리기
JP4456143B2 (ja) 人工呼吸装置に適したポンプとその排気バルブアセンブリ
AU579051B2 (en) Pulsatile pump
EP0102724A2 (en) Pumping system for producing a liquid jet
KR900009108A (ko) 호흡장치
US20150297812A1 (en) Ventricular assist blood pump
JPH05207969A (ja) 体腔の洗浄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JP2000325466A (ja) 携帯用鼻水吸入器
US4515591A (en) Disposable syringe cartridge for fluid delivery apparatus
US20150051437A1 (en) Ventricular assist system
KR200209772Y1 (ko)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KR102229619B1 (ko) 식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CN209261826U (zh) 入口阀和压缩机
KR20020014335A (ko) 콧물흡입기의 유체유입방지장치
CN111886042A (zh) 微型双向阀和系统
US4722366A (en) Flow control device
KR200209773Y1 (ko) 의료기기
EP4025158B1 (en) Air vent assembly for a pump
CN219062474U (zh) 内镜用吸引阀门
KR200219896Y1 (ko) 모터 구동 공기 펌프
CN115487435B (zh) 一种负压进气呼吸面罩及其使用方法
KR20100099371A (ko) 자동 배뇨를 위한 흡입장치
CN212547196U (zh) 一种内窥镜水气按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