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932B1 -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932B1
KR100343932B1 KR1020000053510A KR20000053510A KR100343932B1 KR 100343932 B1 KR100343932 B1 KR 100343932B1 KR 1020000053510 A KR1020000053510 A KR 1020000053510A KR 20000053510 A KR20000053510 A KR 20000053510A KR 100343932 B1 KR100343932 B1 KR 10034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
ime
terminal
local
attachmen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384A (ko
Inventor
전준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0005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9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49/256Routing or path finding in ATM switching fab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78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더욱 상세하게는 ATM 교환기로 하여금 자신과 접속된 물리적 포트의 부착점 변경 상황을 감시하다가 부착점이 변경되었을 경우 호 해제 절차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ATM 교환기로 하여금 자신과 접속된 물리적 포트의 부착점 변경 상황에 따라 호 절체 동작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링크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빠른 호 절체동작으로 인한 성능 향상 및 효율적인 자원 활용이 가능해진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LINK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ATM INTERFACE CHANGE OF ATTACHMENT POINT DETECTION FUNCTION IN ATM SYSTEM}
본 발명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이라 칭함.)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TM 교환기로 하여금 자신과 접속된 물리적 포트의 부착점 변경 상황을 감시하다가 부착점이 변경되었을 경우 호 해제 절차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ATM 인터페이스의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이란 ATM 포럼(Forum) 규격의 ILMI(Integrated Local Management Interface) 버젼 4.0에 기술된 링크 관리 기능중 일부 기능이며, 상술한 ILMI 기능에는 링크 관리 기능, 주소 등록 기능, 그리고 서비스 등록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상술한 ATM 인터페이스의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은 ATM 교환기에 광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 물리적 포트, 즉 사용자 단말기가 교환되었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ILMI 기능의 링크 관리 기능중에서도 ATM 인터페이스의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하여, ATM 교환기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의 교환 여부를 감지하고, 이후 그 결과값에 따라 호 해제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할수 있도록 해주는 발명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ATM 교환기에 UNI로 접속된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의 변화에 대해 시그널링에 의해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짧은 시간안에 발생하는 두 링크간의 상태 변화로 인한 호 절체 동작이 느린 속도로 진행되고, 이로인해 ATM 교환기의 성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ATM 채널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용 관리자 측면에서는 ATM 교환기 시스템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시스템 관리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ATM 교환기로 하여금 자신과 접속된 물리적 포트의 부착점 변경 상황에 따라 호 절체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링크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주기 위한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는, 사용자측 단말기인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 및 상기 ATM 종단 시스템과 광케이블인 UNI를 통해 접속되어 호 처리시 상기 ATM 종단 시스템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해 주는 ATM 교환기를 구비한 ATM 시스템에서의 링크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은, 상기 ATM 교환기로부터 단말기 상태정보 요구신호를 수신받으면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ATM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말기측 IME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ATM 교환기는,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의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저장하는 로컬 메모리,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내 단말기측 IME와 UNI를 통해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로컬 메모리의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측 IME로부터 최초의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단말기측 IME로부터 주기적으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검토하여 상기 ATM 종단 시스템의 부착점 변경 여부를 감지한 후 해당 ATM 종단 시스템의 부착점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로컬 IME, 및 상기다수개의 로컬 IME중 해당 로컬 IME로부터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그 해당 AMT 종단 시스템의 호를 모두 해제시키는 운용관리 블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방법은, ATM 교환기내 해당 로컬 IME가 자신과 접속된 ATM 종단 시스템내 단말기측 IME로 부착점 변경 검사 스타트 메시지(ColdStartTrap)를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해당 로컬 IME가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로 단말기 상태 정보 요구신호를 전송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해당 로컬 IME가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측 IME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해당 로컬 IME가 그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로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해당 로컬 IME가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로 단말기 상태 정보 요구신호를 전송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해당 로컬 IME가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측 IME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해당 로컬 IME가 그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와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의 동일 여부를 점검하여 해당 ATM 종단 시스템의 부착점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에서 현재 단말기측 IME로부터 수신받은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와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서로 동일함으로 해당 ATM 종단 시스템의 부착점 변경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로컬 IME가 다시 상기 제 5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해당 ATM 종단 시스템의 부착점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로컬 IME가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운용관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운용관리 블록이 상기 로컬 IME로부터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해당 AMT 종단 시스템의 호를 모두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클리어시키는 제 9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에서 상기 ATM 종단 시스템내 단말기측 IME가 상기 ATM 교환기내 로컬 IME로 전송하는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방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
도 4는 도 3에 따른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방법에서 제 7 단계(S7)의 세부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
도 5는 도 3에 따른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ATM 종단 시스템 101 : 단말기측 IME
200 : ATM 교환기 201 : 로컬 메모리
202 : 로컬 IME 203 : 운용관리 블록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이용한 링크 관리장치는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100), 및 ATM 교환기(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100)은 사용자측 단말기로써 각각 단말기측 IME(Interface Management Entity; 이하 "IME"라 칭함.)(101)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100)내에 각각 장착된 단말기측 IME(101)는 자신과 접속된 상기 ATM 교환기(200)내 로컬(Local) IME(202)로부터 단말기 상태정보 요구신호를 수신받으면,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ATM 교환기(200)내 로컬 IME(202)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측 IME(101)가 상기 ATM 교환기(200)내 로컬 IME(202)로 전송하는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TM 종단 시스템(100)의 포트 정보를 나타내는 물리적 포트 구분자 정보(atmfPortMyIfIdentifier)(11), ATM 종단 시스템(100)의 ID(Identification) 정보를 나타내는 ATM 종단 시스템 구분자 정보(atmfMySystemIdentifier)(12), 및 ATM 종단 시스템(100)의 시동 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sysUpTime)(1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ATM 교환기(200)는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100)과 광케이블인 UNI(User-Network Interface; 이하 "UNI"라 칭함.)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100)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해주는 역할을 하며, 로컬 메모리(Local Memory)(201), 다수개의 로컬 IME(202), 및 운용관리 블록(203)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ATM 교환기(200)내에 장착된 로컬 메모리(201)는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의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모두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또한, 상기 ATM 교환기(2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로컬 IME(202)는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100)내 단말기측 IME(101)와 UNI를 통해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로컬 메모리(201)의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최초의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이를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주기적으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검토하여 상기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의 부착점 변경 여부를 감지한 후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의 부착점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상기 운용관리 블록(203)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ATM 교환기(200)내에 장착된 운용관리 블록(203)은 상기 ATM 교환기(200)의 운용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블록으로써, 상기 다수개의 로컬 IME(202)중 해당 로컬 IME(202)로부터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그 해당 AMT 종단 시스템(100)의 호를 모두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방법에 대해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ATM 교환기(200)내 해당 로컬 IME(202)는 자신과 접속된 ATM 종단 시스템(100)내 단말기측 IME(101)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점 변경 검사 스타트 메시지(ColdStartTrap)를 전송한다(S1).
그러면, 상기 해당 로컬 IME(20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101)로 단말기 상태 정보 요구신호를 전송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2).
그런후, 상기 해당 로컬 IME(202)는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이때,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상기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YES), 상기 해당 로컬 IME(202)는 그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한다(S4).
그런후, 상기 해당 로컬 IME(20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101)로 단말기 상태 정보 요구신호를 전송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5).
이어서, 상기 해당 로컬 IME(202)는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
이때, 상기 제 6 단계(S6)에서 상기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YES), 상기 해당 로컬 IME(202)는 그 단말기상태 정보 메시지와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의 동일 여부를 점검하여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의 부착점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S7).
상기 제 7 단계(S7)에서 현재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수신받은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와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서로 동일함으로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의 부착점 변경이 발생하지 않으면(NO) 상기 로컬 IME(202)는 다시 상기 제 5 단계(S5)로 진행하는 한편,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의 부착점 변경이 발생하면(YES), 상기 로컬 IME(202)는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상기 운용관리 블록(203)으로 전송한다(S8).
그러면, 상기 운용관리 블록(203)은 상기 로컬 IME(202)로부터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해당 AMT 종단 시스템(100)의 호를 모두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클리어시킨다(S9).
반면에,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상기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NO), 상기 해당 로컬 IME(202)는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에 대한 호 해제 요구신호를 상기 운용관리 블록(203)으로 전송한다(S10).
그러면, 상기 운용관리 블록(203)은 상기 해당 로컬 IME(202)로부터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에 대한 호 해제 요구신호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의 모든 호를 해제시킨 후 리턴한다(S11).
또한, 상기 제 6 단계(S6)에서 상기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NO), 상기 해당 로컬 IME(202)는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에 대한 호 해제 요구신호를 상기 운용관리 블록(203)으로 전송한다(S12).
그러면, 상기 운용관리 블록(203)은 상기 해당 로컬 IME(202)로부터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에 대한 호 해제 요구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ATM 종단 시스템(100)의 모든 호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클리어시킨 후 리턴한다(S13).
한편, 상술한 제 7 단계(S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세부 동작단계로 나눠질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해당 로컬 IME(202)는 현재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수신받은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의 물리적 포트 구분자 정보(atmfPortMyIfIdentifier)와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의 물리적 포트 구분자 정보(atmfPortMyIfIdentifier)가 서로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1).
이때, 상기 제 7-1 단계(S7-1)에서 현재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수신받은 물리적 포트 구분자 정보(atmfPortMyIfIdentifier)와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된 물리적 포트 구분자 정보(atmfPortMyIfIdentifier)가 서로 다르면(NO) 상기 로컬 IME(202)는 상기 제 8 단계(S8)로 진행하는 한편, 서로 동일하면(YES) 상기로컬 IME(202)는 현재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수신받은 ATM 종단 시스템 구분자 정보(atmfMySystemIdentifier)와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된 ATM 종단 시스템 구분자 정보(atmfMySystemIdentifier)가 서로 동일한지의 여부를 비교한다(S7-2).
상기 제 7-2 단계(S7-2)에서 현재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수신받은 ATM 종단 시스템 구분자 정보(atmfMySystemIdentifier)와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된 ATM 종단 시스템 구분자 정보(atmfMySystemIdentifier)가 서로 다르면(NO) 상기 로컬 IME(202)는 상기 제 8 단계(S8)로 진행하는 한편, 서로 동일하면(YES) 상기 로컬 IME(202)는 현재 단말기측 IME(101)로부터 수신받은 ATM 종단 시스템(100)의 시동 후 경과 시간 정보(sysUpTime)가 상기 로컬 메모리(201)에 저장된 ATM 종단 시스템(100)의 시동 후 경과 시간 정보(sysUpTime)보다 크거나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적으면(NO) 상기 제 8 단계(S8)로 진행하는 한편, 크거나 같으면(YES) 상기 제 5 단계(S5)로 진행한다(S7-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ATM 교환기로 하여금 자신과 접속된 물리적 포트의 부착점 변경 상황에 따라 호 절체 동작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링크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빠른 호 절체동작으로 인한 성능 향상 및 효율적인 자원 활용이 가능해진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측 단말기인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 및 상기 ATM 종단 시스템과 광케이블인 UNI를 통해 접속되어 호 처리시 상기 ATM 종단 시스템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해 주는 ATM 교환기를 구비한 ATM 시스템에서의 링크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은, 상기 ATM 교환기로부터 단말기 상태정보 요구신호를 수신받으면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ATM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말기측 IME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ATM 교환기는,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의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저장하는 로컬 메모리, 상기 다수개의 ATM 종단 시스템내 단말기측 IME와 UNI를 통해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로컬 메모리의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측 IME로부터 최초의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단말기측 IME로부터 주기적으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검토하여 상기 ATM 종단 시스템의 부착점 변경 여부를 감지한 후 해당 ATM 종단 시스템의 부착점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로컬 IME, 및 상기 다수개의 로컬 IME중 해당 로컬 IME로부터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그 해당 AMT 종단 시스템의 호를 모두 해제시키는 운용관리 블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TM 종단 시스템내 단말기측 IME가 상기 ATM 교환기내 로컬 IME로 전송하는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는, ATM 종단 시스템의 포트 정보를 나타내는 물리적 포트 구분자 정보(atmfPortMyIfIdentifier);
    ATM 종단 시스템의 ID 정보를 나타내는 ATM 종단 시스템 구분자 정보(atmfMySystemIdentifier); 및
    ATM 종단 시스템의 시동 후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sysUpTim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3. ATM 교환기내 해당 로컬 IME가 자신과 접속된 ATM 종단 시스템내 단말기측 IME로 부착점 변경 검사 스타트 메시지(ColdStartTrap)를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해당 로컬 IME가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로 단말기 상태 정보 요구신호를 전송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해당 로컬 IME가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측 IME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해당 로컬 IME가 그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로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해당 로컬 IME가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로 단말기 상태 정보 요구신호를 전송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해당 로컬 IME가 자신과 접속된 단말기측 IME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측 IME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해당 로컬 IME가 그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와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의 동일 여부를 점검하여 해당 ATM 종단 시스템의 부착점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에서 현재 단말기측 IME로부터 수신받은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와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서로 동일함으로 해당 ATM 종단 시스템의 부착점 변경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로컬 IME가 다시 상기 제 5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해당 ATM 종단 시스템의 부착점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로컬 IME가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운용관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운용관리 블록이 상기 로컬 IME로부터 부착점 변경 보고 메시지를 수신받은 후 해당 AMT 종단 시스템의 호를 모두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클리어시키는 제 9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측 IME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로컬 IME가 해당 ATM 종단 시스템에 대한 호 해제 요구신호를 운용관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운용관리 블록이 상기 해당 로컬 IME로부터 해당 ATM 종단 시스템에 대한 호 해제 요구신호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해당 ATM 종단 시스템의 모든 호를 해제시킨 후 리턴하는 제 11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측 IME로부터 설정 시간내에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로컬 IME가 해당 ATM 종단 시스템에 대한 호 해제 요구신호를 운용관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운용관리 블록이 상기 해당 로컬 IME로부터 해당 ATM 종단 시스템에 대한 호 해제 요구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ATM 종단 시스템의 모든 호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클리어시킨 후 리턴하는 제 13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해당 로컬 IME가 현재 단말기측 IME로부터 수신받은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의 물리적 포트 구분자 정보(atmfPortMyIfIdentifier)와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의 물리적 포트 구분자 정보(atmfPortMyIfIdentifier)가 서로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7-1 단계;
    상기 제 7-1 단계에서 현재 단말기측 IME로부터 수신받은 물리적 포트 구분자 정보(atmfPortMyIfIdentifier)와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물리적 포트 구분자 정보(atmfPortMyIfIdentifier)가 서로 다르면 상기 로컬 IME가 상기 제 8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서로 동일하면 상기 로컬 IME가 현재 단말기측 IME로부터 수신받은 ATM 종단 시스템 구분자 정보(atmfMySystemIdentifier)와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ATM 종단 시스템 구분자 정보(atmfMySystemIdentifier)가 서로 동일한지의 여부를 비교하는 제 7-2 단계; 및
    상기 제 7-2 단계에서 현재 단말기측 IME로부터 수신받은 ATM 종단 시스템 구분자 정보(atmfMySystemIdentifier)와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ATM 종단 시스템 구분자 정보(atmfMySystemIdentifier)가 서로 다르면 상기 로컬 IME가 상기 제 8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서로 동일하면 상기 로컬 IME가 현재 단말기측 IME로부터수신받은 ATM 종단 시스템의 시동 후 경과 시간 정보(sysUpTime)가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ATM 종단 시스템의 시동 후 경과 시간 정보(sysUpTime)보다 크거나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적으면 상기 제 8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 5 단계로 진행하는 제 7-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 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방법.
KR1020000053510A 2000-09-08 2000-09-08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343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510A KR100343932B1 (ko) 2000-09-08 2000-09-08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510A KR100343932B1 (ko) 2000-09-08 2000-09-08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384A KR20020020384A (ko) 2002-03-15
KR100343932B1 true KR100343932B1 (ko) 2002-07-20

Family

ID=1968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510A KR100343932B1 (ko) 2000-09-08 2000-09-08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204B1 (ko) * 2005-09-05 2007-07-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Atm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384A (ko) 200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6263B1 (en) ATM network externally controlled for network resource reservation of end-to-end switched virtual connection
CN100558082C (zh) 一种通信系统、标签交换路由器及路由切换方法
KR100343932B1 (ko) Atm 시스템에서의 atm 인터페이스 부착점 변경 검사기능을 이용한 링크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0150528B1 (ko) 시나리오를 이용한 에이티엠 가상 채널 교환기에서의 호처리 방법
JPH1017367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呼設定方法
KR100304363B1 (ko) 비동기전달모드 가상 채널 교환 시스템에서 시나리오 방식의 점대다중점 호처리 방법
US2009011649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port resource thereof
KR960010869B1 (ko) 분산시스팀에서의 프로세서 상태관리 및 감사 방법
KR100194957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가상 채널 교환기에서 프로세스 재시동에 의해발생된 비정상 호의 해제 처리 방법
KR960009465B1 (ko) 가상 경로(VP) 루프백(loopback)을 이용한 망자원 관리 방법
KR100606124B1 (ko)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교환 가상회선의 호 정보 해제방법
KR0150031B1 (ko) 호해제 메시지의 이유필드를 이용한 접속곤란 제어방법
KR19980055541A (ko) Atm망에서 pvc 동적 설정/해제 방법
KR100281423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KR950016254A (ko) 비동기식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텔레비젼 방송호 제어 방법
KR100275910B1 (ko) 교환 시스템에서 호 단절 채널 감시장치 및 방법
KR100247024B1 (ko) 유사 동기식 디지털 계위(pdh)호에 대한 비동기전송모드(atm) 궤환 시험 방법
KR100388611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에스씨씨피 서비스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
JP2830916B2 (ja) Oam機能の起動/停止方法及びノード装置
KR0123253B1 (ko) 에이.티.엠(atm) 교환기 호 시나리오 추출 방법
KR20010073324A (ko) 교환기의 백업 전용선 가입자 등록 방법
KR100503418B1 (ko) 복합 연결방식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KR100218686B1 (ko) 중소형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의 예약모드 가상경로/채널 연결 등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예약모드 가상경로/채널 연결 등록 방법
KR20030082842A (ko) 에이티엠(atm)기반 멀티프로토콜 라벨스위칭(mpls)시스템에서의오우에이엠(oam)처리방법
KR20010054038A (ko)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의 호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